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391B1 -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 Google Patents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391B1
KR101273391B1 KR1020130015426A KR20130015426A KR101273391B1 KR 101273391 B1 KR101273391 B1 KR 101273391B1 KR 1020130015426 A KR1020130015426 A KR 1020130015426A KR 20130015426 A KR20130015426 A KR 20130015426A KR 101273391 B1 KR101273391 B1 KR 101273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llow body
rod
insertion hol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130015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3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 공사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에 관한 것으로, 블럭 본체(10)에 수직 삽입구(21)를 형성하되 삽입구(21)의 하단에는 폭이 확장된 회전실(22)을 형성하여, 하단에 확폭부(32)가 형성된 포착봉(31)을 삽입구(21)에 투입한 후 회전함으로써, 블럭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항만 공사용 콘크리트 블럭의 운반, 이동 및 조적 작업시 블럭 본체(10)의 안정적이고 확고한 포착이 가능하며, 이로써 항만 블럭 공사의 시공 편의성 및 작업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ROTATING CAPTURE TYPE BLOCK FOR HARB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항만 공사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에 관한 것으로, 블럭 본체(10)에 수직 삽입구(21)를 형성하되 삽입구(21)의 하단에는 폭이 확장된 회전실(22)을 형성하여, 하단에 확폭부(32)가 형성된 포착봉(31)을 삽입구(21)에 투입한 후 회전함으로써, 블럭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로 성형되는 항만 공사용 블럭은 도 1에서와 같이 조적되어 항만의 접안시설 등의 구축에 활용되며, 도 1의 발췌 사시도 및 A-A'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크레인 등 이동 장비가 결속될 수 있도록 본체(10) 콘크리트에 와이어로프(19)가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적된 블럭은 도 1에서와 같이, 자중 및 블럭간 접촉면에 형성되는 활동 방지 키(key)에 의하여 구조가 유지되며, 블럭의 운송, 이동 및 조적 작업시 블럭 상면에 노출된 와이어로프(19)를 크레인 등 장비와 연결하게 된다.
또한, 항만 시설물의 증설 및 해체시 조적된 블럭을 순차적으로 분리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 경우에도 블럭 상면에 노출된 와이어로프(19)를 크레인과 연결하여 블럭 본체(10)를 인양하게 된다.
종래의 항만 공사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은 장비 결선용 와이어로프(19)가 하부는 본체(10) 콘크리트에 매설되고 상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노출된 와이어로프(19)가 부식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특히 블럭이 조적된 구조물의 해체시, 크레인과 블럭간 결선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즉, 항만 공사용 블럭이 적용되는 구조물은 장기간 해수 및 해풍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바, 와이어로프(19)가 부식되어 본연의 강도를 발현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블럭의 이동시 와이어로프(19)의 파단으로 이어져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항만 공사용 블럭의 와이어로프(19) 부식 문제는 비단 기설 블럭 구조물의 해체시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구조물의 신설시에도 블럭이 공사중 장기간 야적될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로프(19) 매설식 항만 공사용 블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럭의 측면에 크레인의 후크를 결합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2001-17032호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01-17032호는 블럭의 양 측면에 크레인 후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홈을 대칭으로 요입(凹入) 형성한 것으로, 매설된 와이어로프(19) 없이도 블럭과 장비간 결속이 가능하나, 요입된 홈에 크레인 후크를 측방에서 단순 결합하는 방식인 바, 블럭의 이동 및 조적 과정에서 후크가 블럭의 홈에서 이탈되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블럭을 밀착 배열하는 방식의 시공 및 밀착 배열된 블럭을 해체하는 작업은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항만시설에서 다수의 블럭이 밀착 배열됨을 감안하면 공개특허 제2001-17032호와 같은 방식의 블럭 포착 및 이동은 실질적인 적용이 불가능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항만 공사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에 있어서, 블럭 본체(10) 콘크리트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중공체(20)가 매설되되, 중공체(20)의 종방향으로 장방형 횡단면의 삽입구(21)가 형성되며, 중공체(20)의 하단에는 삽입구(21)의 장폭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회전실(22)이 구성되되, 회전실(22)의 상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21)의 단폭 이하 직경을 가지고 선단부에 상기 회전실(22)의 종단면과 일치하는 형상의 확폭부(32)가 형성된 포착봉(31)이 삽입구(21)로 삽입된 후, 확폭부(32)가 회전실(22)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포착봉(31)의 확폭부(32) 상면이 회전실(22) 내부 상면에 밀착되며 포착봉(31)과 블럭 본체(10)가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이다.
또한, 상기 중공체(20)의 상단이 폐쇄되되, 폐쇄된 중공체(20) 상면을 종횡하는 노치(notch)(25)가 형성되어, 포착봉(31)의 압입시 중공체(20) 상면의 노치(25) 형성 부위가 파단되면서 중공체(20) 상단이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항만 공사용 콘크리트 블럭의 운반, 이동 및 조적 작업시 블럭 본체(10)의 안정적이고 확고한 포착이 가능하며, 이로써 항만 블럭 공사의 시공 편의성 및 작업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기설 블럭 구조물의 해체 또는 장기간 야적된 블럭의 이동시에도, 종래 본체(10) 콘크리트 매설 와이어로프(19)에서 빈발하였던 부식 및 파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항만 공사용 블럭의 사용상태도 및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중공체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공체의 포착봉 결합방식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착봉 고정방식 설명도
도 7은 삽입구가 다열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부분절단 사시도
도 8은 도 7 실시예의 포착봉 고정방식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단 폐합형 중공체 발췌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중공체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본 발명의 블럭 본체(10)에는 다수의 삽입구(2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블럭 본체(10)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잠식하는 삽입구(21)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폐쇄된 관체(管體)인 중공체(20)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에 설치하여, 블럭 본체(10) 콘크리트의 양생시 중공체(20)가 매설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블럭 본체(10)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중공체(20)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종방향으로 장방형 횡단면의 삽입구(21)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삽입구(21)의 장폭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회전실(22)이 구성되되, 회전실(22)의 상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삽입구(21)의 단폭 이하 직경을 가지고 선단부에 상기 회전실(22)의 종단면과 일치하는 형상의 확폭부(32)가 형성된 포착봉(31)이 삽입구(21)로 삽입된 후, 도 5에서와 같이, 확폭부(32)가 회전실(22)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포착봉(31)의 확폭부(32) 상면이 회전실(22) 내부 상면에 밀착되면서 포착봉(31)과 블럭 본체(10)가 견고하게 결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중공체(20)는 사출성형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중공체(20)의 삽입구(21) 하단과 회전실(22)을 연결하는 부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삽입된 포착봉(31)을 통하여 블럭을 이동할 때 포착봉(31)의 확폭부(32) 상면과 회전실(22) 내부 상면간 접촉면적을 확대하고 응력을 사선으로 분산하여 해당 부위 본체(10) 콘크리트의 전단 파괴를 억제하게 된다.
삽입구(21)에 투입되는 포착봉(31)은 선단의 확폭부(32)가 회전실(22)에 도달하면 회전하여 결속하게 되는데, 도 6에서와 같이, 블럭 본체(10) 상면에 일렬로 배치된 2개소의 삽입구(21)에 각각 상단에 통공이 천공된 포착봉(31)을 삽입하여 회전 결속한 후, 포착봉(31) 상단 통공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고정봉(39)을 결합함으로써, 포착봉(31)의 회전을 억제함과 동시에 고정봉(39)에 크레인을 결선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삽입구(21)를 다열(多列)로 배치하고, 삽입구(21)에 삽입, 결속된 열별 포착봉(31)에 고정봉(39)을 결합함으로써 일층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상단이 폐쇄된 중공체(20)가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완전 폐합식 중공체(20)를 적용함으로써, 항만 공사용 블럭의 장기간 야적 또는 기설 구조물의 블럭에서 발생될 수 있는 토사, 유사(流砂) 또는 각종 오염물의 삽입구(21)내 유입 및 침착을 방지할 수 있다.
항만 공사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블럭은 현장에 장기간 야적되거나, 공사중 또는 구조물 완공 후 사용과정에서, 현장의 비산 먼지, 설치 지점 지반의 토사 또는 해수내 유사에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상단이 개방된 중공체(20)를 적용할 경우, 중공체(20) 내부의 삽입구(21) 및 회전실(22)로 다량의 토사 또는 유사가 유입, 침착되어 포착봉(31)의 투입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중공체(20)의 상단을 폐쇄하여 중공체(20) 내부의 삽입구(21) 및 회전실(22)의 기밀상태를 유지하되, 폐쇄된 중공체(20) 상면을 종횡하는 노치(notch)(25)를 형성하여, 포착봉(31)의 압입시 중공체(20) 상면의 노치(25) 형성 부위가 파단되면서 중공체(20) 상단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단 폐합형 중공체(20)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블럭은 기설 블럭 구조물의 해체를 염두에 둔 것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중공체(20)와 함께 와이어로프(19)를 병설함으로써 해당 블럭의 최초 조적시에는 와이어로프(19)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본체
19 : 와이어로프
20 : 중공체
21 : 삽입구
22 : 회전실
25 : 노치(notch)
31 : 포착봉
32 : 확폭부
39 : 고정봉

Claims (2)

  1. 삭제
  2. 항만 공사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럭으로서, 블럭 본체(10) 콘크리트에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된 중공체(20)가 매설되되, 중공체(20)의 종방향으로 장방형 횡단면의 삽입구(21)가 형성되며, 중공체(20)의 하단에는 삽입구(21)의 장폭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회전실(22)이 구성되되, 회전실(22)의 상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21)의 단폭 이하 직경을 가지고 선단부에 상기 회전실(22)의 종단면과 일치하는 형상의 확폭부(32)가 형성된 포착봉(31)이 삽입구(21)로 삽입된 후, 확폭부(32)가 회전실(22)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포착봉(31)의 확폭부(32) 상면이 회전실(22) 내부 상면에 밀착되며 포착봉(31)과 블럭 본체(10)가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에 있어서,
    중공체(20)의 상단이 폐쇄되되, 폐쇄된 중공체(20) 상면을 종횡하는 노치(notch)(25)가 형성되어, 포착봉(31)의 압입시 중공체(20) 상면의 노치(25) 형성 부위가 파단되면서 중공체(20) 상단이 개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KR1020130015426A 2013-02-13 2013-02-13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KR101273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26A KR101273391B1 (ko) 2013-02-13 2013-02-13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426A KR101273391B1 (ko) 2013-02-13 2013-02-13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391B1 true KR101273391B1 (ko) 2013-06-11

Family

ID=4886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426A KR101273391B1 (ko) 2013-02-13 2013-02-13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3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118B1 (ko) * 2014-03-27 2014-12-12 이자윤 선박 접안시설 블록
KR101487131B1 (ko) * 2014-02-27 2015-01-28 이명호 속채움 망태를 내장한 콘크리트 블록 제작방법 및 콘크리트블록
KR101606342B1 (ko) * 2015-03-15 2016-03-25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선박접안시설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선박접안시설
KR101606343B1 (ko) * 2015-03-15 2016-03-25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213A (ja) * 1997-01-23 1999-04-27 Tomio Nakamura 車歩道境界ブロック及びハンド、ジャキロックを有する装置。
JPH11270536A (ja) * 1998-03-25 1999-10-05 Honda Motor Co Ltd 溶接ナット
KR200361076Y1 (ko) * 2004-05-20 2004-09-06 김건명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KR20120110509A (ko) * 2011-03-29 2012-10-10 (주)메카모아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213A (ja) * 1997-01-23 1999-04-27 Tomio Nakamura 車歩道境界ブロック及びハンド、ジャキロックを有する装置。
JPH11270536A (ja) * 1998-03-25 1999-10-05 Honda Motor Co Ltd 溶接ナット
KR200361076Y1 (ko) * 2004-05-20 2004-09-06 김건명 축대용 조립식 식생블럭
KR20120110509A (ko) * 2011-03-29 2012-10-10 (주)메카모아 옹벽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131B1 (ko) * 2014-02-27 2015-01-28 이명호 속채움 망태를 내장한 콘크리트 블록 제작방법 및 콘크리트블록
KR101469118B1 (ko) * 2014-03-27 2014-12-12 이자윤 선박 접안시설 블록
KR101606342B1 (ko) * 2015-03-15 2016-03-25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선박접안시설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선박접안시설
KR101606343B1 (ko) * 2015-03-15 2016-03-25 주식회사 양지디앤씨 파랑의 소파가 용이한 방파제용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391B1 (ko) 회동 포착형 항만 공사용 블럭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KR100870859B1 (ko) 볼트를 이용한 피에이치씨 파일의 연결 구조
KR100563272B1 (ko) 건축 터파기 공사용 토류시설
KR101054277B1 (ko) 트렌치벽의 섹션을 한정하기 위한 거푸집요소, 거푸집부품및 지반에 트렌치벽을 만드는 방법
KR101109320B1 (ko) 현장 조립식 침하방지 구조를 갖는 경사지 설치가 용이한 콘크리트 암거 박스 및 그의 시공 방법
JP6243147B2 (ja) 湾曲状プレキャスト部材相互の連結方法及びその連結構造
CN107165177B (zh) 一种边坡支护施工方法
CN110043295A (zh) 一种先拱后填的隧道塌方处理方法
CN205576955U (zh) 一种条形基础置换成筏板基础的加固结构
CN103758362A (zh) 既有砌体建筑后增圈梁、构造柱及钢拉杆的抗震加固方法
CN208748644U (zh) 一种渠式切割装配式地下连续墙
CN113417300B (zh) 边坡支护系统及其施工方法
JP2011089361A (ja) 法面補強工法
CN206477344U (zh) 基坑支护结构
KR200455432Y1 (ko) 옹벽시공용 연결장치
RU2705674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шпунт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при проведении работ на магистральном трубопроводе и шпунтовое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обустройства котлована
KR101521558B1 (ko) 그라우트 또는 슬라임의 관내 유입을 방지하는 벽체부재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102614942B1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방법
JP6444839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US6332297B1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formwork
JP2014206025A (ja) カルバート
JP6445276B2 (ja) 境界ブロック設置の施工方法
JP6971165B2 (ja) 壁体構築方法および壁体
CN107604939B (zh) 一种用于重力式挡土墙的加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