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942A -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 Google Patents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942A
KR20120063942A KR1020100125127A KR20100125127A KR20120063942A KR 20120063942 A KR20120063942 A KR 20120063942A KR 1020100125127 A KR1020100125127 A KR 1020100125127A KR 20100125127 A KR20100125127 A KR 20100125127A KR 20120063942 A KR20120063942 A KR 20120063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 unit
storage tank
ca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00125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942A/ko
Publication of KR2012006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우수 저류조의 유지 관리를 위한 장비의 통행이 가능토록 하는 통로가 우수 저류조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된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 저류조의 구축을 위해 일정 크기 단위로 성형 제작이 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작은 통공이 관통 형성이 된 사각 형태의 바닥판 상부에 일정 높이를 갖으며 망상의 측벽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복수의 가두리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가두리 저수공간의 안쪽에는 가두리 저수공간의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상부조립홈이 있는 기둥이 형성되며, 가두리 저수공간과 가두리 저수공간 사이에는 일정 폭을 갖는 통로가 형성된 메인 블록; 및 바닥판의 넓이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되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이 된 사각의 판 형태로 기둥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부와 하부의 위치상에는 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커버 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Block unit for constructing rainwater storage tanks}
본 발명은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우수 저류조의 유지 관리를 위한 장비의 통행이 가능토록 하는 통로가 우수 저류조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된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물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대안으로서 도로, 운동장, 공원 등의 지하에는 우천시 빗물을 받아 저수될 수 있도록 우수 저류조가 흔히 설치되고 있다.
내부에 물이 저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우수 저류조는 소정의 용적을 갖는 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우수 저류조는 그 내부에 저수된 물이 정원수 등 용수로 사용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지하수의 고갈 방지를 위해서 서서히 땅속으로 스며들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우수 저류조는 대부분이 지하에 소정 깊이의 구덩이를 만든 후, 그 구덩이 내부에 콘크리트로써 성형이 된 블록을 설치하는 공정을 통해서 구축이 된다. 이때, 우수 저류조의 구축을 위해 성형 제작된 블록의 대부분은 크레인 등 대형의 장비가 사용되어야만 운반 및 설치가 가능할 정도의 크기와 중량을 갖게 된다.
특히, 종래의 콘크리트 블록들을 이용하여 우수 저류조를 구축하게 되는 경우에 우수 저류조 내부의 청소 등 유지 관리를 위한 장비의 통행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청소 등 유지관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988806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009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지하에 매립 설치되는 우수 저류조의 유지 관리를 위한 장비의 통행이 가능토록 하는 통로가 우수 저류조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된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반, 조립 및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이 되더라도 내부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도 붕괴나 파손이 발생이 되지 않고 설치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 저류조의 구축을 위해 일정 크기 단위로 성형 제작이 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작은 통공이 관통 형성이 된 사각 형태의 바닥판 상부에 일정 높이를 갖으며 망상의 측벽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복수의 가두리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가두리 저수공간의 안쪽에는 가두리 저수공간의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상부조립홈이 있는 기둥이 형성되며, 가두리 저수공간과 가두리 저수공간 사이에는 일정 폭을 갖는 통로가 형성된 메인 블록; 및 바닥판의 넓이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되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이 된 사각의 판 형태로 기둥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부와 하부의 위치상에는 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커버 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서 기둥은 가두리 저수공간의 네 코너를 포함한 다수의 위치에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서 메인 블록의 바닥판 상에는 통로가 '-'자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통로의 양쪽에 각각 직사각형의 가두리 저수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서 기둥은 가두리 저수공간의 측벽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더 형성이 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서 기둥은 상호 이웃하게 되는 네 개의 기둥을 네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중심 상에 더 형성이 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서 메인 블록의 바닥판 상에는 통로가 '+'자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자형의 통로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4분면 상에는 정사각형의 가두리 저수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서 커버 블록에 형성된 조립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메인 블록의 바닥판 하면 상에는 조립돌기가 상호 조립되기 위한 바닥조립홈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서 메인 블록 및 커버 블록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 제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의하면 우수 저류조의 유지 관리를 위한 장비의 통행이 가능토록 한 통로가 우수 저류조의 내부에 형성이 됨으로써 우수 저류조의 유지 관리가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의하면 우수 저류조를 구축하기 위한 블록 유닛의 제작, 운반 및 시공이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의하면 우수 저류조의 구축을 위한 메인 블록 및 커버 블록이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 제작이 됨에 따라서 중량이 가볍고 제조단가가 절감이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블록의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블록의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의 조립상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의 구성 및 설치 상태 등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을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대해서는 블록 유닛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되는 메인 블록(200)과 상부에 위치되는 커버 블록(300)이 상호 조립이 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에서 메인 블록(200)의 바닥판(210)은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통공(212)이 관통 형성이 된 사각 형태로 형성이 되고, 바닥판(210)의 상부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복수의 가두리 저수공간(220)이 형성이 된다.
가두리 저수공간(220)의 둘레를 감싸는 측벽(2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상으로 이루어지고, 가두리 저수공간(220)과 가두리 저수공간(220) 사이에는 유지 관리를 위한 장비가 통행이 될 수 있도록 일정 폭의 통로(230)가 형성이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 저수공간(220)의 통로에 접하는 측의 안쪽 측벽 및 통로측 측벽과 대응하는 측의 바깥쪽 측벽은 상호 눈의 크기가 다른 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측 측벽에 대응하는 측의 바깥쪽 측벽은 강도의 보강을 위해서 가로방향, 세로방향 및 경사방향의 빗살이 있는 망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에서 메인 블록(200)의 가두리 저수공간(220)의 안쪽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둥(240)이 가두리 저수공간(2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이 된다. 이 기둥(240)은 가두리 저수공간(220)을 이루는 측벽(222)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커버 블록(300)과의 상호 조립이 가능토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두리 저수공간(220)의 안쪽에 형성되는 기둥(240)은 가두리 저수공간(220)을 이루는 측벽(222)의 네 코너의 위치에 측벽과 일체로 형성이 된다. 또한, 가두리 저수공간(220)의 측벽(222)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이 될 수도 있으며, 상호 이웃하게 되는 네 개의 기둥(240)을 네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중심에도 형성이 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이웃하게 되는 네 개의 기둥(240)을 네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형성되는 기둥의 하부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보강리브(244)들에 의해서 강도가 보강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기둥(240) 상단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깊이를 갖는 상부조립홈(242)이 형성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에서 메인 블록(200)에 형성되는 통로(23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통로(230)가 형성이 될 경우에 가두리 저수공간(220)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게 되고,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으로 통로(230)가 형성이 될 경우에 '+'자형 통로(230)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4분면 상에는 각각 정사각형 형태의 가두리 저수공간(2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에서 커버 블록(300)은 전술한 바닥판(210)의 넓이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되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된 사각의 판 형태로 형성이 된다. 한편, 커버 블록(300)에서 메인 블록(200)의 기둥(240)에 대응하는 위치상에는 조립돌기(310)가 형성이 되는데, 이 조립돌기(310)는 커버 블록(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이 된다.
전술한 커버 블록(300)은 상부와 하부가 상호 뒤바뀐 상태로도 조립이 가능토록 상부와 하부가 상호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커버 블록(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조립돌기(310)가 형성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이 여러 층으로 쌓일 경우에 하부에 위치된 블록 유닛(100)에 대해서 상부에 위치된 블록 유닛(100)이 더욱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된 블록 유닛(100)의 상부에 블록 유닛(100)이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커버 블록(30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조립돌기(310)에 대응하는 메인 블록(200)의 바닥판(210) 하면 상에는 바닥조립홈(214)이 형성이 된다. 이 바닥조립홈(214)은 도 4 에 도시된 메인 블록의 저면도와 같이 살빼기 형태로 형성이 된다. 이 과정에서 바닥조립홈(214)은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을 구성하는 메인 블록(200) 및 커버 블록(300)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 제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에 비하여 제작, 운반 및 시공 측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100)을 이용하여 우수 저류조를 구축하는 기본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로, 운동장 또는 공원의 지하에 우수 저류조를 구축하기 위해서 소정의 깊이로 땅을 파는 굴착공사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굴착공사에 의해 형성된 구덩이의 내부에는 차수막이나 부직포 등의 투수성 막이 설치가 된다.
그리고 차수막 또는 투수성막의 안쪽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된 메인 블록(200) 및 커버 블록(300)을 질서정연하게 차례로 조립 설치하게 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메인 블록(200)에 형성된 통로(230)끼리는 상호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이후, 마무리 공사가 이루어짐으로써 도로, 운동장 또는 공원의 지하에는 우수 저류조가 구축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완공이 된 우수 저류조의 내부에는 우천시 도로, 운동장 또는 공원의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유입이 된다. 이 과정에서 별도로 설치된 여과장치에 의해서 낙엽 등 비점오염물질의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 저류조에 저수된 우수는 필요에 따라서 정원수 등 용수로 사용이 될 수도 있으며, 땅속으로 서서히 스며들어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록 유닛(100)에 의해서 구축된 우수 저류조의 내부를 청소하게 되는 등 유지 관리를 위한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블록(200)에 마련된 통로(230)를 통해서 유지 관리를 위한 장비의 통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가 있다.
100.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200. 메인 블록
210. 바닥판 212. 통공
214. 바닥조립홈 220. 가두리 저수공간
230. 통로 240. 기둥
242. 상부조립홈 244. 보강리브
300. 커버 블록 310. 조립돌기

Claims (8)

  1. 지하에 매설되어 유입되는 우수가 저수될 수 있도록 하는 우수 저류조의 구축을 위해 일정 크기 단위로 성형 제작이 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작은 통공이 관통 형성이 된 사각 형태의 바닥판 상부에 일정 높이를 갖으며 망상의 측벽에 의해 사방이 둘러싸인 복수의 가두리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두리 저수공간의 안쪽에는 상기 가두리 저수공간의 높이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으며 상단에는 상부조립홈이 있는 기둥이 형성되며, 상기 가두리 저수공간과 가두리 저수공간 사이에는 일정 폭을 갖는 통로가 형성된 메인 블록; 및
    상기 바닥판의 넓이에 대응하는 넓이를 갖되 상하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이 된 사각의 판 형태로 상기 기둥의 상단에 대응하는 상부와 하부의 위치상에는 상기 기둥과의 결합을 위한 조립돌기가 돌출 형성된 커버 블록;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가두리 저수공간의 네 코너를 포함한 다수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바닥판 상에는 통로가 '-'자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통로의 양쪽에 각각 직사각형의 가두리 저수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가두리 저수공간의 측벽 안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더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호 이웃하게 되는 네 개의 기둥을 네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중심 상에 더 형성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의 바닥판 상에는 통로가 '+'자형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자형의 통로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4분면 상에는 정사각형의 가두리 저수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블록에 형성된 조립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메인 블록의 바닥판 하면 상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상호 조립되기 위한 바닥조립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 및 커버 블록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 제작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KR1020100125127A 2010-12-08 2010-12-08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KR20120063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127A KR20120063942A (ko) 2010-12-08 2010-12-08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5127A KR20120063942A (ko) 2010-12-08 2010-12-08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942A true KR20120063942A (ko) 2012-06-18

Family

ID=4668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5127A KR20120063942A (ko) 2010-12-08 2010-12-08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94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997B1 (ko) * 2013-04-24 2015-02-25 주식회사 태명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CN105649137A (zh) * 2015-11-25 2016-06-08 长沙建益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效组合式雨水收集模块及其预埋施工方法
CN105672456A (zh) * 2016-01-29 2016-06-15 株式会社智承开发 篦子悬挂型简易雨水过滤装置
KR101866751B1 (ko) * 2017-01-18 2018-06-18 주식회사 이도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KR102110404B1 (ko) * 2020-02-11 2020-05-13 (주)한국수안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WO2023130095A1 (en) * 2021-12-30 2023-07-06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Stormwater box with truss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997B1 (ko) * 2013-04-24 2015-02-25 주식회사 태명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CN105649137A (zh) * 2015-11-25 2016-06-08 长沙建益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效组合式雨水收集模块及其预埋施工方法
CN105649137B (zh) * 2015-11-25 2018-08-28 长沙建益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效组合式雨水收集模块及其预埋施工方法
CN105672456A (zh) * 2016-01-29 2016-06-15 株式会社智承开发 篦子悬挂型简易雨水过滤装置
KR101866751B1 (ko) * 2017-01-18 2018-06-18 주식회사 이도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KR102110404B1 (ko) * 2020-02-11 2020-05-13 (주)한국수안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WO2023130095A1 (en) * 2021-12-30 2023-07-06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Stormwater box with tru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584B1 (ko) 배수 탱크 또는 채널의 모듈
TWI542758B (zh) 用於管理地表面下方水流之模組及總成
KR20120063942A (ko)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KR101147512B1 (ko) 평면부지의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 그 저류시설에 이용되는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용 저류 블록 및 배수 블록
KR100839566B1 (ko)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KR102110404B1 (ko) 통로를 구비한 조립형 플라스틱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JP4459865B2 (ja) 雨水貯留槽
JP4509848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及びこれらの施設に使用する点検用充填体
JP2015224450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1935100B1 (ko) 지하수의 저류조 유입을 위한 저수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101204036B1 (ko) 부재조립형 pc 빗물저류조
JP5366259B2 (ja) 雨水貯留施設
JP3793434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及び浸透施設
JP3867960B2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体に取り付ける土砂浸入防止板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200616981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JP2016079603A (ja) 雨水貯留槽
JP2006342519A (ja) 雨水貯留槽および雨水貯留槽底部材
KR101167980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상판 구조
JP2010127052A (ja) 浸透側溝構造体
KR101099777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KR101070356B1 (ko) 조립식 저수조
JP2009013757A (ja) 水貯留槽用の構造部材
KR20160080135A (ko) 다기능 보도블럭 하부구조체 및 그를 사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