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065B1 -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065B1
KR101658065B1 KR1020150164855A KR20150164855A KR101658065B1 KR 101658065 B1 KR101658065 B1 KR 101658065B1 KR 1020150164855 A KR1020150164855 A KR 1020150164855A KR 20150164855 A KR20150164855 A KR 20150164855A KR 101658065 B1 KR101658065 B1 KR 10165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vertical
water pipe
pip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희
윤영민
정건혁
Original Assignee
빌드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드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빌드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하고, 불순물 제거가 용이하며, 배수 능력이 탁월하고,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져서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매립되면서 일부 노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횡 배수관(10)과; 상기 횡 배수관(10)의 하부에 연결수단(20)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종 배수관(30)과; 상기 종 배수관(3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갖추어지면서 상기 횡 배수관(10)으로부터 나오는 물이 종 배수관(30)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하는 여과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횡 배수관(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관통공(11)과, 이 관통공(11)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연장편(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연장편(12)에는 상기 연결수단(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장공(12a)과, 연장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교량의 방호벽(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시 연통되어 횡 배수관(10)과 방호벽(2)간의 결합력을 높이며, 철근을 관통시켜서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한 횡방향력에 대하여 횡배수관(10)이 밀리지 않도록 해주는 복수의 장공(12b)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20)은 횡 배수관(1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앵글부재(21)와, 상기 앵글부재(2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브래킷(22)과, 상기 제 1브래킷(22)과 종 배수관(30)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 2브래킷(2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브래킷(22)은 상부 및 한쪽 측면에 각각 결합홈(22a)(22b)(22c)(22d)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가 연장된 앵커부(22e)가 형성되며, 상기 제 2브래킷(23)의 한쪽 측면에는 종 배수관(3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23a)이 형성되고, 제 2브래킷(23)의 다른쪽 측면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제 1브래킷(22)의 결합홈(22c)(22d)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쌍의 걸이부(23b)가 형성되고, 상기 종 배수관(30)은 절곡된 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바닥부(31)과, 이 바닥면(31)의 양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제 1,2측면부(3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측면부(32)(33)는, 우수(雨水)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깥쪽에 위치한 제 2측면부(33)가 안쪽에 위치한 제 1측면부(3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40)는 수용 공간부(41)가 형성되며, 내부 하부에는 둘레면(44)을 가지도록 하면서 관통공(43)이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for Increasing Drain Capacity}
본 발명은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線排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견고한 설치 상태를 유지하고, 불순물 제거가 용이하며, 배수 능력이 탁월하고,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져서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우수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 설비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 설비는 노면을 빠져나와 배수로를 통해 교량 외부로 배출되는데, 예를 들어 교량의 슬래브에 천공한 홀에 배수관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이러한 천공홀에는 이물질의 막힘이 없어야 원활한 배수가 가능해지는데, 배수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여름철 집중 호우시 침수되어서 통행에 장애를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 덮개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횡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선회관을 이용하여 유속을 증가시켜서 배수 능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지만, 교량 내측에서 오는 이물질에 대해 필터가 마련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종 배수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 배수관이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막힘에 따라 유지보수를 빈번하게 시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1263001호(공고일 : 2013년 05월 09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의 횡배수관이 교량 방호벽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배수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으며, 조립 과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 수단은, 교량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매립되면서 일부 노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횡 배수관과; 상기 횡 배수관(10)의 하부에 연결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종 배수관과; 상기 종 배수관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갖추어지면서 상기 횡 배수관으로부터 나오는 물이 종 배수관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횡 배수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관통공과, 이 관통공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연장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연장편에는 상기 연결수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장공과, 연장편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교량의 방호벽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시 연통되어 횡 배수관과 방호벽간의 결합력을 높이며, 철근을 관통시켜서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한 횡방향력에 대하여 횡배수관이 밀리지 않도록 해주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은 횡 배수관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브래킷과, 상기 제 1브래킷과 종 배수관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 2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브래킷은 상부 및 한쪽 측면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가 연장된 앵커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2브래킷의 한쪽 측면에는 종 배수관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 2브래킷의 다른쪽 측면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제 1브래킷의 결합홈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쌍의 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종 배수관은 절곡된 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바닥부와, 이 바닥면의 양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제 1,2측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측면부는, 우수(雨水)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깥쪽에 위치한 제 2측면부가 안쪽에 위치한 제 1측면부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며, 내부 하부에는 둘레면을 가지도록 하면서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는 "ㄴ"자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수직면과 수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과 수평면에는 각각 횡 배수관과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공과, 상기 제 1브래킷과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홈에는 앵글부재의 수평면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제 1브래킷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에는 여과부재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결합홈에는 제 2브래킷이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체결부재에 의해 제 2브래킷과 종 배수관의 한쪽에 형성된 제 1측면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수용 공간부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은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재안에는 복수의 여과공과, 하나 이상의 자석이 마련되는 여과판이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횡 배수관이 하부에 연장편을 형성하고, 이 연장편에 복수의 장공을 형성하여 철근이 결합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어 교량과의 결속력이 증대되어서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 배수관의 출구측 하부에 여과부재가 마련되어서 횡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빗물 등)에 이물질이 포함되어 배출되더라도 걸러지므로, 종 배수관의 배수공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부재 및 종 배수관이 연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물질 등의 제거시 쉽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시 교량의 직선면 또는 곡선면에 따라 자유자재로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의 횡 배수관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의 횡 배수관의 종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횡 배수관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의 여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의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여과판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따른 여과판을 여과부재안에 비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와 다른 구조의 여과부재안에 여과판을 비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설치상태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배수장치(1)는, 교량의 측면 즉, 방호벽(2)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매립되면서 일부 노출되어 구비되는 횡 배수관(10)과, 상기 횡 배수관(10)의 하부에 연결수단(20)을 통해 연결되는 종 배수관(30)과, 상기 종 배수관(30)의 상부에 갖추어지면서 상기 횡 배수관(10)으로부터 나오는 물이 종 배수관(30)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하는 여과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횡 배수관(10)은 종 배수관(30) 방향으로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관통공(11)과, 상기 관통공(11)의 하부에 횡 배수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는 연장편(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연장편(1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장공(12a)(12b)이 형성되는데, 한쪽 장공(12a)은 결합공으로서 기능을 하고, 다른 장공(12b)은 철근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는 삽입공으로서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배수관(10)은 관통공(11)의 형태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조로서, 횡 배수관(13)의 관통공(14)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다른 구조의 횡 배수관(13)의 관통공(14) 하부에는, 횡 배수관(10)의 연장편(12)과 마찬가지로 연장편(15)과 장공(15a)(15b)이 형성되는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20)은 횡 배수관(1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앵글부재(21)와, 상기 앵글부재(2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브래킷(22)과, 상기 제 1브래킷(22)과 종 배수관(30)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 2브래킷(23)을 포함한다.
상기 앵글부재(21)는 "ㄴ"자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수직면(21a)과 수평면(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21a)과 수평면(21b)에는 각각 횡 배수관(10)과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공(21a-1)과, 상기 제 1브래킷(22)과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공(21b-1)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앵글부재(21)는 앵글부재(21)의 수직면(21a)에 형성된 체결공(21a-1)을 체결부재(24)가 관통,삽입되어서 횡 배수관(10)의 연장편(12)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12a)(12b)중 첫번째 장공(12a)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브래킷(22)은 상부 및 한쪽 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홈(22a)(22b)(22c)(22d)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가 연장된 앵커부(22e)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 1브래킷(22)의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홈(22a)에는 앵글부재(21)의 수평면(21b)과 체결부재(24)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브래킷(22)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b)에는 여과부재(40)와 체결부재(25)를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22b)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홈(22c)(22d)에는 제 2브래킷(23)이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체결부재(26)에 의해 제 2브래킷(23)과 종 배수관(30)의 한에 형성된 제 1측면부(32)에 연결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여과부재(40)의 다른쪽은 종 배수관(30)의 제 2측면부(33)에 체결부재(25)를 통해 결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22e)에는 체결부재(27)를 관통,삽입하여 방호벽(2)의 내부에 매설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브래킷(23)의 한쪽 측면에는 종 배수관(3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23a)이 형성되고, 제 2브래킷(23)의 다른쪽 측면에는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제 1브래킷(22)의 결합홈(22c)(22d)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쌍의 걸이부(23b)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종 배수관(30)은 방호벽(2)의 양쪽 외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데, 한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종 배수관(30)은 절곡된 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바닥부(31)과, 이 바닥면(31)의 양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 1,2측면부(3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측면부(32)(33)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는데, 바깥쪽에 위치한 제 2측면부(33)가 안쪽에 위치한 제 1측면부(32)보다 길게 형성되어서, 예를 들어 우수(雨水)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2측면부(32)(33)에는 각각 체결공(32a)(33a)이 형성되어서 체결부재(25)를 통해 여과부재(40)가 안쪽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24)(25)(26)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고, 체결부재(27)는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40)는 내부 수용 공간부(41)가 형성되도록 사각 박스형태를 가지는데, 내부 바닥은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복수의 여과공(42)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여과판(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여과판(50)은 복수의 여과공(51)이 형성되고, 모서리부에는 하나 이상의 자석(5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여과판(50)의 설치시에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40)의 내부 수용 공간부(41)안에 삽입하여 자석(52)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40)에 복수의 여과공(42)이 형성되지 않고, 하나의 관통공(43)이 형성되게 하고, 관통공(43)의 둘레면(44)에 여과판(50)을 안치하여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호벽(2)에 일부 매립되는 횡 배수관(10)은 하부에 한쌍의 연장편(12)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연장편(12)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장공(12a)(12b)이 형성되어 있어, 방호벽(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시 장공(12b)을 관통하게 타설되고, 더욱이 철근(도시되지 않음)이 관통하여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되어서 횡 배수관(10)은 방호벽(2)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와의 체결면적이 확대되고, 철근이 결합되므로, 더욱 더 결속력이 증대되어서 횡배수관(10)의 설치 위치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횡 배수관(10)의 관통공(11) 출구쪽 하부에는 여과부재(40)가 마련되어 있어, 예를 들어 우천시 횡 배수관(10)을 통해 배수되는 빗물이 여과부재(40)의 수용 공간부(41)안에 유입됨과 동시에,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여과공(42)을 통해 종 배수관(30)으로 떨어져서 교량의 하부 지면으로의 배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물질이 횡 배수관(10)의 관통공(11)을 통해 이동하여 종 배수관(30)으로 유입되려고 하더라도, 여과부재(40)를 반드시 거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여과부재(4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져서 종 배수관(30)으로의 투입이 차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종 배수관(30)의 배수공(도시되지 않음)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재(40)의 내부 수용 공간부(41)에는 별도의 여과판(5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 여과판(50)을 여과부재(40)의 내부에 비치함으로써, 만일 횡 배수관(10)을 통해 우수가 배수되면서 이물질이 함께 동반되어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여과판(50)의 여과공(51)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종 배수관(30)안에 이물질이 쌓여서 배수에 방해되지 않게되며, 여과판(50)의 상면에 쌓인 이물질은 적절한 시점에 여과판(50)을 여과부재(40)의 내부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면 된다.
상기 여과판(50)에 쌓인 이물질의 제거시, 여과판(50)의 모서리부에는 자석(52)이 마련되어 있어, 여과부재(40)의 내부로부터 쉽게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의 여과판(50)을 다시 여과부재(40)안에 삽입하면 자석(52)에 의해 여과부재(40)의 수용 공간부안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교량의 방호벽(2)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우수가 배출되어 지면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종 배수관(30)은, 양쪽 측면을 이루는 제 1,2측면부(32)(33)중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2측면부(33)의 길이(도면상 수직높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어, 집중호우 등에 의해 종 배수관(30)안에 진입되는 우수의 양이 많아지더라도 종 배수관(30)의 외부로 튀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1 : 선배수장치
2 : 방호벽
10 : 횡 배수관
11 : 관통공
12 : 연장편
12a,12b : 장공
13 : 횡 배수관
14 : 관통공
15 : 연장편
15a,15b : 장공
20 : 연결수단
21 : 앵글부재
21a : 수직면
21b : 수평면
21a-1,21b-1 : 체결공
22 : 제 1브래킷
22a,22b,22c,22d : 결합홈
22e : 앵커부
23 : 제 2브래킷
23a : 결합홈
23b : 걸이부
24,25,26,27 : 체결부재
30 : 종 배수관
31 : 바닥부
32 : 제 1측면부
33 : 제 2측면부
32a,33a : 체결공
40 : 여과부재
41 : 수용 공간부
42 : 여과공
43 : 관통공
44 : 둘레면
50 : 여과판
51 : 여과공
52 : 자석

Claims (12)

  1. 교량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매립되면서 일부 노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횡 배수관(10)과;
    상기 횡 배수관(10)의 하부에 연결수단(20)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종 배수관(30)과;
    상기 종 배수관(3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갖추어지면서 상기 횡 배수관(10)으로부터 나오는 물이 종 배수관(30)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하는 여과부재(40);
    를 포함하고,
    상기 횡 배수관(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관통공(11)과, 이 관통공(11)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연장편(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연장편(12)에는 상기 연결수단(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장공(12a)과, 연장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교량의 방호벽(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시 연통되어 횡 배수관(10)과 방호벽(2)간의 결합력을 높이며, 철근을 관통시켜서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한 횡방향력에 대하여 횡배수관(10)이 밀리지 않도록 해주는 복수의 장공(12b)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20)은 횡 배수관(1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앵글부재(21)와, 상기 앵글부재(2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브래킷(22)과, 상기 제 1브래킷(22)과 종 배수관(30)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 2브래킷(2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브래킷(22)은 상부 및 한쪽 측면에 각각 결합홈(22a)(22b)(22c)(22d)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가 연장된 앵커부(22e)가 형성되며,
    상기 제 2브래킷(23)의 한쪽 측면에는 종 배수관(3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23a)이 형성되고, 제 2브래킷(23)의 다른쪽 측면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제 1브래킷(22)의 결합홈(22c)(22d)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쌍의 걸이부(23b)가 형성되고,
    상기 종 배수관(30)은 절곡된 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바닥부(31)과, 이 바닥면(31)의 양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제 1,2측면부(3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측면부(32)(33)는, 우수(雨水)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깥쪽에 위치한 제 2측면부(33)가 안쪽에 위치한 제 1측면부(3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40)는 수용 공간부(41)가 형성되며, 내부 하부에는 둘레면(44)을 가지도록 하면서 관통공(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글부재(21)는 "ㄴ"자형으로 절곡,형성되어 수직면(21a)과 수평면(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21a)과 수평면(21b)에는 각각 횡 배수관(10)과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공(21a-1)과, 상기 제 1브래킷(22)과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공(21b-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2a)에는 앵글부재(21)의 수평면(21b)과 체결부재(24)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제 1브래킷(22)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2b)에는 여과부재(40)와 체결부재(25)를 통해 결합되며, 결합홈(22c)(22d)에는 제 2브래킷(23)이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체결부재(26)에 의해 제 2브래킷(23)과 종 배수관(30)의 한쪽에 형성된 제 1측면부(3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40)는 수용 공간부(41)가 형성되고, 내부 바닥은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공(4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40)안에는 복수의 여과공(51)과, 하나 이상의 자석(52)이 마련되는 여과판(50)이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20150164855A 2015-11-24 2015-11-24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165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55A KR101658065B1 (ko) 2015-11-24 2015-11-24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55A KR101658065B1 (ko) 2015-11-24 2015-11-24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065B1 true KR101658065B1 (ko) 2016-09-20

Family

ID=5710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55A KR101658065B1 (ko) 2015-11-24 2015-11-24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0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0845A (zh) * 2020-05-22 2020-08-21 顾轩波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施
KR20200126489A (ko) 2019-04-30 2020-11-09 그린로드(주)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KR102282477B1 (ko) 2020-07-03 2021-07-27 대산산업(주)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KR102346723B1 (ko)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KR102540709B1 (ko) 2022-10-28 2023-06-07 그린로드(주)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WO2024043543A1 (ko) * 2022-08-23 2024-02-29 (주)랜드로드 교량 배수구용 비점오염 저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085U (ko) * 2008-09-09 2010-03-18 알루텍 (주) 교량 구조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088163B1 (ko)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124694B1 (ko) * 2011-04-04 2012-03-20 (주)신승이앤씨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32191A (ko) *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환방법
KR101263001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085U (ko) * 2008-09-09 2010-03-18 알루텍 (주) 교량 구조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101088163B1 (ko) *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20120032191A (ko) * 2010-09-28 2012-04-05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필터부 교환이 가능한 교량용 배수처리장치 및 그 필터부 교환방법
KR101124694B1 (ko) * 2011-04-04 2012-03-20 (주)신승이앤씨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3001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489A (ko) 2019-04-30 2020-11-09 그린로드(주)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CN111560845A (zh) * 2020-05-22 2020-08-21 顾轩波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施
CN111560845B (zh) * 2020-05-22 2021-11-26 黑龙江省公路勘察设计院 一种公路桥梁桥面排水设施
KR102282477B1 (ko) 2020-07-03 2021-07-27 대산산업(주)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KR102346723B1 (ko)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WO2024043543A1 (ko) * 2022-08-23 2024-02-29 (주)랜드로드 교량 배수구용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2540709B1 (ko) 2022-10-28 2023-06-07 그린로드(주)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65B1 (ko)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US20140227030A1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101111302B1 (ko)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US7637695B1 (en) Heavy duty trench frame and grate assembly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515104B1 (ko) 팽이형 관로 단면 구조를 갖는 노견겸용 프리캐스트 배수구조물
KR200489711Y1 (ko) 조립식 트렌치
JP2006132320A (ja) 境界ブロック
KR20200126489A (ko)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EP1518964B1 (en) Surface drainage arrangement
KR101319819B1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JP2011174292A (ja) オーバーフロー管を備えたu字形側溝ブロックとそれを用いた道路側溝
KR101111957B1 (ko) 인상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거의 우오수 분리벽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0476485Y1 (ko) 배수장치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KR100581530B1 (ko) 도로 배수측구의 집수박스
US2017030658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of a basement
KR102654356B1 (ko) 회전 가능한 트렌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