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931Y1 -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931Y1
KR200247931Y1 KR2020010016881U KR20010016881U KR200247931Y1 KR 200247931 Y1 KR200247931 Y1 KR 200247931Y1 KR 2020010016881 U KR2020010016881 U KR 2020010016881U KR 20010016881 U KR20010016881 U KR 20010016881U KR 200247931 Y1 KR200247931 Y1 KR 200247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nks
vegetation
plants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to KR2020010016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931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이나 유수지에 사용되는 친환경 식생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사면침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녹화용 식재식물의 근부(根部)구조가 블럭과 일체화 가능하도록 하여 녹화식물체의 유실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식생식물의 조기 활착과 생태계복원을 동시게 가능하게 하는 호안블럭에 관한 것이다.
호안블록으로 하천변이나 제방주변을 축조하면서 가장 단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블록구조의 붕괴이다. 최근까지도 이같은 붕괴를 막고 토양유실을 막기 위하여 호안블록으로 사면전체를 덮어주도록 구성하여 유수에 의한 침식을 막는 것이 가장 최적으로 알고 있었으나, 최근에 친환경적 구조가 요구되면서 이같은 기존의 호안블록시공이 생태계파괴, 어패류의 서식환경붕괴등의 문제점이 노출되어 친환경적인 식생가능한 호안블록구조물이 개발되고 있다.
본 고안은 기존 호안블럭에 비하여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가능 면적을 전체면적의 12내지 29%까지 확대토록 하고, 식생식물의 근부가 정차가능하도록 저면부에 내식내구성의 망체구조를 일체화하여 근부구조의 안정적 확립을 유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호안블록에 식재된 식생식물이 활착하면서 호안블록전체를 덮도록 하여 안정된 생태계복원과 사면의 안정적 구조유지라는 목적을 함께 이루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Protection blck for the slant side and/or river side enabling plant proparation with structure consistency}
본 고안은 하천이나 저수지 등의 제방에 설치하여 안정된 식생환경을 유도하는 동시에 사면이나 제방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식생환경의 조속한 복원에 의하여 자연생태계로 복원가능하게 하는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하천경사면이나 제방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재질의 호안블록은 서로 끼워맞우는 형태를 이루면서 하부로부터 식생식물이 자라지 못하도록 밀폐형 블록이 주를 이루었다. 이는 식생식물의 번성이 여러가지 잡균의 번식을 유도하고 하천경관의 정돈성을 해친다는 점에서 행해진 공법이었으나 최근에 이같은 구조물이 갖는 자연파괴, 특히 생태계고리의 연속된 순환구조의 파괴라는 문제점이 지적되어왔다.
이같은 밀폐형 호안블록은 설치당시에는 상당히 하천이 깨끗하게 정비된 듯한 시각적 효과를 주기는 하나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없을 뿐 아니라 수분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제방의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 되는 등 환경에 지극히 위해하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본에서 사용되거나 최근에 국내에서도 개발되어 이용하고 있는 식재를 겸할 수 있는 호안블럭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호안블록이 조립구성되고 나서 식생식물이 호안블록의 일부분에서 성장하도록 식생식물이 활착할 수 있는 식재면적이 작아(10%미만) 생태적, 경관적 효과가 적거나 가격이 고가이이다. 즉, 생태계복원이라고 하는 목적을 이룰 정도에는 못미치는 미약한 식물생장효과만을 줄 뿐 완전한 생태계의 복원과 안정적 조립구조의 획득이라는 두가지 목적을 동시에 이루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식생식물을 식재한다고 하여도 식생식물이 호안블록과는 별도로 성장번식하므로 호안블록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조하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오히려 식물체의 근부구조의 발달로 호안블록이 지표면과 분리되면서 구조적 안정성이 악회되는 단점도 지적되어오고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호안블록이 조립구성되어 사면이나 제방의 구조를 형성하여 안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최대한의 구조적 특성의 한도내에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크게 확보하고자 한다.
또한 블록내에 식재되는 식물체의 근부구조가 호안블록과 일체화되어 유실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가능하게하고자 한다.
호안블록이 서로 조립된 다음 안정적 구조의 확보가 가능한 동시에 식재된 식물체가 성장토록 하여 노출된 호안블록을 식생식물이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하여 호안블록이 설치되지아니한 것과 거의 같은 자연적 식생구조를 단시간안에 이루고자하는 것이다.
식생식물이 호안블록을 덮어주면서 외관상 완전한 자연형태로 복귀토록 하고, 식생식물은 토양에 근부가 활착토록 하여 토양과 일체화된 구조의 안정적 기반을 완성하고 동시에 식식식물의 근부구조가 호안블록과 일체화되도록 하여 호안블록의 유실을 막아 식생식물과 호안블록상호간의 구조적안정성을 최대한 확보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식생식물의 활발한 성장과 근부구조의 발달로 토양과 호안블록이 근부구조를 매개로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여 가장 친환경적이면서 안정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자한다.
도1 은 본고안의 호안블록의 저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 3은 측면도,
도 4 는 측단면도,
도 5는 실제 연속반복되게 조립된 상태의 평면구성도,
도 6은 식물식재된 상태의 측단면구성도,
도 7은 실제 하천사면에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구성도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중공부 6:몸체 10:보디부 11:앙카망체층 12:돌기부 21:조립부 50:식생식물의 근부구조
본 고안은 다각형의 평판구조를 측면부에서 서로 끼워맞추도록 하여 넓은 사면이나 제방을 덮어주도록 하는 호안블록에 있어서,
중앙에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공간부를 구성한 호안블록보디부, 이 호안블록보디부의 공간부 저면측으로 내식내구성의 망체구조물을 형성하여 각종 식생식물의 근부구조가 안착가능하도록 하는 근부활착부, 그리고 측면부에서 인접한 다른 블록과 끼워맞춤가능한 조립부를 갖도록 한 다양한 형상의 호안블록이다.
본 고안에서 망체구조물이란 일반적인 스테인레스재실의 금속망, 합성수지재의 망과 같이 거의 자연계에서 부식이 없는 재질로 구성하여 보디부의 콘크리트타설이 일체화하여 이탈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도1의 저면도에 단일구조의 호안블록을 도시한다.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측면도이고, 도 4 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실제 연속반복되게 조립된 상태의 평면구성도이며, 도 6은 식물식재된 상태의 측단면구성도이고, 도 8은 실제 하천사면에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평판구조를 갖도록 콘크리트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등의 내구성재질로 형성한 것들끼리 측면부에서 서로 끼워맞추도록 하여 넓은 사면이나 제방을 덮어주도록 하는 호안블록에 있어서,
중앙에 상하관통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부(5)를 형성하면서 측면까지는 일정한 밀폐된 콘크리트양생재질의 몸체(6)를 형성토록 구성한 보디부(10),
상기한 보디부의 중공부(5)의 지면접착부근에 내식내구성의 망체구조의 앙카망체층(11)이 보디부와 일체로 되도록 형성하여 각종 식생식물의 근부구조(50)가 안착토록 하는 근부활착부,
그리고 측면부에서 다른 블록과 끼워맞춤가능한 암수체결구조의 조립부(21)를 갖도록 한 호안블록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으로는 보디부(10)의 상측면 모서리부에 돌기부(12)를 형성하여 조립시 도시하듯이 일정거리를 두고 돌기부가 돌출형성되어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가 통행시 미끄럼방지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중공부(5)를 형성함에 있어 호안블록 전체의 평면적에서 중공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적어도 12내지 29%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같은 구성은 식생식물의 활착후에 이들이 왕성한 성장을 유도하여 호안블록전체를 자연스럽게 피복가능하게 하며, 또한 호안블록이 갖는 내구성에는 변함이 없도록 하는 최적의 비율이 된다는 것을 많은 시험과 실제 설치시험결과 설정한 것이다.
현재 시판설치되는 호안블록중 식생식물 식재가능한 것이라하여도 식물성장 그리고 호안블록의 최적내구성확보라는 이중적 목적을 정확한 평가나 연구없이 임의로 평균 10%미만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정도의 면적에서는 호안블록전체를 포괄적으로 식생식물이 덮기에는 충분한 생육공간을 형성하지 못하며 설사 성장이 된다고 하여도 환경에 조그만 변화만 발생하여도 대부분 단시간내에 고사되어 실질적인 친환경적 사면구조의 형성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에 따른 호안블록과 종래의 호안블록의 규격별 비교표는 다음과 같다.
표1. 호안블럭의 비교
(단위 : mm)
기존 호안블럭 본 고안블럭 비고
구분 규격(너비*길이*두께) 구분 규격(너비*길이*두께)
Ⅰ형블럭 400 * 400 * 100(120) A형 500 * 500 * (120 - 180)
평판블럭 480 * 350 *110(150) B형 600 * 500 * (120 - 180)
유신블럭 400 * 400 * 100(120) C형 600 * 600 * (120 - 180)
게다블럭 400 * 250 * 100(120)
식물식재 불가 식물식재 가능(식재면적 12- 29%)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되던 블록의 규격이 폭, 길이는 400mm이며 두께는 100mm의 규격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생태계가 전혀 배려되지 않았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큰 규모의 중공부(5)을 생성하면서도 블록의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블록몸체(6)의 크기를 늘리고 두께를 크게하였으며 기존 호안블럭에는 없었던 요철모양의 조립부(21)를 형성하여 블록의 이탈현상이나 미끄럼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홍수시 유속이 매우 큰지역이나 제방의 높이가 높은 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아래 사진으로 보여주는 도10과 같은 식재홀내의 식물뗏장 이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앙카망체층(11)을 몸체 자체와 일체화 시켜 식물의 뿌리가 이곳에 활착토록 하여 이탈되는 현상을 예방토록 하였다.
앙카매트는 쉽게 부식되지 않아야 하므로 스텐레스철망이나 환경호르몬이 없는 합성섬유로 제작된 메트를 이용한다. 앙카매트란 다공성구조의 망체구조로 이곳을 통하여 식물체의 근부가 통과가능하도록 한다. 망체의 메쉬정도는 식생될 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가능하지만 적어도 직경 1mm에서 100mm까지 다양한 크기의 망체를 설치토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하천 제방이나 저수지의 호안 사면에 도 1내지 도 5의 블록을 요철모양의 결합홈에 맞추어 도 3내지 도 7의 블록 전개도에 맞추어 결합하며 중공부(5)에는 지역에 적합한 수종의 수목을 선정하여 식재함으로서 완성되어진다.
본 고안은 기존 제품보다 식재면적을 크게 증가시켜 식물이 활착한 후 콘크리트 호안블럭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경관을 향상시키며 생태계 보전에 기여토록 하며 블록의 크기와 두께를 크게하여 중량을 늘림으로서 블록의 내구성을 증가시킴과 함께 제방사면에 대해서도 치수적인 안정을 도모하였다. 또한 블록에 요철모양의 결합홈을 만들어 블록이 일체화되도록 하였고 특히 유속이 큰지역이나 제방이 높은 지역에서는 식생매트가 포함된 제품을 설치하여 호안블록의 이탈을 방지토록하였다.
본고안은 특히 식생식물의 성장이 거듭되면서 근부구조가 발달하게된다. 그결과 근부가 앙카망체와 더욱 조밀하게 얽히게 되며, 동시에 토양내부로 침투하여 결과적으로 호안블록과 토양이 식물체를 매개로 극히 안정된 일체적 구조를 확보하게 되어 가장 바람직한 구조적 안정을 갖게된다. 즉, 식물이 갖는 내구성의 단점을 호안블록이 보강하고, 호안블록이 갖는 토양과의 친화성을 식물체가 보강하여 상호 가장 바람직한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

  1.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평판구조를 갖도록 콘크리트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등의 내구성재질로 형성한 것들끼리 측면부에서 서로 끼워맞추도록 하여 넓은 사면이나 제방을 덮어주도록 하는 호안블록에 있어서,
    중앙에 상하관통하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중공부(5)를 형성하면서 측면까지는 일정한 밀폐된 콘크리트양생재질의 몸체(6)를 형성토록 구성한 보디부(10),
    상기한 보디부의 중공부(5)의 지면접착부근에 내식내구성의 망체구조의 앙카망체층(11)이 지면과는 평행하면서 보디부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여 식생식물의 근부구조(50)가 안착토록 하는 근부활착부,
    그리고 측면부에서 다른 블록과 끼워맞춤가능한 암수체결구조의 조립부(21)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2. 1항에 있어서,
    보디부(10)의 상측면 모서리부에 돌기부(12)를 형성하여 일정거리를 두고 돌기부가 돌출형성하며,
    중공부(5)가 호안블록 전체의 평면적에서 중공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12내지 29%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20010016881U 2001-06-07 2001-06-07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200247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81U KR200247931Y1 (ko) 2001-06-07 2001-06-07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881U KR200247931Y1 (ko) 2001-06-07 2001-06-07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931Y1 true KR200247931Y1 (ko) 2001-10-29

Family

ID=73066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881U KR200247931Y1 (ko) 2001-06-07 2001-06-07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93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391A (ko) * 2002-04-04 2003-10-10 코리콤주식회사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100428904B1 (ko) * 2001-06-25 2004-04-28 제일산업 주식회사 호안용 조경블록의 제조방법
KR100770280B1 (ko) * 2007-07-06 2007-10-25 이창근 하천 법면에 축조된 어소블록 상면의 식생구조
CN110374080A (zh) * 2019-05-21 2019-10-25 中节能大地环境修复有限公司 废弃矿山用渗透反应墙及废弃矿山生态恢复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904B1 (ko) * 2001-06-25 2004-04-28 제일산업 주식회사 호안용 조경블록의 제조방법
KR20030079391A (ko) * 2002-04-04 2003-10-10 코리콤주식회사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100770280B1 (ko) * 2007-07-06 2007-10-25 이창근 하천 법면에 축조된 어소블록 상면의 식생구조
CN110374080A (zh) * 2019-05-21 2019-10-25 中节能大地环境修复有限公司 废弃矿山用渗透反应墙及废弃矿山生态恢复系统
CN110374080B (zh) * 2019-05-21 2024-05-17 中节能大地环境修复有限公司 废弃矿山用渗透反应墙及废弃矿山生态恢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793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100891738B1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JPH10195898A (ja) 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植生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100451982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200284981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KR100727586B1 (ko) 자연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사용하는 자연형 식생블록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KR100392506B1 (ko) 생태블록
KR200356111Y1 (ko) 호안블록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JP3703194B2 (ja) 水際植生用護岸構造物
KR100451981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KR20024793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 호안블록
JP2852879B2 (ja)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覆土ブロック護岸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200303587Y1 (ko) 다공질 망태블록
KR100451983B1 (ko) 자연식생형 유수천변구조
KR100446813B1 (ko) 호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수변 식생대의 시공방법
JP4013210B2 (ja) 河川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工
KR200250172Y1 (ko) 환경친화적 호안블록세트
KR200284979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식호안블록
KR200318111Y1 (ko) 자연 친화적인 식생 구조의 호안블럭
KR100606259B1 (ko) 하천 호안기초 생태계 보호블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