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4676A - 교량 배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교량 배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4676A
KR20190094676A KR1020180014114A KR20180014114A KR20190094676A KR 20190094676 A KR20190094676 A KR 20190094676A KR 1020180014114 A KR1020180014114 A KR 1020180014114A KR 20180014114 A KR20180014114 A KR 20180014114A KR 20190094676 A KR20190094676 A KR 2019009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bridge
branch pipe
ban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534B1 (ko
Inventor
김기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나
Priority to KR102018001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고소(高所)로 이동하지 않고 지면에서 연결구 내부를 관측할 수 있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는, 교량(1)의 집수구(2)에 연결된 배수관(1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배수관연결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분기관(20)과 끼워 연결되는 분기관연결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연결부(1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분기관연결부(120)를 따라 분기관(20) 측으로 흐르도록 하고, 하부에 일정 크기로 관측용 개구부(130)가 형성된 연결구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관측용 개구부(130)를 커버하도록 좌우 양측이 연결밴드(220)에 의해 상기 몸체(100)와 밀착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시창(210)이 형성된 관측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 배수관 연결구{A connecting device for drainpipe of the bridge}
본 발명은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고소(高所)로 이동하지 않고 지면에서 연결구 내부를 관측할 수 있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배수를 위해 집수구와 배수관이 설치되어 있다. 즉, 교량의 배수를 위한 배수시설은 집수구 및 집수구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며,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물이 배수관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교량의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배수관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때 물 이외의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집수구 및 배수관을 막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집수구 및 배수관이 막히게 되는 경우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교량의 상판에 물이 넘치게 되는 등 차량 및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이 막히게 되면 고압의 물로 배수관의 내부를 세척하여 쌓인 이물질을 배출시키거나, 진공호스를 사용해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주기적으로 배수관 내부를 세척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실제로 이물질이 쌓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세척이 행하여 지는바 비용적 손실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6180호(2011.06.28, 배수관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일단 외측에 돌기부(12)가 형성되어 구배를 이루며 시공되는 배수관(10)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좌단 외측 및 우단 외측에 각각 상기 배수관의 돌기부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부(112)가 형성되는 직선관(110), 및 상기 직선관의 상부 중간 부분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구조물의 상판에 발생한 빗물을 수집 배수시키는 집수구 연결관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위치하며 수직관(120)을 구비하는 T형 관(100); 상기 수직관에 평행하거나 편심되게 내삽 설치되는 내관(200); 상기 배수관과 상기 T형 관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300); 및 상기 T형 관의 직선관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T형 관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일단에 투시 창이 형성되는 관찰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관(120)의 하부에는 상기 직선관으로부터 상향 수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제1수직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상향으로 직경이 점차 증가하도록 라운딩되어 제1곡선부(124)가 형성되고 최대 직경이 되면 직선으로 연장되어 제2수직부(126)이 형성하고 상기 제1수직부의 일단으로부터 내향으로 라운딩되어 제2곡선부(128)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투시 창이 형성된 관찰부를 형성함으로써 배수관 연결구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그 투시 창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투시 창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사다리 또는 고소작업대를 사용하여 배수관 연결구가 설치된 높은 장소로 이동하여 관측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반드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관 연결구를 제거하고 투시 창이 설치된 배수관 연결구를 새로이 설치해야 하므로 배수관 연결구 전체를 교체함에 있어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실용신안공개공보 제 0007267호(2009.07.20, 고소작업자용 안전벨트 고리)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고소(高所)로 이동하지 않고 지면에서 교량 배수관 연결구의 내부를 관측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를 철거하지 않은 상태로 투시창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는, 교량(1)의 집수구(2)에 연결된 배수관(1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배수관연결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분기관(20)과 끼워 연결되는 분기관연결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연결부(1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분기관연결부(120)를 따라 분기관(20) 측으로 흐르도록 하고, 하부에 일정 크기로 관측용 개구부(130)가 형성된 연결구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관측용 개구부(130)를 커버하도록 좌우 양측이 연결밴드(220)에 의해 상기 몸체(100)와 밀착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시창(210)이 형성된 관측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 따르면, 투시창이 형성된 관측부를 통해 고소(高所)로 이동하지 않고 지면에서 교량 배수관 연결구의 내부를 관측하여 이물질의 쌓인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의 하부를 타공하여 그 타공한 부위에 본 발명의 관측부를 설치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를 분리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연결밴드를 발췌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가 교량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일반적으로 교량(1)의 상판의 물을 집수구(2)를 통해 배출하기 위한 구성은 집수구(2)의 하단에 세로로 연결되는 배수관(10)과, 그 배수관(10)의 하단에 연결되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와, 그 교량 배수관 연결구의 좌측이나 우측 또는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분기관(20)과, 상기 교량 배수관 연결구의 좌측이나 우측 또는 분기관(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지면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관(10), 분기관(20), 배출관(30)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그 명칭을 구분하였으나, 일반적으로는 배수관으로 통칭하여 불리며 실제로 현장에서는 모두 동일한 관을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관(10), 교량 배수관 연결구, 분기관(20)에는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퇴적되어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며, 특히 관과 관이 만나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는 이물질이 가장 많이 쌓이게 된다.
따라서,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는 그 내부를 관측하여 내부 청소 시기를 판단할 수 있도록 투시 창을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강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에 설치된 투시 창은 그 위치가 측면을 향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가 그 교량 배수관 연결구가 설치된 고소(高所)로 이동하여 관측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와 같은 투시 창이 설치된 교량 배수관 연결구 전체를 반드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배수관 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는 연결구 몸체(100), 관측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 몸체(100)는 교량(1)의 집수구(2)에 연결된 배수관(1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배수관연결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는 분기관(20)과 끼워 연결되는 분기관연결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관연결부(110)와 분기관연결부(120)는 상호 연통되어 상기 배수관연결부(1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분기관연결부(120)를 따라 분기관(20) 측으로 흐르도록 하고, 하부에는 일정 크기로 관측용 개구부(1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관연결부(110)와 분기관연결부(12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관이 용이하게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형상으로 된 것이며, 상기 교량(1)의 상판의 물이 집구수(2)에 집수되고 그 집수구(2)에 집수된 물은 집수구(2)에 연결된 배수관(10)을 따라 상기 배수관연결부(110)를 통해 상기 몸체(100)에 유입되고 몸체(100)에 유입된 물은 상기 분기관연결부(120)를 통해 분기관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내부는 중공되어 상기 배수관연결부(110)와 분기관연결부(120)가 상호 연통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측용 개구부(130)는 상기 몸체(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형성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관연결부(120)에는 미치지 않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100)는 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의 금속재나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측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관측용 개구부(130)를 커버하도록 좌우 양측이 연결밴드(220)에 의해 상기 몸체(100)와 밀착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시창(2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투시창(210)의 설치는 상기 관측부(200)의 내면에 그 투시창(210)이 안착되는 홈을 형성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상기 투시창(210)의 재질은 상기 관측용 개구부(13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관측할 수 있어야 하므로 투명한 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로 형성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몸체(100)에 유입된 물이 상기 몸체(100)와 관측부(200)가 면접촉 되는 부위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관측부(200)의 내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몸체(100)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된 밀폐부재(23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밴드(220)는 상기 분기관연결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밴드(221)와, 상기 관측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밴드(222)와, 상기 제1밴드(221)와 제2밴드(222)의 양끝단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밴드체결수단(223)과,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224)으로 구성하여, 상기 코일스프링(224)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투시창이 형성된 관측부를 통해 작업자가 고소(高所)로 이동하지 않고 지면에서 교량 배수관 연결구의 내부를 관측하여 이물질의 쌓인 정도를 판단하여 이물질 제거를 위한 세척 작업을 적절한 시기에 실행할 수 있게 되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교량 배수관 연결구의 하부를 타공하여 그 타공한 부위를 커버하도록 본 발명의 주요구성인 관측부를 설치함으로써 교량 배수관 연결구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교량 2 : 집수구
10 : 배수관 20 : 분기관
100 : 몸체 110 : 배수관연결부
120 : 분기관연결부 130 : 관측용 개구부
200 : 관측부 210 : 투시창
220 : 연결밴드

Claims (3)

  1. 교량(1)의 집수구(2)에 연결된 배수관(10)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배수관연결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좌우 양측에 분기관(20)과 끼워 연결되는 분기관연결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연결부(11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분기관연결부(120)를 따라 분기관(20) 측으로 흐르도록 하고, 하부에 일정 크기로 관측용 개구부(130)가 형성된 연결구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서 상기 관측용 개구부(130)를 커버하도록 좌우 양측이 연결밴드(220)에 의해 상기 몸체(100)와 밀착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를 관측할 수 있도록 투시창(210)이 형성된 관측부(200);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부(200)의 내면 테두리부에는 상기 몸체(100)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합성수지로 된 밀폐부재(2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220)는 상기 분기관연결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밴드(221)와, 상기 관측부(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2밴드(222)와, 상기 제1밴드(221)와 제2밴드(222)의 양끝단을 상호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밴드체결수단(223)과, 상기 볼트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22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일스프링(224)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 견고한 체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관 연결구.
KR1020180014114A 2018-02-05 2018-02-05 교량 배수관 연결구 KR10207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14A KR102079534B1 (ko) 2018-02-05 2018-02-05 교량 배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114A KR102079534B1 (ko) 2018-02-05 2018-02-05 교량 배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676A true KR20190094676A (ko) 2019-08-14
KR102079534B1 KR102079534B1 (ko) 2020-02-20

Family

ID=6762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114A KR102079534B1 (ko) 2018-02-05 2018-02-05 교량 배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455B1 (ko) * 2020-04-29 2020-11-18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집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배수 구조
KR102184459B1 (ko) * 2020-05-25 2020-11-30 하정훈 교량 배수관 분기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KR102639928B1 (ko) * 2023-05-30 2024-02-27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배수로의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교량 배수관 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723B1 (ko) 2021-05-28 2022-01-03 (주)이알코리아 교량의 배수관로 결속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26Y1 (ko) * 2003-12-08 2004-03-22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200422379Y1 (ko) * 2006-05-17 2006-07-26 삼우기연 주식회사 청소용 도어를 가진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090007267A (ko) 2008-12-29 2009-01-16 윤미란 하이브리드 카드 및 하이브리드카드 관리 시스템
KR101046180B1 (ko) * 2010-12-16 2011-07-04 현빈개발 주식회사 배수관 연결구
KR101103420B1 (ko) * 2011-04-04 2012-01-06 권해국 오물 수거가 용이한 교량 배수관
JP2012057736A (ja) * 2010-09-09 2012-03-22 Access Holdings Co Ltd 配管支持具
KR101187656B1 (ko) * 2011-09-29 2012-10-04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KR20130077557A (ko) * 2011-12-29 2013-07-0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교량용 배수장치
KR101768903B1 (ko) *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926Y1 (ko) * 2003-12-08 2004-03-22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제거구조
KR200422379Y1 (ko) * 2006-05-17 2006-07-26 삼우기연 주식회사 청소용 도어를 가진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090007267A (ko) 2008-12-29 2009-01-16 윤미란 하이브리드 카드 및 하이브리드카드 관리 시스템
JP2012057736A (ja) * 2010-09-09 2012-03-22 Access Holdings Co Ltd 配管支持具
KR101046180B1 (ko) * 2010-12-16 2011-07-04 현빈개발 주식회사 배수관 연결구
KR101103420B1 (ko) * 2011-04-04 2012-01-06 권해국 오물 수거가 용이한 교량 배수관
KR101187656B1 (ko) * 2011-09-29 2012-10-04 두한종합건설 주식회사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KR20130077557A (ko) * 2011-12-29 2013-07-09 명성산업개발 주식회사 교량용 배수장치
KR101768903B1 (ko) * 2017-03-22 2017-08-30 하정훈 교량 배수관용 종배수관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455B1 (ko) * 2020-04-29 2020-11-18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집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배수 구조
KR102184459B1 (ko) * 2020-05-25 2020-11-30 하정훈 교량 배수관 분기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KR102639928B1 (ko) * 2023-05-30 2024-02-27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배수로의 막힘 방지 기능이 부여된 교량 배수관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534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534B1 (ko) 교량 배수관 연결구
US11499305B2 (en) Inline bioremediation liquid treatment system
US5802629A (en) Self-draining pool cover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769208B1 (ko) 개방형 배수관
US10287768B1 (en) Stormwater vault apparatus and method
KR102026939B1 (ko) 배수로에서의 이중 배수 및 유지 보수 가능한 집수조 커버용 그레이팅 구조물
KR100558709B1 (ko) 오염방지 청소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948479B1 (ko) 도로용 빗물 배수장치
KR101187656B1 (ko) 교량 배수설비의 오물 역류방지 및 안전한 작업을 위한 오물 제거장치를 구비한 교량배수관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20200126489A (ko) 월류 기능을 갖는 선배수 장치
KR100684667B1 (ko) 교량 배수시설
KR101103420B1 (ko) 오물 수거가 용이한 교량 배수관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232122B1 (ko) 집수정 걸름망장치
KR101505371B1 (ko)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KR101866628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배수판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87025Y1 (ko) 교량 배수시설
CN204757316U (zh) 一种防堵塞空调冷凝水排水存水弯
CN209429244U (zh) 一种市政用防堵塞排水管下水口结构
CN210507726U (zh) 一种便于检修的道路下水管道
KR20220022607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090008923U (ko) 교량 또는 고가도로 배수구의 직관 연결부재
KR20210131055A (ko) 배관 연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배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