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808B1 -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808B1
KR102125808B1 KR1020180106576A KR20180106576A KR102125808B1 KR 102125808 B1 KR102125808 B1 KR 102125808B1 KR 1020180106576 A KR1020180106576 A KR 1020180106576A KR 20180106576 A KR20180106576 A KR 20180106576A KR 102125808 B1 KR102125808 B1 KR 10212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ast member
wall
flange
constructing
abdo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200A (ko
Inventor
최익준
유영기
이난희
이준기
이은석
김병준
전병갑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8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1)와 결합되어 대형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부재에 있어서, 제1 프랜지(110), 제2 프랜지(120) 및 상기 제1 프랜지(110)와 상기 제2 프랜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로 형성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복부(130)를 기준으로 양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타설로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컬럼슈 방식의 임시 고정방식을 통해 시공의 용이성 및 안전사고 발생의 방지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Precast unit For large wall construction}
본 발명은 대형벽체 시공을 위한 프리캐스트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부재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콘크리트 등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양생하는 것만으로 대형벽체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부재의 기립과 연결 시공 과정에서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형벽체의 경우 현장 시공방법만으로 시공을 수행하는 경우 공사기간이 장기화되고, 부재의 소요가 많으며 균일한 품질을 담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PC월을 이용하여 현장에 설치하여 현장 타설분만을 타설하는 방식의 프리캐스트 시공방식이 도입되고 있다.
프리캐스트 시공방식으로 널리 알려진 것으로는 PTW(PC Trust Wall)와 MDW(Mega Double Wall) 방식의 대형벽체 시공방법이 있다.
PTW 방식의 시공방법은 상판과 하판이 트러스 방식으로 결합된 프리캐스트 부재를 사용하여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현장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을 위해서는 2회의 타설이 필요함과 아울러 상하반전의 과정이 요구되므로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과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초와 벽체의 철근 겹이음이 신구콘크리트계면을 통해 이루워지며, 기초에서 연속화된 휨철근의 모멘트 팔길이 감소로 인해 내력발휘 효율이 낮아 추가적인 배근이 요구되므로 사용되는 철근량이 증가되며, 앵커 지지철물로 임시 지지하는 방식을 취하므로 설치오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MDW 방식은 PTW 제작 시 상하단 반전이 필요요소를 극복하였으나, 복잡한 web 부분의 철근조립 및 콘크리트 부분타설이 선행되어야 하고 콘크리트 1회 타설 후 거푸집을 탈형 후 콘크리트를 2회 타설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이 용이하고, 프리캐스트 부재의 현장 시공이 용이한 대형벽체 시공을 위한 부재 및 시공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9096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012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389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334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0235
본 발명은 종래의 프리캐스트 방식의 대형벽체 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타설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이 용이한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컬럼슈 방식의 임시 고정방식을 통해 시공의 용이성 및 안전사고 발생의 방지의 효과를 갖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이용하여 기초에 매립된 철근과 대형벽체를 이루는 프리캐스트 부재에 매립된 철근의 일체화를 도모할 수 있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 타설의 범위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벽체 시공의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초(1)와 결합되어 대형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부재에 있어서, 제1 프랜지(110), 제2 프랜지(120) 및 상기 제1 프랜지(110)와 상기 제2 프랜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로 형성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복부(130)를 기준으로 양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상기 기초(1)에 매립된 노출철근(2)이 삽입되는 삽입공(20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00)은 스플라이스 슬리브(210)가 상기 본체(100)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라이스 슬리브(210)는 상기 본체(100)에 매립된 매립철근(140)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철근(2)이 삽입되는 내부공간(211)을 포함하되, 상기 스플라이스 슬리브(210)는 상기 내부공간(211)으로 충진재가 주입되는 주입부(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랜지(110)와 상기 복부(130)의 연결부에는 제1 단면 확장부(151)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단면 확장부(151)의 폭(a)은 상기 복부(130)의 폭(b)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일 수 있다 .
또한, 상기 제1 단면 확장부(151)가 위치된 상기 제1 프랜지(110)의 외면(c)에는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제1 컬럼슈 장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컬럼슈 장착부(310)에는 제1 컬럼슈(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랜지(120)와 상기 복부(130)의 연결부에는 제2 단면 확장부(152)가 형성되되, 상기 제2 단면 확장부(152)의 폭(d)은 상기 복부(130)의 폭(b)보다 길며, 상기 제2 단면 확장부(152)가 위치된 상기 제2 프랜지(120)의 외면(f)에는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제2 컬럼슈 장착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컬럼슈 장착부(320)에는 제2 컬럼슈(3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하여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출철근(2)이 매립된 상기 기초(1)를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를 양중하여 상기 노출철근(2)이 상기 삽입공(200)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초(1)에 거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노출철근(2)과 상기 제1 컬럼슈(311) 및 상기 제2 컬럼슈(321)를 결합부재(33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제1 단계(S100) 내지 상기 제3 단계(S300)를 반복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측부에 또 다른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를 위치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계(S100) 내지 제4 단계(S400)를 반복하여 가설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와 또 다른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사이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공간(5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진공간(500)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양생시키는 제6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는 상기 복부(130)가 폐쇄된 제1 프리캐스트 부재; 및 상기 복부(130)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제2 프리캐스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6 단계(S600) 이전에 상기 가설 대형벽체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가설 대형벽체의 상기 양 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부재 사이에는 복수의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단계(S600)는, 상기 충진공간(500)에 철근 조립체(600)를 인입시키는 철근 조립체 설치단계(S610); 및 상기 충진공간(500)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충진단계(S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의 타설로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제작의 용이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컬럼슈 방식의 임시 고정방식을 통해 시공의 용이성 및 안전사고 발생의 방지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플라이스 슬리브를 이용하여 기초에 매립된 철근과 대형벽체를 이루는 프리캐스트 부재에 매립된 철근의 일체화를 도모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 타설의 범위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벽체 시공의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의 하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의 투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리캐스트 부재와 제2 프리캐스트 부재를 비교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가 설치되는 기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벽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리캐스트 부재 및 제2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하여 현장 타설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 대형벽체 시공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라이스 슬리브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대형벽체의 시공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는 기초(1)와 결합되어 대형벽체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는 제1 프랜지(110), 제2 프랜지(120) 및 제1 프랜지(110)와 제2 프랜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로 형성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전체적으로 I 형의 형상을 취한다(도 1).
이 경우 본체(100)는 복부(130)를 기준으로 양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프리캐스트 부재를 연결하는 경우 2 개의 개방부가 하나의 충진공간(500)을 형성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충진공간(500)에는 콘크리트 등의 충진재를 충진하여 벽체 시공을 완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의 본체(100)의 하면에는 기초(1)에 매립된 노출철근(2)이 삽입되는 삽입공(200)이 형성된다(도 1).
이 경우 삽입공(200)은 스플라이스 슬리브(210)가 본체(10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플라이스 슬리브(210)의 일단은 본체(100)에 매립된 매립철근(140)과 결합되어 있으며, 스플라이스 슬리브(210)는 기초(1)의 상부로 노출된 노출철근(2)이 삽입되는 내부공간(21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도 13).
스플라이스 슬리브(210)에는 내부공간(211)으로 충진재가 주입되는 주입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도 13). 이 경우 주입부(212)는 충진공간(500)으로 노출되는 것이 시공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즉, 충진공간(500)으로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경우 주입부(212)를 통해 내부공간(211)으로 콘크리트의 충진이 동시에 진행되고, 이 경우 기초(1)의 노출철근(2)과 프리캐스트 부재에 매립된 매립철근(140)이 일체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의 제1 프랜지(110)와 복부(130)의 연결부에는 제1 단면 확장부(151)가 형성되되, 제1 단면 확장부(151)의 폭(a)은 복부(130)의 폭(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도 1).
이 경우 제1 단면 확장부(151)가 위치된 제1 프랜지(110)의 외면(c)에는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제1 컬럼슈 장착부(310)가 형성되며, 제1 컬럼슈 장착부(310)에는 제1 컬럼슈(311)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부재를 기초(1) 상부에 거치시킴과 아울러 제1 컬럼슈(311)로 삽입된 노출철근(2)을 결합부재(330)를 이용하여 제1 컬럼슈(311)와 결합시키는 경우, 충진공간(5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이라도 프리캐스트 부재의 기립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더하여, 제2 프랜지(120)와 복부(130)의 연결부에는 제2 단면 확장부(152)가 형성되되, 제2 단면 확장부(152)의 폭(d)은 복부(130)의 폭(b)보다 길게 형성되며, 제2 단면 확장부(152)가 위치된 제2 프랜지(120)의 외면(f)에는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제2 컬럼슈 장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컬럼슈 장착부(320)에는 제2 컬럼슈(321)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컬럼슈(311)와 제2 컬럼슈(321)가 모두 노출철근(2)과 결합되는 경우 더욱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도 6).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는 제1 프랜지(110) 및 제2 프랜지(120) 내면에 형성된 요철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150)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체 내부에 콘크리트 요철부를 생성하여 합성전단 연결재를 생략하면서 구조물의 휨 거동시 발생하는 수평전단력을 지지하는 전단키로 사용되며, 동시에 내부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 측압을 지지하는 벽체단면의 인장부를 효율화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하여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노출철근(2)이 매립된 기초(1)를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프리캐스트 부재를 양중하여 노출철근(2)이 삽입공(200)에 삽입되도록 기초(1)에 거치시키는 제2 단계(S200), 노출철근(2)과 제1 컬럼슈(311) 및 제2 컬럼슈(321)를 결합부재(33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제3 단계(S300) 및 제1 단계(S100) 내지 제3 단계(S300)를 반복하여 프리캐스트 부재 측부에 또 다른 프리캐스트 부재를 위치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내지 도 8).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부재의 본체(100A)와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본체(100B)가 위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더하여, 제1 단계(S100) 내지 제4 단계(S400)를 반복하여 가설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제5 단계(S500) 및 충진공간(500)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양생시키는 제6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1, 도 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부재는 복부(130)가 폐쇄된 제1 프리캐스트 부재 및 복부(130)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제2 프리캐스트 부재로 구분될 수 있다.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경우 충진공간(500)에 콘크리트 등의 충진재를 현장에서 충진 타설하는 단계가 요구되는데, 복수의 프리캐스트 부재로 형성된 가설 대형벽체가 각기 폐쇄된 충진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현장 타설의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에 위치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부재는 관통공(131)이 형성된 제2 프리캐스트 부재를 사용하고, 양 단부에는 복부(130)가 폐쇄된 제1 프리캐스트 부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타설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복부(130)가 폐쇄된 제1 프리캐스트 부재의 위치를 조절하여 한 번에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가설 대형벽체의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의 측면 거푸집 등의 사용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시공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타설 영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공사기간의 단축의 효과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의 제6 단계(S600)는, 충진공간(500)에 철근 조립체(600)를 인입시키는 철근 조립체 설치단계(S610) 및 충진공간(500)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충진단계(S6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9, 도 10).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기초
2 : 노출철근
100 : 본체
200 : 삽입공
300 : 컬럼슈 장착부
500 : 충진공간

Claims (12)

  1. 기초(1)와 결합되어 대형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부재에 있어서,
    제1 프랜지(110), 제2 프랜지(120) 및 상기 제1 프랜지(110)와 상기 제2 프랜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로 형성된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복부(130)를 기준으로 양 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상기 기초(1)에 매립된 노출철근(2)이 삽입되는 삽입공(200)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00)은 스플라이스 슬리브(210)가 상기 본체(100)에 매립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랜지(110)와 상기 복부(130)의 연결부에는 제1 단면 확장부(151)가 형성되되,
    상기 제1 단면 확장부(151)의 폭(a)은 상기 복부(130)의 폭(b)보다 길며,
    상기 제1 단면 확장부(151)가 위치된 상기 제1 프랜지(110)의 외면(c)에는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제1 컬럼슈 장착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컬럼슈 장착부(310)에는 제1 컬럼슈(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이스 슬리브(210)는 상기 본체(100)에 매립된 매립철근(140)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철근(2)이 삽입되는 내부공간(211)을 포함하되,
    상기 스플라이스 슬리브(210)는 상기 내부공간(211)으로 충진재가 주입되는 주입부(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랜지(120)와 상기 복부(130)의 연결부에는 제2 단면 확장부(152)가 형성되되,
    상기 제2 단면 확장부(152)의 폭(d)은 상기 복부(130)의 폭(b)보다 길며,
    상기 제2 단면 확장부(152)가 위치된 상기 제2 프랜지(120)의 외면(f)에는 일부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된 제2 컬럼슈 장착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컬럼슈 장착부(320)에는 제2 컬럼슈(3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7. 제6항의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하여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출철근(2)이 매립된 상기 기초(1)를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를 양중하여 상기 노출철근(2)이 상기 삽입공(200)에 삽입되도록 상기 기초(1)에 거치시키는 제2 단계(S200);
    상기 노출철근(2)과 상기 제1 컬럼슈(311) 및 상기 제2 컬럼슈(321)를 결합부재(330)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제3 단계(S300); 및
    상기 제1 단계(S100) 내지 상기 제3 단계(S300)를 반복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측부에 또 다른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를 위치시키는 제4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S100) 내지 제4 단계(S400)를 반복하여 가설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와 또 다른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 사이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충진공간(5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공간(500)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양생시키는 제6 단계(S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부재는
    상기 복부(130)가 폐쇄된 제1 프리캐스트 부재; 및
    상기 복부(130)에 관통공(131)이 형성된 제2 프리캐스트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6 단계(S600) 이전에 상기 가설 대형벽체의 양 단부에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가설 대형벽체의 상기 양 단부에 위치된 상기 제1 프리캐스트 부재 사이에는 복수의 상기 제2 프리캐스트 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S600)는,
    상기 충진공간(500)에 철근 조립체(600)를 인입시키는 철근 조립체 설치단계(S610); 및
    상기 충진공간(500)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충진단계(S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벽체를 시공하는 방법.
KR1020180106576A 2018-09-06 2018-09-06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KR102125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76A KR102125808B1 (ko) 2018-09-06 2018-09-06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76A KR102125808B1 (ko) 2018-09-06 2018-09-06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00A KR20200028200A (ko) 2020-03-16
KR102125808B1 true KR102125808B1 (ko) 2020-06-23

Family

ID=69948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576A KR102125808B1 (ko) 2018-09-06 2018-09-06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8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1510A (zh) * 2020-04-07 2020-07-24 三一筑工科技有限公司 一种空腔剪力墙的竖向插筋结构及其生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381B1 (ko) * 2016-12-29 2017-08-22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슬리브이음을 위한 모르타르 주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208B1 (ko) 2010-08-30 2010-12-15 대한이.이엔.씨(주) 샌드위치 피씨-월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93895B1 (ko) 2012-08-01 2012-10-29 대한이.이엔.씨(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결합된 합벽 구조물 및 상기 합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630235B1 (ko) 2015-02-09 2016-06-14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안전성이 강화된 피씨 트러스 벽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553345B1 (ko) 2015-05-27 2015-09-15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101938658B1 (ko) 2016-01-29 2019-01-29 피씨에스솔루션주식회사 대형 더블월의 프리캐스트 판넬 접속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381B1 (ko) * 2016-12-29 2017-08-22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슬리브이음을 위한 모르타르 주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200A (ko) 202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9024A1 (zh) 一种外包钢板的装配式混凝土柱脚节点及其施工方法
KR101314081B1 (ko)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KR101556545B1 (ko)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KR101077821B1 (ko) 아치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구조체를 이용한 터널 시공방법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584070B1 (ko) 루프 철근 하단 매입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KR101545936B1 (ko) 프리캐스트 벽체구조물 시공방법
KR100862005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 강관 세그먼트 제조방법
JP2004232328A (ja) 半プレキャスト式アーチカルバート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25808B1 (ko) 대형벽체 시공용 프리캐스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대형벽체의 시공방법
KR101038945B1 (ko) 터널 상부 공동 채움구조를 가진 라이닝
KR101084615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753744B1 (ko) 기초부 보강 하부지지프레임 및 매립 거푸집을 이용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기둥-기초부 일체 결합 구조물
JP5956032B1 (ja) ダム通廊の構築方法、ダム通廊の通廊セル及び通廊セルの製造に用いる型枠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2022161709A (ja) ベタ基礎形成用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かか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を成形するための成形装置、かかる成形装置を用いて上記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を成形する方法、及び上記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材を用いてベタ基礎を形成する方法
KR100203012B1 (ko) Pc 슬라브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JP2022041560A (ja) 塀用基礎、塀、塀の施工方法及び型枠
JP6039853B1 (ja) ダム通廊の構築方法
KR20210011766A (ko)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2400564B1 (ko) 중공형 더블 월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H1029900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を用いた基礎工法
KR102472057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합성 기초
CN212358589U (zh) 预制柱及应用其的预制柱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