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6489A -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489A
KR20200126489A KR1020190050178A KR20190050178A KR20200126489A KR 20200126489 A KR20200126489 A KR 20200126489A KR 1020190050178 A KR1020190050178 A KR 1020190050178A KR 20190050178 A KR20190050178 A KR 20190050178A KR 20200126489 A KR20200126489 A KR 20200126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age pipe
overflow
reduc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순
강치성
Original Assignee
그린로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로드(주) filed Critical 그린로드(주)
Priority to KR102019005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6489A/ko
Publication of KR20200126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배수관의 우수가 종배수관을 월류하여 교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의 배수구가 외측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종배수관과; 상기 종배수관과 거리를 두고 종배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와; 상기 종배수관의 배수구와 리듀서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 측으로 안내하는 월류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Linear drain appapratus with overflow function}
본 발명은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배수관의 우수가 종배수관을 월류하여 교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우수 등의 배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 장치가 설치되는데, 설치 타입에 따라 배수구가 교량 상면을 따라 일정 간격의 점 형태로 형성되는 점배수 장치와, 연속되는 선형태를 이루는 선배수 장치로 구분된다.
교량용 선배수 장치의 일 례로 등록특허 제10-1658065호(2016.09.20.공고.) "배수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배수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는 교량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외측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매립되면서 일부 노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되는 횡 배수관(10)과, 상기 횡 배수관(10)의 하부에 연결수단(20)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종 배수관(30)과, 상기 종 배수관(3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갖추어지면서 상기 횡 배수관(10)으로부터 나오는 물이 종 배수관(30)으로 배수됨과 동시에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하는 여과부재(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횡 배수관(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관통공(11)과, 이 관통공(11)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한쌍의 연장편(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연장편(12)에는 상기 연결수단(20)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장공(12a)과, 연장편(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교량의 방호벽(2)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크리트 타설시 연통되어 횡 배수관(10)과 방호벽(2)간의 결합력을 높이며, 철근을 관통시켜서 콘크리트 타설시의 압력에 의한 횡방향력에 대하여 횡배수관(10)이 밀리지 않도록 해주는 복수의 장공(12b)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20)은 횡 배수관(10)의 하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앵글부재(21)와, 상기 앵글부재(21)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 1브래킷(22)과, 상기 제 1브래킷(22)과 종 배수관(30)이 연결되도록 하는 제 2브래킷(23)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브래킷(22)은 상부 및 한쪽 측면에 각각 결합홈(22a)(22b)(22c)(22d)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길이가 연장된 앵커부(22e)가 형성되며, 상기 제 2브래킷(23)의 한쪽 측면에는 종 배수관(30)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홈(23a)이 형성되고, 제 2브래킷(23)의 다른쪽 측면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제 1브래킷(22)의 결합홈(22c)(22d)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걸이부(2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 배수관(30)은 절곡된 형태의 구조를 가지도록 바닥부(31)과, 이 바닥면(31)의 양쪽으로 수직방향으로 서로 높이를 달리하도록 형성되는 제 1,2측면부(32)(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측면부(32)(33)는, 우수(雨水)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깥쪽에 위치한 제 2측면부(33)가 안쪽에 위치한 제 1측면부(3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여과부재(40)는 수용 공간부(41)가 형성되며, 내부 하부에는 둘레면(44)을 가지도록 하면서 관통공(43)이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수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는 앞쪽에서 끝쪽으로 경사진 종배수관이 교량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단순 선형태의 배수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우수가 종배수관의 끝쪽에 집중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종배수관의 끝쪽의 면적을 확대시킬 수 밖에 없어 종배수관 설치에 따른 작업의 불편성 및 비효율성을 초래함은 물론 배수능력을 크게 기대할 수 없으며, 종배수관의 외관 불량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8065호(2016.09.20.공고.) "배수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배수관의 우수가 종배수관을 월류하여 교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여 종배수관을 월류할 때,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고,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이 착탈될 수 있도록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의 한 형태는,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의 배수구가 외측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종배수관과; 상기 종배수관과 거리를 두고 종배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와; 상기 종배수관의 배수구와 리듀서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 측으로 안내하는 월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월류관은 종배수관의 배수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스크린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린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단 중간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며, 종배수관의 배수구에 대응되는 단면 및 크기를 갖는 수평관부와 상기 리듀서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수직관부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의 다른 형태는,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형성된 수직의 조립공이 바닥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종배수관과; 상기 종배수관의 하부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와; 상기 종배수관의 조립공을 관통하여 종배수관과 리듀서의 사이에 설치되고, 입구가 종배수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를 가져 상기 입구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 측으로 안내하는 월류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월류관은 입구 내측에,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월류관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상부 개구형의 장방형 형태의 스크린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스크린몸체는 스크린 고정부에 의해 월류관의 입구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스크린 고정부는 스크린몸체의 상단부 외곽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의 배수구가 외측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종배수관과; 상기 종배수관과 거리를 두고 종배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와; 상기 종배수관의 배수구와 리듀서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 측으로 안내하는 월류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배수관의 우수가 종배수관을 월류하여 교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종배수관을 따라 흐르는 우수량을 종배수관의 앞쪽과 뒤쪽 모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우수가 집중되는 종배수관의 끝쪽 부분을 크게 확대할 필요가 없고, 이는 종배수관 설치의 간편성 및 효율성은 물론 배수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여 종배수관을 월류할 때,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고,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이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의 효율성 증대와 함께 배수장치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수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분리사시도.
도 3은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분리사시도.
도 5는 결합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상부 개방형의 종배수관(110)이 설치되고, 상기 종배수관(110)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의 배수구(110a)가 외측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종배수관(110)과 거리를 두고 종배수관(110)의 외측에 리듀서(120)가 설치되고, 상기 리듀서(120)는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120a)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배수관(110)의 배수구(110a)와 리듀서(120)의 사이에 월류관(130)이 설치되어 배수구(110a)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120)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월류관(130)은 종배수관(110)의 배수구(110a)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14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월류관(130)은 종배수관(110)의 배수구(110a)에 대응되는 단면 및 크기를 갖는 수평관부(130a)와, 상기 리듀서(12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수직관부(130b)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평관부(130a)는 스크린(14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린 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스크린 가이드부(150)는 수평관부(130a)의 상면에 스크린(140)에 대응되는 폭으로 삽입구(150a)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며, 상기 스크린(140)은 상단 중간에 손잡이(140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종배수관(110)을 지나는 우수가 종배수관(110)의 배수구(110a)를 초과하면, 우수가 배수구(110a)를 통해 넘쳐 흐르게 되고, 배수구(110a)에 연이어 통하는 월류관(130)의 수평관부(130a)의 내부 유입되며, 상기 월류관(130)의 수평관부(130a)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수평관부(130a)에 설치된 스크린(140)에 의해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이 걸러진 후, 수직관부(130b)를 통해 리듀서(120)의 내부로 낙하되고, 리듀서(120)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다시 리듀서(120)의 배수관(12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우수는 종배수관(110)을 따라 선배수 형태로 균일하게 배출됨과 동시에 특정된 높이를 초과한 우수는 종배수관(110)을 월류하여 교량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수능력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상방 개구형의 종배수관(210)이 설치되고, 상기 종배수관(210)은 바닥 중앙부에 수직의 조립공(210a)이 바닥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상기 종배수관(210)의 하부측에 간격을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220)가 설치되고, 상기 리듀서(220)는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220a)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배수관(210)의 조립공(210a)을 관통하여 종배수관(210)과 리듀서(220)의 사이에 월류관(230)이 설치되고, 상기 월류관(230)의 입구(230a)는 종배수관(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를 가져 상기 입구(230a)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220)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월류관(230)은 입구(230a) 내측에, 상기 입구(230a)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2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240)은 중간에 횡봉 형태로 손잡이(240b)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240)은 월류관(230)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상부 개구형의 장방형 형태의 스크린몸체(240a)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몸체(240a)는 스크린 고정부(250)에 의해 월류관(230)의 입구(230a)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 고정부(250)는 스크린몸체(240a)의 상단부 외곽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턱(250a)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종배수관(210)을 지나는 우수가 종배수관(210)의 입구(230a)를 초과하면, 우수가 입구(230a)를 통해 넘쳐 흐르게 되어 월류관(23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월류관(230)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월류관(230)의 입구(230a)에 설치된 스크린(240)에 의해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이 걸러진 후, 리듀서(220)의 내부로 낙하되고, 리듀서(220)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다시 리듀서(220)의 배수관(220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우수는 종배수관(210)을 따라 선배수 형태로 균일하게 배출됨과 동시에 특정된 높이를 초과한 우수는 종배수관을 월류하여 교량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수능력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의 배수구가 외측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종배수관과; 상기 종배수관과 거리를 두고 종배수관의 외측에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와; 상기 종배수관의 배수구와 리듀서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 측으로 안내하는 월류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배수관의 우수가 종배수관을 월류하여 교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종배수관을 따라 흐르는 우수량을 종배수관의 앞쪽과 뒤쪽 모두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우수가 집중되는 종배수관의 끝쪽 부분을 크게 확대할 필요가 없고, 이는 종배수관 설치의 간편성 및 효율성은 물론 배수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배수관을 지나는 우수의 수위가 특정한 높이를 초과하여 종배수관을 월류할 때,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고, 협잡물 및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이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수의 효율성 증대와 함께 배수장치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10,210: 종배수관 110a: 배수구
120,220: 리듀서(reducer) 120a,220a: 배수관
130,230: 월류관 130a: 수평관부
130b: 수직관부 140,240: 스크린
140a,240b: 손잡이 150: 스크린 가이드부
150a,150b: 레일A,B 210a: 조립공
230a: 입구 240a: 스크린몸체
250: 스크린 고정부 250a: 고정턱

Claims (8)

  1.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설치되고,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의 배수구(110a)가 외측벽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상부 개방형의 종배수관(110)과;
    상기 종배수관(110)과 거리를 두고 종배수관(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220a)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120)와;
    상기 종배수관(110)의 배수구(110a)와 리듀서(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구(110a)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120) 측으로 안내하는 월류관(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130)은 종배수관(110)의 배수구(110a)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130)은 스크린(14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린 가이드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140)은 상단 중간에 손잡이(140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130)은 종배수관(110)의 배수구(110a)에 대응되는 단면 및 크기를 갖는 수평관부(130a)와, 상기 리듀서(12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수직관부(130b)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5. 교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교량의 외곽에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형성된 수직의 조립공(210a)이 바닥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종배수관(210)과;
    상기 종배수관(210)의 하부측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바닥 중앙부에 배수관(220a)이 연이어 통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방 개구형의 리듀서(220)와;
    상기 종배수관(210)의 조립공(210a)을 관통하여 종배수관(210)과 리듀서(220)의 사이에 설치되고, 입구(230a)가 종배수관(2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를 가져 상기 입구(230a)를 통해 넘쳐 흐른 우수를 리듀서(220) 측으로 안내하는 월류관(2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230)은 입구(230a) 내측에, 상기 입구(230a)를 통해 유입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40)은 월류관(230)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 상부 개구형의 장방형 형태의 스크린몸체(240a)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몸체(240a)는 스크린 고정부(250)에 의해 월류관(230)의 입구(230a)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고정부(250)는 스크린몸체(240a)의 상단부 외곽을 따라 일체로 돌출 형성된 고정턱(250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KR1020190050178A 2019-04-30 2019-04-30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KR20200126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78A KR20200126489A (ko) 2019-04-30 2019-04-30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178A KR20200126489A (ko) 2019-04-30 2019-04-30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489A true KR20200126489A (ko) 2020-11-09

Family

ID=7342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178A KR20200126489A (ko) 2019-04-30 2019-04-30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64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1254A (zh) * 2022-03-09 2022-05-27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混合组合梁斜拉桥用的二级排水系统
KR102540709B1 (ko) * 2022-10-28 2023-06-07 그린로드(주)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65B1 (ko) 2015-11-24 2016-09-20 빌드윈 주식회사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065B1 (ko) 2015-11-24 2016-09-20 빌드윈 주식회사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41254A (zh) * 2022-03-09 2022-05-27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混合组合梁斜拉桥用的二级排水系统
KR102540709B1 (ko) * 2022-10-28 2023-06-07 그린로드(주)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065B1 (ko)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200126489A (ko)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RU2694630C2 (ru)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сборе, корпус слив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таком устройстве в сборе и канализационный сифон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таком устройстве в сборе
KR20190094676A (ko) 교량 배수관 연결구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2348400B1 (ko) 점배수 기능을 겸한 선배수 장치
KR20130114043A (ko) 배수용 드레인 캡
KR20130074721A (ko) 우수관 일체형 경계석
KR101156980B1 (ko) 미관 개선형 교면 배수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476485Y1 (ko) 배수장치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JP6579509B2 (ja) 継手
JP2016098582A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JP2005120713A (ja) 道路用コンクリート溝
KR101178211B1 (ko) 경계석 측면 설치용 배수구
KR20080101061A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트랜치 커버
KR101784699B1 (ko) 맨홀 뚜껑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200094613A (ko) 탈부착이 용이한 그레이팅 보조덮개
JP3189586U (ja) 曲線側溝、及び側溝構造体
JP4145933B2 (ja) 樋継手
KR200276106Y1 (ko) 개량형 빗물받이 덮개
KR100436526B1 (ko) 배수로가 구비된 비탈면 보호블록
KR20120020900A (ko) 다방향배수기능과 시공이 용이한 그레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