KR20160109598A -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 Google Patents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598A
KR20160109598A KR1020150034331A KR20150034331A KR20160109598A KR 20160109598 A KR20160109598 A KR 20160109598A KR 1020150034331 A KR1020150034331 A KR 1020150034331A KR 20150034331 A KR20150034331 A KR 20150034331A KR 20160109598 A KR20160109598 A KR 2016010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rail
punching
cable tray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시아전관
Priority to KR1020150034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598A/ko
Publication of KR2016010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5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이 서로 평행을 이룬 상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바(bar) 형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체결공; 상기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과 동시에 상기 볼트체결공의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관; 탭가공에 의해 상기 조립관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 상기 가로대에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케이블트레이{Prefabricated Cable Trays}
본 발명은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트레이는 산업시설에 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선, 배관을 유지 관리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케이블트레이는 작업효율의 제고 내지 안전을 위해서 꼭 필요한 정리수단이라 할 수 있다. 산업시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케이블트레이가 제공되며 관리자는 자신의 산업시설에 맞는 형태의 케이블트레이를 선택하여야 한다.
통상 케이블트레이는 단위 길이로 제공된 한쌍의 기다란 레일(이하, '사이드레일'이라 칭하기도 함)와 이 레일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가로대('렁'이라 칭하기도 함)를 포함한다.
종래에 조립식 케이블트레에 있어서 레일과 가로대의 조립방식에 관하여 많안 제안이 있었다. 리벳을 사용하는 방식이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기는 하였으나, 이는 작업이 불편하고 분해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국내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23787호, 제10-2013-0034101호와 같이 볼트를 이용하여 레일과 가로대를 연결하는 구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로대와 레일은 판재 위에 절곡된 각재를 직각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며, 나아가 레일의 하단부에만 가로대가 설치됨으로써 레일의 상단이 휘어지기 쉬운 구조이다. 따라서 이들의 연결 강도를 만족시키기에는 쉽지 않다. 그래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레일과 가로대의 연결부위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힘을 더 받을 수 있게 하여 왔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부가적 공정과 장비가 더 필요하게 되어 볼트로써 연결할 때 얻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퇴색시켰다.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123787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34101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트레이에서 레일과 가로대를 연결하는 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볼트에 의한 체결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조립과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작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이 서로 평행을 이룬 상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바(bar) 형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체결공; 상기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과 동시에 상기 볼트체결공의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관; 탭가공에 의해 상기 조립관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
상기 가로대에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이 서로 평행을 이룬 상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바(bar) 형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에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체결공; 상기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과 동시에 상기 볼트체결공의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관; 탭가공에 의해 상기 조립관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
상기 레일에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로대의 단부는 상기 레일의 측판 내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공구를 이용한 펀칭작업 및 탭가공에 의해 케이블트레이를 구성하고 있는 레일과 가로대를 볼트로써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레일과 가로대가 볼트로써 조립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과 가로대에 최소한의 가공을 함으로써 양자의 안정적인 조립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조립 및 해체작업의 생산성과 케이블트레이의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케이블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의 일부이다.
도 4는 도 2의 B-B 선을 따라 취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3에 준하는 단면도의 일부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먼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트레이(1)는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3)과; 상기 한 쌍의 레일(3)이 서로 평행을 이룬 상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레일(3)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로대(5)를 포함한다. 가로대(5)의 설치 간격은 여러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로대(5) 위에 각종 케이블(미도시됨)이 얹히게 된다. 즉 가로대(5)는 받침대의 역할을 하며, 레일(3)은 케이블의 전체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 및 케이블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3)은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됨으로써 절곡하판(7), 절곡상판(9) 및 측판(11)으로 구성된다. 측판(11)은 레일(3)을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레일 연결공(13)이 가장자리에 타공되어 있다. 레일(3)은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통상 1 ~2mm의 두께를 가진다. 절곡하판(7)과 절곡상판(9)은 같은 길이로 마련되며, 측판(11)은 이들보다는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가로대(5) 역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며 바(bar) 형태를 가진다. 가로대 역시 횡판(15)과 세로판(17)을 포함하며, 가로대(5)의 양측단부(19)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가로대(5)의 소재가 되는 판재의 두께 역시 레일(3)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레일(3)에 프레스 펀칭에 의해 구멍이 마련된다. 이 구멍은 체결볼트(21)가 끼워지는 볼트체결공(23)이며 레일(3)의 절곡하판(7)에 마련된다. 이 볼트체결공(23)은 가로대(5)가 설치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볼트체결공(23)을 프레스 펀칭하는 과정에서 단관과 유사한 형태의 조립관(25)이 자연적으로 마련된다. 이 조립관(25)은 소재의 인성 정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열되거나 또는 얇아질 수 있다. 그러나 레일(3)을 위한 소재가 어느 정도 두께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파열되거나 또는 얇아지더라도 체결볼트(21)의 체결력을 유지하는데 문제가 없다.
체결볼트(21)를 체결하기 위해 조립관(25)에 태핑가공이 시행된다. 따라서 조립관(25)의 내주면에는 암나사(27)가 마련되게 된다. 이 암나사(27)는 나사산이 3 ~ 6개 구성될 수 있으며, M6 규격의 체결볼트(21)를 체결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체결볼트(21)는 드라이버로 체결할 수 있는 둥근머리볼트로 도시되어 있지만 육각볼트 또는 렌치볼트 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가로대(5)에는 레일(3)의 볼트체결공(23)이 형성된 위치에 볼트관통공(29)이 마련된다. 볼트관통공(29)은 체결볼트(21)의 스템이 쉽게 관통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물론 볼트관통공(29)은 체결볼트(21)의 볼트헤드는 통과될 수 없는 직경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볼트관통공(29)은 프레스를 이용한 타발 또는 드릴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볼트체결공(23)을 만들기 위한 펀칭시 임의적인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 볼트체결공(23)이 마련되는 위치에 미리 절개부를 마련해 놓을 수 있다.
볼트체결공(23), 암나사(27)는 한 쌍의 레일(3) 모두에 마련되며, 볼트관통공(29)은 가로대(5)의 양측 단부에 마련된다. 즉 하나의 가로대(5)를 레일(3)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2개의 체결볼트(21)만 있으면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로대(5)의 단부(5a)는 레일(3)의 측판 내면(11a)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볼트(21)는 풀림방지를 위한 스프링와셔(미도시됨)와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체결볼트(21)의 체결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지그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가로대(5)에 마련된 볼트관통공(29)은 조립관(25)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프레스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관(31)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조립관(25)과 지지관(31)은 체결볼트(2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조립관(25)과 지지관(31)은 열간(熱間) 상태에서 성형됨으로써 보다 더 원하는 형상대로 가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암나사(27)가 설치되는 조립관(25)이 레일(3)에 마련되고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5)에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체결볼트(21)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29)은 가로대(5)가 아닌 레일(3)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에서 미설명된 모든 도면부호는 이전 실시예를 참조하면 된다.
이처럼 조립관(25)과 볼트관통공(29)은 형성되는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동일하다. 이 경우에는 체결볼트(21)의 체결방향이 이전 실시예와 달라질 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어떤 방식이 조립공구를 사용하기에 편리한가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펀칭에 의해 조립관(25)을 형성함에 있어서 조립관(25)의 형태를 균일하고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펀칭 이전에 레일(3)이나 가로대(5)에 사전 가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십자 형태 또는 스타(*) 형태로 미리 절개한 다음 그 중심부를 펀칭함으로써 조립관(25)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레일 및 가로대의 구조 및 그들의 특성을 충분히 이용하여 최대한 간단하게 이들의 조립구조를 제시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위에 도시 및 설명된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지나지 아니한다. 당업자는 통상의 기술적 상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
1 : 케이블트레이 3 : 레일
5 : 가로대 7 : 절곡하판
9 : 절곡상판 11 : 측판
13 : 레일 연결공 15 : 횡판
17 : 세로판 19 : 양측단부
21 : 체결볼트 23 : 볼트체결공
25 : 조립관 27 : 암나사
29 : 볼트관통공 31 : 지지관

Claims (3)

  1.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이 서로 평행을 이룬 상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바(bar) 형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체결공;
    상기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과 동시에 상기 볼트체결공의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관;
    탭가공에 의해 상기 조립관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
    상기 가로대에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2.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한 쌍의 레일과; 상기 한 쌍의 레일이 서로 평행을 이룬 상태로 마주보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디귿(ㄷ)자 형태로 절곡된 바(bar) 형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케이블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에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볼트체결공;
    상기 프레스를 이용한 펀칭에 의해 상기 볼트체결공과 동시에 상기 볼트체결공의 주연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관;
    탭가공에 의해 상기 조립관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
    상기 레일에 드릴링 또는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관통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의 단부는 상기 레일의 측판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KR1020150034331A 2015-03-12 2015-03-12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KR201601095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31A KR20160109598A (ko) 2015-03-12 2015-03-12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331A KR20160109598A (ko) 2015-03-12 2015-03-12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598A true KR20160109598A (ko) 2016-09-21

Family

ID=5708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331A KR20160109598A (ko) 2015-03-12 2015-03-12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5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77A (ko) * 2017-12-06 2019-06-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트레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787A (ko) 2011-05-02 2012-11-12 장용호 독서 기능을 가진 밴드-독서 밴드
KR20130034101A (ko) 2011-09-28 2013-04-05 노홍구 에너지절약형 발전소 보일러장착 세정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3787A (ko) 2011-05-02 2012-11-12 장용호 독서 기능을 가진 밴드-독서 밴드
KR20130034101A (ko) 2011-09-28 2013-04-05 노홍구 에너지절약형 발전소 보일러장착 세정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777A (ko) * 2017-12-06 2019-06-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조립식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22218A1 (en) Solar Cell Panel Mount
KR20160109598A (ko)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DE10082233B4 (de) Verbindung aus einem ersten und einem zweiten Bauelement bestehend aus einer Unterlegscheibe mit einem Mittelloch in Kombination mit einem Gewindebolzen
JP2013219850A (ja) バーニヤ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架空電線の弛度調整方法
EP2272398B1 (en) A device for the forced locking of two elements oriented orthogonally to one another
EP2473685B1 (en) Length profile device
EP1683975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upport bars of a sport equipment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EP3021028B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EP2945887A1 (de) Auflagerahmen mit gitterboden für regale
EP3043123A1 (de) Mehrteiliger dachhaken und befestigungssystem
EP3623722B1 (de) Dachhaken
CN105402592A (zh) 高强度凹凸槽方矩管外靴连接件及其连接结构
JP6718776B2 (ja) 連結具
CN104514792A (zh) 一种不锈钢可加长外六角螺栓
JP2018178684A5 (ko)
US20060140714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upport bars of a sport equipment
KR101243856B1 (ko) Kuh 메인 기어 박스를 지지하는 핏팅의 이중 안전 장치
CN103459862B (zh) 用于将负载紧固在支承构件上的承载紧固套筒
KR200466181Y1 (ko) 탈착식 난간의 결합부재
GB2383805A (en) Railing system
DE3240671A1 (de) Klemmverbindung
CN109843120A (zh) 用于双层床和高架床的床柱
CN105297624A (zh) 拱桥检查车轨道装置
KR20180000947U (ko) 농작물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