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466B1 - 케이블 덕트 고정구 - Google Patents

케이블 덕트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466B1
KR101020466B1 KR1020090046542A KR20090046542A KR101020466B1 KR 101020466 B1 KR101020466 B1 KR 101020466B1 KR 1020090046542 A KR1020090046542 A KR 1020090046542A KR 20090046542 A KR20090046542 A KR 20090046542A KR 101020466 B1 KR101020466 B1 KR 10102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ble duct
inner support
support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097A (ko
Inventor
윤용호
Original Assignee
윤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호 filed Critical 윤용호
Priority to KR102009004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4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천장 슬래브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채널과,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채널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채널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채널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상기 채널에 고정하는 사각단면형상의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채널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채널의 양 측벽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채널에 고정할 때 외측 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덕트 고정구{CABLE DUCT MOUNTING ASSEMBLY}
본 발명은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를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슬래브에 고정된 채널의 외측에서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통행 등의 편의를 위하여 천장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케이블이 천장 플레이트 위에 위치할 경우 천장 플레이트가 처질 수 있으므로, 천장 슬래브의 하측에 케이블이 다수 삽입되는 덕트를 케이블 덕트를 설치한다.
이러한 케이블 덕트를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채널에 고정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한국특허등록 제10-0849354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천장 슬래브에 고정 설치되는 채널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내측 지지부재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와, 채널의 외측에 위치되고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을 구비하며 채널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외측 고정부재와,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에,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채널의 외측부와 외측 고정부재 사이에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개재한 후, 외측 고정부재의 볼트 삽입공을 관통하여 삽입한 고정볼트를 내측 지지부재의 나사공에 체결함으로써,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가 외측 고정부재와 채널 사이에서 고정되어,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고정볼트를 외측 고정부재의 볼트 삽입공을 관통하여 내측 지지부재의 나사공에 체결할 때, 외측 고정부재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설치작업이 쉽지 않고 정확한 위치 설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는 외측 고정부재와 고정볼트 사이의 체결력을 고루 분포시키기 위하여 와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와셔의 취급시 분실 위험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채널에 고정할 때 외측 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고정볼트의 체결시 별도의 와셔를 필요하지 않으며,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케이 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천장 슬래브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채널과,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채널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채널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상기 채널에 고정하는 사각단면형상의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채널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 측벽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고정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에는 너얼링을 형성함으로써, 고정볼트의 체결시 별도의 와셔를 필요하지 않으며,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채널은 양 측벽으로부터 각각 내향 절곡 연장된 한 쌍의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지지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리브의 자유단부에 각각 걸림유지되는 한 쌍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채널의 양 측벽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외측 고정부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채널에 고정할 때 외측 고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여,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볼트의 체결시 별도의 와셔를 필요하지 않으며,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20)는 천장 슬래브(1)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채널(11)과, 케이블 덕트(5)의 플랜지부(7)를 고정한다.
채널(11)은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벽(13)과, 한 쌍의 측벽(13)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며 천장 슬래브(1)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판(15)을 포함한다.
또한, 채널(11)은 양 측벽(13)으로부터 각각 내향 절곡 연장된 즉, 양 측벽(13)으로부터 지지판(15)을 향해 절곡 연장된 한 쌍의 리브(17)를 더 포함한다.
이에, 채널(11)은 일측에 개구부(19)를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역 "U"자 단면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20)는, 채널(11)의 개구부(19)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21)와, 내측 지지부재(21)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내측 지지부재(21)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31)와, 채널(11)의 외측에 위치되고 고정 볼트(31)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49)을 구비하며 채널(11)과의 사이에 개재된 케이블 덕트(5)의 플랜지부(7)를 채널(11)에 고정하는 사각단면형상의 외측 고정부재(41)와, 내측 지지부재(21)와 외측 고정부재(41)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51)과, 외측 고정부재(4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55)를 포함한다.
내측 지지부재(21)는 단축 방향은 채널(11)의 개구부(19)에 비해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장축 방향은 채널(11)의 개구부(19)에 비해 큰 폭으로 형성된 장방형 구조를 가진다. 내측 지지부재(21)의 중앙에는 고정볼트(31)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2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지지부재(21)가 채널(11)의 개구부(19)로 삽입된 후 회전될 때 채널(11)의 리브(17)에 걸리지 않도록 회전 방향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지지부재(21)의 장축 방향 양측에는 채널(11)의 리브(17)의 자유단부가 걸림유지되는 한 쌍의 걸림홈(27)이 형성되며, 중앙의 나사공(23) 주위에는 인장 스프링(51)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29)이 형성된다. 스프링 삽입홈(29)은 그 외측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인장 스프링(51)을 고정하게 된다. 이를 부연 설명하면, 내측 지지부재(21)는 양측에서 소정의 공구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변형부위가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 삽입홈(29)이 변형되면서 스프링 삽입홈(29)에 삽입된 인장 스프링(51)을 고정하게 된다.
고정볼트(31)는 후술할 외측 고정부재(41)의 볼트 삽입공(49)을 관통하여 내 측 지지부재(21)의 나사공(23)에 체결된다. 외측 고정부재(41)에 접촉하는 고정볼트(31)의 헤드(33)에는 너얼링(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고정볼트(31)의 체결시 별도의 와셔를 필요하지 않으며,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외측 고정부재(41)는 케이블 덕트(5)의 플랜지부(7)를 개재하여 채널(11)의 외측에 밀착되는 사각단면형상의 가압판(43)과, 가압판(43)의 중앙에서 고정볼트(31)의 결합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와셔부(45)를 포함한다.
와셔부(45)는 중앙에 형성된 볼트 삽입공(49) 주위에 인장 스프링(51)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스프링 삽입홈(47)을 구비하며, 스프링 삽입홈(47) 역시 그 외측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인장 스프링(51)을 고정한다.
이에, 본 발명의 케이블 덕트 고정구(20)는 내측 지지부재(21)와 외측 고정부재(41)가 인장 스프링(51)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게 되며, 외측 고정부재(41)를 90도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내측 지지부재(21)를 채널(11)의 리브(17)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55)는, 채널(11)의 개구부(19)를 형성하는 양 측벽(13)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외측 고정부재(41)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55)는, 케이블 덕트(5)의 플랜지부(7)를 채널(11)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볼트(31)를 외측 고정부재(41)의 볼트 삽입공(49)을 관통하여 내측 지지부재(21)의 나사공(23)에 체결할 때, 외측 고정부재(4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20)를 이용하여 케이블 덕트(5)를 천장 슬래브(1)에 설치된 채널(11)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장 스프링(51)에 의해 서로 연결된 내측 지지부재(21)와 외측 고정부재(41)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고 내측 지지부재(21)를 채널(11)의 개구부(19)에 삽입한 후, 외측 고정부재(41)를 90도 회전시키면, 내측 지지부재(21) 역시 90도 회전되면서 내측 지지부재(21)의 장축 부분에 형성된 걸림홈(27)에 채널(11)의 리브(17)가 삽입되어 내측 지지부재(21)가 고정된다. 이 때, 내측 지지부재(21)의 모서리 부분에 경사부(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 지지부재(21)가 쉽게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인장 스프링(51)이 인장되었다 다시 압축되면서 내측 지지부재(21)를 채널(11)에 고정하게 된다.
이후, 외측 고정부재(41)의 볼트 삽입공(49)을 통해 고정볼트(31)를 삽입하여 내측 지지부재(21)와 나사 체결하게 된다. 물론, 내측 지지부재(21)를 채널(11)에 삽입하기 이전에 고정볼트(31)를 나사 체결하더라도 무방하다.
고정볼트(31)가 내측 지지부재(21)에 어느 정도 체결된 상태에서 외측 고정부재(41)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인장 스프링(51)이 인장되면서 외측 고정부재(41)와 채널(11)의 외측부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이 때, 외측 고정부재(41)와 채널(11)의 외측부 사이에 케이블 덕트(5)의 플랜지부(7)를 개재하고, 고정볼트(31)를 내측 지지부재(21)에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케이블 덕트(5)의 플랜지부(7)가 채널(1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케이블 덕트(5)의 플랜지부(7)를 채널(11)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볼트(31)를 외측 고정부재(41)의 볼트 삽입공(49)을 관통하여 내측 지지부재(21)의 나사공(23)에 체결할 때, 가이드(55)에 의해 외측 고정부재(41)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볼트(31)의 헤드(33)에 형성된 너얼링(33a)에 의해, 고정볼트(31)의 체결시 별도의 와셔를 필요하지 않으며,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케이블 덕트를 고정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덕트 고정구는 케이블 덕트의 고정뿐만이 아니라 환기용 덕트 등의 고정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설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덕트 고정구의 설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케이블 덕트 7 : 플랜지부
11 : 채널 13 : 측벽
17 : 리브 19 : 개구부
20 : 케이블 덕트 고정구 21 : 내측 지지부재
23 : 나사공 27 : 걸림홈
31 : 고정볼트 33 : 헤드
33a : 너얼링 41 : 외측 고정부재
51 : 인장 스프링 55 : 가이드

Claims (3)

  1.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며 천장 슬래브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채널과,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고정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채널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장방형의 내측 지지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내측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채널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을 구비하며 상기 채널과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케이블 덕트의 플랜지부를 상기 채널에 고정하는 사각단면형상의 외측 고정부재와;
    상기 내측 지지부재와 외측 고정부재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과;
    상기 채널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채널의 양 측벽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외측 고정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고정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에는 너얼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양 측벽으로부터 각각 내향 절곡 연장된 한 쌍의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측 지지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리브의 자유단부에 각각 걸림유지되는 한 쌍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20090046542A 2009-05-27 2009-05-27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02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542A KR101020466B1 (ko) 2009-05-27 2009-05-27 케이블 덕트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542A KR101020466B1 (ko) 2009-05-27 2009-05-27 케이블 덕트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097A KR20100128097A (ko) 2010-12-07
KR101020466B1 true KR101020466B1 (ko) 2011-03-08

Family

ID=4350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542A KR101020466B1 (ko) 2009-05-27 2009-05-27 케이블 덕트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402B1 (ko) * 2011-04-14 2012-12-06 윤용호 와셔 일체형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252527B1 (ko) * 2011-12-30 2013-04-12 정다영 내진 및 방진용 케이블 받침대 충격완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492B1 (ko) * 2013-08-30 2014-07-14 주식회사 상일전기 케이블 고정구
CN108695786A (zh) * 2018-06-22 2018-10-23 江苏浩博塑业有限公司 一种滚动定位式线槽管
KR102143967B1 (ko) * 2020-03-05 2020-08-12 성화시스템챤넬(주) 찬넬용 체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81Y1 (ko) * 1994-01-10 1996-10-14 송완근 케이블 트레이지지용 체결구
JPH1061640A (ja) 1996-08-21 1998-03-06 Hajime Masuda C型チャンネルの連結固定具及び連結固定構造
KR100849354B1 (ko) 2006-09-11 2008-07-29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081Y1 (ko) * 1994-01-10 1996-10-14 송완근 케이블 트레이지지용 체결구
JPH1061640A (ja) 1996-08-21 1998-03-06 Hajime Masuda C型チャンネルの連結固定具及び連結固定構造
KR100849354B1 (ko) 2006-09-11 2008-07-29 윤용호 케이블 덕트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402B1 (ko) * 2011-04-14 2012-12-06 윤용호 와셔 일체형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101252527B1 (ko) * 2011-12-30 2013-04-12 정다영 내진 및 방진용 케이블 받침대 충격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097A (ko)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466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US7429025B1 (en) Adjustable bar and fixture box assembly
US8297579B1 (en) Electrical box hanger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US6827229B2 (en) Electrical box for ceiling fans
CA2734369C (en) Telescoping mounting system for a recessed luminaire
JP6130381B2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US20130071179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US10164415B2 (en) Junction box of a recessed luminaire for installation in shallow spaces
US20150267905A1 (en) Fastening device for lamp apparatus and fastening device for apparatus installed on ceiling
US20080230668A1 (en) Electrical fixture mounting assembly
KR101930209B1 (ko) 일체형 스프링 너트
JP2006318937A (ja) 埋込型機器
KR100849354B1 (ko) 케이블 덕트 고정구
KR2004304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구
KR20160023436A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20180016135A (ko) 변류기
WO2019137533A1 (zh) 一种空调室内机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102043013B1 (ko) 레이스 웨이 설치용 조명기구의 탄성클립
US20050067545A1 (en) Ceiling fixture support with shallow housing
KR100493456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2009281423A (ja) 被取付物を取付用レールに取り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
US20120018603A1 (en) Temporary Attachment Device For a Mounting Assembly
JP2009253187A (ja) 冷却ファンの取付構造
KR200480808Y1 (ko) 메쉬트레이용 조명장치 장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