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477B1 -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477B1
KR102282477B1 KR1020200082186A KR20200082186A KR102282477B1 KR 102282477 B1 KR102282477 B1 KR 102282477B1 KR 1020200082186 A KR1020200082186 A KR 1020200082186A KR 20200082186 A KR20200082186 A KR 20200082186A KR 102282477 B1 KR102282477 B1 KR 10228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groove
central
hole
retainer bod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현진
유경철
유상우
Original Assignee
대산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산업(주) filed Critical 대산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08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 배수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 일 측에 구비되는 트렌치 배수관과, 상기 트렌지 배수관의 개방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유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판에는 풀림 방지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트렌치 배수관에 부착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풀림 방지 자석에 의해 유입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배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이다.

Description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DRAIN DEVICE OF MAGNETIC FIXING TYPE}
본 발명은 선 배수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 일 측에 구비되는 트렌치 배수관과, 상기 트렌지 배수관의 개방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유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판에는 풀림 방지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트렌치 배수관에 부착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풀림 방지 자석에 의해 유입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배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교량은 우수 등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 설비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 설비는 노면을 빠져나와 배수로를 통해 교량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배수 장치(1)가 사용된다. 상기 선 배수 장치(1)는 트렌치 배수관(2)과 유입판(3)을 포함한다. 상기 트렌치 배수관(2)은 일 측면이 개방된 ㄷ 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치 배수관(2)에 판체 형상의 유입판(1)이 설치된다. 상기 유입판(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방향으로 투입된 후 직립되어 상기 트렌지 배수관(2)에 삽입된다. 상기 트렌치 배수관(2)에 삽입된 유입판(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이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설치된다.
상술된 유입판(1)을 통해 우수가 트렌치 배수관(2)을 투입되는데, 집중 호우가 발생한 후 상기 유입판(1)을 통해 투입되는 빗물의 양이 많아 상기 유입판(1)이 상기 트렌치 배수관(2)으로부터 이탈되어 이물질이 트렌치 배수관(2)으로 유입되어 배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선 배수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99377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6580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 일 측에 구비되는 트렌치 배수관과, 상기 트렌지 배수관의 개방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유입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판에는 풀림 방지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트렌치 배수관에 부착되도록 하여 집중 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풀림 방지 자석에 의해 유입판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배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S) 일 측에 배치되는 선배수 장치로서, 상기 구조물(S) 일 측에 구비되는 트렌치 배수관(200)과, 상기 트렌지 배수관(200)의 개방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유입판(100)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판(100)에는 풀림 방지 자석(130)이 구비되어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에 부착되는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입판(100)은 판체 형상의 유입판 본체(110)와, 상기 유입판 본체(110) 일 측에 형성되는 유입판 수용부(120)와,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 내부에 구비되는 풀림 방지 자석(130)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유입판 본체(110)에서 트렌치 배수관(200) 방향으로 돌출하고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 방향 측면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풀림 방지 자석(130)이 노출되고,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은 ㄷ 자 형상의 배수관 본체(210)와, 상기 배수관 본체(210)의 상부 중 유입판(100) 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관 수용부(220)와,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에 구비되는 스틸 고정링(230)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는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노출된 풀림 방지 자석(130)은 상기 스틸 고정링(230)에 밀착된다.
상기에서,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의 두께면 일부에는 샤프트(240)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40)에 상기 스틸 고정링(230)이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240)와 스틸 고정링(230) 사이에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이 구비되어 상기 스틸 고정링(230)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은 다수 개의 롤러(CR1) 사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400)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400)는 상호 결합되는 판체 형상의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및 제2리테이너 본체(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 중 제2리테이너 본체(420) 반대 방향 측면에 관통공(TH) 및 상기 관통공(TH)의 하측에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앙 유입공(413)은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하측으로서 폭 방향 중앙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부 유입공(414)은 제1중앙 유입공(413)의 폭 방향 양 측에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 중 제2리테이너 본체(420) 방향 측면에 두께 방향으로 요홈된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안착홈(412)의 하측에 제1중앙 연통공(41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중앙 유입공(413)과 연통되고, 상기 제1중앙 연통공(413-1)의 폭 방향 양 측에 제1측부 연통공(414-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측부 유입공(414)과 연통되며, 상기 제1중앙 연통공(413-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부 연통공(414-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의 상측에 제1중앙 저장홈(451-1)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의 폭 방향 양측에 제1측부 저장홈(416-1)이 요홈되어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제3저장홈(417)이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중앙 저장홈(451-1)과 제1측부 저장홈(416-1) 그리고 제3저장홈(417)과 제1상부 안착홈(411)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 중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반대 방향 측면에 관통공(TH) 및 상기 관통공(TH)의 상측에 제2중앙 유입공(423)과 제2측부 유입공(414)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TH) 사이에 제3유입공(4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앙 유입공(423)은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상측으로서 폭 방향 중앙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 유입공(414)은 제2중앙 유입공(423)의 폭 방향 양 측에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 중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방향 측면에 두께 방향으로 요홈된 제2상부 안착홈(421)과 제2하부 안착홈(422)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 안착홈(421)의 상측에 제2중앙 연통공(423-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중앙 유입공(423)과 연통되고, 상기 제2중앙 연통공(423-1)의 폭 방향 양 측에 제2측부 연통공(424-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측부 유입공(414)과 연통되며, 상기 제2중앙 연통공(423-1)과 제2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 연통공(424-1)과 제2상부 안착홈(421)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상측에 제3연통공(427)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폭 방향 양측에 제2측부 저장홈(426-1)이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하측에 제2중앙 저장홈(425-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 그리고 제3연통공(427)과 제2하부 안착홈(42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관통공(TH)과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관통공(TH)을 통과하여 그리스가 유동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1중앙 연통공(413-1)과 제1측부 연통공(414-1)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상기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하부 안착홈(412)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2리테이너 본체(220)의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된 후 제2하부 안착홈(422)으로 유동 경로(FL)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2중앙 유입공(423)과 제2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2중앙 연통공(413-1)과 제2측부 연통공(414-1)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상부 안착홈(421)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1리테이너 본체(210)의 제1중앙 저장홈(415-1)과 제1측부 저장홈(416-1)으로 유입된 후 제1상부 안착홈(411)으로 유동 경로(FL)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3유입공(425)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3연통공(427)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상부 안착홈(421) 및 제2하부안착홈(422)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3저장홈(417)으로 유입된 후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312)이 유입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와 제2리테이너 본체(42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500)는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 그리고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2상부 안착홈(421)과 제2하부 안착홈(422)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500)는 그리스가 유입되어 신축되는 탄성 저장부(510)와, 상기 탄성 저장부(510)가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링(520)과, 상기 지지링(520)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 저장부(5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철 탄성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저장부(510)는 탄성 재질로서 중공 형상인 탄성 저장부 본체(510)와, 상기 탄성 저장부 본체(510) 일 측에 형성되어 그리스가 출입하는 출입공(5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520)은 링 형상을 가지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제1지지링(521) 및 제2지지링(522)과, 상기 제1지지링(521)과 제2지지링(522) 사이를 연결하는 바아 형상의 연결 프레임(52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523)은 제1지지링(521) 또는 제2지지링(522)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철 탄성부(530)는 지지링(520)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물결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523) 사이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접철 탄성부(530)의 원주 방향 일부는 개방되어 탄성 저장부(510)의 팽창시 접철 탄성부(530)가 접하여 접철 탄성부(530)가 펼쳐지고 복원력에 의해 팽창된 탄성 저장부(510)를 복귀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집중 호우가 있는 경우라도 상기 풀림 방지 자석에 의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선 배수 장치의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 배수 장치의 개략도,
도 5 및 도 6은 일반적인 크로스 롤러 베어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롤러 베어링의 제1리테이너 본체와 제2리테이너 본체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 롤러 베어링의 흡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S) 일 측에 배치되는 선배수 장치로서, 상기 구조물(S) 일 측에 구비되는 트렌치 배수관(200)과, 상기 트렌지 배수관(200)의 개방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유입판(100)을 포함한다. 즉, 우수는 상기 유입판(100)을 통과한 후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으로 투입되어 배출된다.
상기 유입판(100)에는 풀림 방지 자석(130)이 구비되어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에 부착된다. 상기 풀림 방지 자석(130)에 의해 유입판(100)이 트렌치 배수관(20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집중 호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유입판(100)이 트렌치 배수관(200)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유입판(100)은 판체 형상의 유입판 본체(110)와, 상기 유입판 본체(110) 일 측에 형성되는 유입판 수용부(120)와,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 내부에 구비되는 풀림 방지 자석(13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유입판 본체(110)에서 트렌치 배수관(200)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는 비어 있는 형상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는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유입판 수용부(120) 내부는 비어 있어 상기 풀림 방지 자석(130)이 구비된다. 또한, 유입판 수용부(120) 중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 방향 측면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풀림 방지 자석(130)이 노출된다.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은 ㄷ 자 형상의 배수관 본체(210)와, 상기 배수관 본체(210)의 상부 중 유입판(100) 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관 수용부(220)와,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에 구비되는 스틸 고정링(2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수관 본체(210)는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는 배수관 본체(210)의 상부 중 유입판(100) 방향 즉, 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는 내부가 비어있고 유입판(100) 방향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배수관 수용부(220) 내부에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에 구비된 풀림 방지 자석(130)은 배수관 수용부(220)에 구비되는 스틸 고정링(230)에 밀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입판(100)이 배수관(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집중 호우가 있더라도 유입판(100)은 배수관(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입판(10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이동하면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유입판(100)이 배수관(200)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의 두께면 일부에는 샤프트(240)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40)에 상기 스틸 고정링(230)이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240)와 스틸 고정링(230) 사이에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이 구비되어 상기 스틸 고정링(230)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스틸 고정링(23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상태에서 풀림 방지 자석(130)이 스틸 고정링(230)에 밀착된다.
집중 호우가 있는 경우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판(100)을 통과하며 이때 다양한 방향의 힘이 상기 샤프트(240)에 작용된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베어링은 파손될 우려가 있음로 상술된 바와 같이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이 사용된다.
상기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은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CR1)가 상호 직교하는 방향으로 크로스된 형태의 베어링을 말하다. 이러한 크로스 롤러 베어링은 다양한 방향의 하중에도 잘 견딜 수 있고, 작은 사이즈에 비해 강성과 정밀도 내구성 등이 높은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볼트부의 경우 다양한 방향의 힘을 받게 되며, 상기 볼트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역시 상기 크로스 롤러 베어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상기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0)를 포함한다. 상기 리테이너(400)는 롤러(CR1) 사이에 배치되며 리테이너(400) 일 측에 관통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그리스의 유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크로스 롤러 베어링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한국 등록특허 제10-1953941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621626호 등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롤러(CR1) 사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400)를 포함하되, 상기 리테이너(400)는 상호 결합되는 판체 형상의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및 제2리테이너 본체(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와 제2리테이너 본체(420)는 볼트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되거나 혹은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와 제2리테이너 본체(420)는 상호 마주보는 측면은 평탄하게 형성하고, 반대측 측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곡률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1리테이너 본체(410)와 제2리테이너 본체(420)는 종래에 사용되는 관통공(TH) 외에 다수 개의 유동공이 형성되고 후술되는 완충부(500)가 구비된다. 이는 상기 그리스가 상기 리테이너의 관통공을 통해 유동하는데, 만일 외부로의 충격 등에 의해 그리스에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술되는 관통공으로는 그리스의 유동을 담보하지 못하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후술되는 구성이 채택되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리테이너 본체(410) 중 제2리테이너 본체(420) 반대 방향 측면(도면상 좌측)에 관통공(TH) 및 상기 관통공(TH)의 하측에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가 형성된다. 상기 제1중앙 유입공(413)은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하측으로서 폭 방향 중앙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제1측부 유입공(414)은 제1중앙 유입공(413)의 폭 방향 양 측에 다수 개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측부 유입공(414)은 제1중앙 유입공(413)의 양 측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1개씩 배치되어 총 4개가 형성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 중 제2리테이너 본체(420) 방향(도면상 우측) 측면에 두께 방향으로 요홈된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TH)은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 안착홈(412)의 하측에는 제1중앙 연통공(41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중앙 유입공(413)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1중앙 연통공(413-1)의 폭 방향 양 측에 제1측부 연통공(414-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측부 유입공(414)과 연통된다. 이때, 상기 제1중앙 연통공(413-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부 연통공(414-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 경로(FL)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을 좁은 폭을 가지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경로(FL)에 의해 상기 제1중앙 연통공(413-1)과 제1하부 안착홈(412)이 연통되고, 상기 제1측부 연통공(414-1)과 제1하부 안착홈(412)가 연통된다.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의 상측에 제1중앙 저장홈(451-1)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의 폭 방향 양측에 제1측부 저장홈(416-1)이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제3저장홈(417)이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중앙 저장홈(451-1)과 제1측부 저장홈(416-1) 그리고 제3저장홈(417)과 제1상부 안착홈(411)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 중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반대 방향 측면(우측면)에 관통공(TH) 및 상기 관통공(TH)의 상측에 제2중앙 유입공(423)과 제2측부 유입공(4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TH) 사이에 제3유입공(425)이 형성된다. 상기 제2중앙 유입공(423)은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상측으로서 폭 방향 중앙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 유입공(414)은 제2중앙 유입공(423)의 폭 방향 양 측에 다수 개 구비된다. 즉, 상기 제2중앙 유입공(423)과 제2측부 유입공(414)은 상술된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과 상하 방향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 중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방향 측면에 두께 방향으로 요홈된 제2상부 안착홈(421)과 제2하부 안착홈(422)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 안착홈(421)의 상측에 제2중앙 연통공(423-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중앙 유입공(423)과 연통되고, 상기 제2중앙 연통공(423-1)의 폭 방향 양 측에 제2측부 연통공(424-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측부 유입공(414)과 연통된다. 상기 제2중앙 연통공(423-1)과 제2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 연통공(424-1)과 제2상부 안착홈(421)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어 상호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상측에 제3연통공(427)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폭 방향 양측에 제2측부 저장홈(426-1)이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하측에 제2중앙 저장홈(425-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 그리고 제3연통공(427)과 제2하부 안착홈(42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리테이너(410)와 제2리테이너(420) 중 상호 마주보는 측면에는 동일한 형상의 제1상부 안착홈(411) 및 제2상부 안착홈(421)과 제1하부 안착홈(412) 및 제2하부 안착홈(422)이 각각 형성되고, 각 연통공 역시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제3연통공(427)만이 제2리테이너(420)에 형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한편,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측부 연통공(414-1) 및 제1중앙 연통공(413-1)은 제2리테이너(420)의 제2측부 저장홈(426-1) 및 제2중앙 저장홈(425-1)과 각각 연통되나, 상기 제1측부 연통공(414-1)과 제1중앙 연통공(412-1)은 제1리테이너 본체(410)를 관통하여 제1측부 유입공(414) 및 제1중앙 유입공(413)과 연통된다. 그러나, 상기 제2리테이너(420)의 제2측부 저장홈(426-1) 및 제2중앙 저장홈(425-1)은 요홈되게 형성됨에 불과하고 관통하지 않는다.
또한,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2측부 연통공(424-1) 및 제2중앙 연통공(423-1)은 제1리테이너(410)의 제1측부 저장홈(416-1) 및 제1중앙 저장홈(415-1)과 각각 연통되나, 상기 제2측부 연통공(424-1)과 제2중앙 연통공(422-1)은 제2리테이너 본체(420)를 관통하여 제2측부 유입공(414) 및 제2중앙 유입공(423)과 연통된다. 그러나, 상기 제1리테이너(410)의 제1측부 저장홈(416-1) 및 제1중앙 저장홈(415-1)은 요홈되게 형성됨에 불과하고 관통하지 않는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400)에 그리스가 유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관통공(TH)과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관통공(TH)을 통과하여 그리스가 유동한다.
또한,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1중앙 연통공(413-1)과 제1측부 연통공(414-1)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상기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하부 안착홈(412)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2리테이너 본체(220)의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된 후 제2하부 안착홈(422)으로 유동 경로(FL)를 통해 유입된다.
즉,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그리스의 압력이 높아져서 상기 관통공(TH)만으로는 그리스의 유동이 어려운 경우 상기 그리스는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1차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그리스는 일부는 상기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하부 안착홈(412)으로 유입되어 후술되는 흡수부로 향한다. 상기 유입된 그리스의 나머지는 제2리테이너 본체(220)의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된 그리스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하부 안착홈(422)으로 유입되어 후술되는 흡수부로 유입된다. 즉, 1차적으로는 상기 흡수부로 유입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압력이 높아진 그리스를 일시 저장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그리스의 압력이 일시 상승하여도 이를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제2리테이너 본체(420)도 유사하게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2중앙 유입공(423)과 제2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2중앙 연통공(413-1)과 제2측부 연통공(414-1)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상부 안착홈(421)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1리테이너 본체(210)의 제1중앙 저장홈(415-1)과 제1측부 저장홈(416-1)으로 유입된 후 제1상부 안착홈(411)으로 유동 경로(FL)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3유입공(425)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3유입공(425)을 통해 유입된 그리스는 제3연통공(427)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상부 안착홈(421) 및 제2하부안착홈(422)으로 유입되어 흡수부로 유동하고, 나머지는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3저장홈(417)으로 유입된 후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312)을 유입되어 흡수부로 유입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통해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와 제2리테이너 본체(42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완충부(500)는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 그리고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2상부 안착홈(421)과 제2하부 안착홈(422)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완충부(500)는 그리스가 유입되어 신축되는 탄성 저장부(510)와, 상기 탄성 저장부(510)가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링(520)과, 상기 지지링(520)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 저장부(5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철 탄성부(5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4군데의 안착홈(411,412,421,422)에 탄성 저장부(510)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탄성 저장부(510) 외측에 상기 지지링(520)과 접철 탄성부(530)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 저장부(510)는 탄성 재질로서 중공 형상인 탄성 저장부 본체(510)와, 상기 탄성 저장부 본체(510) 일 측에 형성되어 그리스가 출입하는 출입공(520)을 포함한다. 즉, 고무 등을 이용하는 탄성 저장부 본체(510)에 상기 출입공(520)을 통해 일시 압력이 증가한 그리스가 유입한다. 압력이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탄성 저장부 본체(510)에 저장된 그리스는 외부로 유출되어 본 발명의 크로스 롤러 베어링 내부의 그리스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한다.
한편, 상기 탄성 저장부(510)는 지지링(520) 내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지지링(520)은 링 형상을 가지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제1지지링(521) 및 제2지지링(522)을 포함함다. 이러한 제1지지링(521)과 제2지지링(522) 사이에는 바아 형상의 연결 프레임(523)이 구비된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523)은 제1지지링(521) 또는 제2지지링(522)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철 탄성부(530)는 지지링(520)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물결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523) 사이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 탄성부(530)는 ∧ 형상을 가져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접철 탄성부(530)는 상기 연결 프레임(523) 공간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연결 프레임(523)사이 거리는 상기 접철 탄성부(530) 중 일 단위의 ∧ 형상의 수평 방향 거리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접철 탄성부(530)가 수평 방향으로 펼쳐져서 거리가 증가하여도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철 탄성부(530)의 원주 방향 일부는 개방된다. 이는 탄성 저장부(510)의 팽창시 접철 탄성부(530)가 접하여 접철 탄성부(530)가 펼쳐지지고 이에 따라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위함이다. 상기 탄성 저장부(510)가 팽창된 후 상기 접철 탄성부(530)가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면 상기 접철 탄성부(530)가 탄성 저장부(510)를 가압하여 팽창된 탄성 저장부(510)를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 저장부(510) 사이에는 연결부(5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탄성 저장부(510) 사이가 변동되거나 혹은 일 측의 탄성 저장부(51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이를 흡수 하여 탄성 저장부(510)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연결부(540)는 링 형상의 탄성부(541)와 상기 탄성부(541)의 양 측에 구비되고 상기 탄성 저장부(510)에 각각 고정되는 커버(5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541)는 특정 원주 길이를 가지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탄성 원호부(5411)와, 상기 탄성 원호부(5411)의 양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412)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원호부(54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Ω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장부(5412)는 상기 탄성 원호부(5411)의 양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버(542)는 상기 연장부(5412)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커버(542)는 상기 탄성부(541)의 일 측에 구비되는 제1커버(542A)와, 탄성부(542)의 타 측에 구비되고 제1커버(542A)의 대칭 형상을 가지는 제2커버(542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커버(542)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541)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커버(542)는 좌우 방향 대칭 형상으로서 상기 커버(542)의 탄성부(541) 방향 측면이 각각 개방된다. 즉, 상기 커버(542)는 중공 형상이고 탄성부(541) 방향이 개방된 커버 본체(54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 본체(5421) 상에 연동 돌기(5422)가 돌출된다.
상기 탄성부(541)의 일 측에 배치된 연장부(5412)에는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개방부(5413)가 형성되어 상기 연동 돌기(5422)가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541)의 타 측에 배치된 연장부(5412)에는 탄성 저장부(510)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개방부(5414)가 형성되어 연동 돌기(5422)가 삽입된다.
즉, 상기 제1개방부(5413)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연동 돌기(5422)는 상기 제1개방부(5413)에 삽입된다. 따라서, 도 17에서 상기 커버(542) 중 도면상 좌측 커버(542A)에 연동된 탄성 저장부가 어떤 원인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면상 좌측 커버(542A)는 회전하고 이때 상기 연동 돌기(5422) 역시 회전한다. 그러나, 상기 연동 돌기(5422)가 제1개방부(5413) 내부에서 회전하므로 회전 변위가 제한된다. 상기 연동 돌기(5422)가 제1개방부(5413)에 의해 제한된 회전 변위 이상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연동 돌기(5422)는 제1개방부(5413)의 내측면에 걸림되어 연장부(5412)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상기 연장부(5412)는 탄성 원호부(54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원호부(5411) 역시 회전하나 그 회전 범위는 상당히 감소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탄성 저장부의 회전이 있어도 일정 범위 이내이면 회전을 허용하고 일정 범위 이상이면 그 회전 변위를 탄성적으로 제한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한다.
만일 탄성 저장부 사이가 변동하는 경우 예를 들어 탄성 저장부 사이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1개방부(5413)에 연동 돌기(5422)가 걸림되어 있고 제2개방부(5412)에도 연동 돌기(5422)가 걸림되어 있으므로 탄성 저장부 사이가 증가하면 상기 탄성 원호부(5411)가 탄력적으로 벌어지에 되어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반대로, 탄성 저장부 사이가 감소하는 경우 탄성 원호부(5411)가 탄력적으로 벌어지에 되어 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7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400)의 일측에 충진된 그리스의 압력이 일시 상승한 경우 리테이너(400)의 관통공(TH)을 통해 그리스가 유동하여 일시 압력이 상승한 부분의 압력을 낮추게 된다. 만일 상기 압력이 더욱 상승하는 경우 상기 그리스는 예를 들어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1차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그리스는 일부는 상기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하부 안착홈(412)으로 유입되어 흡수부(500)로 향한다. 상기 유입된 그리스의 나머지는 제2리테이너 본체(220)의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된 그리스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하부 안착홈(422)으로 유입되어 흡수부(500)로 유입된다. 즉, 1차적으로는 상기 흡수부(500)로 유입되고 2차적으로 상기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되어 2차적으로 압력이 높아진 그리스를 일시 저장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그리스의 압력이 일시 상승하여도 이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각 안착홈으로 유입된 그리스는 상기 각 안착홈에 구비된 흡수부(500)측으로 유동한다. 상기 그리스는 흡수부(500)의 접철 탄성부(530) 중 개방된 부분(도 12에서 O 부분)을 통해 탄성 저장부(510) 측으로 향한다. 상기 탄성 저장부(510)측으로 향하는 그리스는 탄성 저장부(510)의 출입공(512)을 통해 탄성 저장부(5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그리스에 의해 탄성 저장부(510)는 팽창된다. 상기 팽창되는 탄성 저장부(5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 탄성부(530)를 가압하여 상기 접철 탄성부(530)가 펼쳐지게 된다.
만일 일시 압력이 상승된 그리스의 압력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펼쳐진 탄성 저장부(530)는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면서 팽창된 탄성 저장부(510)를 압축하게 되고 이에 의해 탄성 저장부(510) 내부에 충진된 그리스는 출입공(512)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된 그리스는 앞서 설명한 반대 과정을 통해 리테이너(400)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유입판 110 : 유입판 본체
120 : 유입판 수용부 130 : 풀림 방지 자석
200 : 트렌치 배수관 210 : 배수관 본체
220 : 배수관 수용부

Claims (4)

  1. 구조물(S) 일 측에 배치되는 선배수 장치로서,
    상기 구조물(S) 일 측에 구비되는 트렌치 배수관(200)과,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의 개방면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유입판(100)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판(100)에는 풀림 방지 자석(130)이 구비되어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에 부착되고,
    상기 유입판(100)은 판체 형상의 유입판 본체(110)와, 상기 유입판 본체(110) 일 측에 형성되는 유입판 수용부(120)와,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 내부에 구비되는 풀림 방지 자석(130)을 포함하되, 상기 수용부(120)는 상기 유입판 본체(110)에서 트렌치 배수관(200) 방향으로 돌출하고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 방향 측면의 일부는 개방되어 상기 풀림 방지 자석(130)이 노출되고,
    상기 트렌치 배수관(200)은 ㄷ 자 형상의 배수관 본체(210)와, 상기 배수관 본체(210)의 상부 중 유입판(100) 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관 수용부(220)와,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에 구비되는 스틸 고정링(230)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판 수용부(120)는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노출된 풀림 방지 자석(130)은 상기 스틸 고정링(230)에 밀착되며,
    상기 배수관 수용부(220)의 두께면 일부에는 샤프트(240)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40)에 상기 스틸 고정링(230)이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240)와 스틸 고정링(230) 사이에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이 구비되어 상기 스틸 고정링(230)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크로스 롤러 베어링(CR)은 다수 개의 롤러(CR1) 사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400)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400)는 상호 결합되는 판체 형상의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및 제2리테이너 본체(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 중 제2리테이너 본체(420) 반대 방향 측면에 관통공(TH) 및 상기 관통공(TH)의 하측에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앙 유입공(413)은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하측으로서 폭 방향 중앙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부 유입공(414)은 제1중앙 유입공(413)의 폭 방향 양 측에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 중 제2리테이너 본체(420) 방향 측면에 두께 방향으로 요홈된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 안착홈(412)의 하측에 제1중앙 연통공(413-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중앙 유입공(413)과 연통되고, 상기 제1중앙 연통공(413-1)의 폭 방향 양 측에 제1측부 연통공(414-1)이 형성되어 상기 제1측부 유입공(414)과 연통되며, 상기 제1중앙 연통공(413-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고, 상기 제1측부 연통공(414-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의 상측에 제1중앙 저장홈(451-1)이 요홈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의 폭 방향 양측에 제1측부 저장홈(416-1)이 요홈되어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제3저장홈(417)이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중앙 저장홈(451-1)과 제1측부 저장홈(416-1) 그리고 제3저장홈(417)과 제1상부 안착홈(411)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는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 중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반대 방향 측면에 관통공(TH) 및 상기 관통공(TH)의 상측에 제2중앙 유입공(423)과 제2측부 유입공(414)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TH) 사이에 제3유입공(425)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앙 유입공(423)은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상측으로서 폭 방향 중앙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 유입공(414)은 제2중앙 유입공(423)의 폭 방향 양 측에 다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 중 제1리테이너 본체(410) 방향 측면에 두께 방향으로 요홈된 제2상부 안착홈(421)과 제2하부 안착홈(422)이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상부 안착홈(421)의 상측에 제2중앙 연통공(423-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중앙 유입공(423)과 연통되고, 상기 제2중앙 연통공(423-1)의 폭 방향 양 측에 제2측부 연통공(424-1)이 형성되어 상기 제2측부 유입공(414)과 연통되며, 상기 제2중앙 연통공(423-1)과 제2하부 안착홈(41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고, 상기 제2측부 연통공(424-1)과 제2상부 안착홈(421)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상측에 제3연통공(427)이 형성되고,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폭 방향 양측에 제2측부 저장홈(426-1)이 요홈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 안착홈(422)의 하측에 제2중앙 저장홈(425-1)이 형성되며, 상기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 그리고 제3연통공(427)과 제2하부 안착홈(422) 사이에 유동 경로(FL)가 형성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관통공(TH)과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관통공(TH)을 통과하여 그리스가 유동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중앙 유입공(413)과 제1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1중앙 연통공(413-1)과 제1측부 연통공(414-1)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상기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하부 안착홈(412)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2리테이너 본체(220)의 제2중앙 저장홈(425-1)과 제2측부 저장홈(426-1)으로 유입된 후 제2하부 안착홈(422)으로 유동 경로(FL)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2중앙 유입공(423)과 제2측부 유입공(414)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2중앙 연통공(413-1)과 제2측부 연통공(414-1)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상부 안착홈(421)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1리테이너 본체(210)의 제1중앙 저장홈(415-1)과 제1측부 저장홈(416-1)으로 유입된 후 제1상부 안착홈(411)으로 유동 경로(FL)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3유입공(425)을 통해 그리스가 유입된 후 제3연통공(427)을 통해 그리스의 일부는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2상부 안착홈(421) 및 제2하부안착홈(422)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3저장홈(417)으로 유입된 후 유동 경로(FL)를 통해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312)이 유입되며,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와 제2리테이너 본체(42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500)는 상기 제1리테이너 본체(410)의 제1상부 안착홈(411)과 제1하부 안착홈(412) 그리고 제2리테이너 본체(420)의 제2상부 안착홈(421)과 제2하부 안착홈(422)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500)는 그리스가 유입되어 신축되는 탄성 저장부(510)와, 상기 탄성 저장부(510)가 내부에 수용되는 지지링(520)과, 상기 지지링(520)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 저장부(51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접철 탄성부(53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저장부(510)는 탄성 재질로서 중공 형상인 탄성 저장부 본체(510)와, 상기 탄성 저장부 본체(510) 일 측에 형성되어 그리스가 출입하는 출입공(520)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링(520)은 링 형상을 가지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제1지지링(521) 및 제2지지링(522)과, 상기 제1지지링(521)과 제2지지링(522) 사이를 연결하는 바아 형상의 연결 프레임(52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523)은 제1지지링(521) 또는 제2지지링(522)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접철 탄성부(530)는 지지링(520)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고 물결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523) 사이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접철 탄성부(530)의 원주 방향 일부는 개방되어 탄성 저장부(510)의 팽창시 접철 탄성부(530)가 접하여 접철 탄성부(530)가 펼쳐지고 복원력에 의해 팽창된 탄성 저장부(510)를 복귀시키는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KR1020200082186A 2020-07-03 2020-07-03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KR10228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186A KR102282477B1 (ko) 2020-07-03 2020-07-03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186A KR102282477B1 (ko) 2020-07-03 2020-07-03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477B1 true KR102282477B1 (ko) 2021-07-27

Family

ID=7712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186A KR102282477B1 (ko) 2020-07-03 2020-07-03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4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869Y1 (ko) * 2004-02-26 2004-06-14 전병구 배수 트렌치 유닛
JP2011163462A (ja) * 2010-02-10 2011-08-25 Harmonic Drive Systems Inc クロスローラーベアリング用リテーナおよびクロスローラーベアリング
KR20140112478A (ko) * 2011-12-02 2014-09-23 산쿄 세이사쿠쇼 코퍼레이션 크로스 롤러 베어링
KR101658065B1 (ko) 2015-11-24 2016-09-20 빌드윈 주식회사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1685445B1 (ko) * 2016-04-07 2016-12-13 주식회사 금강스틸산업 배수 트렌치용 그레이팅
KR101993772B1 (ko) 2018-08-13 2019-07-02 도청산업 주식회사 요철레일을 갖는 측구관거 선배수시스템 성형장치
KR102053107B1 (ko) * 2019-09-03 2019-12-06 김명숙 맨홀 악취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869Y1 (ko) * 2004-02-26 2004-06-14 전병구 배수 트렌치 유닛
JP2011163462A (ja) * 2010-02-10 2011-08-25 Harmonic Drive Systems Inc クロスローラーベアリング用リテーナおよびクロスローラーベアリング
KR20140112478A (ko) * 2011-12-02 2014-09-23 산쿄 세이사쿠쇼 코퍼레이션 크로스 롤러 베어링
KR101658065B1 (ko) 2015-11-24 2016-09-20 빌드윈 주식회사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1685445B1 (ko) * 2016-04-07 2016-12-13 주식회사 금강스틸산업 배수 트렌치용 그레이팅
KR101993772B1 (ko) 2018-08-13 2019-07-02 도청산업 주식회사 요철레일을 갖는 측구관거 선배수시스템 성형장치
KR102053107B1 (ko) * 2019-09-03 2019-12-06 김명숙 맨홀 악취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477B1 (ko) 자석 고정 방식의 선 배수 장치
EP1259741B1 (de) Radial-axial-wälzlager
CN101287394B (zh) 抽屉抽出导向装置
US3304133A (en) Guiding device
CN102422034A (zh) 带有用于防止润滑介质溢出的保持架的滚动轴承
CN107075891A (zh) 可调滑动翼扇的滑架
DE102005054082B4 (de) Käfig für ein Wälzlager
EP1213238A1 (en) Linear guide for preventing wear to contact face
JP2017133569A (ja) 転がり軸受
ES2304688T3 (es) Bloque de rueda portante.
KR102167551B1 (ko) 오일 필터 유닛
US11484820B2 (en) Foldable oil filter unit
EP2686566A1 (de) Wälzlager mit lateraler befüllöffnung
AR000273A1 (es) Un cojinete de rodillos
JP2004243412A (ja) シールエンドプレート
KR20210092940A (ko) 철근 연결구
EP3327233A1 (fr) Système de coulissement d'un vantail
JP5939526B1 (ja) 田んぼダム機能を有する水田用水位調整装置及び田んぼのダム化法
KR200361078Y1 (ko) 도로용 산 비탈면의 유속감속 도수로 구조
KR102167553B1 (ko) 회동형 오일 필터 유닛
KR950002118B1 (ko) 가동보
DE3419447C2 (ko)
KR100850546B1 (ko) 롤러형 슬라이드
CN100398852C (zh) 具有偏负载防止机构的直线导向装置
EP2283242B1 (fr) Roulement à séparateurs sphér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