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200B1 -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 Google Patents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200B1
KR101132200B1 KR1020110053232A KR20110053232A KR101132200B1 KR 101132200 B1 KR101132200 B1 KR 101132200B1 KR 1020110053232 A KR1020110053232 A KR 1020110053232A KR 20110053232 A KR20110053232 A KR 20110053232A KR 101132200 B1 KR101132200 B1 KR 10113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retaining wall
block
protrus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제원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정우
유원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우, 유원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이정우
Priority to KR1020110053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42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 E04B2/44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 E04B2/46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as well as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t least one of the parts having cavitie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Spacers for cavity walls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표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 및 물속에 사는 동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호안옹벽블록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호안옹벽블록은,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6개의 블록 면 각각에 형성되어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6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며, 제1돌출영역, 제2돌출영역, 제1삽입영역 및 제2삽입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A revetment retaining wall block providing a living place for vegetation and aquatic animal}
본 발명은 호안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동시에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
호안은 제방 또는 하안을 유수에 의한 파괴와 침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유수와 접하는 비탈에 설치하는 제방보호 구조물이다. 옹벽은 흙의 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호안 및 옹벽은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것으로 블록 쌓기, 중력식 콘크리트 옹벽, 특수 철근콘크리트 옹벽 등 여러 형식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표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 및 물속에 사는 동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호안옹벽블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은,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6개의 블록 면 각각에 형성되어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6개의 관통구를 포함하며, 제1돌출영역, 제2돌출영역, 제1삽입영역 및 제2삽입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영역은 상기 6개의 블록 면 중 어느 하나의 블록 면의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돌출영역은 상기 제1돌출영역이 형성된 블록 면과 동일한 블록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영역이 형성된 모서리와 마주보는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삽입영역은 상기 제1돌출영역 및 상기 제2돌출영역이 형성된 블록 면과 반대 블록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영역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돌출영역이 형성된 모서리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2삽입영역은 상기 제1삽입영역이 형성된 블록 면과 동일한 블록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영역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돌출영역이 형성된 모서리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삽입부를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은, 지표식물의 식생공간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복수 개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그 사용 방법에 따라 식생의 뿌리와 수서생물이 상호 공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복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의 일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의 밑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킨 호안옹벽의 제1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킨 호안옹벽의 제2실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킨 호안옹벽의 제3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켜 구현한 호안옹벽에 나무를 심은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의 일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의 밑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1)은, 기본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6개의 면(이하 '블록 면'이라 한다)의 각각에 형성되어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6개의 관통구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호안옹벽블록(1)을 참조하면 상부 블록 면에 형성된 관통구를 상부관통부(25)라 할 때, 도 2에 도시된 호안옹벽블록(1)을 참조하면 하부관통부(35)는 상부관통부(25)와 대응되는 블록 면에 형성된다. 상부관통부(25) 및 하부관통부(35)가 형성된 블록 면을 둘러싸는 4개의 관통부는 측면관통부(45)가 될 것이다. 상부관통부(25), 하부관통부(35) 및 측면관통부(4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호안옹벽블록(1)의 방향에 의해서 임의로 정해진 명칭이므로 실제의 위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상, 하부 및 측면관통부(25, 35, 45)는 식생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후술할 제1, 2, 3삽입부(70, 80, 90)들과 함께 어류의 이동통로 기능을 하게 된다.
상부관통부(25)가 설치된 블록 면의 2개의 모서리에는 제1돌출영역(10) 및 제2돌출영역(20)이 형성된다. 제1돌출영역(10)과 제2돌출영역(20)은 각각 사각뿔대의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돌출부(15)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관통부(35)가 설치된 블록 면의 2개의 모서리에는 제1삽입영역(30) 및 제2삽입영역(40)이 형성된다. 제1삽입영역(30) 및 제2삽입영역(40)은 각각 긴 슬릿 형상을 가진 복수 개의 제1삽입부(70) 및 제2삽입부(8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삽입부(70)와 제2삽입부(80)는 중앙에 형성된 하부관통부(35)를 중심으로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각 복수 개의 돌출부(15)는 제1, 2삽입부(70, 80)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5)와 상기 복수 개의 제1, 2삽입부(70, 80) 및 후술하는 제3삽입부(90)는 복수 개의 호안옹벽블록(1)들을 차례로 배열하였을 때 서로 맞물려 복수 개의 호안옹벽블록(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삽입부의 긴 슬릿 형상은 상, 하부 호안옹벽블록(1) 간의 좌, 우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좌, 우 방향에 대한 미세조정의 기능은 호안옹벽의 외관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하부관통부(35)가 설치된 블록 면의 모서리들 중 제1삽입영역(30)과 제2삽입영역(40)이 형성되고 남은 2개의 각 모서리는 제3삽입영역(50)과 제4삽입영역(60)을 형성하되, 상기 제3삽입영역(50)과 제4삽입영역(60)을 관통하는 긴 슬릿은 전술한 제3삽입부(90)를 형성시킨다. 상기 제3삽입부(90)를 이루는 홈의 단면 역시 상기 제1돌출영역(10)과 제2돌출영역(20)에 구비된 사각뿔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3삽입부(90)의 긴 슬릿형상은 상, 하부 호안옹벽블록(1) 간의 전, 후 방향에 대한 기울기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전, 후 방향에 대한 미세조정의 기능은 배면의 다양한 지형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호안옹벽블록(1)에 구비된 제1, 2, 3삽입부(70, 80, 90)는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또 다른 호안옹벽블록(1)의 돌출부(15)와 결합하면서 좌우 및 전후의 기울기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할 뿐 아니라, 상기 돌출부(15)와 결합되지 아니한 나머지의 삽입부는 상, 하부관통부(25, 35) 및 측면관통부(45)와 더불어 어류가 자유롭게 이동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호안옹벽블록을 배열하여 필요한 형태의 호안옹벽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킨 호안옹벽의 제1실시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8개의 호안옹벽블록(1)을 모서리가 일치되도록 적층시켜 수직 호안옹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돌출영역(10)과 제2돌출영역(20)에 각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15)가 상부에 위치한 호안옹벽블록(1) 저면의 제1삽입부(70)와 제2삽입부(80)에 각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출부(15)와 결합되지 아니한 제3삽입부(90)는 호안블록을 관통하는 긴 홈을 형성하여 어류의 이동 내지 휴식공간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킨 호안옹벽의 제2실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렬로 배열된 4개의 호안옹벽블록(1)들의 상부에 일렬로 배열된 3개의 호안옹벽블록(1)들을 적층시켜 도 3에 도시된 호안블록과는 다른 배열형태를 가지는 호안옹벽을 구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호안옹벽은 도 3에 도시된 호안옹벽과 마찬가지로 수직의 호안옹벽을 나타내고는 있으나, 상부의 호안옹벽블록(1)과 하부의 호안옹벽블록(1)은 좌우 방향으로 소요 좌우이격거리(D)만큼 불일치시켜 구현하고 있다.
이 경우 돌출부(15)가 삽입되는 제1, 2삽입부(70, 80)는 긴 슬릿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 상기 좌우이격거리(D)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돌출부(15)가 삽입되지 않은 제3삽입부(90)는 도 3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어류의 이동 및 휴식통로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킨 호안옹벽의 제3실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현하고자 하는 호안옹벽이 제1, 2실시예와 같은 수직옹벽이 아닌 경사진 호안옹벽인 경우에 적용되는 경우로서, 상부에 일렬로 배열된 3개의 호안옹벽블록(1)과 하부에 일렬로 배열된 4개의 호안옹벽블록(1)은 전후방향으로 소요 전후이격거리(E)만큼 불일치시켜 구현하고 있다. 이 경우 하부에 위치한 호안옹벽블록(1)의 제1돌출영역(10) 또는 제2돌출영역(20)에 구비된 돌출부(15)가 상부에 위치한 호안옹벽블록(1)의 제3삽입부(90)에 삽입되어지므로, 상기 돌출부(15)가 삽입되지 아니한 제1, 2삽입부(70, 80)는 어류의 이동 및 휴식을 위한 통로의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15)가 삽입되는 제3삽입부(90) 역시 긴 슬릿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전후이격거리(E)는 필요에 따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은 호안옹벽을 구축하고자 하는 지형의 다양함에 대하여 본 발명의 호안옹벽블록(1)을 매우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켜 구현한 호안옹벽에 나무를 심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적층시켜 구현한 호안옹벽의 경우, 호안옹벽의 상부에 심은 나무의 뿌리는 관통구를 통해 하부로 성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호안옹벽을 고정하는 능력은 돌출부 및 삽입부가 맞물렸을 때의 힘에 나무뿌리의 인장력을 더한 힘에 따라 결정된다.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는 측면관통부를 통해서는 어류가 이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3에 도시된 호안옹벽의 경우에는 제3삽입부를 통해서도 어류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 6에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관통부(45)는 서로 연결되어 관통구멍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관통구멍은 어류가 이동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 하부 및 측면관통부(25, 35, 45), 제1 내지 3삽입부(70, 80, 90)는 호안옹벽이 지탱하고 있는 홍안의 우수를 배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여 우기시 수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평하중을 줄일 수 있는 수단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호안옹벽블록을 이용하여 구현한 다양한 형태의 호안옹벽은, 많은 수량과 흐름이 빠른 하천에서도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 따라 호안옹벽의 기울기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호안옹벽블록 10: 제1돌출영역
15: 돌출부 20: 제2돌출영역
25: 상부관통부 30: 제1삽입영역
35: 하부관통부 40: 제2삽입영역
45: 측면관통부 50: 제3삽입영역
60: 제4삽입영역 70: 제1삽입부
80: 제2삽입부 90: 제3삽입부

Claims (8)

  1.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6개의 블록 면 각각에 형성되어 중앙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상,하부관통부(25, 35) 및 4개의 측면 관통부(45)를 포함하는 호안옹벽블록(1)에 있어서,
    상기 6개의 블록 면 중 어느 하나의 블록 면의 모서리에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15)를 구비하는 제1돌출영역(10);
    상기 제1돌출영역(10)이 형성된 블록 면과 동일한 블록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돌출영역(10)이 형성된 모서리와 마주보는 모서리에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돌출부(15)를 구비하는 제2돌출영역(20);
    상기 제1돌출영역(10) 및 상기 제2돌출영역(20)이 형성된 블록 면과 반대 블록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돌출영역(10)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5)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돌출영역(10)이 형성된 모서리와 동일 평면상에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삽입부(70)를 구비하는 제1삽입영역(30); 및
    상기 제1삽입영역(30)이 형성된 블록 면과 동일한 블록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돌출영역(20)에 구비된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15)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돌출영역(20)이 형성된 모서리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삽입부(80)를 구비하는 제2삽입영역(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2삽입부(70, 80)는 중앙에 형성된 하부관통부(35)를 중심으로 대칭구조를 가지는 긴 슬릿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옹벽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관통부(25, 35)가 형성된 블록 면 중 제1삽입영역(30)과 제2삽입영역(40)이 형성되고 남은 2개의 각 모서리에는 제3삽입영역(50)과 제4삽입영역(60)이 형성되고, 상기 제3삽입영역(50)과 제4삽입영역(60)은 서로 관통하는 긴 슬릿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제3삽입부(90)를 더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옹벽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삽입부(90)를 이루는 홈의 단면은 상기 제1돌출영역(10)과 제2돌출영역(20)에 구비된 돌출부(15)의 사각뿔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053232A 2011-06-02 2011-06-02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KR10113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32A KR101132200B1 (ko) 2011-06-02 2011-06-02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232A KR101132200B1 (ko) 2011-06-02 2011-06-02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200B1 true KR101132200B1 (ko) 2012-04-06

Family

ID=4614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232A KR101132200B1 (ko) 2011-06-02 2011-06-02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2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36929A (ja) * 2016-12-06 2019-12-19 アーク マリン リミテッドARC Marine Ltd 人工リーフ用の装置及び方法
KR102138679B1 (ko) * 2020-01-07 2020-07-28 아라온건설(주) 투과형 다기능 잠제블록
US20230022855A1 (en) * 2021-06-28 2023-01-26 Stations-E Modular concrete foundation
KR102515729B1 (ko) * 2022-10-25 2023-03-30 주식회사 지서이엔지 문비와 랙크바의 휨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인양식 수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03Y1 (ko) 2006-03-03 2006-05-26 (주)우연피엠에스 조립식 블럭
KR200442371Y1 (ko) 2007-05-08 2008-11-05 이정호 식생용 옹벽블럭
KR20100108476A (ko) * 2009-03-28 2010-10-07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다목적 소파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7403Y1 (ko) 2006-03-03 2006-05-26 (주)우연피엠에스 조립식 블럭
KR200442371Y1 (ko) 2007-05-08 2008-11-05 이정호 식생용 옹벽블럭
KR20100108476A (ko) * 2009-03-28 2010-10-07 신우산업개발 주식회사 다목적 소파 블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36929A (ja) * 2016-12-06 2019-12-19 アーク マリン リミテッドARC Marine Ltd 人工リーフ用の装置及び方法
JP7212944B2 (ja) 2016-12-06 2023-01-26 アーク マリン リミテッド 人工リーフ用の装置及び方法
KR102138679B1 (ko) * 2020-01-07 2020-07-28 아라온건설(주) 투과형 다기능 잠제블록
US20230022855A1 (en) * 2021-06-28 2023-01-26 Stations-E Modular concrete foundation
KR102515729B1 (ko) * 2022-10-25 2023-03-30 주식회사 지서이엔지 문비와 랙크바의 휨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인양식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200B1 (ko) 식생과 수서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호안옹벽블록
KR100626572B1 (ko) 축조 블록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1166491B1 (ko) 생태블록옹벽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JP2603042B2 (ja) 護岸用ブロック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20130038502A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100866404B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100719520B1 (ko) 어소겸용 식생블럭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356104Y1 (ko) 바구니형 식생호안블록
KR20024793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JP3063057B2 (ja) 生態系保全用連結ブロック護岸
KR200414892Y1 (ko)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JP2000129650A (ja) 護岸用敷石セグメント
KR20120067497A (ko) 식생 호안블럭
KR100371808B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보호환경 조성용 식생구
JPH09310326A (ja) 多自然型積みブロック
KR100478156B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
JP2791949B2 (ja) 魚巣ブロック
KR102333349B1 (ko) 블럭이 일체화된 친환경 대형 식생호안블럭
KR100919614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