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026Y1 -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026Y1
KR200482026Y1 KR2020150001205U KR20150001205U KR200482026Y1 KR 200482026 Y1 KR200482026 Y1 KR 200482026Y1 KR 2020150001205 U KR2020150001205 U KR 2020150001205U KR 20150001205 U KR20150001205 U KR 20150001205U KR 200482026 Y1 KR200482026 Y1 KR 200482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le
support
window
receiv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10U (ko
Inventor
김홍서
Original Assignee
김홍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서 filed Critical 김홍서
Priority to KR2020150001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2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06B1/6076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of screw-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을 가지며, 창호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 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결합 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 로드;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의 타 단부 측에서 상기 지지 로드를 수용하며,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 수용부; 및 제1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 홀의 일 단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 홀의 타 단부를 통해 상기 로드 수용부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로드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창호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창호 시설의 내구성을 개선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Assembly type device for supporting window frame}
본 고안은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호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창호 시설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파트 등과 같이 발코니를 가진 건물에서 건물의 단열성을 높이거나 주거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발코니에 창호를 시공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창호가 건물의 발코니 등에 시공되는 경우, 창호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부재들을 사용하여 창호 하부를 받쳐주는 보강 작업이 요구된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창호의 폭이 창호가 설치되는 발코니 옹벽의 폭 보다 대략 150mm ~ 200mm 정도 두껍기 때문이다. 한편, 창호가 설치되는 발코니 옹벽의 높이나 작업 공간의 크기 등은 시공 현장마다 다르므로 창호 하부를 받쳐주는 보강 작업도 각각의 시공 현장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기술들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창호 지지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창호 지지 부재의 설치 작업은 실제로 작업자가 완전히 들어갈 수 없는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다수의 지지 부재들을 설치해야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1548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창호 지지 부재의 구성이 복잡한 경우, 그 조립과 설치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9809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창호 하부면을 지지하는 상판과 그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기둥이 일체로 구성되는 경우, 작업자가 지지 기둥을 가운데 두고 상판을 창호 하부면에 고정해야 하므로 그 설치 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기존 기술들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형 지지 기둥을 중공 관 형태의 파이프 부재에 삽입하고, 지지 기둥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너트를 좌우로 돌려줌으로써, 파이프 부재로부터 인출되는 지지 기둥의 높이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기술들과 같이, 볼트형 지지 기둥의 높이를 단순히 너트로 조절하는 구성은 지지 기둥과 파이프 부재의 개구부 내지 내주면 간에 존재하는 유격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창호의 하중과 외부 진동 등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나사 결합이 풀어지며 높이의 변경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제로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 간 유격이나 외부 진동 등으로 인한 흔들림과 높이 변경을 방지하여 창호 시설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을 가지며, 창호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 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결합 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 로드;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의 타 단부 측에서 상기 지지 로드를 수용하며,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 수용부; 및 제1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 홀의 일 단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 홀의 타 단부를 통해 상기 로드 수용부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로드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중심부가 양 단부에 비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중심부에 상기 결합 홀을 가지며, 상기 양 단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창호 하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 홀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의 일 단부에 나사 결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단차 구조부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 수용부는,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를 수용하는 로드 수용 관; 및 상기 로드 수용 관의 타 단부와 결합되며,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로드 수용 관의 타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을 가지고, 상기 로드 수용 관은, 상기 로드 수용관의 타 단부에 상기 제1 삽입 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1 단차 구조부 및 제2 단차 구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단차 구조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로드 수용 관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관통 홀의 직경 방향으로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제2 관통 홀;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 로드를 고정시키는 고정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창호 지지 장치의 조립과 설치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창호 지지 장치의 부품 간 유격이나 외부 진동 등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창호 시설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창호 지지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추가적 고정 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창호 하중 등에 의한 창호 지지 장치의 높이 변경을 방지하고 창호 시설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이 상기 언급되지 않은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로드 고정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고안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가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100)는, 지지 플레이트(110), 지지 로드(120), 로드 수용부(130), 및 로드 고정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는, 창호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112)을 가지며, 볼트 등에 의해 창호의 하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110)는 중심부가 양 단부에 비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중심부에 결합 홀(112)을 가지며, 상기 양 단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를 창호 하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 홀(114)을 가질 수 있다.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지지 플레이트(110)의 결합 홀(112)은 창호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110)가 지지 로드(120)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나사 결합의 충분한 결합력과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결합 홀(112)의 내주면에 충분한 나사산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110)의 중심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지지 로드(12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그 일 단부가 지지 플레이트(110)의 결합 홀(112)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10)가 지지 로드(120)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창호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로드(120)는, 그 일 단부에 상기 나사 결합된 지지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단차 구조부(122)를 가질 수 있다. 즉, 단차 구조부(122)는, 지지 로드(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차 구조부(122)는 창호 하중이나 외부 진동 등에 장시간 노출되어 지지 플레이트(110)와 지지 로드(120) 간의 나사 결합이 하방으로 진행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창호 지지 장치(100)의 높이 변경이나 지지 로드(120)에 의한 창호 하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드 수용부(130)는,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지지 로드(120)의 타 단부 측에서 상기 지지 로드(120)를 수용하며, 바닥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를 위해, 로드 수용부(130)는 로드 수용 관(132) 및 베이스 플레이트(13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로드 수용 관(132)은,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지지 로드(120)를 수용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36)는, 로드 수용 관(132)의 타 단부와 결합되며,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36)는, 상기 로드 수용 관(132)의 타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홀(137), 및 베이스 플레이트(136)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138)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36) 고정 부재로는 볼트나 못 등 다양한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36)는 그 일 측, 예컨대 후방 측에 상기 제1 삽입 홀(137)을 가지고, 그 타 측, 예컨대 전방 측에 상기 제2 삽입 홀(138)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138)을 로드 수용 관(132)의 앞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실제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베이스 플레이트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 수용 관(132)는, 상기 타 단부에 상기 제1 삽입 홀(137)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1 단차 구조부(133) 및 제2 단차 구조부(134)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 수용 관(132)의 제1 단차 구조부(133)와 제2 단차 구조부(134)는 베이스 플레이트(136)의 제1 삽입 홀(137)에 삽입되는 상기 로드 수용 관(132)의 타 단부에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36)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로드 수용 관(132)을 베이스 플레이트(136)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차 구조부(133)는 비딩(beading) 처리를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차 구조부(134)는 로드 수용 관(132)을 베이스 플레이트(136)의 제1 삽입 홀(137)에 삽입한 후 리베팅(riveting)과 유사하게 로드 수용 관(132)의 하단 둘레를 바깥쪽으로 벌려주는 컬링(curling) 처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드 수용 관(132)에 제1 및 제2 단차 구조부(133, 134)를 형성하는 이유는, 로드 수용 관(132)을 단순히 베이스 플레이트(136)의 삽입 홀(137)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하는 경우 얇은 판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36)로부터 충분한 지지력을 얻을 수 없으며, 로드 수용 관(132)의 하단 둘레를 절삭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방식은 제조 공정이 번거롭고 로드 수용 관(132)의 내구성을 오히려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로드 고정 부재(140)는, 제1 관통 홀(142)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 홀(142)의 일 단부를 통해 지지 로드(120)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 홀(142)의 타 단부를 통해 상기 로드 수용부(130)의 일 단부를 수용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로드 고정 부재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 고정 부재(140)는 제1 관통 홀(142)을 가지는 중공 관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 홀(142)의 일 단부(142a)는 그 타 단부(142b)에 비해 내경이 작으며, 그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 로드(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 고정 부재(140)는 제1 관통 홀(142)의 일 단부를 통해 지지 로드(120)와 나사 결합하게 되고, 이러한 나사 결합이 지지 로드(120) 상단 쪽으로 진행하게 되면, 지지 로드(120)가 로드 고정 부재(140)를 관통하는 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로드 수용부(130)의 로드 수용 관(132)은, 그 일 단부가 제1 관통 홀(142)의 타 단부(142b)에 삽입되어 수용된다. 이와 같이 로드 수용 관(132)은, 그 일 단부가 제1 관통 홀(142)의 타 단부(142b)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 고정 부재(140)를 관통하는 지지 로드(120)를 그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제1 관통 홀(142)의 타 단부(142b)는, 그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으며, 로드 수용 관(132)을 수용할 수 있지만 수용된 로드 수용 관(132)의 외주면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최소한의 길이 및 내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로드(120)와 나사 결합된 로드 고정 부재(140)가 로드 수용 관(132)의 외주면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지지 로드(120)와 로드 수용 관(132) 간의 유격으로 인해 발생하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로드 고정 부재(140)가 좌우로 회전됨으로써, 지지 로드(1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로드 고정 부재(140)의 외주면은 스패너 등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직경 방향 단면상 다각형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드 고정 부재(140)는, 지지 로드(120)의 추가적 고정 수단으로서 제2 관통 홀(144)과 고정 나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 홀(144)은 제1 관통 홀(142)의 직경 방향으로 상기 로드 고정 부재(14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홀이다. 상기 고정 나사(146)는, 제2 관통 홀(144)에 체결되며, 로드 고정 부재(140)를 관통하고 있는 지지 로드(120)를 고정시키는 나사이다. 이와 같이, 지지 로드(120)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추가적 고정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창호 지지 장치의 흔들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제2 관통 홀(144)이 제1 관통 홀(142)의 일 단부(142a), 즉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제1 관통 홀(142)의 타 단부(142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관통 홀(144)이 제1 관통 홀(142)의 타 단부(142b)에 형성되는 경우, 제1 관통 홀(142)에 수용되어 있는 로드 수용 관(132)의 측면에도 대응하는 관통 홀(미도시)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제2 관통 홀(144)이 제1 관통 홀(142)의 타 단부(142b)에 형성되고, 그에 대응하는 관통 홀이 로드 수용 관(132)의 측면에 형성되면, 고정 나사(146)가 로드 고정 부재(140)의 제2 관통 홀(144)과 로드 수용 관(132)의 대응 관통 홀을 통해 체결되어 지지 로드(120)를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로드 고정 부재(140)와 로드 수용 관(132)의 결합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창호 지지 장치의 흔들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창호 지지 장치의 조립과 설치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협소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창호 지지 장치의 부품 간 유격이나 외부 진동 등으로 인한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창호 시설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창호 지지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하는 추가적 고정 수단을 적용함으로써, 창호 하중 등에 의한 창호 지지 장치의 높이 변경을 방지하고 창호 시설의 내구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110 : 지지 플레이트
112 : 결합 홀 114 : 볼트 삽입 홀
120 : 지지 로드 122 : 단차 구조부
130 : 로드 수용부 132 : 로드 수용 관
136 : 베이스 플레이트 140 : 로드 고정 부재
142 : 제1 관통 홀 144 : 제2 관통 홀
146 : 고정 나사

Claims (5)

  1.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홀을 가지며, 창호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지지 플레이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 단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결합 홀에 나사 결합되는 지지 로드;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의 타 단부 측에서 상기 지지 로드를 수용하며,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 수용부; 및
    제1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제1 관통 홀의 일 단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관통 홀의 타 단부를 통해 상기 로드 수용부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로드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중심부가 양 단부에 비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중심부에 상기 결합 홀을 가지고, 상기 양 단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창호 하부면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 삽입 홀을 가지고,
    상기 로드 수용부는, 상기 로드 고정 부재의 제1 관통 홀에 수용되어 일 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 로드를 수용하는 로드 수용 관; 및 상기 로드 수용 관의 타 단부와 결합되며 바닥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로드 수용 관의 타 단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홀을 가지고,
    상기 로드 수용 관은, 상기 로드 수용 관의 타 단부에 상기 제1 삽입 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1 단차 구조부 및 제2 단차 구조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2 단차 구조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로드 수용 관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로드는, 상기 지지 로드의 일 단부에 나사 결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단차 구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관통 홀의 직경 방향으로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관통하는 제2 관통 홀; 및
    상기 제2 관통 홀에 체결되어 상기 지지 로드를 고정시키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수용 관은, 측면에 상기 로드 고정 부재의 제2 관통 홀에 대응하는 대응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나사는, 상기 로드 고정 부재의 제2 관통 홀과 상기 로드 수용 관의 대응 관통 홀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로드 고정 부재와 상기 로드 수용 관을 결합시키면서 상기 지지 로드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KR2020150001205U 2015-02-24 2015-02-24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KR200482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05U KR200482026Y1 (ko) 2015-02-24 2015-02-24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05U KR200482026Y1 (ko) 2015-02-24 2015-02-24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10U KR20160003010U (ko) 2016-09-01
KR200482026Y1 true KR200482026Y1 (ko) 2016-12-07

Family

ID=56958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05U KR200482026Y1 (ko) 2015-02-24 2015-02-24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75Y1 (ko) * 2019-02-22 2020-12-08 김종석 창호 하부 서포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76Y1 (ko) * 2010-06-25 2012-08-23 이미선 창호지지용 브라켓
KR101262814B1 (ko) * 2011-03-21 2013-05-09 김진광 창틀의 수평조절용 고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458Y1 (ko) * 1991-09-20 1993-09-24 이우영 신축건물의 문틀고정구
KR20090008008U (ko) * 2008-01-31 2009-08-05 김명근 창호 설치용 처짐방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76Y1 (ko) * 2010-06-25 2012-08-23 이미선 창호지지용 브라켓
KR101262814B1 (ko) * 2011-03-21 2013-05-09 김진광 창틀의 수평조절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10U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695B1 (ko)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63373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20180032433A (ko)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100939446B1 (ko)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US20020170244A1 (en) Height-adjustable concrete mold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KR20150055519A (ko) 벽돌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0482026Y1 (ko) 조립식 창호 지지 장치
KR101730951B1 (ko) 진공 단열재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설치 방법
RU2642720C2 (ru) Дюбель и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слоя материала
KR200444767Y1 (ko) 창틀 지지대
KR101931809B1 (ko) 레이스 웨이 지지장치
US9642500B2 (en) Shower enclosure
KR20180001181A (ko)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KR200384367Y1 (ko) 건축용 서포트
KR101770393B1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KR101717285B1 (ko) 칸막이용 받침대
KR200231221Y1 (ko) 철근 배근 간격 조절이 용이한 철근 받침대
KR101026922B1 (ko) 천장용 캐링채널 지지장치
KR20140114607A (ko) 창틀용 지지대
JP6415770B1 (ja) 支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4255407B2 (ja) 庇の取付け構造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KR20100066959A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