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741Y1 - 휀스 고정구 - Google Patents

휀스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741Y1
KR200418741Y1 KR2020060008527U KR20060008527U KR200418741Y1 KR 200418741 Y1 KR200418741 Y1 KR 200418741Y1 KR 2020060008527 U KR2020060008527 U KR 2020060008527U KR 20060008527 U KR20060008527 U KR 20060008527U KR 200418741 Y1 KR200418741 Y1 KR 200418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present
vertical
soil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기정
Original Assignee
계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기정 filed Critical 계기정
Priority to KR2020060008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7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61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on a flat b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휀스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휀스의 안정되고 간편한 설치 내지는 휀스의 연속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가 비어있고 평면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진 상협하광의 합성수지재 몸체(10)를 구비하여 그 상면에는 상호 연하는 삽입구(11)(12)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흙(30)을 채우는 한편, 통상의 휀스(20) 양쪽 수직기대(21)(22)를 몸체(10) 상면의 삽입구(11)(12)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휀스(20)를 입설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몸체가 내부가 비어있어 매우 가벼우므로 공사장 등 휀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 그리고 현장에서 몸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까지 그 이동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몸체를 설치한 다음, 흙으로 채워 줌으로서 휀스의 안정된 설치를 위한 휀스 고정구의 중량화를 체력의 소모 없이 간단하게 해결하는 한편, 다수개의 휀스를 연속 설치하는 데에도 매우 용이하여 우수한 작업성을 갖는다.

Description

휀스 고정구{fence fastener}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 절결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휀스 연속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12 : 삽입구
20 : 휀스 21,22 : 수직기대
30 : 흙
본 고안은 휀스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휀스의 안정되고 간편한 설치 내지는 휀스의 연속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휀스는 도로의 경계 및 각종 공사장 등에서 보행인 또는 작업 인부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 시설물로서 각 산업현장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의 휀스 고정구는 종래에는 통상 정육면체로 된 시멘트 블록을 형성한 다음, 그 상면에 구멍 또는 홈을 형성하여 이 구멍에 휀스의 양 수직기대를 끼워 휀스를 고정하였는바, 이러한 휀스 고정구는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휀스를 여러개 연속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무게를 갖는 휀스 고정구를 다량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 휀스 설치에 있어서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
한편, 휀스의 양 수직기대 저부에 휀스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세로 방향의 세로대를 용접 고정하여 이 세로대에 의해 휀스가 입설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지지력이 미흡하여 바람이나 약간의 충격에 의해 쉽게 쓰러지므로 단시간 사용 외에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고려하여 경량이면서도 휀스를 안정되게 입설 고정시켜 줄 수 있고 또한 휀스의 연속설치가 매우 용이하도록 하는 개량된 휀스 고정구를 제공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부가 비어 있는 합성수지재의 몸체를 구비하여 그 상면에는 상호 연하는 삽입구를 구성함으로서 이 삽입구를 통하여 휀스의 양 수직기대 를 삽입하여 휀스를 간단히 입설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흙 등으로 채워 중량체로 유지함으로서 휀스의 안정된 입설을 도모하며 상호 연하여 구성되는 일단의 삽입구를 이용하여 휀스의 연속설치가 극히 용이하도록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가 비어있고 평면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진 상협하광의 합성수지재 몸체(10)를 구비하여 그 상면에는 상호 연하는 삽입구(11)(12)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흙(30)을 채우는 한편, 통상의 휀스(20) 양쪽 수직기대(21)(22)를 몸체(10) 상면의 삽입구(11)(12)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휀스(20)를 입설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휀스(20)는 통상 금속재로 제작되며 중앙의 장방형 틀 내에 철망이 구성된다.
양쪽 수직기대(21)(22)는 그 상부가 유연하게 수평으로 절곡되면서 서로 이어져 일체형을 이룬다.
이러한 휀스(20)는 상기 수직기대(21)(22)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몸체(10) 상면에 구성된 삽입구(11)(1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입설된다.
몸체(10)는 내부가 비어있고 삽입구(11)(12)는 서로 연하여 구성된 것으로 몸체(10) 내부에는 흙(30)을 충전한다
흙(30)은 몸체(10)를 무겁게 하여 안전감을 도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굳이 흙이 아니라도 모래 또는 기타 작은 입자가 모여서 중량체를 가지는 것이면 가능하다.
흙(30)은 본 고안의 몸체(10)가 그 선택된 위치에 설치된 다음, 몸체(10) 상면에 형성된 삽입구(11)(12)를 통하여 충전한다.
흙(30)은 몸체(10) 내부의 공간부에 꽉 채워도 무방하나 이 경우 휀스(20)의 수직기대(21)(22)가 흙(30)속으로 파고들기가 다소 힘이 들므로 약 2/3 정도 채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 같이 흙(30)을 2/3 정도만 채워 주어도 휀스(20)를 지탱하기 위한 무게는 충분히 확보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3에서와 같이 휀스(20)가 설치될 위치 즉, 휀스(20)의 양쪽 수직기대(21)(22)가 입설되는 위치에 몸체(10)를 놓고 흙(30)을 충전하게 된다.
몸체(10) 내에 흙(30)이 충전되면 휀스(20)의 양 수직기대(21)(22)를 삽입구(11)를 향하여 몸체(10) 내측의 직하방으로 삽입하게 되면 수직기대(21)(22)는 흙(30)을 파고 들어가면서 그 저단부가 최종적으로 몸체(10) 내부의 바닥면에 닿아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기대(21)(22)가 삽입되는 삽입구(11)는 이와 연하는 삽입구(12)와의 사이가 좁게 구성되어 상기 삽입구(11)에 삽입된 수직기대(21)(22)는 한쪽으로 기울어지지는 않는다.
물론 이와 같이 수직기대(21)(22)가 끼워지는 삽입구(11) 및 이와 연하는 삽 입구(12)는 공히 수직기대(21)(22)의 삽입에 크게 어려움이 없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긴밀한 삽입 상태를 갖도록 한다.
이와 함께 흙(30)으로 채워진 몸체(10)는 중량체로 유지되어 충격 등 외부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 쉽게 유동되지 않으므로 이와 결합된 휀스(20)는 극히 안정된 입설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몸체(10)는 정면 사다리꼴 형태의 상협하광의 구조를 갖추고 있고 상면에서 볼 때 정사각형태가 아닌 직사각 형태로서 안정감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 도3의 상태는 공사장의 지엽적인 부분 또는 간단한 도로 정비 등 1개의 휀스만 필요할 경우이며 휀스의 길이를 길게 설치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도4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휀스(20)를 본 고안 몸체(10)를 이용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즉, 몸체(10)의 설치 위치는 각 휀스(20)의 수직기대(21)(22)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하며 약간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는 몸체(10)를 인위적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때의 몸체(10)는 흙(30)이 충전되어 다소 무거우나 극히 짧은 거리의 이동이므로 크게 어려움은 없다.
몸체(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양쪽 몸체(10)의 도면상 앞쪽 삽입구(11)에 휀스(10)의 양쪽 수직기대(21)(22)를 삽입하여 휀스(20)를 입설 고정하는 한편, 이어서 몸체(10) 상면의 뒤쪽 삽입구(12) 및 이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 또 다른 몸체(10)의 뒤쪽 삽입구(12)를 이용하여 또 다른 휀스(20)의 수직기대(21)(22)를 삽입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정하게 등간격으로 설치된 각 몸체(10)의 삽입구(11)(12)에 앞서 설치한 휀스와 동일한 구조의 새로운 휀스(20)를 그 수직기대(21)(22)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반복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다수의 휀스(20)를 간단하게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가 내부가 비어있어 매우 가벼우므로 공사장 등 휀스를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 그리고 현장에서 몸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까지 그 이동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몸체를 설치한 다음, 흙으로 채워 줌으로서 휀스의 안정된 설치를 위한 휀스 고정구의 중량화를 체력의 소모 없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휀스를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하는 데에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가 비어있고 평면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진 상협하광의 합성수지재 몸체(10)를 구비하여 그 상면에는 상호 연하는 삽입구(11)(12)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흙(30)을 채우는 한편, 통상의 휀스(20)양쪽 수직기대(21)(22)를 몸체(10) 상면의 삽입구(11)(12)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휀스(20)를 입설 고정시켜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고정구.
KR2020060008527U 2006-03-31 2006-03-31 휀스 고정구 KR200418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27U KR200418741Y1 (ko) 2006-03-31 2006-03-31 휀스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527U KR200418741Y1 (ko) 2006-03-31 2006-03-31 휀스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741Y1 true KR200418741Y1 (ko) 2006-06-13

Family

ID=4176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527U KR200418741Y1 (ko) 2006-03-31 2006-03-31 휀스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7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95Y1 (ko) 2017-05-13 2018-07-26 김현국 가림막 휀스 조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95Y1 (ko) 2017-05-13 2018-07-26 김현국 가림막 휀스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101245666B1 (ko) 각도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펜스
KR200418741Y1 (ko) 휀스 고정구
KR100736852B1 (ko) 프리캐스트 r.c 옹벽 구조물
KR101999798B1 (ko) 배면케이싱을 구비한 부벽식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58776B1 (ko) 옹벽 블럭
KR100949908B1 (ko) 지주용 기초석
KR100582866B1 (ko) 펜스 주주 지지 구조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2221830B1 (ko) 울타리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JP2019065641A (ja) 落石防護柵
KR101265582B1 (ko) 배수로 구조물
KR200307195Y1 (ko) 자체 지지구조를 가지는 옹벽블럭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100773488B1 (ko)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101866751B1 (ko) 하이브리드 토사제어 저류장치
JP3537398B2 (ja) 組立柵工
KR101133453B1 (ko) 콘크리트 기초석 성형틀
JP2007100412A (ja) 張り出し歩道の構造体
JP2007023642A (ja) 支柱部材の支持ブロック構造
KR101272001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부재 조립에 의한 우수저류조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우수저류조 시공방법
JP2011015621A (ja) 動物侵入防止柵
KR200420345Y1 (ko) 착탈식 지지고리를 가진 옹벽블록
KR100706783B1 (ko) 주철 개비온 판넬의 경사 시공시의 개비온 판넬 지지장치
JP4496500B2 (ja) 保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