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853A - 하천용 어도 - Google Patents

하천용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853A
KR20040070853A KR1020030007052A KR20030007052A KR20040070853A KR 20040070853 A KR20040070853 A KR 20040070853A KR 1020030007052 A KR1020030007052 A KR 1020030007052A KR 20030007052 A KR20030007052 A KR 20030007052A KR 20040070853 A KR20040070853 A KR 20040070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semi
circular body
fish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3938B1 (ko
Inventor
민선영
Original Assignee
(주)대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대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0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9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에서 수자원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축조된 제방의 일부에 형성된 보 및 경사진 하천에서 시공되는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서 수지원을 이용하기 위하여 흐르는 물을 막아서 축조된 제방의 보 또는 경사진 하천에서 일측에 형성된 배수로는 어류가 산란 등을 위하여 하천의 상, 하류로 이동하는데 효과적인 구조가 되지 못하므로 어류의 산란 등을 위한 이동을 보호하지 못하여 자원 환경 및 어류의 보호에도 문제점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천의 제방의 일측에 형성된 보(20)가 축조된 구간의 저면인 기소(23)에 어도 블록와 벽체(33)가 서로 조립되어 배치되며, 본 발명의 요부인 어도 블록을 단면으로 설명하면.
먼저, 하천의 기소(23)에 일정한 간격으로 비스듬히 요홈부(26)가 기소(23) 방향인 하측으로 향하도록 반원형 몸체(21)를 고정하되, 일측 단부에는 고정대(32)로 경사부(29)가 볼록하게 조립하도록 하면서 이동부(25)는 연속적으로 조립되는 원호형 파이프(22')의 볼록부(29')와의 사이에 입출구(24)가 형성되도록 반원형 몸체(21)의 상부면(27)에 얹져서 조립하되, 깊숙이 요홈대기부(30)이 구성되도록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상기 기소(23)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반원형 몸체(21)(21')사이에 원호형 파이프(22)로 형성된 볼록부(29)를 비스듬히형성하고, 일측 단부에 경사부(29)가 형성되도록 원호형 파이프(22)의 일측 단부를 고정대(32)로 고정하면서, 타측의 이동대(25)를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원호형 파이프(22')와의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입출구(24)가 구성되면서, 깊숙이 요홈 대기부(30)을 구성하여 주는 발명으로 하천의 경사면에서 어류가 회귀로 상류로 지나가면서 경사면(29)과 이동대(25)를 타고 입출구(24)에서 요홈 대기부(30)에서 머무르면서 휴식을 취하면서 다음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하천용 어도{omitted}
본 발명은 하천에서 흐르는 하천수를 농업용이나 식수용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하천을 막아서 축조하는 제방에서 하천의 하천수에서 서식하는 어류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보의 경사면에 구성되는 하천용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보에 형성되는 어도에 대한 구조에서는 하천수가 경사지게 흐르는 경사로에서 어류가 계절에 따라 번식을 위하여 회귀하는 과정에서 어류의 이동과정에서 부적절한 구조로 물고기가 급경사를 이루는 보를 넘지 못하거나, 또는 인위적으로 구축한 돌이나 자갈을 철망으로 감싸준 망태에 걸려서 죽거나, 또는 물고기가 상류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부적합한 구조로 형성되어왔다.
또한, 어도 블록은 대부분 블록의 중간부위에 대기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어류가 도강 도중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서 다시 도강하는 휴식공간 또는대기 공간으로서 특히 어류가 어느 정도 성장한 큰고기의 형태로서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구조이다.
또한, 블록형태로 계단의 구조로 조립된 유속의 감소를 목적으로 제공된 블록은 블록의 중앙부위에 대기공간 역할을 하는 유수실이 형성되어 제공하였으나, 이는 어류가 이동하는 경우 어류가 상류 방향으로 도강하기에는 어류의 이동상 필요한 만곡상태의 어류 이동 통로가 부족하여 효과적인 어도로 제공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공된 어도는 대부분 누출된 대기공간으로서 어류가 이동하는 동안 천적인 철새 및 야생 동물에게 노출이 심하여 포획되는 경우가 많아서 안정적으로 대피처를 제공하면서 어류가 편한하게 휴식을 취하는 공간의 제공이 부족되었다.
또한, 어도는 하천의 경사면에서 어류의 상류로 회귀하면서 하천의 배수로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여 주나, 이에 대한 간단한 조립 구조의 제공으로 경제성을 보강하여 주도록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하천에서 수자원의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축조된 제방의 일측에 형성된 보의 구조는 경사면을 이루게되고, 경사면을 타고 흐르는 하천수는 폭포처럼 급경사를 이루면서 흐르게 된다. 이로 인한 어류가 산란이나 회귀를 위하여 하류에서 상류로 거슬러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울기가 거의 수직 형태로 경사진 구간에서 일시에 이동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경사면을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바, 이로 인한 어류에 대한 생태계가 교란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적한 경사면을 완화하여 주면서 경사진 구간에 간헐적으로 어류가 멈추면서 다시 도강하는 안전공간을 형성하도록 제공하여, 하천에 따라 이동하는 어류의 안전한 도강을 보장으로 생태계의 보존 및 어류의 증식에도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1은 제방이 구축된 종래의 요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4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요부를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원호형 파이프에서 이동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6은 도5의 요부인 원호형 파이프와 반원형몸체를 서로 조립하여 어도의 입출구를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요부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
도9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10 내지 도11은 도9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부분 사시도
도13은 도12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천용 어도를 하천의 경사면에 배치한 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21. 반원형 몸체 22. 반원형 파이프
23. 기소 24,24'.입출구 25,25'. 이동부
26,26'. 요홈부 27,27'. 상부면 29,29'. 경사부
30,30' 요홈대기부 31. 중공구 32. 고정대 33. 벽체
38. 지지부 39. 요홈부 40. 절개부 41. 요홈턱
42. 통로 43. 볼록턱 45. 통로 46,47. 중간 담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어도 겸 배수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천의 제방의 일측에 형성된 보가 축조된 구간의 저면인 경사부에 어도 블록이 조립되어 배치되며, 어도 볼록은 단면으로 설명하면 요홈부를 형성한 반원형 몸체의 일측에 고정대로 연결되는 원호형 파이프를 볼록부가 볼록하게 연결하면서 이동부가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원호형 타이프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이동부를 형성하고, 또 반원형 몸체에서 타측의 상부면에 원호형 파이프에서 볼록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오목부를 얹져주어서 서로 연동되게 조립하면서 깊숙이 요홈 대기부가 구성되도록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어류가 상류로 회귀하면서 입출구를 통하여, 상기 형성된 요홈 대기부에서 휴식을 취하여 다시 이동하도록 구성된 발명으로 이를 하천에 구축된 보의 경사면의 기소에 다수개를 서로 상,하로 연동되게 조립하여 제공되는 발명이다.
고로,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하면 어류는 블록의 요홈 대기부로 진입한 다음잠시 머무르면서 힘을 축적한 다음, 입출구로 통과하여서 경사부를 타고 이동부로 진출하여 다음에 조립된 블록 몸체의 요홈대기부로 진입하면서 하천에 축조된 보의 경사면을 거슬러 오를 수가 있게되며 이와 동시에 하천의 흐름도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4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요부를 사용상태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원호형 파이프에서 이동부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6은 도5의 요부인 원호형 파이프와 반원형 몸체를 서로 조립하여 어도의 입출구를 구성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8은 도7에 도시된 요부의 사용 상태의 단면도이다.
즉,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천의 어도용 블록은 횡방향의 길이가 종방향의 길이보다 긴 대략 단면이 직사각형으로서 그 높이는 작은 어류도 통과 가능할 정도로서 적게는 25내지 40cm 정도, 크게는 50내지 80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하는 재질은 콘크리트 및 경질 합성수지제 등으로 내구성이 양호하며 하천수에 안전적인 재료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천의 제방의 일측에 형성된 보(20)가 축조된 구간의 기소(23)에 하천용 어도가 조립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천용 어도를 단면으로 설명하면.
먼저, 하천의 기소(23)에 일정한 간격으로 비스듬히 요홈부(26)가 형성된 반원형 몸체(21)가 기소(23)로 향하도록 하는 반원형 몸체(21)를 경사부(29)를 조립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하천에 축조된 보(20)에서 본 발명의 목적인 어도를 구축하려고 하는 기소(23)에 고정하여 준다.
다음에는, 상기 기소(23)에 고정되어 있는 반원형 몸체(21)에서, 일측에 반원형으로 형성된 요홈부(26)를 비스듬히 오목하게 형성하고, 일측 단부에 원호형의 경사부(29)와 이동부(25)가 형성되도록 원호형 파이프(22)의 일측 단부로 요홈부 (26)가 형성되는 반원형 몸체(21)의 일측 단부에 서로 일체로 고정대(32)로 고정하면서 연결하여 주고, 타측의 상부면(27)에는 연속으로 하천의 보(20)에 형성되는 경사지는 기소(23)에 고정하는 경사부(29)가 형성되는 원호형 파이프(22)의 내측면에 약간의 안쪽으로 얹져서 지지하여 주어서 입출구(24)와 깊숙한 위치로 요홈대기부(30)를 구성하여 주도록 한다.
여기서, 형성되는 요홈대기부(30)의 구성은 비스듬히 흐르는 하천에 축조된 보(20)의 경사지는 기소(23)에 요홈부(26)가 형성되는 단면이 반원형 몸체(21)을 고정한 다음, 일측에 고정대(32)로 연결되면서 경사부(29)와 이동부(25)가 형성되도록 단면이 원호형 파이프(22)를 볼록하게 엎은 상태로 연결하고, 타측의 상부면 (27)에 얹져서 돌출되는 경사부(29)로 형성되는 입출구(24)로 형성되며, 이는 기소(23)에 연속적으로 고정하는 반원형 몸체(21')에서 상부면(27) 부위에 얹져서 경사부(29)(29')에 연결된 이동부(25)가 단부에 대한 약간 돌출하여 주는 돌출 정도는, 어류가 입출구(24)에 들어다닐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도록 하여입출구(24)(24')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하천에서 배수하는 하천수가 본 발명의 어도용 블럭를 타고 흐르는 경우, 산란을 목적으로 도강을 위하여, 하류측에 머무르는 어류가 본 발명의 요부인 경사부(29)를 타고 이동부(25)를 지나면서 입출구(24)의 요홈 깊숙이 형성되는 요홈대기부(30)으로 이동하여 일시적으로 머무르면서 다음 상류측으로 이동하기 위한 휴식으로 힘을 비축하는 시간을 얻는다.
이때, 형성되는 요홈대기부(30)은 본 발명의 요부인 요홈부(26)와 상부면 (27)으로 받쳐주어서, 연동되어 조립되는 경사부(29)의 하측면을 지지하면서 이동부(25')를 돌출시켜 주면서 형성되는 입출구(24)와 원통형 공간의 요홈대기부(30)가 형성되며, 이때 형성된 요홈대기부(30)는 단면이 원통형으로 구성되므로 하천수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거의 미미하게 작용하며, 이에 대기중인 어류는 유속에 의한 체력의 소모가 거의 없이 편안하게 휴식을 하는 공간이 제공되며, 또, 하천의 흐르는 경사면에서 깊숙이 위치하므로 외부의 천적에 대한 위험도 감소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공되는 반원형 몸체(21)와 원호형 파이프(22)에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3a은 도2 및 도3에서 A-A선 및 A'-A'선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일정 두께를 이루고 있는 반원형 몸체(21)와 원호형 파이프 (22)의 후육에 중공구(31)을 형성하여 경량성 및 작업성을 제공하여 경제성의 보강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요부인 입출구(24)에 대한 보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29)와 이동부(25)로 형성하면서 본 발명에서 조립되어 입출구(24)를 형성하는 단면이 원호형 파이프(22)에서 입출구(24)를 형성하는 단부에다 지지부(38)를 형성하면서 그사이에 요홈부(39)를 구성으로, 상기 형성된 지지부(38)로 타측의 경사부(29')에 지지하여 주어 입출구(24')를 구성되는 발명으로서, 상기 설명된 입출구(24')의 견고성이 보강되며, 이와 아울러 요홈대기부(30)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어류를 외부의 천적인 새 및 야생동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요부로 제공되는 반원형 몸체(21)와 원호형 파이프(22)에서 형성되는 후육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도5a은 도5에서B-B선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일정 두께를 이루고 있는 반원형 몸체(21)와 원호형 파이프(22)의 후육에 내,외측면으로 교호상을 형성하는 파형부(31')을 구성하여 경량성 및 작업성을 제공하여 경제성의 보강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여기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인 이동부(25')에 일체로 형성된 요홈부(39) 사이에 돌출된 돌출부(31)를 타측에 조립된 경사부(29)에 반원형 파이프(22)의 상부면(27)에 얹져서 조립하여서 요홈부(39)로 입출구(24')를 구성한다.
또한, 입출구(24)를 형성하는 단면이 원호형 파이프(22)는, 일측이 고정대 (32)로 반원형 몸체(21)의 단부에 연결하는데, 구조상 장기간 사용하여 주어야 경제성을 제공하는데, 이의 보강을 위하여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대기부(30)의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서, 요홈대기부(30)의 중간 공간에 위치하도록 폭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봉(36)을 벽체(33)에 일체로 고정하면서 상기 지지봉 (36)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부(37)로 경사부(29)와 요홈부(26) 사이를 지지시켜 주어서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하천의 경사면에 시공하는 본 발명의 하천용 어도를 장기간 사용하도록 하며, 아울러, 요홈대기부(30)에서 어류가 휴식 등으로 머무르는 동안 외부의 천적인 조류와 같은 야생 동물에 대한 보호역할을 제공으로 발명이며, 하천의 경사면에 대한 시공은 본 발명의 어도가 경사면의 전체적인 조립 구성이 보강되는 발명이다.
또한, 하천의 경사면의 기소(23)에 고정하여 조립하는 경우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어도를 조립하는 하천의 경사면 방향으로 하천수가 흐르도록 폭 방향으로 조립하는 어도 사이에는 고정용 벽체(33)로 본 발명의 블록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를 단단히 고정하여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반원형 몸체(21)에 간헐적으로 절개부를 형성하여 어도로 제공하는 발명으로서, 도9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10 및 도11은 도9에 대한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반원형 몸체(21)에 대한 실시예1에 대한 설명으로서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에 형성된 경사면의 기소(23)에다 계단 형식으로 경사지게 여러 층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주면서 요홈부의 중간담수부(47)을 형성하면서 볼록 형태로 엎어서 중앙의 볼록부위에 간헐적으로 절개부(40)(40')를 형성하여 주면서 시멘트 몰탈(44) 등으로 기소(23) 부위로 고정하면서 절개부(40)는 요홈부로 형성하여 통로(45)로 구성하여 준다.
여기서, 일정 간격을 형성하는 중간 담수부(47)는 반원형 몸체(21)를 오목하게 시멘트 몰탈(44)로 고정하면서 양측의 가장자리로 서로 일체하게 고정하면서 연결하면서 오목하게 형성하여 제공하며, 또한, 여기에서 사용하는 반원형 몸체(21)의 길이는 2m 정도의 길이로 제공하면 적절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 길이는 조정이 가능하며, 각각의 연결된 반원형 몸체(21)의 사이에는 하천에 많이 존재하는 돌맹이 또는 지지벽체(33)로 고정하여 준다.
그리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담수부(47)을 형성하는 오목 부위는 시멘트 몰탈(44)로 오목하게 마감작업으로 구성하면서 하천이 흐르는 양측으로 반원형 몸체(21)를 서로 연결시켜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실시예2에 대한 설명으로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반원형 몸체(21)의 양측 가장자리에 요홈대(41)을 다수개 형성하여 주되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하천의 경사면의 기소(23)에 각각의 반원형 몸체(21)를 일정간격으로 계단식으로 형성하면서 시멘트 몰탈(44)로 고정하되 요홈대(41)에 맞추어 통로(42)를 형성하고 반원형 몸체(21)의 오목부위는 중간담수부(46)로 형성하여 제공되는 발명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13은 도12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원형 몸체(21)에서 상부면(27)로 설명되는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요홈대(41)을 형성하되, 하천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기소(23)에 양측 가장자리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여 중간담수부(46)을 형성하도록 하면서, 시멘트 몰탈로 기소 (23)에 적절히 적층하고, 계단식으로 층층을 형성하면서, 서로 볼럭턱(43)과 요홈대(41)을 맞추어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맞추어진 요홈대(41)에 따라 통로(42)를 구성되도록 시멘트 몰탈(44)로 마감작업하여 제공하는 발명이다.
또, 본 발명의 블록 몸체를 조립하여 구성되는 경사지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이동하는 어류가 하천의 가장자리로 튀어 올라 죽는 경우가 많은바, 이에 대한 방지 구조로서 보호벽체부(32)를 구축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방 등에 형성되거나 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하천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어도용 블록 몸체를 배치하므로서, 상류로 올라가는 어류의 경사면 이동이 용이하며, 또한 하천이 흐르는 통로 역할을 제공하게 된다.
고로, 하천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가 경사면에서 이동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면서 하천의 생태계가 보호되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이 없이, 당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하천을 가로질러 구축된 제방의 일측에 형성된 보(20)에 형성된 경사면의 기소(23)에 배치되어, 상류로 거슬러 이동하는 어류의 통로역할을 하는 어도와 벽체 (33)로 시공되는 하천용 어도에 있어서,
    요홈부(26)를 형성하는 단면이 반원형 몸체(21)i와 일측 단부에 고정대(32)로 원호형 파이프(22')를 고정하고, 경사부(29)와 이동대(25)가 연속으로 구성된 원호형 파이프(22)를 반원형 몸체(21)의 타측 단부인 상부면(27)에 얹져 주면서 요홈대기부(30)와 입출구(24)가 구성하도록 조립하여 구성되는 하천용 어도.
  2. 제1항에 있어서, 반원형 몸체(21)와 원호형 파이프(22)의 후육에 중공구(31)을 구성하고, 이동부(25)를 형성하는 원호형 파이프(22)의 단부에다 지지부(38) 사이에 요홈부(39)를 형성하되, 상기 지지부(38)를 타측의 경사부(29')에 지지시켜 입출구(24')가 구성된 하천용 어도.
  3. 제1항에 있어서, 반원형 몸체(21)와 원호형 파이프(22)에서 후육의 내,외측면에 교호상으로 파형부(31')을 구성하고, 요홈대기부(30)의 내측 공간에다 양측 벽체(33)에 지지봉(36)을 형성하되, 상기 지지봉(36)에 다수개의 지지대(37)을 경사부(29)와 요홈부(26)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하천용 어도.
  4. 제1항에 있어서, 반원형 몸체(21)의 볼록부위에 간헐적으로 형성된 절개부 (40)(40')를 통로(45)로 구성하되, 반원형 몸체(21) 사이에 반원형 몸체(21)를 오목하게 고정하거나, 또는 시멘트 몰탈(44)로 오목하게 중간담수부(47)가 구성된 하천용 어도.
  5. 제1항에 있어서, 반원형 몸체(21)의 양측 가장자리에 요홈대(41)(41')를 형성하여 볼록턱(43)과 통로(42)를 구성하고, 반원형 몸체(21)의 오옥부위를 중간담수부(46)을 구성한 하천용 어도.
KR10-2003-0007052A 2003-02-04 2003-02-04 하천용 어도 KR10047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052A KR100473938B1 (ko) 2003-02-04 2003-02-04 하천용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052A KR100473938B1 (ko) 2003-02-04 2003-02-04 하천용 어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202A Division KR100422573B1 (ko) 2003-12-09 2003-12-09 하천용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853A true KR20040070853A (ko) 2004-08-11
KR100473938B1 KR100473938B1 (ko) 2005-03-10

Family

ID=3735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052A KR100473938B1 (ko) 2003-02-04 2003-02-04 하천용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9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60B1 (ko) * 2007-02-22 2008-06-19 변우일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KR20180045691A (ko) * 2016-10-25 2018-05-04 민승기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CN114508082A (zh) * 2022-01-06 2022-05-17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无动力助力式洄游装置
CN114508082B (zh) * 2022-01-06 2024-06-11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无动力助力式洄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070A (ja) * 1996-12-04 1998-06-16 Yamatatsugumi:Kk 魚 道
KR200227480Y1 (ko) * 1998-05-26 2001-09-17 김영민 어도용낙차공
KR200272979Y1 (ko) * 2002-01-31 2002-04-20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인공 하천에 장착되는 어소 블럭
KR200286173Y1 (ko) * 2002-04-08 2002-08-22 한상관 유속 안내판과 몸체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 이동이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
KR200301102Y1 (ko) * 2002-08-26 2003-01-24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도수로의 유수 감속을 위한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660B1 (ko) * 2007-02-22 2008-06-19 변우일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KR20180045691A (ko) * 2016-10-25 2018-05-04 민승기 지천의 낙차공용 어도
CN114508082A (zh) * 2022-01-06 2022-05-17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无动力助力式洄游装置
CN114508082B (zh) * 2022-01-06 2024-06-11 上海市园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无动力助力式洄游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938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3780A (en) Precast permeable breakwater unit
KR101369456B1 (ko) 하천용 어도블럭
KR101632049B1 (ko)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KR20040070853A (ko) 하천용 어도
KR101093392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설치공법
KR100839660B1 (ko) 자연형 어도보를 갖는 하천
KR101210491B1 (ko) 어도블럭
KR100477555B1 (ko) 어도 블록
JP3481870B2 (ja) 粗 朶
KR100478900B1 (ko) 조립식 어도 및 그의 시공방법
JP6429198B2 (ja) 魚道構造体
KR102228790B1 (ko)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AT9955U1 (de) Anordnung an fliessenden gewässern
KR101378526B1 (ko) 생태적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어류 통로 생태블록들의 결합체 및 이를 채용하는 어도를 갖는 어도보
KR100422573B1 (ko) 하천용 어도
KR100493392B1 (ko) 하천의 보용 어도 겸 배수로
KR101101899B1 (ko)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생태통로를 갖는 어도시스템
KR100680154B1 (ko) S형 계단식 어도시설
KR200447370Y1 (ko) 하천용 인공어초
KR100900835B1 (ko) 집수정식 어도를 구비한 자연형 보
CN114902991B (zh) 活枝条扦插配合木框架的鱼类栖息生境
KR200408867Y1 (ko) 하천용 어도블록
KR20110015926A (ko) 조립식 하천 보
CN216238416U (zh) 一种具有过鱼功能的生态型隧洞结构
KR101106065B1 (ko) 환경친화형 어도블록 겸 어소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