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2121B1 - 우수저류조 - Google Patents

우수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2121B1
KR100582121B1 KR1020060024721A KR20060024721A KR100582121B1 KR 100582121 B1 KR100582121 B1 KR 100582121B1 KR 1020060024721 A KR1020060024721 A KR 1020060024721A KR 20060024721 A KR20060024721 A KR 20060024721A KR 100582121 B1 KR100582121 B1 KR 100582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orage
storage tank
stor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청휘
정경진
김옥수
이준구
한성식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한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한성식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필요시 방출하도록 하는 지하 매립식 및 지하 침투식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육면체의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면판과 저면판의 각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되고, 각 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판에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저류블록; 및 사각형의 판형상을 갖고 끝단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 단차부에 안착되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상면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면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의 저류블록들 사이에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를 제공한다.
우수저류조, 저류블록, 저면판, 상면블록

Description

우수저류조{Water Storage Tan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저류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저류블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저류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저류블록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저류블록의 단차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저류블록의 시공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면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저류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지지기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지지기둥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폐쇄슬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종래의 우수저류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의한 우수저류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저류블록15: 단차부
25: 결합부30: 상면블록
50, 60: 지지기둥70: 이형 저류블록
91,92: 패쇄슬리브
본 발명은 우수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필요시 방출하도록 하는 지하 매립식 및 지하 침투식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서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입 허용량을 초과하게 되면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도 고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저류조에 저류하여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정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중 하나가 일본국 특허 공개 평6-2729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은 블록 단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저면 저면판부의 네 모서리 기둥의 상단 부분에 수평 들보가 설치되고, 전후좌우의 각 수평들보 사이에 상면 개구부를 형성한 본체부용 블록과, 측면판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면판부와 저면판부의 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슬리브 벽부를 설치한 ㄷ자 형상의 주변부용 블록과, 측면판부의 하단 부분에 저면판부를 연결 설치하여 상단 부분에 상면판부를 연결 설치하여 모퉁이 벽부용 블록으로 구성되고, 본체부용 블록군의 측면 개구부가 주변부용 블록으로 폐쇄되며, 수평 들보에 탑재된 뚜껑판으로 본체부용 블록의 상면 개구부가 폐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우수 저류조는 각각의 블록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각각의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분을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조립 시간이 요구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485742호 "우수 저류조"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볼륵에 결합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우수저류조는 나사부재를 통해 각 블록들 및 슬래브를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본체부용 및 주변부용 블록이 각각 기둥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을 배열할 때 블록들의 기둥이 겹쳐서 불필요하게 두꺼운 기둥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저류조의 내부가 기둥의 겹침에 의해 협소하게 되어 청소 및 내부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안정하면서도 내부관리가 용이하고 재료의 불필요한 낭비가 없는 새로운 우수저류조에 관한 연구가 당 기술분야에서 계속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 및 슬래브의 결합을 통한 우수저류시설의 새로운 결합구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고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우수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육면체의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면판과 저면판의 각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되고, 각 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판에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저류블록; 및 사각형의 판형상을 갖고 끝단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 단차부에 안착되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상면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면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의 저류블록들 사이에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류블록은 다수개가 저류조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각각의 외측변을 따라 각각 일직선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면블록은 상기 저류블록 또는 저류조의 내측부분에 상기 상면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기둥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저류조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저류블록 중 일부는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의 하나의 변과 그 반대편의 변에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단차부의 하부는 기둥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단차부의 하부면에는 제1 조립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록에는 상기 조립공에 일치하는 제2 조립공이 동일 개수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면판의 결합부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철근이 저면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저면판의 결합부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철근이 저면판에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면판의 결합부는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는 변과 같은 방향에 있다. 상기 저류블록의 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다수개의 너트 안치홈 및 커플 가이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기둥은 판상의 하부와 두개의 상면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및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양쪽에 형성되는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다수개의 너트 안치홈 및 커플 가이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은 판상의 하부와 네 개의 상면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및 상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기둥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류조의 외측에 저류블록 또는 저류블록과 상면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슬리브가 추가적으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폐쇄 슬리브는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모멘트 지지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저류블록
본 발명의 우수저류조는 육면체로 구성되는 저류블록을 포함한다. 저류블록(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육면체로 형성되고, 각 측면마다 개구부(13)가 형성되도록 기둥(14)이 배열된다. 기둥(14)은 상면판(11)과 저면판(12)의 전후좌우의 네모퉁이(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저면판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된다.
기둥(14)은 상면판(11)과 저면판(12)에 인접한 부분 중 개구부측의 내측면을 이루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 부분은 각 저류블록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로 사용되며, 각 경사면에 관통공(19)들이 형성되도록 한다. 관통공(19)이 형성된 경사면 부분의 내측에는 블록들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너트(도시하지 않음)가 안치되도록 너트안치홈(22)이 형성되며, 저류블록들을 연결할 때 미리 연결부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커플 가이드핀(29)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커플 가이드핀(29)은 대칭을 이루는 원추형의 핀이 될 수 있고, 대칭을 이루는 육각형 등의 구조도 가능하다. 이러한 커플 가이드핀은 각 블록들간의 전단력(지반 침하와 같은 경우 발생하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는 전단키로써 기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류블록(10)은 도 2 및 도 3에 각 측면에 모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저류블록(10)이 저류조의 외곽에 배열될 경우 외곽면이 폐쇄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일측의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폐쇄슬리브를 사용하여 개구부를 막을 수 있다.
저류블록(10)은 상면판(11)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 단차부(15)를 형성한다. 단차부(15)는 후술하는 상면블록(30)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단차부(15)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판의 일측변과 그에 반대되는 타측변에 각각 형성된다. 단차부(15)는 ㄴ 자로 절곡된 홈이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갖고, 단차부의 하부면(17)은 기둥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갖는다. 즉, 기둥이 이루는 하나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면판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차부(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14)이 이루는 수직면으로부터 절곡된 부위가 내측에 있도록 형성하거나((a)참조), 기둥(14)이 이루는 수직면과 단차부의 절곡된 부위가 동일선상에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b)참조) (a)의 경우 단차부를 이루는 하부면(17)이 (b)에 비해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되나 단차부가 블록의 내측으로 치우쳐서 형성되기 때문에 블록 전체의 구조는 (b)의 경우가 보다 안정적이 된다.
한편, 단차부(15)의 하부면(17)에는 제1 조립공(18)이 다수개 형성된다. 제1 조립공(18)은 후술하는 상면블록(30)의 제2 조립공(32)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조립공(18,32)에는 블록들의 조립을 위한 체결구(너트 및 볼트 등)가 결합된다.
또한, 저류블록(10)의 저면판(12)에는 각 블록들이 기초면(42)과 일체로 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부(25)가 형성된다. 결합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가 형성되는 변과 같은 방향으로 철근(26)이 돌출되도록 철근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저류블록(10')의 저면판(12)에 미리 철근이 삽입될 삽입공(27)을 형성하고, 저류블록(10')을 설치위치에 배열한 후 삽입공(27)에 철근(26)을 삽입하고 이를 기초면(42)과 일체로 시공(41)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결합부(25)가 단차가 형성되도록 되어 내측으로 오목한 단차(28)와 기존의 단차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단차(28)에 삽입공(29)을 형성하여 기존의 삽입공(27)과 함께 2단 지지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 저류블록의 기초면 시공에 있어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시공할 수 있으며, 단차의 형성에 의해 전단면이 2개면으로 나눠져서 전단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구조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은 방식은 저류블록의 제작이 용이하지만 블록의 운반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되며, 도 3에서와 같은 방식은 제작이 복잡하지만 블록의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은 방식은 블록의 운반이 용이하고 또한 도 3의 방식보다 지지력을 키울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저류블록에 결합부를 형성하는 것은 저류블록들이 서로 각각의 면들을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면만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것을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각각의 저류블록들은 다른 블록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하부의 저류면에 철근을 이용한 결합부를 형성하여 바닥면과 일체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도 6은 이와 같은 결합부의 형성을 도 3의 실시예를 통해 도시하고 있다.
상면블록
본 발명에 의한 우수저류조는 상면블록(30)을 포함하고 있다. 상면블록(30)은 소정두께를 가진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갖고, 저류블록(10)의 상면판(11)의 단차부(15)에 안차되어 저류블록의 상면판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블록(30)은 비교적 짧은 거리에 사용될 때는 (a)와 같이 콘크리트만으로 형성된 블록이 되고, 비교적 긴 구간에 사용될 때에는 내부에 강선을 통해 프리스트레싱(35)이 도입된 콘크리트 구조물(30')을 사용할 수 있다.
저류블록의 배열 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우수저류조의 배열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저류블록(10)은 각각 일렬로 배열된다. 저류블록들은 한줄 건너 한줄씩 반복적으로 배열되며, 그 저류블록(10)의 사이에 상면블록(30)들이 배열된다.
각각의 저류블록(10)들은 원추형(또는 육각형)의 가이드홈(23)에 커플 가이드핀(29)의 절반을 삽입하고, 커플 가이드핀(29)의 나머지 절반이 다른 인접한 저류블록(29)의 가이드홈(23)에 삽입되도록 블록을 배열한다. 이때 블록들은 가이드핀에 의해 임시결합된 상태가 된다. 그후, 양쪽에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재를 관통공(19)에 삽입하여 양 블록을 서로 연결하며 너트를 통해 체결고정한다.
이와 같이 저류블록들을 일렬로 배열하고 각각 체결한 후, 저류블록의 하부의 결합부(25)의 철근을 기초면과 함께 시공한다. 기초면이 철근을 포함하도록 콘크리트 양생하는 것으로 기초면시공이 이루어진다.
그후, 저류블록의 상부의 단차부(15)에 상면블록(30)을 얹는다. 상면블록(30)의 제2 조립공(32)이 단차부의 제1 조립공(18)과 일치하면서 이루어지는 관통홀에 나사부재와 같은 체결부재를 결합시켜 저류블록과 상면블록을 일체로 결합한다.
각각의 상면블록은 양쪽의 저류블록의 단차부에 얹혀져서 결합되며, 상면블록의 길이(L)는 설계에 따라 길게 또는 비교적 짧게 형성할 수 있다. 폭(s)은 각각의 저류블록의 폭과 동일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우수저류조는 기존의 우수저류조에 비해 넓은 내부공간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록들을 서로 밀착시켜 결합하는 구조에 비해 겹쳐지는 기둥의 개수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우수저류조의 장점은 아래와 같은 우수저류조의 구조적 특징에 기인한다. 즉, 우수저류조의 외곽부분의 하중은 우수저류조 내부 구조물이 받는 하중보다 크게 된다. 내부 구조물들은 서로 하중을 분배하게 되나 외곽부분은 인접한 다른 구조물이 내부 구조물보다 작은 상태이기 때문에 같은 하중을 받더라도 그 외곽의 구조물에 가해지는 하중은 내부 구조물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외곽의 구조물은 내부 구조물보다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은 외곽부분에 육면체 블록의 저류블록이 배열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하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우수저류조의 보다 큰 내부공간은 청소 및 유지보수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기존의 육면체 블록들이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는 우수저류조의 경우 블록들의 통로는 블록에 형성된 개구부의 크기만큼 형성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 상면블록의 길이를 다양하게 설계함으로써 내부 공간이 커질 수 있으며, 저류블록들을 한줄건너 한줄씩 배열함으로써 저류블록들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커질 수 있다.
지지기둥
본 발명은 도 8에서와 같이 저류블록들을 우수저류조의 외측부(외곽부)를 둘러싸도록 배열하고 저류조의 내측부분에는 상면블록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둥(50,60)이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두가지 타입의 지지기둥을 같이 배열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배열외에도 설계에 따라 같은 종류의 지지기둥을 배열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먼저, 도면번호 50번의 지지기둥은 두개의 상면블록(30)을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판상의 하부(51)와 하부로부터 직립하여 형성되는 한쌍의 기둥(55)을 포함하고, 상부(53)는 양측으로 각각 상면블록을 결합할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에는 조립공(54)이 형성되며, 상면의 중앙은 도면과 같이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돌출되지 않고 양측의 상면블록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기둥(55)들은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배열된다.
상기 기둥(55)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저류블록(10)의 기둥과 같이 다수개의 너트 안치홈(57) 및 커플가이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58)이 형성된다.
도면번호 60의 지지기둥은 도 9에서와 같이 네 개의 상면블록(30)을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네 개의 상면블록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61)와 네 개의 상면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62)를 포함한다. 상부를 지지하는 기둥(65)이 하부와 상부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부면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의 평면으로 형성되며, 각각 상면블록의 조립공과 일치하도록 조립공(64)이 형성된다.
저류블록의 배열 2
도 8에서와 같이, 저류블록(10)들이 저류조의 외측 모서리부분에만 ㅁ 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구조가 가능하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저류블록(10)을 일측변과 그에 대응하는 반대편의 변에 일렬로 배열한다. 그 후, 사각형의 꼭지점 부분(edge부)에서부터 나머지 변에 상부측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의 이형 저류블록(70)을 배열한다.
단차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의 이형 저류블록(70)을 배열하는 것은 70번 저류블록과 10번 저류블록 및 기둥구조(50,60)들 간의 단차부가 서로 간섭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각각의 이형 저류블록(70)은 저류블록(10)과 마찬가지로 육면체로 구성되며, 각 측면마다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기둥이 배열되고, 기둥에는 너트안치홈과 관통공 및 가이드홈 등이 10번 저류블록과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또한, 이형 저류블록들의 결합구조 역시 저류블록(10) 간의 결합 방식과 동일하다.
외곽에 상기와 같이 저류블록(10) 및 이형 저류블록(70)들을 배열하고 저류조 내부에 지지기둥(50, 60)을 배열한다. 지지기둥은 설계에 따라서 도면번호 50과 같은 형식 또는 60과 같은 형식의 기둥을 섞어서 배열하거나, 한 종류로만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이들을 하나의 도면에 도시하기 위해 섞어서 배열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 경우 지지기둥(50)은 상부면으로 둘출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폭을 설계에 반영하여 그에 맞는 상면블록을 배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우수저류조의 외곽부분을 저류블록(10,70)으로 배열하고, 그 내측을 지지기둥(50,60)을 사용하여 지지하도록 한 후, 지지기둥들과 저류블록(10)의 단차부에 상면블록을 얹어 저류조를 완성하게 된다. 이 경우 가장 큰 하중을 받는 외곽부에 육면체의 저류블록을 배열하게 됨으로써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저류조 내부에 저류블록을 배열하지 않고도 설계할 수 있게 되어 저류조 내부의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되며 충분한 크기의 내부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저류블록의 배열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준 것이나, 저류블록의 배열은 앞서 설명한 두가지 방식을 섞어서 할 수 있다. 즉, 작은 ㅁ자 형으로 각 저류블록들을 배열한 후 그 가운데에 상면블록을 배열하는 방식 또는 큰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 저류블록을 배열하는 방식들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폐쇄 슬리브
도 11은 본 발명의 저류조의 외곽면에 설치되는 폐쇄 슬리브(91,92)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a)에서와 같이 저류조의 외곽의 수직면에 저류블록 또는 저류블록과 상면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해 일자형 판 형상의 슬리브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b)에서와 같이 일자형의 슬리브 대신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모멘트 저항력을 가질 수 있는 구조의 슬리브(92)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교
도 12a는 종래의 저류블록들로만 형성된 저류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각 저류블록들이 서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내측의 지지기둥과 외측의 지지기둥이 같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저류조의 구조상 외측부에 하중이 크게 가해지고 저류조의 내측(가운데 측)으로는 비교적 작은 하중이 걸리게 된다. 이 경우 동일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은 내부의 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불필요한 구조가 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저류조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저류조 구조에 의하면 도 12a에서와 달리 저류조 내측(가운데측)의 기둥 단면적이 종래에 비해 줄어들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내측에 설치되는 저류블록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큰 내부 통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류블록과 상면블록을 조합하여 저류조를 형성함으로써 저류조 내부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블록을 저류조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열하고 내측은 상면블록들을 배열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저류블록의 사용을 제거하여 보다 큰 내부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저류조에 사용되는 저류블록의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3)

  1. 육면체의 측면에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면판과 저면판의 각 모서리에 기둥이 형성되고, 각 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면판의 적어도 하나의 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저면판에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저류블록; 및
    사각형의 판형상을 갖고 끝단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 단차부에 안착되어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상면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저류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면블록은 다수개가 일직선상의 저류블록들 사이에 결합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은 다수개가 저류조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각각의 외측변을 따라 각각 일직선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상면블록은 상기 저류블록 또는 저류조의 내측부분에 상기 상면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기둥에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저류조의 외측부를 둘러싸도록 배열되는 저류블록 중 일부는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의 상면판의 하나의 변과 그 반대편의 변에 각각 단차부가 형성되고, 단차부의 하부는 기둥으로부터 돌출되어 단차부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하부면에는 제1 조립공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록에는 상기 조립공에 일치하는 제2 조립공이 동일 개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의 결합부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철근이 저면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의 결합부는 기초면과 일체로 거동하도록 철근이 저면판에 삽입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판의 결합부는 내측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는 변과 같은 방향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의 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다수개의 너트 안치홈 및 커플 가이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판상의 하부와 두개의 상면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및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양쪽에 형성되는 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 및 하부에는 다수개의 너트 안치홈 및 커플 가이드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판상의 하부와 네 개의 상면블록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상부 및 상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외측에 저류블록 또는 저류블록과 상면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슬리브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1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슬리브는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모멘트 지지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조.
KR1020060024721A 2006-03-17 2006-03-17 우수저류조 KR10058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21A KR100582121B1 (ko) 2006-03-17 2006-03-17 우수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21A KR100582121B1 (ko) 2006-03-17 2006-03-17 우수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121B1 true KR100582121B1 (ko) 2006-05-22

Family

ID=3718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721A KR100582121B1 (ko) 2006-03-17 2006-03-17 우수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12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60B1 (ko) 2006-09-15 2007-04-03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0765172B1 (ko) 2007-05-08 2007-10-15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및 빗물 저류조
KR100994805B1 (ko) 2010-03-05 2010-11-17 도청산업주식회사 복합저류장치
KR101115915B1 (ko) * 2010-12-07 2012-02-13 이희덕 조립식 저류조
KR101248173B1 (ko) * 2012-10-30 2013-04-02 (주) 효창이엔지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KR101289155B1 (ko) 2013-03-22 2013-07-23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우수저류조
KR20160006010A (ko) 2014-07-08 2016-01-18 계룡환경주식회사 Pc부재 조립식 강화 저류조
KR20160009252A (ko) 2014-07-16 2016-01-26 양흥모 하수관의 대용량 빗물 처리설비 및 그 방법
KR101894576B1 (ko) * 2017-10-31 2018-09-04 김성호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102095581B1 (ko) 2018-12-18 2020-04-20 (주)더이앤씨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220152872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대한실업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597519B1 (ko) 2022-05-12 2023-11-01 장승식 우수 재활용 처리 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60B1 (ko) 2006-09-15 2007-04-03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0765172B1 (ko) 2007-05-08 2007-10-15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빗물 저류조의 제조방법 및 빗물 저류조
KR100994805B1 (ko) 2010-03-05 2010-11-17 도청산업주식회사 복합저류장치
KR101115915B1 (ko) * 2010-12-07 2012-02-13 이희덕 조립식 저류조
KR101248173B1 (ko) * 2012-10-30 2013-04-02 (주) 효창이엔지 조립식 우수저류조의 바닥­기둥­보 결합구조
KR101289155B1 (ko) 2013-03-22 2013-07-23 대한이.이엔.씨(주) 친환경 우수저류조
KR20160006010A (ko) 2014-07-08 2016-01-18 계룡환경주식회사 Pc부재 조립식 강화 저류조
KR20160009252A (ko) 2014-07-16 2016-01-26 양흥모 하수관의 대용량 빗물 처리설비 및 그 방법
KR101894576B1 (ko) * 2017-10-31 2018-09-04 김성호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KR102095581B1 (ko) 2018-12-18 2020-04-20 (주)더이앤씨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220152872A (ko) 2021-05-10 2022-11-17 주식회사 대한실업 복합재생원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및 그 제조방법
KR102597519B1 (ko) 2022-05-12 2023-11-01 장승식 우수 재활용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121B1 (ko) 우수저류조
KR100952605B1 (ko) 우수 저류조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102110404B1 (ko)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31583A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KR101013235B1 (ko)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KR100702860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KR101230370B1 (ko) 일체화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20090006315A (ko) L형 우수저류조
KR101289155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0728743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 교량
KR101271290B1 (ko) 지하 매립형 조립식 저류조
KR20140005954U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량
KR102059470B1 (ko) 기초 보강용 다각 팽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KR101894576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JPH0826573B2 (ja) 雨水貯留槽
KR101384750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간벽체 구조물
JP2843562B1 (ja) 遊水池装置
US20190055725A1 (en) Cell for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KR101272001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JPH07122280B2 (ja) 雨水貯留槽
KR100883798B1 (ko) 집수정
KR102571761B1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