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751B1 -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751B1
KR101866751B1 KR1020170008574A KR20170008574A KR101866751B1 KR 101866751 B1 KR101866751 B1 KR 101866751B1 KR 1020170008574 A KR1020170008574 A KR 1020170008574A KR 20170008574 A KR20170008574 A KR 20170008574A KR 101866751 B1 KR101866751 B1 KR 101866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ock
plate
support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주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17000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땅을 굴삭한 다음, 굴삭된 부위에 제1블록, 제2블록, 측벽블록, 차단블록, 제1연결블록 및 제2연결블록을 조립하여 저류장치를 구축하거나, 구축된 저류장치의 블록들을 분해하면 저류장치가 제거된다. 그러므로, 단시간에 저류장치를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저류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저류장치의 블록들을 분해한 다음,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HYBRID EARTH AND SAND CONTROL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土砂)가 배수시설 또는 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 흐르는 빗물에는 많은 양의 토사(土砂)가 빗물과 함께 흐른다. 그러면, 빗물과 함께 토사가 배수시설 또는 수처리시설로 유입되므로, 토사로 인하여 배수시설 또는 수처리시설이 손상될 수 있다.
종래에는, 토사가 배수시설 또는 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빗물이 흐르는 부위의 땅을 굴삭한 다음, 굴삭된 땅의 부위에 콘크리트로 저류장치를 구축하여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를 침강시켜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류장치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므로, 저류장치를 구축 및 제거하는데 장시간 소용되고, 재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저류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6226호(2011년 09월 28일)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수지제로 블록을 형성한 다음, 블록을 조립하여 저류장치를 형성함으로써, 단시간에 구축 및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굴삭(堀削)된 부위에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를 침강시켜 제거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에 있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부측 및 타측 모서리부측에, 자신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결합공이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결합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지지판의 일측 모서리부 및 타측 모서리부에, 상기 제1지지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결합기둥이 돌출 형성된 제1블록; 상기 제1지지판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부측 및 타측 모서리부측에 상기 제1결합기둥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지지판과 상기 제2결합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2지지판의 일측 모서리부 및 타측 모서리부에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기둥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블록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블록을 포함하며, 상호 결합된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은 복수개의 행(行)과 복수개의 열(列)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의 일측면으로 빗물과 함께 토사가 유입되고, 타측면측으로 흘러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땅을 굴삭한 다음, 굴삭된 부위에 제1블록, 제2블록, 측벽블록, 차단블록, 제1연결블록 및 제2연결블록을 조립하여 저류장치를 구축하거나, 구축된 저류장치의 블록들을 분해하면 저류장치가 제거된다. 그러므로, 단시간에 저류장치를 구축할 수 있고, 구축된 저류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저류장치의 블록들을 분해한 다음,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블록, 제2블록 및 차단블록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측벽블록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연결블록 및 제2연결블록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의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빗물이 흐르는 유로측에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土砂)를 침강시켜, 토사가 배수시설 또는 수처리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땅을 굴삭(堀削)한 후, 굴삭(堀削)된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땅의 굴삭된 부위는 저류지(貯溜池)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제1블록(110), 제2블록(120), 측벽블록(130), 차단블록(140), 제1연결블록(150) 및 제2연결블록(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록(110) 및 제2블록(12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블록, 제2블록 및 차단블록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록(110)은 제1지지판(111)과 제1결합기둥(115)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블록(120)은 제2지지판(121)과 제2결합기둥(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록(110)의 제1지지판(111)은 정사각 또는 직사각 등과 같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빗물 또는 토사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1통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판(111)의 일측 모서리부측 및 타측 모서리부측에는 제1결합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공(113)은 제1지지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기둥(115)은 제1결합공(113)이 형성되지 않은 제1지지판(111)의 일측 모서리부 및 타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지지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결합기둥(115)은 상하면이 개방된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기둥(115)은 상측에 위치되는 제2블록(120)의 제2지지판(121)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블록(120)의 제2지지판(121)은 제1지지판(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빗물 또는 토사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2통공(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판(121)의 일측 모서리부측 및 타측 모서리부측에는 제1결합기둥(115)이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공(123)은 제2지지판(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기둥(125)은 제2결합공(123)이 형성되지 않은 제2지지판(121)의 일측 모서리부 및 타측 모서리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지지판(1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공(113)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2결합기둥(125)은 상하면이 개방된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기둥(125)은 하측에 위치되는 제1블록(110)의 제1지지판(111)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기둥(115)은 제2결합공(123)에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기둥(125)은 제1결합공(113)에 삽입 결합되므로,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은 상호 결합된다. 이때, 상호 결합된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은 복수개의 행(行)과 복수개의 열(列)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의 일측면 상측 부위로 빗물과 함께 토사가 유입되고, 타측면으로 흘러서 배출된다. 이때, 상호 결합된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의 일측면 상측 부위로 유입된 빗물과 토사는 상호 결합된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의 타측면측으로 흐른다. 그런데, 상호 결합된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의 타측면측으로 흐르는 빗물은 제1결합기둥(115) 및 제2결합기둥(115)에 부딪혀 유속이 저감되므로,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는 침강되어 제거된다.
측벽블록(130)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측벽블록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블록(130)은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20)의 테두리면에 결합되어,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20)이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벽블록(13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의 외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측판(131)과 연결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측판(131)에는 빗물 또는 토사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3통공(1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20)의 테두리면을 따라 복수개가 상호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측판(131)의 양측면에는 결합로(131a)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판(131)은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120)의 전체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연결부재(135)는 상호 인접하는 측판(131)을 연결 결합할 수 있다. 즉, 상호 인접하는 측판(131) 중에서, 연결부재(135)의 일측은 어느 하나의 측판(131)의 결합로(131a)에 삽입 결합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측판(131)의 결합로(131a)에 삽입 결합되어 상호 인접하는 측판(131)을 연결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재(135)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의 침강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 사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블록(140)이 설치될 수 있다. 차단블록(140)은 빗물이 흐르는 방향과 수직으로 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빗물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빗물 또는 토사가 통과하는 제4통공(141a, 145a)이 각각 형성된 받침판(141)과 차단판(145)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판(141)은 빗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는 제1지지판(1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빗물 또는 토사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4통공(14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판(145)은 받침판(141)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빗물 또는 토사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4통공(145a)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판(145)에 의하여 유속이 더욱 저감되므로,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는 더욱 더 침강되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제1결합기둥(115)과 제2결합기둥(125)에 의하여 유속이 저감되고, 차단블록(140)에 의하여 유속이 저감되는 하이브리드 타입이다.
제1연결블록(150) 및 제2연결블록(160)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1연결블록 및 제2연결블록의 일부 분해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블록(150)은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 중에서, 최외곽에 위치된 제2블록(120)의 제2지지판(1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최외곽에 위치된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제2지지판(121)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1연결블록(150)은 제1연결판(151), 제1결합돌기(153) 및 제2결합돌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53)는 제1연결판(151)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결합공(123)에 결합된 제1결합기둥(115)에 상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고, 제2결합돌기(155)는 제1연결판(151)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2결합기둥(125)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기둥(115)은 상측에 위치된 제2지지판(121)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2결합기둥(125)은 하측에 위치된 제1지지판(111)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결합기둥(115)에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153)의 직경은 제2결합기둥(125)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155)의 직경 보다 작음은 당연하다.
제2연결블록(160)은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 중에서, 최외곽의 내측에 위치된 제2지지판(121)의 상면에 결합되어 최외곽의 내측에 위치된 상호 인접하는 4개의 제2지지판(121)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제2연결블록(160)은 제2연결판(161), 한쌍의 제3결합돌기(163) 및 한쌍의 제4결합돌기(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돌기(163)는 제2연결판(16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2연결판(16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제2결합공(123)에 결합된 제1결합기둥(115)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결합돌기(165)는 제3결합돌기(163)가 형성되지 않은 제2연결판(16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2연결판(161)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제2결합기둥(125)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기둥(115)에 상단부에 제3결합돌기(163)가 삽입 결합되고, 제2결합기둥(125)의 상단부에 제4결합돌기(165)가 삽입 결합되므로, 제3결합돌기(163)의 직경이 제4결합돌기(165)의 직경 보다 작음은 당연하다.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110)과 제2블록(120)은 제1연결블록(150)과 제2연결블록(160)에 의하여 상호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블록(150)과 제2연결블록(160)은 제1블록(110)의 제1지지판(111)의 하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는, 땅을 굴삭한 다음, 굴삭된 부위에 제1블록(110), 제2블록(120), 측벽블록(130), 차단블록(140), 제1연결블록(150) 및 제2연결블록(160)을 조립하면 저류장치가 구축되고, 조립 구축된 저류장치의 블록들을 분해하면 저류장치가 제거된다. 그리고, 저류장치의 블록들을 분해한 다음, 재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의 사시도로서,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제1블록(미도시)과 제2블록(120)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빗물은 저류장치의 일측면 상측 부위를 통하여 유입되고, 타측면 하측 부위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20: 제1블록, 제2블록
130: 측벽블록
140: 차단블록
150, 160: 제1연결블록, 제2연결블록

Claims (7)

  1. 굴삭(堀削)된 부위에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흐르는 토사를 침강시켜 제거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에 있어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1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부측 및 타측 모서리부측에, 자신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결합공이 대칭을 이루면서 형성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결합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지지판의 일측 모서리부 및 타측 모서리부에, 상기 제1지지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결합기둥이 돌출 형성된 제1블록;
    상기 제1지지판과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통공이 형성되며, 일측 모서리부측 및 타측 모서리부측에 상기 제1결합기둥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지지판과 상기 제2결합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2지지판의 일측 모서리부 및 타측 모서리부에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 결합되는 제2결합기둥이 형성되어 상기 제1블록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2블록을 포함하며,
    상호 결합된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은 복수개의 행(行)과 복수개의 열(列)을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빗물과 함께 토사는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의 일측면으로 유입되어 타측면측으로 흐르며,
    상기 제2블록들 중, 최외곽에 위치된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2블록은 제1연결블록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2블록들 중, 최외곽의 내측에 위치된 상호 인접하는 4개의 상기 제2블록은 제2연결블록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블록은,
    제1연결판;
    상기 제1연결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최외곽에 위치된 상기 제2지지판의 상기 제2결합공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기둥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
    상기 제1연결판의 타측에 형성되며 최외곽에 위치된 상기 제2지지판의 상기 제2결합기둥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블록은,
    제2연결판;
    상기 제2연결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최외곽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지지판의 상기 제2결합공에 결합된 상기 제1결합기둥에 결합되는 한쌍의 제3결합돌기;
    상기 제3결합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2연결판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며, 최외곽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2결합기둥에 결합되는 한쌍의 제4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의 테두리면에는 복수의 제3통공이 형성되어 외벽을 이루는 측벽블록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블록은,
    중앙부측에 상기 제3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결합로가 각각 형성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된 측판;
    상호 인접하는 상기 측판의 상기 결합로에 일측 및 타측이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호 인접하는 상기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되어 행과 열을 이루는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 사이에는 빗물이 흐르는 방향과 수직으로 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빗물의 유속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제4통공이 형성된 차단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블록은,
    빗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제1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4통공이 형성된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4통공이 형성된 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기둥과 상기 제2결합기둥은 상하면이 개방된 중공체(中空體)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기둥은 상기 제2지지판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결합기둥은 상기 제1지지판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KR1020170008574A 2017-01-18 2017-01-18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KR101866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74A KR101866751B1 (ko) 2017-01-18 2017-01-18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574A KR101866751B1 (ko) 2017-01-18 2017-01-18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751B1 true KR101866751B1 (ko) 2018-06-18

Family

ID=62765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574A KR101866751B1 (ko) 2017-01-18 2017-01-18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0095A1 (en) * 2021-12-30 2023-07-06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Stormwater box with trus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226A (ko) * 2009-07-08 2011-09-28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저수 시설, 저수 시설 시공 방법, 저수 시설의 수평방향 내하중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의 수평방향 어긋남 방지 방법
KR20120063942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KR20160045447A (ko) * 2014-10-17 2016-04-27 박영준 저류블럭 어셈블리
KR20160108257A (ko) * 2016-03-23 2016-09-19 김석문 방파제 단위모듈,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6226A (ko) * 2009-07-08 2011-09-28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저수 시설, 저수 시설 시공 방법, 저수 시설의 수평방향 내하중 향상 방법 및 골격 블록의 수평방향 어긋남 방지 방법
KR20120063942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KR20160045447A (ko) * 2014-10-17 2016-04-27 박영준 저류블럭 어셈블리
KR20160108257A (ko) * 2016-03-23 2016-09-19 김석문 방파제 단위모듈,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0095A1 (en) * 2021-12-30 2023-07-06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Stormwater box with trus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47646T3 (es) Drenaje de ranura.
KR101658065B1 (ko)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JP2011017149A (ja) 水貯留施設、水貯留施設の施工方法、水貯留施設の水平方向耐荷重向上方法および骨格ブロックの水平方向ずれ防止方法
KR101866751B1 (ko)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KR101559751B1 (ko) 거푸집이 필요없는 조립식 옹벽
KR100839671B1 (ko)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JP2009057819A (ja) 鋳鉄製パネルを用いた貯水タンク構造体及びそれを建造する方法
KR100878716B1 (ko) 연결식 축조식생블록
JP3976760B2 (ja)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US20200248442A1 (en)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US7326000B2 (en) Block for embankment
KR19990085113A (ko) 보강토 옹벽축조용 조립식 블록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US20220243447A1 (en) Module for drainag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265582B1 (ko) 배수로 구조물
KR102139448B1 (ko) 블록식 옹벽 구조물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20080001610U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KR101020863B1 (ko) 도심지 초기 우수 처리용 조립식 다변형 옹벽 저류조
JP4488934B2 (ja) 地下水槽充填材
KR200418741Y1 (ko) 휀스 고정구
KR200410821Y1 (ko) 하천바닥 세굴방지용 수중보 설치구조
KR101331599B1 (ko) 조립식 벽체를 이용한 시설물
KR102595221B1 (ko) 건습식 복합형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