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86Y1 -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586Y1 KR200451586Y1 KR2020080017179U KR20080017179U KR200451586Y1 KR 200451586 Y1 KR200451586 Y1 KR 200451586Y1 KR 2020080017179 U KR2020080017179 U KR 2020080017179U KR 20080017179 U KR20080017179 U KR 20080017179U KR 200451586 Y1 KR200451586 Y1 KR 2004515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straw
- interlocking
- straw layer
- protru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경사면이나 도로변의 절성토 구간에 시공하는 호안블록(또는 법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변 경계면의 토사유실 방지는 물론이고 식물의 원활한 생육공간을 제공하여 빠른 시일내에 안정적으로 주변의 자연환경과 융화될 수 있도록 볏짚 층을 부착하고 있고, 호안블록 상호간의 연결조립이 용이하고 하천의 급경사면 등에 설치가 쉬우며, 호안블록 상호간의 연결이 견고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호안블록, 볏짚층, 측면결속홈, 돌출형 인터로킹, 공동형 인터로킹, 밀림방지턱, 블록연결부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천의 경사면이나 도로변의 절성토 구간에 시공하는 호안블록(또는 법면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변 경계면의 토사유실 방지는 물론이고 식물의 원활한 생육공간을 제공하여 빠른 시일내에 안정적으로 주변의 자연환경과 융화될 수 있도록 볏짚 층을 부착하고 있고, 호안블록 상호간의 연결조립이 용이하고 하천의 경사면 등에 설치가 쉬우며, 호안블록 상호간의 연결이 견고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의 종래의 특허문헌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호안블록(또는 법면블록)이 개시되어 있지만, 기존의 호안블록(또는 법면블록)은 하천의 경사면이나 도로변의 절성토 구간에 시공한 경우 호안블록의 주재료인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1-107243호에 개시된 것은, 각 호안블록을 다른 호안블록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단지 상기 호안블록 내에 공동부를 형성하여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도록 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구조는 각각의 호안블록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하천의 유속이나 배면 토압이나 지반침하에 의해 필연적으로 각 호안블록 사이에서 틈이 벌어지게 되어 재차 시공해야 하므로 노력과 비용면에서 큰 단점을 가지고 있고, 시공후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주변의 자연환경과 직접 접촉하므로 주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90022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44558호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각각의 호안블럭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호안블록을 개시하고 있으나, 각 호안블록을 다른 호안블록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하고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시공후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그대로 주변의 환경에 노출되어 주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미관상으로도 주위의 자연경관과 융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호안블록은 블록자체에 맞물림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시공후 기초지반의 부등침하와 같은 변위에 대해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각 호안블록을 연결시키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시공기간 및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도 불리하다.
또한, 종래의 호안블록에 있어서는 환경적인 면을 고려한 조치로서 단순히 식물의 생장이 가능하도록 호안블록에 식생홈을 형성하고 있는 정도에 불과하여, 주변 생태계 및 주변 자연경관과의 융화라는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많다.
이에 본원 고안자는 상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이미 "볏짚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에 관한 출원을 한 바 있다. 상기 출원에 의한 발명은 하천의 경사면이 완만한 경우 시공이 가능하며, 경사면이 급한 경우에는 축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급한 경사면에서는 호안블럭의 연결구조를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간편하게 상하좌우로 확장하여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시 별도의 연결보완부재가 없어도 결합관계가 단단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는바, 본 고안을 생각해내게 되었다. 특히 상하연결에 있어서, 종래에는 수직으로 적층되는 호안블록을 경사지게 기울여서 하천의 완만한 경사면 등에 시공하였기 때문에, 결합 후 별도로 경사지게 설치하는데 비용 및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간단하게 계단식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손쉽게 연결되도록 하고 급경사면에서도 축조가 가능한 블록을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맞물림 형태의 연결부가 구비된 호안블록의 경우에 맞물림부 외에는 호안블록을 고정시키는 부분이 없었기 때문에, 블록 상호간의 연결이 견고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안블럭의 시공후 기초지반의 부등침하에 대한 대응력을 가지며, 식생공간을 제공하여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호안블록을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시공후 주변 생태계 및 주변 자연경관과 잘 융화될 수 있으며, 호안블록 상호 간의 연결이 용이하고, 급경사면에 축조하기에 적합하도록 계단식으로 적층하는 방식의 견고한 환경친화적인 조립식 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호안블록은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전면부,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블록전면부의 노출면상에 구비되고 볏짚이 여러겹 부착되어 상기 노출표면을 완전히 덮어 식생공간으로 사용되는 볏짚층, 상기 블록전면부의 좌우측 측면에 구비되며 블록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경우(평면도 상에서) 일측면이 "ㄱ"자 형태이고 반대측면이 "ㄴ"자 형태로 돌출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길게 블록을 연결하는 경우 서로 측면부가 맞물리도록 하는 측면결속홈, 블록의 상부면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하고 블록을 수직방향(상하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 적층된 블록(윗쪽 블록)의 블록전면부의 하부면이 피적층 블록(아랫쪽 블록) 보다 전면방향으로 밀려 나와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된 계단형으로 블록이 적층되도록 하는 밀림방지턱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볏짚층을 구비하는 블록전면부는 표면이 평평하지 않고 중앙 부분이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인위적으로 식생공간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하천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은 블록의 후면부에 돌출형 인터로킹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돌출형 인터로킹부는 후방측에서 블록을 볼 때(배면도 상에서) 밑변의 길이가 윗변의 길이보다 긴 "ㅍ"자 형상을 가진다. 돌출형 인터로킹부는 "ㅍ"자 형상의 윗변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상부 인터로킹부")은 블록에서 좌우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ㅍ"자 형상의 밑변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하부 인터로킹부") 역시 마찬가지로 블록에서 좌우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은 상부 및 하부 인터로킹부와 블록전면부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블록연결부를 가진다. 블록연결부의 상부면의 블록전면부에 가까운 방향으로 치우쳐서, 앞서 설명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 밀림방지턱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블록연결부의 중앙부분을 좌우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원뿔대형 홈을 구비하는데, 원뿔대형 홈은 공동형 인터로킹부의 역할을 수행한다(도4 참조).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각 호안블록이 좌우측방향으로는 나란하게 맞물리고 상하방향으로는 하층의 호안블록과 상층의 호안블록이 밀림방지턱으로 인해 서로 계단식으로 맞물리도록 시공할 수 있으므로, 전체 시공 구조물의 구조적 일체성이 강화되며, 하천의 경사면 등이 가지는 일정한 각도에 맞게 시공하기 위해 결합된 호 안블록을 상기 각도에 맞게 비스듬히 눕혀 시공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직접 계단식으로 쌓아서 바로 경사면에 맞게 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의 호안블록에는,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블록과의 맞물림 구조를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어서, 블록의 적층시공시 하층의 블록과 상층의 블록이 서로 계단식으로 적층되어 적층된 블록 자체가 경사면이 되도록 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전체 시공 구조물의 구조적 일체성이 강화되고, 별도의 후공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블록의 돌출형 인터로킹부 시공시에 지반의 토사 또는 기초콘크리트에 뒤덮혀 묻히는 형태로 시공되어 자체적인 마찰력 및 자체하중에 의해서 호안블록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공동형 인터로킹부는 지반의 토사 또는 기초콘크리트가 원뿔대형 홈 내부를 파고들어 내부를 채움으로써, 호안블록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호안블록 상호간에 연결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호안블록을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호안블록은 시공후 블록의 주재료인 콘크리트가 그대로 노출되어 환경적인 면에서나 미관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대하여, 본 고안의 호안블록에서는, 블록전면부에 일정한 두께의 볏짚 층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시공후에도 인공적인 구조물이 시공되어 있는지 자연상태의 구조인지 잘 구별할 수 없을 정도여서 주변 생태계 및 주변의 자연경관과 잘 융화될 수 있다.
상기 볏짚 층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볏짚 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즉, 20mm를 초과하면), 콘크리트 블록 내에 매설되어 있는 철근과 상기 볏짚 층이 접촉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시공후 볏짚 층이 썩어서 블록으로부터 볏짚 층이 제거되면, 철근이 외부에 노출되어 빗물이나 하천수에 의해 부식되어 결과적으로 호안블록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으며, 볏짚 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즉, 10mm 미만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볏짚 층을 부착시킨 의도가 반감될 뿐만아니라 너무 얇은 볏짚 층을 부착시킨 블록은 제작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공시에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블록 자체에 형성된 맞물림 구조를 이용하여 각 호안블록을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호안블럭의 시공 후 기초지반의 부등침하에 대한 대응력을 가질 수 있으며, 배면 토압에 의해서 일부 블록이 전방으로 밀려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자체에 형성된 맞물림 구조를 이용하여 각 호안블록을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조립하는 것만으로, 시공라인을 맞출 수 있으며, 체결수단을 이용한 블록간의 연결작업과 같은 부가적인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특히 상하방향으로 블록을 적층하는 경우, 하천의 경사면 등이 가지는 일정한 각도에 맞게 시공하기 위해 결합된 호안블록을 상기 각도에 맞게 비 스듬히 눕혀 시공하는 과정이 불필요하고, 직접 계단식으로 쌓아서 바로 경사면에 맞게 시공할 수 있고, 완경사면 뿐만 아니라 급경사면에도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형 인터로킹부 및 공동형 인터로킹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 인터로킹부와 토사 또는 기초콘크리트 간의 인터로킹 작용에 의해서, 시공된 호안블록을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볏짚층을 구비하는 블록전면부는 표면이 평평하지 않고 중앙 부분이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는 인위적으로 식생공간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하천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볏짚층이 블록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어서, 시공후 주변 생태계와 잘 조화될 뿐만아니라, 콘크리트가 직접 노출되지 않아서 주변 자연경관과도 잘 융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우측" 및 "좌측"은 본 고안의 조립식 호안블록의 정면을 마주 보았을 때의 관찰자를 기준으로 정하며,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부분을 지칭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1)은 판재 형상의 블록전면부(10), 상기 판재 형상의 블록전면부(10)의 지면 또는 수면으로 노출되는 면인 노출면상에 구비되고 볏짚이 여러겹 부착되어 상기 노출표면을 완전히 덮어 식생공간으로 사용되는 볏짚층(11), 상기 블록전면부(10)의 좌우측 측면에 구비되며 일측면이 일정한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반대측면이 상기 일측면과 형합되는 형태를 가져서 서로 측면부가 맞물리는 형상이면 무방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블록을 위에서 내려다보는 경우(평면도 상에서) 일측면이 "ㄱ"자 형태이고 반대측면이 "ㄴ"자 형태로 돌출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길게 블록을 연결하는 경우 서로 측면부가 맞물리도록 하는 측면결속홈(12, 13), 하기할 블록(1)의 블록연결부(20)의 상부면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하고 블록(1)을 연직방향(상하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 적층된 블록(윗쪽 블록)의 블록전면부의 하부면이 피적층 블록(아랫쪽 블록) 보다 전면방향으로 밀려 나와서 돌출되지 않고 함입되는 형태로 안정된 계단형으로 블록이 적층되도록 윗쪽 블록의 위치를 결정하는 밀림방지턱(21)을 구비한다. 밀림방지턱(21)을 구비함으로써, 계단식으로 블록 적층이 가능하므로 하천의 경사면이 급한 곳에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볏짚층(11)을 구비하는 블록전면부(10)는 표면이 평평하지 않고 중앙 부분이 블록을 위에서 내려다 보는 경우(평면도 상에서)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전면오목부(14)를 가지는데, 이는 인위적으로 식생공간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하천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는 인위적으로 하천의 수로를 직선으로 만들지 않고 곡선으로 만들어서 유속을 감소시키는 원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전면오목부(14)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식생공간으로 제공되는 동시에 식생하는 생물이 빠른 유속에 의해 휩쓸려 내려가거나 받는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전면오목부(14)는 반드시 "ㄷ"자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실제 시공시 볏짚 층(11) 표면에 흙을 뿌려놓으면 볏짚 사이에 흙이 채워져서 식물이 자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1)은 후면부에 호안블록(1)과 일체로 돌출형 인터로킹부(23)를 구비하는데, 상기 돌출형 인터로킹부(23)는 후방측에서 블록을 볼 때(배면도 상에서) 밑변의 길이가 윗변의 길이보다 긴 "ㅍ"자 형상을 가진다. 돌출형 인터로킹부(23)는 "ㅍ"자 형상의 윗변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상부 인터로킹부(23')")은 블록에서 좌우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마찬가지로 "ㅍ"자 형상의 밑변에 해당하는 부분(이하 "하부 인터로킹부(23'')") 역시 마찬가지로 블록에서 좌우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1)은 상부 및 하부 인터로킹부(23', 23'')와 블록전면부(1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블록연결부(20)를 가진다. 블록연결부(20)의 상부면의 블록전면부에 가까운 방향으로 치우쳐서, 앞서 설명한 돌출된 형태의 밀림방지턱(21)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블록연결부(20)의 중앙부분을 좌우측방향으로 관통하는 빈 공간인 원뿔대형 홈을 구비하는데, 원뿔대형 홈은 공동형 인터로킹부(22)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돌출형 인터로킹부(23)와 공동형 인터로킹부(22)는 지반의 토사 또는 기초콘크리트와의 인터로킹 작용을 통해, 블록(1)이 제자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돌출형 인터로킹부(23) 시공시에 지반의 토사 또는 기초콘크리트에 뒤덮혀 묻히는 형태로 시공되어 자체적인 마찰력 및 자체하중에 의해서 호안블록(1)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공동형 인터로킹부(22)는 지반의 토사 또는 기초콘크리트가 원뿔대형 홈 내부를 파고들어 내부를 채움으로써, 호안블록(1)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 호안블록(1) 상호간에 연결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호안블록(1)을 지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판재 형상의 블록전면부(10)의 우측면과 좌측면에는 측면결속홈(12, 13)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면이 일정한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반대측면이 상기 일측면과 형합되는 형태를 가져서 서로 측면부가 맞물리는 형상이면 무방하다. 도1에서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좌우측면 중 일측면이 "ㄱ"자 형태의 측면결속홈(12)을 구비하는 경우, 반대측면은 "ㄴ"자 형태의 측면결속홈(13)을 구비하여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좌우측면의 측면결속홈(12, 13)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시공현장에서, 복수의 호안블록을 횡방향으로 연결할 때, 한쪽 호안블록의 측면결속홈(12)과 이웃하는 다른쪽 호안블록의 측면결속홈(13)를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시공라인을 맞추면서 시공 구조물의 구조적 일체성을 강화할 수 있다. 호안블록(1) 상호 간의 연결관계에 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정면도이다. 볏짚층(11)이 부착된 블록전면부(10)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호안블록에서 환경친화적인 측면을 고려한 구성으로는, 콘크리트 표면에 홈을 만들고 흙을 채워서 식물이 자라게 하는 정도가 전부였다. 그러나, 콘크리트 표면에서는 식물이 뿌리를 내리기가 어렵고, 뿌리를 내린 경우라 하더라도 홍수시의 유속에서는 버티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고안에서는 콘크리트 블록 본체(1)의 블록전면부(10)에 볏짚 층(11)을 부착하여 환경친화적인 면을 강화하였다.
본 고안의 호안블록(1)을 실제로 제작할 때에는, 농촌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볏짚을 이용하여 느슨한 상태의 멍석 형태로 만들어 콘크리트를 투입하기 전에 금형 바닥에 깔고, 철근과 이격을 두기 위해 스페이서를 볏짚 멍석과 철근 사이에 배치시킨 다음 콘크리트를 투입한다. 이 때,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투입되도록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을 이용하여 진동을 주면서 콘크리트를 투입한다.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 금형을 벗겨내면 콘크리트의 표면에 볏짚 멍석(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이 완성된다.
볏짚 멍석은 각종 수생식물이 자랄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하며, 시간이 경과하면 썩어서 식물생장에 필요한 퇴비의 역할을 하므로 환경친화적인 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또한, 볏짚 층을 태우면 콘크리트 표면에 식물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불규칙한 홈이 형성되므로 식물이 식생하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볏짚 멍석이 부착된 블록을 하천 또는 절토구간이나 성토구간의 경사면에 시공하면, 콘크리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시공직후에도 주위의 자연경관과 잘 조화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외력 또는 자중을 지탱하기 위해 내부에 철근을 넣고 있고, 특히 물과 접하는 곳에는 철근이 콘크리표 표면으로부터 2inch(약 51mm) 이상 이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상기 볏짚 층의 두께는 10mm 내지 2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배면도이다. 돌출형 인터로킹부(23)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ㅍ"자 형상을 지녔으며 상부 인터로킹부(23') 보다 하부 인터로킹부(23'')의 너비가 더 넓다. 돌출형 인터로킹부(23)의 상부 인터로킹부(23')는 블록에서 좌우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마찬가지로 하부 인터로킹부(23'') 또한 블록에서 좌우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블록의 돌출형 인터로킹부(23)는 시공시에 지반의 토사 또는 기초콘크리트에 뒤덮혀 묻히는 형태로 시공되어 자체적인 마찰력 및 자체하중에 의해서 호안블록(1)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연결된 블록(1)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형 인터로킹부(23)의 기능을 고려해 볼 때, "ㅍ"자 형상 이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돌출되어 "ㅍ"자 형상 이외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공동형 인터로킹부(22)가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공동형 인터로킹부(22)는 블록연결부(20)의 좌우측 표면부에서 블록연결부(20) 중심 방향으로 점점 공동의 원주가 작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즉, 공동형 인터로킹부(22)는 2개의 원뿔대의 윗면(원주가 작은면)이 서로 접하여 마주보는 구조를 취한다. 이는 공동형 인터로킹부(22)가 토사나 콘크리트로 채워져서 인터로킹 작용을 할 때, 원통형 홈을 구비한 경우 원통의 윗면과 아랫면의 원주가 일정하기 때문에 토사 등이 쉽게 원통형 홈의 길이방향(원통의 윗면과 아랫면을 관통하는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서 전체 블록이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지지만, 원뿔대형 홈은 자체 마찰력이 강하여 좌우측 방향으로 토사 등이 이동하기 어려워 블록 자체가 고정되기 때문에, 지면 또는 기초 콘크리트와의 결합이 강하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평면도이다. 블록연결부(20)의 상부면에 구비된 밀림방지턱(21)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대로 밀림방지턱(21)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작업 없이 하천의 경사면 등에 계단식으로 직접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을 좌우로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을 상하로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록(1)을 좌우로 연결시에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측면결속홈(12, 13)을 결합할 수 있으며, 블록(1)을 상하로 연결시에는 아래층 블록의 밀림방지턱(21)에 윗층 블록의 블록전면부(10) 끝단을 맞춰 적층하면 자연스럽게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계단형 블록을 적층할 수 있다. 블록(1)을 상하로 적층시에 블록전면부(10)의 끝라인이 일렬로 정렬되도록 쌓을 수도 있으나, 이는 적층높이가 높은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7에 도시된 것처럼 벽돌을 쌓듯이 서로 엇걸리게(윗층 블록의 블록전면부(10)가 아래층 블록의 밀림방지턱(21)의 중앙에 정렬되도록) 쌓는 것이 보다 안정적이다.
도8 및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을 하천의 경사면에 시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및 상기 도면을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천단 콘크리트는 표면에 가장 가까운 콘크리트를 의미하며, 도8은 기초콘크리트로 호안블록(1)을 고정시키는 시공법을 택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토사 등으로 호안블록(1)의 인터로킹부(22, 23)를 덮어서 고정하는 방법도 실시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영역이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배면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의 평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을 좌우로 연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을 상하로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을 하천의 경사면에 시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상기 도8의 도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Claims (4)
- 판재 형상의 블록전면부(10);상기 판재 형상의 블록전면부(10)에 구비되고, 볏짚이 부착된 볏짚층(11);상기 블록전면부(10)의 좌우측 측면에 구비되며, 일측면이 돌출된 형태이고 반대측면이 상기 일측면과 형합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호안블록을 연결하는 경우 서로 측면부가 맞물리도록 하는 측면결속홈(12, 13);상기 블록전면부(10)와 일체로 구비된 블록연결부(20);상기 블록연결부(20)의 중앙부분에 위치하고, 블록연결부(20)의 좌우측 표면부에서 상기 블록연결부(20) 중심 방향으로 점점 공동의 원주가 작아지는 형태로써, 2개의 원뿔대의 윗면이 서로 접하여 마주보는 구조를 가지는 공동형 인터로킹부(22);상기 블록연결부(20)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연결부(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돌출형 인터로킹부(23);상기 블록연결부(20)의 상부면에 돌출된 형태로 위치하고, 다른 호안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때, 상기 다른 호안블록이 놓이는 위치를 결정하는 밀림방지턱(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층(11)을 구비하는 블록전면부(10)는 표면의 일 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전면오목부(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인터로킹부(23)는 상부 인터로킹부(23') 및 하부 인터로킹부(2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인터로킹부(23'')의 길이가 상부 인터로킹부(23')의 길이보다 긴 "ㅍ"자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인터로킹부(23', 23'')는 상기 블록연결부(20)에서 좌우측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점점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의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
-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볏짚 층(11)의 두께가 10mm 내지 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7179U KR200451586Y1 (ko) | 2008-12-26 | 2008-12-26 |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7179U KR200451586Y1 (ko) | 2008-12-26 | 2008-12-26 |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842U KR20100006842U (ko) | 2010-07-06 |
KR200451586Y1 true KR200451586Y1 (ko) | 2010-12-23 |
Family
ID=4445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7179U KR200451586Y1 (ko) | 2008-12-26 | 2008-12-26 |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1586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79370A (zh) * | 2021-05-24 | 2021-08-20 | 上海市水利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基于生态化改造的双向自锁式海堤护面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391Y1 (ko) | 2001-05-29 | 2001-10-29 | (주)대성 월-스톤 |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
KR100788297B1 (ko) | 2007-09-21 | 2007-12-27 | 최형국 | 조립식 옹벽블럭 |
-
2008
- 2008-12-26 KR KR2020080017179U patent/KR20045158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391Y1 (ko) | 2001-05-29 | 2001-10-29 | (주)대성 월-스톤 |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
KR100788297B1 (ko) | 2007-09-21 | 2007-12-27 | 최형국 | 조립식 옹벽블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6842U (ko) | 2010-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77236A (en) | Crib block and structure | |
KR101301915B1 (ko) |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 |
US20050100418A1 (en) |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 |
CN102286955B (zh) | 钢筋混凝土桩式堤及其施工方法 | |
KR200451586Y1 (ko) |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호안블록 | |
KR200345937Y1 (ko) |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 |
KR100723646B1 (ko) | 옹벽격자블록 | |
KR100855150B1 (ko) | 토목용 다용도 생태블럭 | |
CN215801414U (zh) | 一种互嵌式三维生态联锁块 | |
KR100951125B1 (ko) | 볏짚 층이 부착된 환경친화형 조립식 호안블록 | |
KR101350945B1 (ko) | 마이크로 개비온 사방댐 | |
KR101510612B1 (ko) | 법면 보강용 블럭의 고정구 | |
KR200422445Y1 (ko) |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구조체 | |
KR200376256Y1 (ko) | 어소블록과 식생블록이 계단식 층상구조를 이루는 보강토제방구조물 | |
KR200300440Y1 (ko) |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 |
KR101297151B1 (ko) | 결속대가 형성된 옹벽용 블럭 | |
KR101790939B1 (ko) |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 |
KR200327399Y1 (ko) | 조립식 호안블록 | |
KR101385025B1 (ko) | 적층식 채움재를 구비한 개비온을 이용하여 축벽을 시공하는 방법 | |
JP5408725B2 (ja) | 生物共生用護岸パネル材及び生物共生型護岸 | |
JP6637305B2 (ja) | 砂防堰堤 | |
KR101062802B1 (ko) | 조립식 블록 | |
KR101129494B1 (ko) | 식생 옹벽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시공방법 | |
KR20030019485A (ko) | 친환경 구축력 옹벽 | |
KR20040098434A (ko) | 조립식 호안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