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0404B1 -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0404B1 KR102110404B1 KR1020200016646A KR20200016646A KR102110404B1 KR 102110404 B1 KR102110404 B1 KR 102110404B1 KR 1020200016646 A KR1020200016646 A KR 1020200016646A KR 20200016646 A KR20200016646 A KR 20200016646A KR 102110404 B1 KR102110404 B1 KR 1021104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 horizontal plate
- frame
- plate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조 내에 통로를 형성하여 저류조의 청소가 용이하면서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는,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를 돌출 형성하면서 외측 보강테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측 보강테를 형성하고, 외측 보강테와 내측 보강테 사이에 간격 유지테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각 결합홈을 형성하며, 중앙에 일면으로 개방된 원형 결합홈을 형성한 사각의 수평 플레이트; 양단을 수평 플레이트의 원형 결합홈에 삽입시켜 상하부에 수평 플레이트가 마주보도록 조립하는 수직의 메인 기둥; 상기 상하부에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의 사각 결합홈에 양단이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의 측벽 플레이트;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 보강테 간에 간격 유지테를 구비하며, 통로가 형성될 부위의 수평 플레이트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양단에 요홈을 사방으로 형성하여 중첩된 수평 플레이트의 외측 보강테와 간격 유지테가 만나는 부위 또는 수평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된 외측 보강테와 간격 유지테가 만나는 부위 또는 지지 플레이트의 간격 유지테가 교차하는 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는 통로용 기둥;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는,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를 돌출 형성하면서 외측 보강테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측 보강테를 형성하고, 외측 보강테와 내측 보강테 사이에 간격 유지테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각 결합홈을 형성하며, 중앙에 일면으로 개방된 원형 결합홈을 형성한 사각의 수평 플레이트; 양단을 수평 플레이트의 원형 결합홈에 삽입시켜 상하부에 수평 플레이트가 마주보도록 조립하는 수직의 메인 기둥; 상기 상하부에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의 사각 결합홈에 양단이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의 측벽 플레이트;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 보강테 간에 간격 유지테를 구비하며, 통로가 형성될 부위의 수평 플레이트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양단에 요홈을 사방으로 형성하여 중첩된 수평 플레이트의 외측 보강테와 간격 유지테가 만나는 부위 또는 수평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된 외측 보강테와 간격 유지테가 만나는 부위 또는 지지 플레이트의 간격 유지테가 교차하는 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는 통로용 기둥;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조 내에 통로를 형성하여 저류조의 청소가 용이하면서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류조는 지하에 설치되어 빗물을 저장하여 하천의 범람현상을 방지하거나 지중으로 서서히 침투시켜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저류조는 콘크리트재, 주철재, 플라스틱재가 이용된다.
콘크리트 저류조는 등록특허 제10-0782992호와 같이 네 개의 사각 기둥이 저면판과 상면판의 모퉁이에 각각 직립으로 구비되어 네 개의 개방면이 형성된 형태의 콘크리트 블럭을 적층하고, 서로를 결속시켜 지하 빗물저류조를 구성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콘크리트 저류조는 콘크리트의 독성으로 인한 유해성을 해소하기 위해 저류조를 제작할 때 규산염 광물 분말을 혼화재로 첨가하였으나 콘크리트에 의한 독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오랫동안 머물러 독성의 농도가 높아지며 이를 지하로 침투시키거나 하천으로 방류하게 되면 지하수 오염과 하천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콘크리트의 유해성을 극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침전물을 정기적으로 제거하는 청소작업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콘크리트 블럭이 소형이므로 작업자가 저류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하여 청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주철 저류조는 등록특허 제10-0813995호와 같이 다수의 주철 판넬과, 주철 판넬의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각 주철판넬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조인트로 구성된다. 이러한 주철 저류조는 금속 소재로 제조됨에 따라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여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원자재인 주철이 고가인 관계로 시공비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 저류조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판체의 중앙부 또는 양 각부에 소정 높이의 지지기둥을 형성한 저류블럭을 구비하여 터파기 된 저류조 설치면에 포설한 후 그 위에 지지기둥이 상/하 교합되는 구조로 보수층으로 적층 구성하고, 그 상부를 복토하여 완성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저류조는 원자재인 플라스틱 가격이 저렴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견고한 빗물 저류조를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하중에 충분히 견디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블럭 사이의 공간이 협소할 수밖에 없어 작업자의 통행로 확보가 사실상 어려워 저류조 하부에 침전물이 쌓이게 되면 이를 청소할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혼합형 빗물 저류조가 등록특허 제10-1030605호로 등록되었는바, 그 구조를 살펴보면, 중앙 또는 양측 대각 면부에 결합홈을 구비한 사각의 수평플레이트와, 일측 하단은 상기 플라스틱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또 다른 플라스틱결합홈에 결합되는 관형상의 지지기둥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조립 블럭 체를 구성하고, 사각의 측벽주철판넬과, 상기 주철판넬을 나란하게 연결하는 직선연결조인트와, 직각으로 연결하는 직각연조인트와, 직선 및 직각연결이면서 상/하로 연결하는 연결조인트와, 측벽주철판넬의 상부에 결합되는 마감주철판넬과, 상기 마감주철판넬과 측벽주철판넬을 연결하는 마감연결조인트로 구성된 주철판넬 조립체를 구성하여, 상기 플라스틱 조립 블럭체를 포설 및 적층하여 빗물저류조를 구성한다. 이러한 혼합형 빗물 저류조는 바닥부에 유지관리 작업에 편리한 동선으로 상기 주철판넬 조립체를 조립하여 작업자 출입통로를 구성함으로써 청소가 용이토록 하면서 저류조의 시공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나, 주철 저류조에 비해 시공비가 저렴할 뿐 플라스틱 저류조에 비해 여전히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플라스틱 저류조이면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저류시설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플라스틱 소재의 패널과 기둥을 조립하여 저류조를 축조하면서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여 저류조 내부를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는,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를 돌출 형성하면서 외측 보강테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측 보강테를 형성하고, 외측 보강테와 내측 보강테 사이에 간격 유지테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각 결합홈을 형성하며, 중앙에 일면으로 개방된 원형 결합홈을 형성한 사각의 수평 플레이트;
양단을 수평 플레이트의 원형 결합홈에 삽입시켜 상하부에 수평 플레이트가 마주보도록 조립하는 수직의 메인 기둥;
상기 상하부에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의 사각 결합홈에 양단이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의 측벽 플레이트;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 보강테 간에 간격 유지테를 구비하며, 통로가 형성될 부위의 수평 플레이트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양단에 요홈을 사방으로 형성하여 중첩된 수평 플레이트의 외측 보강테와 간격 유지테가 만나는 부위 또는 수평 플레이트와 지지 플레이트의 중첩된 외측 보강테와 간격 유지테가 만나는 부위 또는 지지 플레이트의 간격 유지테가 교차하는 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는 통로용 기둥;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플레이트의 간격 유지테와 지지 플레이트의 간격 유지테는 동일 선상에 나란히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 형태를 이루는 외측 보강테 및 간격 유지테에 통로용 기둥의 요홈이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중앙부에 일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부위에 서로 교차하는 간격 유지테를 구비하여 통로용 기둥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수평 플레이트 두께의 2배로 형성하고, 양면으로 보강테와 간격 유지테를 대칭 형성하여 수평 플레이트가 중첩된 부위의 측면에 1 개로 밀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기둥 또는 통로용 기둥은 두 분할하고, 분할된 면에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삽입되는 돌부와 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시공방법은,
차수시트를 설치하는 제1 단계;
수평 플레이트를 사방으로 밀착시키며 설치하는 제2 단계;
외곽에 위치한 수평 플레이트의 사각 결합홈에 측벽 플레이트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제3 단계;
통로 부분을 제외한 모든 수평 플레이트의 원형 결합홈에 메인 기둥을 설치하는 제4 단계;
통로 부분의 수평 플레이트에 통로용 기둥을 설치하는 제5 단계;
메인 기둥, 측벽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제6 단계;
통로용 기둥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한 층을 축조하는 제7 단계;
제2 단계부터 제7 단계를 설계된 높이까지 반복 시공하고 통로의 최상단에 수평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제8 단계; 및 저류조의 둘레와 상부에 차수시트를 설치하는 제9 단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 있어서, 통로용 기둥을 측벽 플레이트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은 모든 부품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에도 하중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자재비 및 시공비가 매우 저렴하고, 취급이 용이하여 신속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를 도시한 시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플레이트와 메인 기둥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기둥 및 통로용 기둥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편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용 기둥이 측벽 플레이트 보강용으로 설치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플레이트와 메인 기둥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기둥 및 통로용 기둥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편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용 기둥이 측벽 플레이트 보강용으로 설치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를 도시한 시공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플레이트와 메인 기둥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기둥 및 통로용 기둥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편의 조립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용 기둥이 측벽 플레이트 보강용으로 설치된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는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11)를 돌출 형성하면서 외측 보강테(1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측 보강테(12)를 형성하고, 외측 보강테(11)와 내측 보강테(12) 사이에 간격 유지테(13)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각 결합홈(14)을 형성하며, 중앙에 일면으로 개방된 원형 결합홈(15)을 형성한 사각의 수평 플레이트(10); 양단을 수평 플레이트(10)의 원형 결합홈(15)에 삽입시켜 상하부에 수평 플레이트(10)가 마주보도록 조립하는 수직의 메인 기둥(20); 상기 상하부에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10)의 사각 결합홈(14)에 양단이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의 측벽 플레이트(30);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41)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 보강테(41) 간에 간격 유지테(42)를 구비하며, 통로가 형성될 부위의 수평 플레이트(10)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40); 및 양단에 요홈(51)을 사방으로 형성하여 중첩된 수평 플레이트(10)의 외측 보강테(11)와 간격 유지테(13)가 만나는 부위 또는 수평 플레이트(10)와 지지 플레이트(40)의 중첩된 외측 보강테(11)(41)와 간격 유지테(13)(42)가 만나는 부위 또는 지지 플레이트(40)의 간격 유지테(42)가 교차하는 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는 통로용 기둥(50); 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면의 테두리에는 외측 보강테(11)가 돌출 형성되며, 외측 보강테(11)의 내측에는 외측 보강테(11)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내측 보강테(12)가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보강테(11)와 내측 보강테(12) 사이에는 다수의 간격 유지테(13)를 형성하되, 간격 유지테(13)는 외측 보강테(11) 및 내측 보강테(12)와 직교하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외측 보강테(11), 내측 보강테(12), 간격 유지테(13)는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다수의 사각 결합홈(14)이 형성된다. 사각 결합홈(14)에는 홈부(18)가 관통 형성되어 후술되는 마감 플레이트(60) 또는 측벽 플레이트(30)가 결합된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일면으로 개방된 원형 결합홈(15)이 형성되는데, 원형 결합홈(1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이중 원형테(15a)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원형 결합홈(15)을 중심으로 방사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보강살(15b)을 구성하여 보강살(15b) 빗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15c)을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 플레이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에 함몰된 연결홈(16)을 형성한다. 즉, 각 변의 중앙부와 코너에 형성하면서 각 연결홈(16)에는 하나 이상의 스냅공(16')을 형성한다. 이러한 연결홈(16)은 두 개의 수평 플레이트(10)가 서로 밀착되면 동일한 위치에 서로 연통되며, 판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연결편(17)을 연결홈(16)에 삽입하여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편(17)은 연결홈(16)의 스냅공(16')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후크(17')를 돌출 형성하여 끼워맞춤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양 수평 플레이트(10)를 일체화한다. 상기 후크(17')는 선단이 확장된 경사면을 형성하여 강제 삽입 시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후퇴하였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며 걸림된다.
상기 메인 기둥(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조의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물로써, 수평 플레이트(10)와 동일한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한다. 메인 기둥(20)은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수평 플레이트(20)의 원형 결합홈(15)에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메인 기둥(20)은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마주보는 수평 플레이트(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양단이 수평 플레이트(10)의 원형 결합홈(15)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10)의 원형 결합홈(1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 방지턱(15d)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 기둥(20)의 양단에는 회전 방지턱(15d)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회전 방지홈(21)을 형성하여 끼워 맞춤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측벽 플레이트(30)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수평 플레이트(10)의 간격 유지테(13)에 대응되는 조립홈(31)이 다수 형성되어 상하 마주보는 수평 플레이트(10)의 사각 결합홈(15)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때, 조립홈(31) 사이로 간격 유지테(13)이 끼워지며 결합된다. 또한, 측벽 플레이트(30)의 상하면에는 수평 플레이트(10)의 홈부(18)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부(62)가 돌출 형성되어 이중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측벽 플레이트(30)는 축조된 저류조의 외곽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는 플라스틱 소재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사각 바 형태로 형성되며 수평 플레이트(10)의 길이에 해당하는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40)는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41)가 돌출 형성되고 외측 보강테(41) 간에 간격 유지테(43)가 다수 형성된다. 수평 플레이트(10)의 간격 유지테(13)와 지지 플레이트(40)의 간격 유지테(43)는 동일 선상에 나란히 위치하도록 설계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수평 플레이트(10)의 일측에 지지 플레이트(40) 밀착 시 외측 보강테(11)(41)와 간격 유지테(13)(43)는 '+' 모양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는 중앙부에 일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부(42)를 형성하고, 이 부위에 서로 직교하는 간격 유지테(43)를 구비하여 통로용 기둥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설치되는 통로용 기둥(50)은 통로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통로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0)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통로용 기둥(50)은 플라스틱 소재로써,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요홈(51)을 사방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통로용 기둥(50)은 수평 플레이트(10)와 지지 플레이트(40)가 밀착됨으로써 형성되는 '+' 모양의 간격 유지테(13)(43)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러한 통로용 기둥(50)은 통로뿐만 아니라 통로가 아닌 수평 프레임(10)이 중첩되는 부분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의 두께는 수평 플레이트(10) 두께의 2배로 형성하고, 상하면으로 보강테(41)와 간격 유지테(43)를 대칭 형성하여 수평 플레이트(10)가 상하 중첩된 부위의 측면에 1 개로 밀착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기둥(20) 또는 통로용 기둥(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분할하고, 한쪽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면서 분할된 면에 서로 끼워맞춤에 의해 삽입되는 돌부(22)(52)와 홈부(23)(53)를 형성하여 끼워맞춤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금형의 사이즈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하며, 많은 양을 서로 포개어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통로용 기둥이 측벽 플레이트 보강용으로 설치된 상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플레이트(10)의 보강살(15b)에 이탈 방지턱(19)을 형성하여 내측 보강테(12)와 이탈 방지턱(19) 사이의 보강살(15b)에 통로용 기둥(5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에 설치되는 측벽 플레이트(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측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측벽 플레이트(30)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통로용 기둥(50)에 의해 측면 하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최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0)의 상단에 마감 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 마감 플레이트(60)는 수평 플레이트(10)와 동일한 사이즈의 수평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투수공(61)이 관통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저면에 수평 플레이트(10)의 홈부(18)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부(62)를 다수 형성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의 시공방법은, 차수시트를 설치하는 제1 단계(ST100); 수평 플레이트(10)를 사방으로 밀착시키며 설치하는 제2 단계(ST200); 외곽에 위치한 수평 플레이트(10)의 사각 결합홈(14)에 측벽 플레이트(30)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제3 단계(ST300); 통로 부분을 제외한 모든 수평 플레이트(10)의 원형 결합홈(15)에 메인 기둥(20)을 설치하는 제4 단계(ST400); 통로 부분의 수평 플레이트(10)에 통로용 기둥(50)을 설치하는 제5 단계(ST500); 메인 기둥(20), 측벽 플레이트(30) 상부에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하는 제6 단계(ST600); 통로용 기둥(50)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40)를 설치하여 한 층을 축조하는 제7 단계(ST700); 제2 단계(ST200)부터 제7 단계(ST700)를 설계된 높이까지 반복 시공하고 통로의 최상단에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하는 제8 단계(ST800); 저류조 둘레와 상면에 차수시트를 설치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단계는 차수시트를 설치하는 단계(ST100)이다.
먼저, 저류조가 설치될 공간에 터파기를 하여 바닥을 다진 후 다져진 바닥에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차수시트를 설치한다. 차수시트의 상부와 하부에 보호시트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차수시트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저류조 내로 저장된 빗물을 조금씩 투수시켜 주변으로 배수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단계는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하는 단계(ST100)이다.
차수시트가 설치된 바닥 위에 수평 플레이트(10)를 코너부터 사방으로 연속 밀착시키며 설치한다. 여기서, 수평 플레이트(10)의 원형 결합홈(15)이 상부를 향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연결편(17)을 이용하여 근접한 플레이트(10)끼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수평 플레이트(10)를 밀착시키면 연결홈(16)이 서로 일치되고, 일치된 연결홈(16)에 연결편(17)을 삽입하면, 연결편(17)의 후크(17')가 스냅공(16')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연결편(17) 조립은 생략될 수 있다.
제3 단계는 측벽 플레이트(30)를 설치하는 단계(ST300)이다.
바닥에 수평 플레이트(10)가 설치되면 측벽 플레이트(3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외곽에 위치한 수평 플레이트(10)의 사각 결합홈(14)에 하단을 끼워 조립한다. 이때, 측벽 플레이트(30)의 조립홈(31)에 수평 플레이트(10)의 간격 유지테(13)가 끼워지며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조립된 측벽 플레이트(30)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4 단계는 메인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ST400)이다.
각 수평 플레이트(10)의 원형 결합홈(15)에 메인 기둥(20)의 일단을 삽입하여 조립한다. 여기서 메인 기둥(20)의 회전 방지 홈(21)에 회전 방지턱(15d)이 끼워지면서 조립됨으로써 메인 기둥(20)은 흔들림 및 회전 없이 조립된다. 단, 통로가 형성될 부분의 수평 플레이트(10)에는 메인 기둥(20)을 설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 완료 후 이 곳을 통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제5 단계는 통로용 기둥을 설치하는 단계(ST500)이다.
통로 부분의 양측, 즉, 메인 기둥(20)이 설치되지 않는 수평 플레이트(10)에 통로용 기둥(50)을 설치한다. 통로에 설치된 수평 플레이트(10)와 그 일측에 밀착된 수평 플레이트(10)가 밀착되어 중첩된 외측 보강테(11)에 통로용 기둥(50)을 설치하되 간격 유지테(13)가 있는 부위에 통로용 기둥(50)을 설치한다. 이때, 사방에 형성된 통로용 기둥(50)의 각 요홈(51)에 중첩된 외측 보강테(11)와 간격 유지테(13)가 각각 끼워지면서 통로용 기둥(5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설치된 통로용 기둥(50)은 양 수평 플레이트(10)에 각각 절반씩 걸쳐져 설치되며 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통로를 따라 통로용 기둥(50)을 다수 설치한다. 그리고 수평 플레이트(10)의 테두리 중앙에 위치한 통로용 기둥(50)은 통로에 위치한 수평 플레이트(10)의 내측 보강테(12)와 간격 유지테(13)가 교차하는 부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통로용 기둥(50)은 통로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통로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수평 플레이트(10)를 더욱 안정되게 받쳐준다.
아울러 상기 통로용 기둥(50)을 측벽 플레이트(30) 내측에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즉, 측벽 플레이트(30) 내측에 위치한 내측 보강테(12)와 이탈 방지턱(19) 사이의 보강살(15b)에 통로용 기둥(5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통로용 기둥(50)에 의해 측방향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측벽 플레이트(30)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단계는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하는 단계(ST600)이다.
메인 기둥(20)의 상부에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하되, 원형 결합홈(15)이 하부를 향하도록 하고 하부에 설치된 수평 플레이트(10)와 대칭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원형 결합홈(15)에 메인 기둥(20)의 상단이 삽입되고, 서로 밀착되는 수평 플레이트(10)의 연결홈(16)에 연결편(17)을 끼워 스냅공(16')에 후크(17')가 삽입됨으로써 밀착된 수평 플레이트(10) 간 연결되도록 한다. 외곽에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0)는 메인 기둥(20)에 끼워짐은 물론 수직으로 설치된 측벽 플레이트(30)의 상단이 사각 결합홈(14)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여기서 통로 부위에는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하지 않는다. 이는 한 층의 높이가 낮아 작업자는 허리를 숙여야 하므로 수평 플레이트(10)의 설치를 생략함으로써 편안하게 서서 작업할 수 있다. 수평 플레이트(10)의 생략은 한 층이나 두 층 정도만 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여기서 통로 부위에는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하지 않는다. 이는 한 층의 높이가 낮아 작업자는 허리를 숙여야 하므로 수평 플레이트(10)의 설치를 생략함으로써 편안하게 서서 작업할 수 있다. 수평 플레이트(10)의 생략은 한 층이나 두 층 정도만 하여 안정성을 확보한다.
제7 단계는 지지 플레이트(40)를 설치하는 단계(ST700)이다.
지지 플레이트(40)는 수평 플레이트(10)가 생략된 통로에만 설치된다. 즉, 통로용 기둥(50)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40)를 설치하되 수평 플레이트(10)의 측면에 밀착시켜 설치한다. 그러면, 통로용 기둥(50) 상부에 형성된 요홈(51)으로 지지 플레이트(40)의 외측 보강테(41)와 간격 유지테(43)가 끼워지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수평 플레이트(10)의 중앙에 위치한 통로용 기둥(50)은 통로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40)의 직교하는 간격 유지테(43)에 요홈(51)이 끼워지며 설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통로에 지지 플레이트(40)를 설치하여 최저층의 시공을 완료한다.
지지 플레이트(40)는 수평 플레이트(10)가 생략된 통로에만 설치된다. 즉, 통로용 기둥(50) 상부에 지지 플레이트(40)를 설치하되 수평 플레이트(10)의 측면에 밀착시켜 설치한다. 그러면, 통로용 기둥(50) 상부에 형성된 요홈(51)으로 지지 플레이트(40)의 외측 보강테(41)와 간격 유지테(43)가 끼워지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수평 플레이트(10)의 중앙에 위치한 통로용 기둥(50)은 통로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40)의 직교하는 간격 유지테(43)에 요홈(51)이 끼워지며 설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통로에 지지 플레이트(40)를 설치하여 최저층의 시공을 완료한다.
삭제
삭제
제8 단계는 제2 단계(ST200)부터 제7 단계(St700)를 반복 시공하는 단계(ST800)이다.
즉, 수평 플레이트(10), 측벽 플레이트(40), 메인 기둥(20), 통로용 기둥(50), 지지 플레이트(40)를 설계된 높이까지 반복 시공한다. 여기서 통로의 최상단에는 지지 플레이트(40) 대신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한다. 통로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0)는 다수의 통로용 기둥(50)의 상단 요홈(51)에 외측 보강테(11) 및 간격 유지테(13)가 끼워지며 조립이 이루어진다. 통로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0) 중 어느 하나는 커다란 홀을 형성하여 이곳을 통해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즉, 수평 플레이트(10), 측벽 플레이트(40), 메인 기둥(20), 통로용 기둥(50), 지지 플레이트(40)를 설계된 높이까지 반복 시공한다. 여기서 통로의 최상단에는 지지 플레이트(40) 대신 수평 플레이트(10)를 설치한다. 통로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0)는 다수의 통로용 기둥(50)의 상단 요홈(51)에 외측 보강테(11) 및 간격 유지테(13)가 끼워지며 조립이 이루어진다. 통로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수평 플레이트(10) 중 어느 하나는 커다란 홀을 형성하여 이곳을 통해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제9 단계는 차수시트를 설치하는 단계(ST900)이다.
마지막으로 축조된 저류조 둘레와 상면에 차수시트를 설치하되, 출입구는 제외하고 설치하여 시공을 마감한다.
10 : 수평 플레이트 11, 41 : 외측 보강테 12 : 내측 보강테
13, 43 : 간격 유지테 14 : 사각 결합홈 15 : 원형 결합홈
16 : 연결홈 17 : 연결편 19 : 이탈 방지턱
20 : 메인 기둥 21 : 회전 방지홈 22, 52 : 돌부
23, 53 : 홈부 30 : 측벽 플레이트 31 : 조립홈
40 : 지지 플레이트 50 : 통로용 기둥 60 : 마감 플레이트
13, 43 : 간격 유지테 14 : 사각 결합홈 15 : 원형 결합홈
16 : 연결홈 17 : 연결편 19 : 이탈 방지턱
20 : 메인 기둥 21 : 회전 방지홈 22, 52 : 돌부
23, 53 : 홈부 30 : 측벽 플레이트 31 : 조립홈
40 : 지지 플레이트 50 : 통로용 기둥 60 : 마감 플레이트
Claims (5)
-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11)를 돌출 형성하면서 외측 보강테(1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측 보강테(12)를 형성하고, 외측 보강테(11)와 내측 보강테(12) 사이에 간격 유지테(13)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각 결합홈(14)을 형성하며, 중앙에 일면으로 개방된 원형 결합홈(15)을 형성한 사각의 수평 플레이트(10);
양단을 수평 플레이트(10)의 원형 결합홈(15)에 삽입시켜 상하부에 수평 플레이트(10)가 마주보도록 조립하는 수직의 메인 기둥(20);
상기 상하부에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10)의 사각 결합홈(14)에 양단이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사각의 측벽 플레이트(30);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테두리에 외측 보강테(41)가 돌출 형성되면서 외측 보강테(41) 간에 간격 유지테(43)를 구비하며, 통로가 형성될 부위의 수평 플레이트(10)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40); 및
양단에 요홈(51)을 사방으로 형성하여 중첩된 수평 플레이트(10)의 외측 보강테(11)와 간격 유지테(13)가 만나는 부위 또는 수평 플레이트(10)와 지지 플레이트(40)의 중첩된 외측 보강테(11)(41)와 간격 유지테(13)(43)가 만나는 부위 또는 지지 플레이트(40)의 간격 유지테(43)가 교차하는 부위에 끼워져 결합되는 통로용 기둥(50);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10)의 간격 유지테(13)와 지지 플레이트(40)의 간격 유지테(43)는 동일 선상에 나란히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 형태를 이루는 외측 보강테(11)(41) 및 간격 유지테(13)(43)에 통로용 기둥(50)의 요홈(51)이 끼워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는 중앙부에 일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부(42)를 형성하고, 이 부위에 서로 교차하는 간격 유지테(43)를 구비하여 통로용 기둥(50)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40)는 수평 플레이트(10) 두께의 2배로 형성하고, 양면으로 보강테(41)와 간격 유지테(43)를 대칭 형성하여 수평 플레이트(10)가 중첩된 부위의 측면에 1개로 밀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646A KR102110404B1 (ko) | 2020-02-11 | 2020-02-11 |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6646A KR102110404B1 (ko) | 2020-02-11 | 2020-02-11 |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0404B1 true KR102110404B1 (ko) | 2020-05-13 |
Family
ID=7073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6646A KR102110404B1 (ko) | 2020-02-11 | 2020-02-11 |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040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2344A (ko) * | 2021-02-26 | 2022-09-02 |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
KR102597050B1 (ko) | 2022-12-06 | 2023-11-01 | (주)한국수안 | 빗물 저류 및 침투 시스템 |
KR102606021B1 (ko) * | 2023-03-02 | 2023-11-24 | (주)한국수안 | 금속재 유지관리 통로를 구비한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BE1031050B1 (nl) * | 2022-11-21 | 2024-06-17 | Ecobeton Water Tech Nv | Kit voor een infiltratiesyste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992B1 (ko) | 2006-08-09 | 2007-12-07 | 유성콘크리트(주) | 저독성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
KR100813995B1 (ko) | 2007-08-31 | 2008-03-14 | (주)일산금속 |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
KR101030605B1 (ko) | 2010-05-25 | 2011-04-20 | (주)일산금속 | 혼합형 빗물 저류조 |
KR20120063942A (ko) * | 2010-12-08 | 2012-06-18 |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
KR101238199B1 (ko) * | 2011-08-12 | 2013-02-28 | (주) 엘아이디 솔루션 | 은나노 처리된 하이브리드 보강구조의 빗물침투·저류조 |
-
2020
- 2020-02-11 KR KR1020200016646A patent/KR1021104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2992B1 (ko) | 2006-08-09 | 2007-12-07 | 유성콘크리트(주) | 저독성 콘크리트 빗물 저류조 |
KR100813995B1 (ko) | 2007-08-31 | 2008-03-14 | (주)일산금속 |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
KR101030605B1 (ko) | 2010-05-25 | 2011-04-20 | (주)일산금속 | 혼합형 빗물 저류조 |
KR20120063942A (ko) * | 2010-12-08 | 2012-06-18 |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
KR101238199B1 (ko) * | 2011-08-12 | 2013-02-28 | (주) 엘아이디 솔루션 | 은나노 처리된 하이브리드 보강구조의 빗물침투·저류조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2344A (ko) * | 2021-02-26 | 2022-09-02 |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
KR102571761B1 (ko) * | 2021-02-26 | 2023-08-29 |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
BE1031050B1 (nl) * | 2022-11-21 | 2024-06-17 | Ecobeton Water Tech Nv | Kit voor een infiltratiesysteem |
KR102597050B1 (ko) | 2022-12-06 | 2023-11-01 | (주)한국수안 | 빗물 저류 및 침투 시스템 |
KR102606021B1 (ko) * | 2023-03-02 | 2023-11-24 | (주)한국수안 | 금속재 유지관리 통로를 구비한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10404B1 (ko) |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
JP4444366B1 (ja) | 水貯留施設、水貯留施設の施工方法、水貯留施設の水平方向耐荷重向上方法および骨格ブロックの水平方向ずれ防止方法 | |
KR100952605B1 (ko) | 우수 저류조 | |
KR100582121B1 (ko) | 우수저류조 | |
KR100485742B1 (ko) | 우수 저류조 | |
KR101615614B1 (ko) |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 |
US20200248442A1 (en) |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 |
KR100813995B1 (ko) |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 |
JP4877545B2 (ja) |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 |
KR101030605B1 (ko) | 혼합형 빗물 저류조 | |
JP2000192516A (ja) |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材 | |
US20210396011A1 (en) | Permanent form for forming concrete structures | |
KR101013235B1 (ko) | 우수저류조의 제조방법 | |
KR101321992B1 (ko) | 블록식 우수 저류조 | |
KR20120063942A (ko) |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 |
JP4712640B2 (ja) | 雨水等の貯水施設用の樹脂製骨格ブロック及び雨水等の貯水施設 | |
JP5610632B2 (ja) | 雨水貯留施設における点検口の構造 | |
KR101388870B1 (ko) |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 |
KR100290257B1 (ko) |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 |
KR101204036B1 (ko) |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 |
KR20090006315A (ko) | L형 우수저류조 | |
JP2015096680A (ja) | 籠構造物、貯水ユニットおよび貯水槽 | |
KR102571761B1 (ko) |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 |
JP2006169814A (ja) |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 |
JP3793434B2 (ja) | 雨水等の貯留施設及び浸透施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