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989Y1 -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 Google Patents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89Y1
KR200371989Y1 KR20-2004-0021739U KR20040021739U KR200371989Y1 KR 200371989 Y1 KR200371989 Y1 KR 200371989Y1 KR 20040021739 U KR20040021739 U KR 20040021739U KR 200371989 Y1 KR200371989 Y1 KR 200371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ormwork
plate
wall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이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Priority to KR20-2004-0021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하여 형성된 절성토부의 토사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성토부의 단면형상에따라 조립식옹벽블록인 벽체블럭과 기초블럭을 조립설치하여 옹벽을 구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옹벽블록인 벽체블럭과 기초블럭을 이용하여 옹벽을 조립설치하기 위한 옹벽설치 현장 또는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상기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벽체 및 기초블럭 거푸집을 형성하는 외형틀을 설치하되, 벽체와 기초블록이 조립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벽체블록의 하부판과 기초블럭의 상부판 거푸집의 규격을 상호 동일하게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의 규격을 결정한 후에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기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The temporary retaining wall block}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하여 형성된 절성토부의 토사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성토부의 단면형상에따라 조립식옹벽블록인 벽체블럭과 기초블럭을 조립설치하여 옹벽을 구축할 때,
상기 조립식옹벽블록을 설치하는 현장 또는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상기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벽체 및 기초블럭 거푸집을 형성하는 외형틀을 설치하고, 다양한 규격의 벽체와 기초블록이 조립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벽체블록의 하부판과 기초블럭의 상부판 거푸집의 규격을 각각 선택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립식 옹벽블록은 절성토구간의 지반단면에따라 다양한 규격의 벽체 및 기초블럭을 조립하여 절성토구간의 토사가 붕괴되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벽체블럭을 제작하기 위하여 강판을 상협하광형태의 일정한 규격의 직육면체로 설치하되 전면부와 후면부는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고, 전면부는 개방되도록 하면서 후면부는 강판을 이용하여 양측에 설치된 측면판과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측면판은 각각 측면가로홈과 측면가로돌출부가 형성된 거푸집으로 하고, 상기 후면부를 이루는 강판의 양측에 상기 측면판을 설치하면서 외측에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강재를 조립설치하고, 상기 후면부를 이루는 강재의 상하부에 상부판과 하부판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상부판은 고정조립되고, 상기 하부판은다양한 규격의 벽체블럭 제작을 위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측면판에 다양한 규격의 하부판이 각각 조립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판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조립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상협하광형태로 하면서 전면부는 개방되게 하여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후면부는 강판으로 막아놓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후면부와 양측의 측면판을 제거하면 벽체블록이 형성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체블록의 길이 즉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판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판의 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각각의 높이에 해당하는 하부판을 상기 한쌍의 측면판의 사이에 가로로 측면판의 중간중간에 설치한 후에 철근을 상기 하부판에 형성된 철근 정착부에 철근을 배근하여 일정한 규격의 철근배근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또한 상기 철근 정착부겸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의 역할을 하여 상기 벽체블럭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된 벽체거푸집을 기초블럭 위에 설치할 때 상기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에 의하여 형성된 연결홈과 상기 기초블럭의 기초블럭 연결홈에 형성된 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하는데 이용한다.
한편, 상기 기초블럭을 제작하기 위하여 기초블럭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지강재 위에 전면부 지지블록을 설치하면서 연이어서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에 연이어서 후면부지지블록을 연결설치한 다음 상기 전면부 지지블록과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 및 후면부지지블록의 양측면에 기초블럭세로홈 및 기초블럭세로돌출부가 형성된 측면판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외측에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강재를 조립설치하면서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판에는 기초블럭가로돌출 및 홈 거푸집인 측면판을 설치하되, 기초블럭세로홈 및 돌출부와 기초블럭가로홈 및 돌출부가 서로 만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초블럭세로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 측면판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양측에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과 접하는 부분에는 지지강재를 설치하고 이들 지지강재에 형성된 구멍에 강선을 상호 연결설치하고 고정구로 고정하여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과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이 서로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규격은 상기 벽체블럭 거푸집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판의 규격과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며, 특히 벽체블럭의 철근 정착부 겸용 벽체블럭 하부판연결홈 거푸집에 의하여 형성된 홈의 규격과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의 철근 정착부 겸용 기초블럭 상부 연결홈 거푸집에 의하여 형성된 홈의 규격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벽체블럭의 하부판의 규격과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규격이 동일하여야 하므로 이에따른 철근 정착부 겸용 기초블럭 상부 연결홈 거푸집의 설치 위치 또한 동일해야 상기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된 벽체 및 기초블록이 서로 상하로 정확하게 연결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벽체블럭 거푸집을 형성하는 하부판, 측면판 및 후면부를 형성하는 강판과 기초블럭거푸집을 형성하는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 측면판 및 상부면을 형성하는 강판과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좌우에 고정설치된 전면부 지지블록, 후면부 지지블록은 해체조립이 간편하도록 조립연결설치되었으며,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거푸집의 주위에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강재를 주변에 설치하여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후에 상기 거푸집을 탈형하므로서 제작된 벽체 및 기초블럭을 운반하기 위하여 지지강재위에 설치하여 벽체 및 기초블럭을 제작하도록 한다.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거푸집을 이용하여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밀실하게 상기 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진동다짐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진동다짐기를 상기 거푸집에 일체로 설치하여 거푸집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진동다짐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거푸집과 분리하여 별도로 상기 진동다짐기를 설치한 후에 거푸집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진동다짐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직선과 곡선 및 지반의 단차로 이루어진 성토부 또는 절개지의 경사면의 지형상황에 따라 조립식옹벽블록을 경사지의 형상과 일치하게 지반위에 설치된 기초블록위에 벽체블록을 서로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조립설치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옹벽을 조립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을 제작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할 때 일괄적으로 벽체 및 기초블럭을 각각 한 개의 거푸집을 조립설치한 다음 상기 절성토 구간의 지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벽체블록거푸집의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하부판을 벽체블럭의 측면판에 교체설치한 후에 벽체블록을 제작하고, 기초블럭의 경우에도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여 조립설치한 다음 제작하도록하여 한 개의 거푸집에서 다양한 규격의 옹벽블록을 제작하여 절성토구간의 경사지에 옹벽을 조립설치하도록 하여 옹벽블록의 다양한 규격에따라 다양한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함과 동시에 블록제작에 소요되는 공사비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또한 옹벽을 설치하고자하는 인근의 장소에서 상기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하므로서 블록제작에 따른 품질관리의 철저 및 제작된 블록을 옹벽현장까지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장대한 블록을 운반하여야 하는 교통상의 제약 및 운반시 과도한 충격으로 블록에 치명적인 균열등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을 이용하여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종래에는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은 경사면에 설치되는 옹벽의 배면토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푸팅과 벽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여, 활동, 전도 및 지지력등을 확보하고 옹벽의 단면을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 설치되었으나 상기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현장에서 철근조립과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짐으로서 철근조립, 거푸집조립, 비계설치, 콘크리트타설, 양생등의 작업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면서 공사비가 증가되는 점과 옹벽을 설치하는데 외부 기후등과 공사에 따른 소음 및 먼지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점과 특히 옹벽의 설치를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동절기에는 동결등의 이유로 시공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옹벽을 설치할 때 벽체 및 기초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하여 오고 있습니다.
상기의 기술을 이용하여 옹벽을 조립설치할 경우에는 블록을 제작하기 위하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하나 옹벽블록의 크기가 다양하여 이를다 만족하기 위하여는 다양한 규격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블록을 생산하도록 하여야 하나 거푸집의 제작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으로 현재에는 현실적으로 사용이 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출원번호 20-2003-28621호로 2003년 9월5일 실용신안등록출원한 "옹벽형틀"에 대한 기술의 경우 도 1의 (a)(b)에서 보는바와 같이, 도(a)의 경우, 형틀베이스(100)에 측판을 설치하고 측판이동부재(110)를 설치하고 상기 측판이동부재(110)의 상부에 제1측판유닛(210)을 설치하면서 상기 측판이동부재(110)의 내측단부에 수직프레임을 설치하면서 앵커장착장치(600)를 설치하도록 하여 다양한 규격의 블록을 제작할 때 상기의 형틀베이스(100) 아래에 설치된 처판이동부재(120)를 이동토록하여 측판이동을 유도하고, 두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측판유닛을 상하로 조정하도록 한 것이며, 도(b)의 경우, 처판유닛을 한쌍으로 설치하고 일측에 벽체조인트부 유닛(840)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처판유닛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벽체천단유닛(850)을 설치하여 규격이 다양한 벽체를 제작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의 도 (a)와 (b)에서보는바와 같이 형틀을 이용하여 옹벽을 제작할 때 다수개의 장치를 모두 조작하여 옹벽형틀의 크기를 조작하여야만 옹벽을 제작할 수 있는 점에서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있어 현장부근에서 손쉽게 조립설치할 수 없으며, 이를 이용하여 블록을 간편하게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형틀을 이용하여 블록을 제작할 때 많은 수의 관련기기를 모두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형틀의 제작비와 이를 조작하는 번거로움등이 수반되어 제작에따른 공사비의 증액과 숙련된 조작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형틀의 제작 및 설치와 이를 이용한 생산까지 복잡한 제작단계를 거쳐야만 옹벽을 생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과 종래기술인 도 1과의 차이는 형틀을 이용하여 제작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으나 실제적으로 옹벽을 제작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장치에 있어서, 본 고안의 장치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을 구성하는 직육면체로 형성하기 위한 강판과 다양한 규격의 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벽체블록인 하부판과 기초블럭인 기초블럭상부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판 및 기초블럭 상부판만을 교체하도록 하는 것인 반면에 종래기술인 도 1은 다양한 규격의 옹벽을 제작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장치를 형틀에 설치하면서 이들 장치를 각각의 규격에 해당하는 옹벽을 제작할 때 조작한 후에 상기 옹벽을 제작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옹벽을 제작하기 위하여 현장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장치를 일일이 설치한 후에 한 개의 옹벽을 제작한 다음 또 다른 규격의 형틀을 제작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장치를 조작한 후에 옹벽을 제작하는 매우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만 옹벽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의 장치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에도, 본 고안은 벽체 및 기초블럭을 제작하기 위하여 간단히 강재를 직육면체형상으로 설치하고 상기 블록의 크기를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 벽체블록인 경우에는 하부판만을 기초블럭인 경우에는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만을 교체하고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면 간단히 조립식옹벽을 제작할 수 있으나, 종래기술의 도 1은 옹벽형틀을 제작하기 위하여 관련되는 많은 수의 장치를 옹벽형틀에 설치하고 규격이 다른 옹벽을 제작할 때 마다 관련 기기를 모두 조작한 후에 옹벽을 제작하는 것에 있어서 제작상의 번거로움이 항상 수반되는 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공장 또는 현장에서 벽체 및 기초블럭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을 각각 조립설치한 다음 다양한 규격에따라 상기의 거푸집을 조작하여 다양한 규격의 벽체 및 기초블럭을 제작하여 절성토면의 경사지에 옹벽을 조립설치하도록 하므로서, 다양한 규격의 옹벽블록을 한 개의 거푸집을 이용하여 블록을 제작하므로서 거푸집의 제작과 설치비용의 절감 및 단순한 조립설치에 따른 간편한 제작과 공장 또는 현장인근에서 블록을 제작하므로서 장대한 블록을 현장으로 운반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 장대한 블록을 운반할 때 편중된 하중에 의하여 블록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품질이 확보되는 조립식옹벽을 설치하기 위한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을 이용하여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옹벽블록을 조립설치하기 위한 벽체와 저판의 옹벽형틀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한 조립식옹벽
블록을 사용하여 조립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중 벽체블럭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벽체블럭 거푸집의 측면판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4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의 하부판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의 벽체블럭 하부판 연결 거푸집인 "C"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벽체블럭 거푸집내에 철근조립과 PC 강연선을 배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중 기초블럭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기초블럭 거푸집의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D"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고안의 전면부 지지블록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고안의 후면부 지지블록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고안의 벽체블럭 거푸집과 기초블럭 거푸집의 후면부 및 상부
면에 설치된 걸고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6(a)(b)는 도 15의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 상부철판을 관통하여
걸고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형틀베이스 110... 측판이동부재
120... 처판이동부재 210... 제1측판유닛
800... 벽체용옹벽형틀 820... 처판유닛
830... 측판유닛 840... 벽체조인트유닛
900... 앵커정착장치
10... 조립식옹벽 20... 조립식옹벽블럭
30... 벽체블럭 31... 측면
32... 벽체가로돌출부 33... 벽체블럭측면연결홈
34... 벽체블럭하부연결홈 35... 하부면
36... 기초블럭세로홈부 37... 배수구
38... 벽체쉬스삽입홈 39... 벽체문양부
40... 벽체블럭측면가로홈 41... 걸고리
42... 상부면
50... 기초블럭 51... 후면부
52... 기초블럭연결홈 53... 기초블럭세로돌출부
54... 기초블럭가로돌출부 55... 기초블럭돌출부
56... 기초블럭상부판 57... 기초블럭상부연결홈
58... 기초블럭연결홈 59... 전면부
70... 벽체블럭거푸집 71... 상부판
72... 하부판 73... 측면가로돌출거푸집
74... 측면고정날개편 75... 오목부
76... 측면가로홈 거푸집 77... 고정구멍
78... 구멍 79... 철근정착부
80... 하부판 고정날개편 81... 측면판
82... 콘크리트타설표시부 83... 벽체블럭측면연결홈거푸집
84... 덮개판 85... 돌출부
86... 지지판 87... 하부판측면홈부
88... 하부판측면돌출부 89... 벽체블럭하부판연결홈거푸집
90... 철근 91... PC 강연선정착구
92... 벽체쉬스삽입홈 93... 기초블럭가로홈부
94... 기초블럭측면부거푸집 95... 측면부고정날개편
96... L형 부재 97... 수직부재
98... 수평부재
100... 기초블럭거푸집 101... 기초블럭돌출거푸집
102...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 103... 기초블럭가로홈거푸집
105... 기초블럭세로홈 거푸집 106... 하부면
107... 지지강재 108... 후면부
109... 기초블럭세로돌출거푸집 110... 후면부지지블록
111... 상부면 112... 전면부
113... 전면부지지블록 114... 강선
115... 고정구 116... 기초블럭가로돌출거푸집
117... 기초블럭상부연결홈거푸집 118... 몸체
119... 장공 120... 판재
121...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상부 철판
122... 벽체블록거푸집의 후면부 철판
123... 기초블럭연결홈 거푸집
본 고안은 절토 또는 성토에 의하여 형성된 절성토부의 토사가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성토부의 단면형상에따라 조립식옹벽블록(20)인 벽체블럭(30)과 기초블럭(50)을 조립설치하여 옹벽(10)을 구축하기 위하여 현장부근에서상기 조립식옹벽블록(20)을 제작하기 위한 조립식 옹벽블록인 벽체 및 기초블럭 거푸집(70,100)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조립식 옹벽블럭(20)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성토 구간의 다양한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벽체블럭(30)을 제작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일정한 규격의 상협하광형태의 강재를 직육면체로 설치하되 전면부(96)와 후면부(97)는 일정한 경사가 형성되도록 하고, 전면부(96)는 개방되도록 하고, 후면부(97)는 강판을 이용하여 양측에 설치된 측면판(81)과 연결하도록 하며, 상기 측면판(81)은 각각 측면가로홈(76)과 측면가로돌출부(73)가 형성된 거푸집으로 하고, 상기 후면부(97)를 이루는 강판의 양측에 상기 측면판(81)을 설치하면서 외측에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강재를 조립설치하고, 상기 후면부(97)를 이루는 강재의 상하부에 상부판(71)과 하부판(72)을 각각 설치하되 상기 상부판(71)은 고정조립되고, 상기 하부판(72)은 다양한 규격의 벽체블럭(30) 제작을 위하여 상기 양측에 설치된 측면판(81)에 다양한 규격의 하부판(72)이 각각 조립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측면판(81)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조립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상협하광형태로 하면서 전면부(96)는 개방되게 하여 철근 배근 및 콘크리트 타설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후면부(97)는 강판으로 막아놓아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 후면부(97)와 양측의 측면판(81)을 제거하면 벽체블록(30)이 형성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체블록(30)의 길이 즉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판(81)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판(72)의 규격을 다양하게 하여 각각의 높이에 해당하는 하부판(72)을 상기 한쌍의 측면판(81)의 사이에 가로로 측면판(81)의 중간중간에 설치한 후에 철근(90)을 상기 하부판(72)에 형성된 철근 정착부(79)에 철근을 배근하여 일정한 규격의 철근배근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또한 상기 철근 정착부(79) 겸용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9)의 역할을 하여 상기 벽체블럭거푸집(70)에 의하여 제작된 벽체블럭(30)을 기초블럭(50) 위에 설치할 때 상기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9)에 의하여 형성된 연결홈과 상기 기초블럭(50)의 기초블럭 연결홈(52)에 형성된 철근(90)을 커플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상호연결하는데 이용한다.
한편, 상기 기초블럭(50)을 제작하기 위하여 기초블럭거푸집(1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지강재(107) 위에 전면부 지지블록(113)을 설치하면서 연이어서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에 연이어서 후면부지지블록(110)을 연결설치한 다음 상기 전면부 지지블록(113)과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 및 후면부지지블록(110)의 양측면에 기초블럭세로홈(105) 및 기초블럭세로돌출부(109)가 형성된 측면판 거푸집(81)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강재(107)를 조립설치하면서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의 양측에 설치된 측면판(81)에는 기초블럭가로돌출(116) 및 홈(93) 거푸집인 측면판(81)을 설치하되, 기초블럭세로홈 (105)및 돌출부(109)와 기초블럭가로홈(93) 및 돌출부(116)가 서로 만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기초블럭세로홈 및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 측면판(81)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양측에 전면부(113) 및 후면부지지블록(110)과 접하는 부분에는 지지강재(107)를 설치하고 이들 지지강재에 형성된 구멍에 강선(114)을 상호 연결설치하고 고정구(115)로 고정하여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113,110)과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이 서로 고정되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규격은 상기 벽체블럭 거푸집(7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판(72)의 규격과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며, 특히 벽체블럭(30)의 철근 정착부(79) 겸용 벽체블럭 하부판연결홈 거푸집(89)에 의하여 형성된 홈의 규격과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의 철근 정착부(79) 겸용 기초블럭 상부 연결홈 거푸집(117)에 의하여 형성된 홈의 규격이 서로 동일하며 또한, 상기 벽체블럭(30)의 하부판(72)의 규격과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규격이 동일하여야 하므로 이에따른 철근 정착부 겸용 기초블럭 상부 연결홈 거푸집의 설치 위치 또한 동일해야 상기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된 벽체(30) 및 기초블록(50)이 서로 상하로 정확하게 연결조립되도록 한다.
상기 벽체블럭 거푸집(70)을 형성하는 하부판(72), 측면판(81) 및 후면부(97)를 형성하는 강판과 기초블럭거푸집(100)을 형성하는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 측면판(81) 및 상부면(111)을 형성하는 강판과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을 지지하기 위하여 좌우에 고정설치된 전면부 지지블록(113), 후면부 지지블록(110)은 해체조립이 간편하도록 조립연결설치되었으며,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거푸집의 주위에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강재(107)를 주변에 설치하여 지지하도록 하여 거푸집을 이용하여 벽체 및 기초블럭을 제작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한 조립식옹벽블록을 조립하여 조립식옹벽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조립식 옹벽블록(20)은 벽체블럭(30)과 기초블럭(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벽체블럭과 기초블럭을 제작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각각 설치하여 제작한 조립식 옹벽블록(20)을 이용하여 조립식옹벽(10)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벽체블록(30)은 블록의 전체면 또는 상단부와 같은 일부분에 문양부를 형성하고 벽체의 양측면에 조립을 위한 벽체블럭측면 연결홈(33)을 복수개 이상 설치하여 연이어 설치된 또 다른 벽체블럭(30)과 연결홈(33)내에 볼트 또는 커플러(미도시)를 체결하여 연결하도록 하면서 상기 벽체블럭(30)의 좌우에 벽체가로 돌출부(32) 및 홈부(93)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블럭(30)이 연이어서 설치되어 상기 연결홈에 의하여 연결조립할 때 상기 벽체가로 돌출부 및 홈부를 연이어서 설치된 또 다른 벽체블록과 접속이음하도록 하여 조립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기초블럭(50)은 상기 벽체블럭(30)이 설치되는 지반 위에 설치되어 그 위에 벽체블럭(30)이 상하로 연결조립설치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기초블럭(50)을 지반 위에 연이어서 설치하면서 기초블럭 가로, 세로 돌출(54,53) 및 홈부(93,36)를 상호 연결조립되도록 하면서 연이어서 설치된 또 다른 기초블럭(50)의 측면에 설치된 기초블럭연결홈(52)내에 설치된 철근(90)을 커플러(미도시)를 이용하여 체결하여 조립설치되도록 한 다음 벽체블럭(30)의 하부에 설치된 벽체블럭 하부 연결홈(34)내에 설치된 철근(90)과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56)에 설치된 기초블럭 상부 연결홈(57)내에 설치된 철근을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기 벽체블럭(30)과 기초블럭(50)을 상하로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기 벽체블럭(30)의 하부면(35)에 형성된 돌출부와 홈부내에 상기 기초블럭(50)의 상부판(56)에 형성된 기초블럭 돌출부(55)를 상기 벽체블럭(30)의 하부면(35)에 형성된 홈부내에 상기 벽체블럭(30)의 하부면(35)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56)에 형성된 홈부내에 각각 삽입조립연결되도록 하여 조립식옹벽(10)을 설치하도록 한 후에 상기 연결홈내에 충전재를 충전시켜 커플러가 풀리지 않고 부식되지 않도록 하면서 벽체 및 기초블럭의 연결되는 면과면사이에 몰타르로 충전하도록 하면서 상기 벽체블럭(30)의 몸체내에 설치된 벽체쉬스 삽입홈(38)내에 설치된 쉬스와 기초블럭내에 설치된 쉬스를 서로 연통되도록 하고 강연선을 관통설치하여 상하로 연통되도록 한 후에 벽체쉬스 삽입홈(38)내에 설치된 정착구(91)와 상기 기초블럭(50)의 하부에 설치된 정착구(91)에 상기 강연선을 각각 정착고정하도록 하면서 긴장력을 도입하여 압축력에 의하여 보다더 긴밀한 연결조립이 되면서 토압에도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4는 본 고안의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중 벽체블럭 거푸집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과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벽체블럭(30)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 지반 위에 설치된 지지강재(107) 위에 상협하광형태로서 직사각형의 일정한 규격의 강판인 후면부(97)를 설치하고, 상기 강판의 상부에 상부판(71)을, 상기 상부판(71)의 좌우에 측면가로돌출(73) 및 홈(76)이 각각 설치된 거푸집인 측면판(81)을 조립설치하고, 상기 양쪽 측면판(81) 사이의 하부에는 하부판(72)을 설치하되, 상기 측면판(81)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설치된 측면고정 날개편(74)을 설치하여, 상기 측면판(8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판(72)의 상하부에 설치된 하부판 고정날개편(80)과 각각 서로 접하게 하여 상기 각각의 고정날개편에 형성된 고정구멍(77)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하여 벽체블럭(30)을 제작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하부판(72)이 밀리지 않게 고정하기 위함이며, 보다 확실히 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판(81)의 상하에 구멍(78)을 형성하여 하부판(72)에 설치된 스토퍼(미도시)를 상기 구멍(78)에 삽입고정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날개편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판(72)은 벽체블럭(30)의 규격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의 하부판(72)을 설치하여 벽체블럭(30)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각각의 크기의 하부판(72)을 측면판(81)에 조립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날개편(74,80)을 각각 설치하여 이들을 상호 연결토록 하면서 보완적으로 측면판(81)에 구멍(78)을 뚫고 하부판(72)의 양측면에 스토퍼를 설치하여 상기 구멍(78)내에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판(72)의 중앙부에는 오목부(75)와 볼록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72)의 상하부에 철근 정착부(79) 겸용 벽체블럭의 하부판에 형성된 연결홈을 형성하는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3)을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판(72)의 좌우측, 즉 측면판(81)과 접촉하는 면에 측면판(81)에 형성된 측면가로 돌출(73) 및 홈(76)의 형상과 같은 하부판 측면돌출(88) 및 홈부(87)를 형성하여 서로 밀접한 접촉이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81)의 상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의 벽체블럭측면 연결홈 거푸집(83)을 각각 설치하여 향후 제작되는 벽체블럭(30)의 양측면에 벽체블럭 측면 연결홈(33)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측면판(81)의 내측부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콘크리트 타설표시부(82)를 설치하여 상기 벽체블럭(30)의 다양한 벽체의 규격에따라 콘크리트의 타설량을 조절하여 상기 벽체블럭(30)의 두께를 조절하여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벽체블럭(30)의 측면에 형성된 벽체블럭측면 연결홈(33)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83)이다.
상기 벽체블럭 측면연결홈거푸집(83)은 구멍이 형성된 수직부재(97)와 상기 수직부재(97)에서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수평부재(98)로 이루어진 L형 부재(96)를 측면판(81)에 부착하고, 상기 수직부재(97)의 중앙에는 구멍(78)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형성된 구멍(78)은 인접하여 설치된 옹벽에 설치된 또 다른 상기 벽체블럭측면연결홈거푸집의 수직부재와 접하게 설치한 다음 커플러 또는 볼트를 상기 구멍에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하도록 하여 옹벽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L형 부재가 설치된 부근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타설되지않도록 조치하여 추후에 상기 L형 부재를 이용하여 인접한 또 다른 L형 부재의 수직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볼트 또는 커플러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4의 단면 B-B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측면판(81)의 좌우에 상하부에 고정구멍(77)이 형성된 측면고정날개편(74)을 설치한 하부판(72)을 설치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하부판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부판(72)의 좌우측에 하부판 측면 돌출(88) 및 홈부(87)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오목부(75)와 돌출부(미도시)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72)의 좌우 상하부 측면에 고정구멍(77)이 형성된 하부판 고정날개편(80)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부판(72)의 상하부 측면연단부에 철근 정착부(79) 겸용 벽체블럭 하부판연결홈 거푸집(89)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89)의 설치 개수는 옹벽블럭이 설치될 때 토압을 직접적으로 받는 벽체가 지반의 흙과 직접 첩촉하는 면의 하부에 설치하는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9)의 개수는 지반의 흙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전면부(96)의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거푸집의 개수보다 많게 설치하도록 하여 향후에 상기 벽체블럭 거푸집(70)에 의하여 제작된 벽체블럭(30)이 조립설치되어 상기 벽체블럭에 지반의 토압이 작용할 때 직접 토사와 접하는 부분의 압력이 벽체블럭의 전면부의 토압보다 더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이를 더 강하게 저항하여 강성이 보다 강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도 7의 벽체블럭 하부판 연결 거푸집인 "C"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도면으로서, 하부판(72)의 상하부 연단부에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하부판(72)의 내측, 즉 벽체블록(30)을 제작하기 위하여 철근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부분에, 중앙부에 구멍(78)이 형성된 덮개판(84)을 설치하고 그 양측부에 지지판(86)을 설치하면서 하부판(72)의 내측에 용접설치한 돌출부(8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하부판(72)에 구멍(78)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78)이 형성된 하부판(72)의 외측에 철근정착부(79)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덮개판(84) 및 하부판(72)에 구멍(78)을 설치한 것은 상기 벽체블록거푸집(70)의 내측에 철근을 설치하면서 철근의 일정길이가 상기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9)의 돌출부(85)인 덮개판(84)의 구멍(78)과 하부판(72)의 구멍(78)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설치되도록 하면서 철근 정착부(79)로 고정정착하여 철근을 정착하도록 하는 역할과 동시에 상기 도 2의 벽체블럭하부 연결홈(34)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9)을 설치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벽체블럭 거푸집내에 철근조립과 PC 강연선을 배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2내지 도 8까지 도면을 설명한 것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벽체블럭거푸집(70)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여 벽체블럭(30)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벽체블럭의 전면부(96), 즉 토사에 접하지 않는 벽체부분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개수의 벽체쉬스 삽입홈(92)을 설치하고 상기 삽입홈(92)내에 정착구(91)를 설치하도록 하여 향후에 본 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기초블럭거푸집(100)의 하부에 설치된 강연선정착구(91)에 상기 벽체블럭(30)에 설치된 쉬스내에 삽입된 강연선과 상기 기초블럭(50)하부에 설치된 강연선정착구(91)에 상호연결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의 벽체블럭하부연결홈(34)을 형성하기 위한 벽체블럭하부판연결홈 거푸집(89)을 설치하고, 상기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9)에 의하여 형성된 벽체블럭하부연결홈(34)내에 설치된 철근(90)과 상기 기초블럭상부 연결홈(57)내에 설치된 철근을 상하로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조립되도록 하면서 상기 벽체블럭의 하부면(35)에 형성된 돌출부 및 홈부(미도시)와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56)에 형성된 돌출부 및 홈부가 상호 끼워지게 하여 밀실한 상하 연결조립이 되도록 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중 기초블럭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조립식 옹벽블럭(10)을 형성하는 벽체블럭(30)이외에 기초블럭 거푸집(100)에 대한 것으로서, 일정한 두께의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되 지지강재(107) 위에 상부면(111)을 형성하는 강판을 설치하되 전면부(112)를 이루는 강판을 설치하고 일정거리를 두고 후면부(108)를 이루는 강판을 설치하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설치된 일정거리의 사이에 도 2의 기초블럭 상부판(56)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을 설치하면서 상기 전면부(112)의 하부에 전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전면부 지지블록(113)을 설치하여 하부에서 전면부의 강판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후면부의 하부에도 후면부 지지블록(110)을 설치하여 후면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양측면에 하부로 지지강재(107)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강재에 설치된 홈내에 고정구(115)를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에 강선(114)을 다수개 상호연결하여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을 지지하도록하면서 상기 전면부지지블록(113)과 후면부 지지블록(110)을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112)와 후면부(108)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을 설치하여 상부면을 형성한 가로면 양측과 세로면의 한측면에 일정한 높이의 측면판(81)을 설치하고, 상기 측면판을 설치하지 않은 세로면에는 가변형의 기초블럭측면부거푸집(94)을 설치하여 상기 기초블럭(50)의 규격이 변화함에따라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규격도 같이 변화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기초블럭(50)의 크기를 변화하도록 하면서 상기 기초블럭측면부 거푸집(94)도 가변형으로 하여 상기 기초블럭(50)의 규격이 변화함에따라 같이 후면부(108)의 길이가 다르게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양측면에 설치된 측면판(81)에는 기초블럭 가로 돌출(116) 및 홈(103)이 형성된 측면판(81) 거푸집을 설치하되, 상기 기초블럭 가로돌출(116) 및 홈(103)과 향후에 설명하게되는 기초블럭 세로 돌출(109) 및 홈(105)이 형성된 측면판(81)의 거푸집을 설치하되 상기 기초블럭 가로돌출(116) 및 홈(103) 거푸집에 형성된 가로돌출 (116)및 홈(103)에서 일정거리 떨어지게 형성한 상기 기초블럭 세로 돌출(109) 및 홈(105)이 형성된 거푸집을 설치하도록 한다.
가로돌출 및 홈과 세로 돌출 및 홈이 서로 접하지 않게 하여 향후에 제작되는 기초블럭이 서로 연이어서 설치될 때 상기 가로돌출 및 홈내에 상호 맞물려 접합될 때 상기 세로돌출 및 홈이 상호 겹쳐져 원활하게 겹쳐져 연결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기초블럭 측면부 거푸집(94)의 상하부에 도 7에서 언급한 고정날개편(80)과 같은 기능을 하는 측면부 고정날개편(95)을 설치하여 측면부(8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측면부고정날개편(74)과 상호 연결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초블럭측면부 거푸집(94)의 양측면에도 또한 상기 측면판(81)에 설치된 기초블럭 세로 돌출(109) 및 홈(105)에 맞는 돌출(109) 및 홈(105)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부(81)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 타설표시부(82)를 다수개 형성하여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규격이 달라짐에따라 상기 기초블럭측면부 거푸집(94)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블럭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또한 기초블럭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타설시 일정한 두께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체적으로 상기 벽체블럭(30)의 하부판(72)과 기초블럭(50)의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의 규격이 동일하도록 하여 향후에 제작된 벽체블럭과 기초블럭이 상하로 연결홈과 오목부 및 볼록부에 의하여 상호 정확히 접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더불어 규격이 달라지면 각각의 블록의 두께도 달라져야 하므로 상기 하부판(72)을 두께의 변화에 맞는 하부판(72)을 교체설치하도록하고 상기 기초블럭 측면부 거푸집(94)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동시켜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초블럭거푸집(100)의 측면판(81)의 하부에 전면부(112) 및 후면부(108)와 서로 만나는 부분에 기초블럭돌출거푸집(101)을 설치하여 향후에 기초블럭 제작시 기초블럭연결홈(58)을 설치하여, 상기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기초블럭(50)을 연이어서 서로 연결하고 전면부(112)와 후면부(108)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상기 기초블럭연결홈(58)에 연장설치된 철근을 커플러로 상호 연결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기초블럭 거푸집의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1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좌우측에 기초블럭가로 돌출(116) 및 홈(103) 거푸집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오목부(75)와 돌출부(미도시)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의 상하부 측면연단부에 철근 정착부(79) 겸용 기초블럭상부판 연결홈 거푸집(117)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117)의 설치 개수는 상기 벽체블럭(30)에 형성된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89)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벽체블럭(30)과 상하로 연결시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도 12는 도 11의 "D"부분을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의 상하부 연단부에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내측, 즉 기초블록(50)을 제작하기 위하여 철근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부분에,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덮개판(84)을 설치하고 그 양측부에 지지판(86)을 설치하면서 상부판(102)의 내측에 용접설치한 돌출부(85)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상부판(102)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78)이 형성된 상부판(102)의 외측에 철근 정착부(79)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덮개판(84) 및 상부판(102)에 구멍(78)을 설치한 것은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의 내측에 철근을 설치하면서 철근의 일정길이가 상기 기초블럭상부연결홈 거푸집(117)의 돌출부(85)인 덮개판(84)의 구멍(78)과 상부판(102)의 구멍(78)을 관통하여 일정길이 설치되도록 하면서 철근 정착부로 철근을 정착하는 역할과 동시에 상기 도 2의 기초블럭상부 연결홈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기초블럭상부 연결홈 거푸집을 설치한 것이다.
도 13과 14는 본 고안의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을 각각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기초블럭(50)의 상부면(111)인 전면부(112)와 후면부(108)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부에는 전면부 지지블록(113)을 후면부에는 후면부 지지블록(110)을 상부면(111)의 강판아래에 설치하여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을 설치하고 상기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의 양측에 설치된 후면부 지지블록(110)과 전면부 지지블록(113)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강재(107)에 고정구를 설치하여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을 강선(114)으로 상호 연결하여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102)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후면부 및 전면부 지지블록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도의 전면부 지지블록(113)은 직육면체로서 하부에 지지강재(107)를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과 접한 부분에 설치된 지지강재(107)에는 구멍을 설치하도록 하고, 후면부 지지블록은 직육면체로서 하부에는 지지강재(107)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 지지강재(107)에는 구멍을 설치하여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에 인접하여 설치된 후면부 및 전면부 지지블록(113,110)에 설치된 지지강재(107)에 형성된 구멍에 강선(114)을 서로 연결한 후에 고정구(115)를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102)과 후면부 및 전면부 지지블록(113,110)을 조립식으로 한 것은 상기 기초블럭이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되기 위하여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도 또한 상기 기초블럭과 벽체블럭의 하부판 규격과 동일한 규격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를 교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한 것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벽체블럭 거푸집과 기초블럭 거푸집의 후면부 및 상부면에 설치된 걸고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조립식옹벽블록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서 이를 현장에 조립하여 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상기 조립식 옹벽블록(20)인 벽체(30) 및 기초블록(50)을 운반 설치하여야 하나 중량물인 관계로 쉽게 이동할 수 없으며 또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벽체 및 기초블럭을 들어올릴 때 하중이 한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블록에 균열내지는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상기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작된 상기 블록을 이동하여 목적하는 장소에서 조립설치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므로, 본 도 및 도 16에서 설명하고자하는 방법으로 걸고리를 설치하여 상기 블록을 제작하되 상기 걸고리에 의하여 블록이 제작되는데 지장을 받아서는 또한 않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걸고리의 설치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벽체블록(30)을 제작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게되는데 철근을 배근하는 과정에서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전면부(96) 및 후면부(97)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개의 걸고리(41)를 형성하게되는데 상기 벽체블록의 전면부는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걸고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벽체블록을 제작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후면부(97)에 설치되는 걸고리의 경우 벽체블록 거푸집(70)의 후면부 철판(122)을 관통하여 걸고리(41)를 설치하게되어야 하나 이렇게 되면 상기 벽체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걸고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장공(119)을 형성한 곳으로 콘크리트가 빠져나오고 또한 콘크리트에 포함된 물도 또한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벽체블럭 거푸집의 후면부 철판에 일정한 위치에 장공(119)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막을 수 있도록 거푸집의 내측으로 판재(120)를 설치하고 걸고리가 판재를 관통하여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된 철근에 연결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장공이 상기 판재에 의하여 막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및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기초블록을 제작하는 경우에도 기초블록(50)을 제작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서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게되는데 철근을 배근하는 과정에서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기초블럭의 상부면(111)과 하부면(106)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다수개의 걸고리(41)를 형성하게되는데 상기 기초블록(50)의 하부면(106)은 개방된 부분으로 상기 걸고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기초블록을 제작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상부면(111)에 설치되는 걸고리(41)의 경우 기초블록 거푸집의 상부면인 전면부와 후면부 지지블록(113,110) 상부철판(121)에 걸고리(41)를 설치하여야 하나 이때 걸고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 상부 철판(121)에 장공(119)을 형성하여 걸고리(41)를 설치하게되어야 하나 이렇게 되면 상기 기초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걸고리를 설치하기 위하여 장공을 형성한 곳으로 콘크리트 및 물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초블럭 거푸집(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 상부 철판(121)에 일정한 위치에 장공(119)을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장공을 막을 수 있도록 거푸집의 내측으로 판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판재를 관통한 걸고리(41)가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된 철근에 연결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장공이 판재에 의하여 막히도록 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및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재는 스티로폼 판재 또는 고무판과 같은 탄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도 16(a)(b)는 도 15의 전면부 및 후면부 지지블록 상부철판을 관통하여 걸고리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상기 도 15에서 이미 설명한 것을 다시한번 상세히 도면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본 도에서는 설명을 생략합니다.
다만, 도 16(a)는 기초블럭(50)에 걸고리(41)를 설치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16(b)는 벽체블럭(30)에 걸고리(41)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은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 또는 인근의 공장에서 거푸집을 다양하게 조립설치하여 옹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형에 맞는 옹벽블록을 제작하여 현장에서 즉시 조립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옹벽블록거푸집을 이용하여 조립식옹벽블록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블록은 현장에 즉시 이동하여 조립설치할 수 있어 이동에 따른 교통통제등과 같은 문제점과 이동시 블록에 가해지는 응력의 편중등과 같은 것으로 인하여 블록에 발생되는 균열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괄적으로 한곳에서 제작하므로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또한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블록의 표면이 미려하여 옹벽에 직접 설치하더라도 블록의 미려한 외관에 의하여 경관에 해를 주는 일이 없는 매우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블록제작방법인 것이다.

Claims (12)

  1. 삭제
  2. 절성토 면에 조립식으로 옹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조립식 옹벽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벽체블록 및 기초블록 거푸집으로 이루진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벽체블록거푸집은 지반 위에 설치된 지지강재 상에 상협하광형태로서 직사각형의 강판을 설치하여 후면부를 설치하고, 상기 강판의 상부에 상부판을, 상기 상부판의 좌우에 측면가로돌출 및 홈이 각각 형성된 거푸집인 측면판을 조립설치하고, 상기 양측 측면판의 하부에는 벽체블럭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하부판을 설치하되, 상기 측면판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설치된 측면고정 날개편을 설치하여, 상기 양쪽 측면판 사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판 측부의 상하부에 설치된 하부판 고정날개편과 각각 서로 접하게 하여 상기 각각의 고정날개편에 형성된 고정구멍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고정되도록 하여 형성한 거푸집인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양쪽의 측면판 사이의 하부에 탈착이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판의 상하부 연단에 철근 정착부 겸용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을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판의 좌우측면에는 측면판에 형성된 측면가로 돌출 및 홈의 형상과 같은 하부판 측면돌출 및 홈부가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의 길이방향으로 상하부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이상의 벽체블럭측면 연결홈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측면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콘크리트 타설표시부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블럭측면 연결홈 거푸집은 구멍이 형성된 수직부재(97)와 상기 수직부재(97)에서 수평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수평부재(98)로 이루어진 L형 부재(96)를 측면판(81)에 부착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정착부 겸용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은 하부판의 상하부 연단부에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하부판의 내측, 즉 벽체블록을 제작하기 위하여 철근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부분에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덮개판을 설치하고 그 양측부에 지지판을 설치하면서 하부판의 내측에 용접설치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하부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이 형성된 하부판의 외측에 정착구를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블럭 거푸집의 전면부, 즉 토사에 접하지 않는 벽체부분의 일정한 위치에 일정개수의 벽체쉬스 삽입홈을 설치하고 상기 삽입홈내에 정착구를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쉬스관내에 강연선을 삽입하고 정착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럭거푸집은 지반에 설치된 지지강재 위에 상부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강판을 설치하되, 전면부를 이루는 강판을 설치하고 일정거리를 두고 후면부를 이루는 강판을 설치하면서,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설치된 사이의 일정거리에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 전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전면부 지지블록을 설치하면서, 상기 후면부의 하부에도 후면부 지지블록을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설치된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부 지지블록과 후면부 지지블록이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과 접하는 면에 지지강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강재에 강선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구로 고정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기초블럭상부판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부면을 형성한 가로면 양측과 전면부 측의 세로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콘크리트 타설표시부가 형성된 일정한 높이의 측면판을 설치하고, 상기 측면판을 설치하지 않은 세로면에는 가변형의 기초블럭측면부거푸집을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기초블럭측면부 거푸집의 양측면 상하부에 측면부고정날개편을 설치하고,
    상기 측면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측면부 고정날개편을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기초블럭측면부 거푸집에 설치된 측면부 고정날개편과 상기 측면판에 설치된 측면부 고정날개편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럭거푸집.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양측면에 설치된 측면판에는 기초블럭 가로돌출 및 홈이 형성된 측면판 거푸집과 기초블럭 세로 돌출 및 홈이 형성된 측면판 거푸집을 설치하되, 가로돌출 및 홈과 세로 돌출 및 홈이 서로 접하지 않고 가로돌출 및 홈의 주위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부분에서 세로 돌출 및 홈이 형성된 거푸집이 설치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 옹벽블록 거푸집.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거푸집은 좌우측면에 기초블럭가로 돌출 및 홈 거푸집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오목부와 돌출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상하부 측면연단부에 철근 정착부 겸용 기초블럭상부 연결홈 거푸집을 설치하고, 일정한 위치에 쉬스관을 설치한 다음 정착구를 설치하여 강연선을 정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정착부 겸용 기초블럭상부 연결홈 거푸집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내측에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덮개판을 설치하고 그 양측부에 지지판을 설치하면서 하부판의 내측에 용접설치한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하부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이 형성된 하부판의 외측에 정착구를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록거푸집.
  12. 제 3항 또는 제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과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은 상기 벽체블록과 기초블록의 규격이 변화함에따라 같이 그 규격이 변화하되 상기 하부판의 규격과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규격은 동일하게 변화되도록 하고, 상기 기초블럭 상부판 거푸집의 상하부 측면연단부에 철근 정착부 겸용 기초블럭상부 연결홈 거푸집을 설치하되, 상기 거푸집의 설치 개수는 상기 벽체블럭에 형성된 벽체블럭하부판 연결홈 거푸집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설치하도록 하여 상기 벽체블럭과 상하로 연결시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립식옹벽블럭거푸집.
KR20-2004-0021739U 2004-07-29 2004-07-29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KR200371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39U KR200371989Y1 (ko) 2004-07-29 2004-07-29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739U KR200371989Y1 (ko) 2004-07-29 2004-07-29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968A Division KR100696910B1 (ko) 2004-07-29 2004-07-29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89Y1 true KR200371989Y1 (ko) 2005-01-10

Family

ID=49443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739U KR200371989Y1 (ko) 2004-07-29 2004-07-29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9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462B1 (ko) 프리캐스트 가로보 제작방법 및 프리캐스트 가로보 시공방법
CN110268124B (zh) 一种预浇筑加强重型混凝土护土墙
JP5431782B2 (ja) コーナー用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82522B1 (ko)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26886A (ko) 횡방향 다경간 급속시공을 위한 편측 캔틸레버 박스형 거더를 구비한 구조물
KR101675441B1 (ko) 일체형 벽체, 일체형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및 그 제작방법
KR20080004835U (ko) 조립식 콘크리트 암거
JP4108219B2 (ja) カルバートの構築方法
KR102157763B1 (ko) 앵커패널과 개비온월이 구비된 절토부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102002429B1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371989Y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KR20050075777A (ko) 프리캐스트 트랜스퍼 거더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을시공하는 방법
KR101301073B1 (ko) 긴장재를 이용한 부벽식 개거수로 및 그 시공방법
JP2016079695A (ja) 梁の構築方法および梁用プレキャスト板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125808B1 (ko)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KR100805555B1 (ko) 다분할 세그먼트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KR10212084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KR19990079265A (ko) 현장타설형 조립식 암거
KR20090006320A (ko) 도로확장형 옹벽 구조
KR100389535B1 (ko) 지하철 지하구조물 방수 시공 공법 및 그 패널
KR20120125805A (ko) 분할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및 그 제조방법
JP3720025B2 (ja) 大型ボックスカルバート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