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790B1 -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 Google Patents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790B1
KR102228790B1 KR1020200069728A KR20200069728A KR102228790B1 KR 102228790 B1 KR102228790 B1 KR 102228790B1 KR 1020200069728 A KR1020200069728 A KR 1020200069728A KR 20200069728 A KR20200069728 A KR 20200069728A KR 102228790 B1 KR102228790 B1 KR 102228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ulkhead
block
overflow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성
최재석
김서영
Original Assignee
김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성 filed Critical 김인성
Priority to KR1020200069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보 또는 수공구조물에 어류의 생태통로인 어도를 설치할 때 아이스하버 형식의 어도 구조를 기반으로 유영력이 부족한 어종들이 용이하게 이동가능 하도록 잠수월류(submerged flow; 이하, '잠월류'라 함)가 발생하는 어도를 복합적으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어류의 통과율을 향상시켜 수생 생태계의 서식처 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한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에 관한 것으로,
즉, 다양한 생태적 습성을 고려하여 유영력이 좋은 어류가 소상하기 적합한 아이스하버식 어도 형식에 더불어 유영력이 부족한 어류 및 치어들이 도약을 하지 않고도 소상할 수 있는 잠수월류가 발생하는 구조의 잠월류 어도형식이 복합된 구조의 어도로서, 어류들의 다양한 생태적 특성에 적합한 어도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Fish ladder with submerged flow of rivers barrage}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보의 잠월류 어도, 더욱 상세하게는 담수를 목적으로 하는 하천 보 또는 수공구조물에 어류의 생태통로인 어도를 설치할 때 아이스하버 형식의 어도를 기반으로 유영력이 부족한 어종들이 용이하게 이동가능 하도록 잠수월류(submerged flow; 이하, '잠월류'라 함)가 발생되는 어도를 복합적으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어류의 통과율을 향상시켜 수생 생태계의 서식처 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한 잠월류 어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 설치되는 보 또는 수공구조물은 관개용수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어류의 이동통로를 단절하면서 수생태계의 서식처 환경을 교란하는 결과가 초래되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당 구조물에 생태 이동통로인 어도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어류 종의 생태적 습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설계되어 있는 어도는, 어류의 생태적 습성을 외부형태로 나타내는 체형비(fineness ratio, FR)에 따라 어류의 유영력을 분류할 때 유영력이 좋은 유선형 어종들은 어도를 이동하는데 적합하였으나, 유영력이 부족한 측편형의 어종 및 치어들은 이동이 극히 어려운 실정이었다.
국내에서는 현장시공이 어려운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시공성이 높은 조립식 어도로 개발하여 표준형 어도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2014년 3월부터 어도 개보수사업시행과 병행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어류의 이동효과 및 수산자원량변화 분석을 2016년 12월까지 하였다.
"어도 개보수사업 모니터링 및 효과분석"(해양수산부, 한국농어촌공사.2016) 조사연구 결과에서 어도 상·하류 어류상 군집지수를 비교한 결과, 어도를 통한 하천 상·하류 간에 종적교류 증가로 군집의 안정도가 증가하여 종 다양도 및 풍부도가 증가하였고, 수산자원량 변동추이를 분석한 결과는 개·보수 이후 전체적으로 수산자원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개발된 PIT-tag 기법(전자발신장치 기법)으로 어도 효율에 대한 정량적 평가결과, 유영력이 좋은 어종인 황어 및 연어는 57~100% 통과율을 보이는 반면, 기타 어류는 32~40.0%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류의 유영력에 따라 나타나는 통과율 차이는 어도를 어류의 생태적 습성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화된 어도 구조에 원인이 있었으며, "어도 내 유속에 따른 어류 체형비 비교"(배대열, 문운기, 이의행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6(2), 2016년)에서 어류군집의 어류 체형비를 고려하여 어도의 유속분포를 결정해야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어도 설계상 가장 큰 문제점은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인 구조로 어도를 설계하는데서 원인이 있다고 발표하였다.
하천에서 어류군집의 특성은 서식지 내 유속환경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며, 여울과 소가 반복하여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하천에서 어류군집은 서식지의 복잡성과 미소 서식지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어류가 출현하게 되고, 출현하는 어류의 외형을 분석하면 하천의 흐름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유속이 빠른 여울과 소 또는 정수역에 서식하는 어종의 체형비(FR)는 서로 차이를 보이게 된다. Langerhans and Reznick(2011)의 연구에 따르면, Poeciliidae(치아 잉어 순서의 민물고기 군)에 속하는 50여 종의 어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속이 빠른 환경에 서식하는 어류는 유선형에 더 가깝고 체형비는 4.5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는 유속이 어류의 외부 형태적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어류의 유영성은 유선형에 가까울수록 부피에 대한 지체계수는 최소가 됨으로써 최대가 되고, 어류의 유선형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어류의 체형비(FR)가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볼 때 어류의 유영 및 이동에 최적인 체형비는 4.5 이상에서 지체계수가 최소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유영속도는 체장에 비례하며, 순항속도와 유지속도 그리고 돌진속도로 구분되는데, 이때 어류의 유영력은 유영속도에 유속을 더한 값으로 정의된다(김진홍;어도수리실험을 통한 어류이동의 적합성 검증,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기술 연구용역 결과 - 국토해양부). 어종 간에 유영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어류의 유영력은 유속에 좌우되고, 하천에서 어도 구조물 설계 시 어종들의 한계유속은 어류가 소상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특히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은 어도를 이용할 수 있는 개체 크기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어도 내 유속에 따른 어류 체형비 비교(배대열, 2016)에서 국내어류 분류군별 체형비를 비교한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정리하면, 서식지 내 유속환경이 어류의 외부 형태적 진화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군집의 특성을 고려한 어도 설계 방향을 결정할 수 있었다.
다음 표 1은 어류 체형비(FR)에 따른 대표 어종을 흐름 형태와의 관련성을 나타낸 것으로, * 표시는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좋은 어류이다.
체형비 대 표 어 종 흐름형태
2.0~2.9 가시납지리, 블루길, 나일틸라피아, 납지리, 붕어, 떡붕어, 꺽저기 등 층류흐름
지배
3.0~3.9 납자루, 줄납자루, 묵납자루, 칼납자루, 꺽지, 배스, 잉어, 줄몰개 등
4.0~4.9 참중고기, 송사리, 대륙송사리, 민물검정망둑, 몰개, 어름치, 버들치, 피라미,
참붕어, (참)갈겨니, 동자개, 산천어, 긴몰개, 돌고기, 끄리, 살치, 중고기, 얼룩동사리, 참몰개, 열목어, 한둑중개, 새미, 강준치, 눈동자개, 버들개 등
난류흐름
지배
5.0~5.9 금강모치, 가시고기, 누치, 쉬리*, 참마자, 숭어*, 은어, 눈불개, 버들매치*, 꺽정이, 동사리, 배가사리, 꾸구리, 꾹저구, 돌상어, 퉁가리, 가물치,
모래무지, 가는돌고기, 점줄종개, 갈문망둑 등
6.0~6.9 빙어, 밀어, 돌마자*, 쌀미꾸리, 두우쟁이, 대농갱이, 미유기, 풀망둑,
자가사리*, 등
>7.0 메기, 종개*, 미끈망둑, 북방종개, 수수미꾸리, 참종개, 새코미꾸리* 등
즉, 하천에서 어도 설계시 어종들의 한계유속은 어류가 소상하기 위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어도의 유량 및 유속은 어도를 이용할 수 있는 개체의 크기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므로 어류의 체형비에 따른 특징을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체형비 2.0~3.9 범위의 어류는 유속이 느린 층류의 흐름이 유지되는 장소에서 서식하며, 어류의 체형은 체고가 높은 측편형 어종들로서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부족하여 소상 경로에 장애물이 있을 때 도약이 어려운 특징이 있고, 유속이 0.5m/s 이상에서 소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라미와 각시붕어 소상능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박성용 외 2인)에서도 측편형 체형을 가진 각시붕어의 경우 평균유속 0.4m/s에서 소상 성공율이 25%로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유속에서는 10%이하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들 어류가 어도를 소상하기 위한 조건은 유속이 0.5m/s이하여야 하고, 소상 경로에 뛰어 넘어야 하는 장애물이 없어야 하므로, 잠월류가 발생하는 어도를 필요로 하고 있다.
체형비 4.5~5.2 범위의 어류 서식처는 유속이 빠른 여울에 서식하는 어종들로서 날렵한 유선형의 체형으로 0.5~1.4m/s의 유속에서 어도를 소상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므로, 기존의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이용하는데 최적의 조건을 갖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도수리실험을 통한 어류이동의 적합성 검증"(김진홍)에서 실물에 가까운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제작하여 피라미 어종을 이용한 실험한 결과, 기존의 피라미 선호유속 0.8m/s보다 높은 1.0~1.5m/s로 나타나 유속이 느린 경우보다 유속이 빠를 때 오히려 소상 의욕을 자극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체형비 5.0 이상에서는 리본형과 장어형 체형의 어류들로서 저서성 어류가 함께 나타나 상대적으로 유영력이 좋은 어류들은 어도를 이용하고 있으며, 저서성 어류는 잠공을 설치하여 소상 가능하게 하였으나, 체형비 7.5 이상의 미꾸리과 장어형 어류는 유영력과 직접적인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체형비 7.5 이상의 유영력과 상관없는 어류를 제외한 체형비 4.5 이상의 어류는 종래의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이용하는데 적합하였으나, 체형비 2.0~3.9범위의 어류는 잠월류가 발생하는 어도의 수리조건을 갖춘 상태에서만 모든 어류가 소상이 가능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획일적으로 설계된 어도에서 어류의 통과율 저하로 인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어류군집의 다양한 생태적 습성을 고려하여 비교적 유속이 빠르게 흐르는 낙하류(plunging flow)와 잠김상태의 흐름에 의해 유속이 느려지는 잠월류(submerged flow)가 지배적인 복합된 형식의 어도를 구성하여 기존 어도의 수리조건을 개선함으로써, 유영력이 좋은 어류는 물론 유영력이 부족한 어류와 치어들까지 소상할 수 있는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천 보 또는 수공구조물에 어류의 생태통로가 되는 어도를 하류로 물이 흐르도록 축조된 수로관의 경사면을 따라 설치되어 낙하류와 잠월류를 복합적으로 유발하는 기본형어도블록과 그 기본형어도블록에 대해 단차를 유지하면서 좌우 양측으로 각각 연결 설치되는 측면마감블록 및 어도의 출구에 설치되어 어도 내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블록이 각각 구비되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어류의 생태적 습성에 맞도록 수리조건을 개선하여 어류의 유영력과 관게없이 모든 어종의 어류가 소상할 수 있는 어도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잠월류 어도는 어류의 생태적 습성에 따라 유영력을 분류하여, 유영력이 좋은 유선형의 어종은 낙하류가 지배적인 아이스하버식 형식의 어도를 통하여 이동하게 하였고, 유영력이 부족한 측편형 어종과 치어들은 잠김 흐름이 발생하여 격벽을 뛰어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잠월류 어도와 복합된 구조의 어도를 제공함으로서, 유영력과 관계없이 이동할 수 있어 어도의 효율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에 대한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그 양쪽 측벽을 제거한 상태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잠월류 어도의 평면구성도,
도 4a 및 4b는 상기 도 3의 "A"-"A"와 "B"-"B"선을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5a 및 5b는 상기 도 3의 "C"부분에 대한 평면과 그 측면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잠월류 어도를 구성하는 기본형어도블록과 그 기본형어도블록을 3등 분할한 상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도 6의 기본형어도블록에 대한 평면과 그 배면 및 정면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상기 도 10의 기본형어도블록에 대한 "D"-"D"선과 "E"-"E"선을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상기 도 6의 기본형어도블록을 2등 분할하여 된 우측면마감블록과 그 좌측면마감블록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잠월류 어도에 구비되는 유량조절블록의 일 예와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잠월류 어도에 구비된 기초와 측벽(이하, "수로관"이라 함)을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잠월류 어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그 양쪽 측벽을 제거한 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잠월류 어도의 평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잠월류 어도(100)는 하천 보로부터 하류로 물이 흐르도록 축조된 수로관(400)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잠월류를 유발하는 기본형어도블록(101)과, 그 기본형어도블록에 대해 단차를 유지하면서 좌우 양측으로 각각 연결 설치되는 측면마감블록(102) 및 어도의 출구가 되는 수로관(4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어도 내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블록(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잠월류 어도를 구성하는 기본형블록과 그 기본형블록을 3등 분할한 상태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상기 기본형블록에 대한 평면과 그 배면 및 정면구성도로서, 상기 기본형어도블록(101)에 구비된 바닥(200)과 측면마감블록(102)에 구비된 바닥(201)은 경사면을 따라 각 블록을 근접 설치할 때 서로 짜맞춤이 가능하게 상류측 부위에 돌출부(202)가 구비되어 있되, 바닥의 상류와 하류측의 각 변에는 상호 대응하여 맞물리는 요철부(203)가 각각 구비되고, 측면에는 점착재인 몰탈이 충진되는 안전홈(204)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각 블록을 수로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 상하측 변이 서로 맞물리면서 몰탈의 점착력에 의해 수로관(400)의 기초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유수력에 의한 블록의 변형이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바닥(200)(201)의 상부 중앙에 월류격벽(301)이 구비되고, 그 월류격벽 양측에는 거리를 유지하게 잠월류격벽(302)을 설치하되 그 사이에 잔류수량이 많은 홍수기 외의 갈수기나 평수기에 하천수가 월류하지 않는 부분으로 어류의 기준도약 높이보다 높은 비월류격벽(305)과 비월류격벽의 상류측으로 절곡 연장하여 돌출된 유황조절벽(304)이 월류격벽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잠월류격벽(302)의 바깥 측에는 비월류격벽에 연결되면서 상류측을 향하는 풀경계벽(306)이 구비됨으로써, 비월류격벽(305)의 하류측 벽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음부(307)와 풀경계벽이 연결되어 방(cell)) 단위의 풀(pool)이 조성된다.
상기 잠월류격벽(302)의 하부와 바닥이 연결되는 지점에 저서성 어류가 이동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잠공(303)이 구비되며, 상기 풀경계벽(306)과 이에 연결되는 이음부(307)의 각 접촉면에는 몰탈이 충진되는 이음홈(308)이 구비되어 충진되는 몰탈의 접합력에 의해 구조적인 안전과 누수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도 7의 본 발명의 기본형어도블록을 3등 분할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등 분할 부위의 중앙에 위치한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105)의 양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잠월류 어도블록(106)이 복합된 구조로서, 상기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105)은 중앙에 형성된 월류격벽(301)의 양측에 유황조절벽(304)이 각각 구비되고, 잠월류 어도블록(106)은 월류격벽(301)과 같은 높이의 잠월류격벽(302)을 중심으로 양측에 비월류격벽(305)이 연결되며,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105)에 연결되는 비월류격벽(305)의 하류측 면에는 다른 블록의 풀경계벽(306)이 맞닿는 풀 경계벽 이음부(307)가 구비되며, 이때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의 바닥(200)의 상, 하류측 길이를 2m로 할 경우 잠월류 어도블록의 바닥 길이는 1/2에 해당하는 1m로 하는 것이 각 블록을 서로 밀착되게 조립하는데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에서 본 발명의 각 블록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 전개도에 의하면, 각 블록을 조립하여 독립된 방(cell) 단위로 조성되는 풀(pool)의 월류격벽(301)과 잠월류격벽(302)은 어도의 경사도에 따라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배열 위치가 다른 인접한 블록은 교합된 조립으로 위상이 달라지면서 월류격벽 간의 높이 차이가 약 1/2 범위로 나타난다.
도 4a 및 4b는 상기 도 3의 "A"-"A"와 "B"-"B"선을 각각 나타낸 단면구성도로서, 상기 어도의 경사도에 따라 위상을 달리하는 월류격벽(301)과 잠월류격벽(302)으로 인하여 폭방향 동일선상을 절단한 "A"-"A"선 또는 "B"-"B"선 단면도에 의하면, 각각의 풀은 그 수면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며, 잠월류격벽을 월류하는 수면의 높이차이(∠H)는 5㎝가 발생하는 반면, 월류격벽을 월류하는 수면의 높이차이는 10㎝가 발생한다.
도 5a 및 5b는 상기 도 3의 "C"부분에 대한 평면과 그 측면구성도로서 잠수월류가 발생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블록(101)에 구비된 월류격벽(301)과 잠월류격벽(302)의 위치는 월류하는 물이 풀 내에서 순환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월류격벽(301)의 월류수는 하류의 풀에 유입되지만, 잠월류격벽(302)의 월류수는 블록이 서로 교합된 구조로 조립되어 열이 다른 풀에 유입된다.
또한, 격벽을 월류하는 물 흐름을 예시한 도 5b에 의하면, 어도 내 물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격벽을 월류하는 물의 종단수축을 무시할 경우, 풀의 상·하류간의 월류격벽을 월류하는 수표면의 차이는 격벽의 높이 차이(∠H)와 같으며, 월류수심(Dwd)이 격벽의 차이보다 클 때, Dwd =∠H + Dsub -- (1) 식으로 정리할 수 있고, 잠월류 수심(Dsub)은 = Dwd - ∠H 로 계산된다.
따라서 잠월류 격벽을 월류하는 물은 열이 다른 풀로 유입되는 구조로 격벽의 단차가 월류격벽 대비 1/2인 5㎝로 낮아져 월류수심이 5㎝ 이상 흐르면 잠수월류가 발생하게 된다.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105) 구간의 월류격벽(301)의 단차는 10㎝를 유지하므로, 월류수심 10㎝ 까지는 낙하류가 지배적인 흐름으로서 순환류가 바닥으로 흘러 유영력이 좋은 어류들은 소상하기 적합한 흐름이 유지되지만, 유영력이 부족한 어류들은 도약력이 부족한 원인과 함께 낙하류가 풀에 유입되면서 나타나는 물의 분리현상으로 인하여 도약하는데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원인도 있다.
즉, 잠월류 격벽을 월류하는 물은 월류수심이 5㎝ 이상 흐를 때 잠수상태의 흐름이 발생하면서 유속이 느려짐으로써, 유영력이 부족한 어류는 도약하지 않아도 쉽게 소상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로관(400)의 경사면을 따라 기본형어도블록(101)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그 풀경계벽(306)과 또 다른 블록의 비월류격벽(305)에 구비된 이음부(307)가 맞물려 조성되는 풀(pool)은 수로관의 경사도로 인하여 서로 위상을 달리하면서 높이가 다른 각각의 풀이 구비된 잠월류 어도가 형성되며, 이때 잠월류 어도의 가장자리에는 잠수월류가 존재하지 않는 사수역이 발생하므로, 도 13과 같이, 기본형어도블록(101)의 중앙에 위치한 월류격벽(304)을 경계로 그 우측 또는 좌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황조절벽(304)을 절단 제거한 형태로 제작된 측면마감블록(102)을 설치한다.
하천 보 또는 수공구조물에 닿아 물이 유입되는 어도(100)의 출구에는 서로 위상을 달리하여 배열설치된 블록으로 유입되는 유량이 배열 위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므로, 어도 내 유황을 조절하기 위하여 기본형어도블록(101)을 기반으로 동일기능하에서 치수를 변경하여 도 15와 같이,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유량조절블록(10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절블록(103)은 기본형어도불록(101)과 같이, 바닥(200)의 상·하류측 변에 각각 요철부(203)가 구비되어 각 블록 간에 맞물림 결합되면서 유수에 저항하는 구조이며, 상부 중앙에는 잠월류격벽(302)이 구비되어 있되 그 좌·우측에는 홍수기 외의 갈수기나 평수기에 하천수가 그 위로 월류하지 않는 부분으로 어류의 기준 도약 높이보다 높은 비월류격벽(305)을 매개로 월류격벽(301)이 구비되며, 상기 월류격벽에 인접된 비월류격벽(305)의 상류측으로 절곡 연장되게 유황조절벽(304)이 연결되고, 비월류격벽과 바닥이 연결되는 지점의 중앙에는 저서성 어류가 이동하는 잠공(303)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량조절블록(103)은 물이 유입되는 어도(100)의 출구측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 연결 설치하는 특성상, 도 16과 같이, 유량조절블록(103)이 연결되는 지점의 어느 한쪽 월류격벽(301)을 절단 제거한 상태에서 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본형어도블록(101), 측면마감블록(102) 및 유량조절블록(103) 등으로 구성되는 잠월류 어도(100)의 수로관(400)은 철근콘크리트를 소재로 경사면을 이루는 기초(402)의 양측에 도약하는 어류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높이의 측벽(104)이 구비되고, 상기 어도(100)의 출구에는 보를 월류하여 유입되는 토사와 석력이 어도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각 블록의 구조적 안전을 위한 출구격벽(403)이 구비되고, 어도의 입구에는 유수력에 대응하여 블록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어류가 진입하기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는 입구격벽(404)이 설치되어 있다.
100 : 어도 101 : 기본형어도블록
102 : 측면마감블록 103 : 유량조절블록
105 :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 106 : 잠월류 어도블록
200, 201 : 바닥 202 : 돌출부
203 : 요철부 204 : 안전홈
301 : 월류격벽 302 : 잠월류격벽
303 : 잠공 304 : 유황조절벽
305 : 비월류 격벽
306 : 풀경계벽 307 : 이음부
308 : 이음홈
400 : 수로관 401 : 측벽
402 : 기초 403 : 출구격벽
404 : 입구격벽

Claims (7)

  1. 하천 보 또는 수공구조물에 설치되어 어류의 생태통로가 되는 어도(100)에 하류로 물이 흐르도록 축조된 수로관(400)의 경사면을 따라 낙하류와 잠수월류를 복합적으로 유발하는 기본형어도블록(101)과 그 기본형어도블록에 대해 단차를 유지하면서 좌우 양측으로 각각 연결되게 측면마감블록(102)이 설치되며, 상기 어도(100)의 출구에 어도 내로 유입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블록(103)이 설치된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어도블록(101)에 구비된 바닥(200)과 측면마감블록(102)에 구비된 바닥(201)의 상류측 부위에 수로관(400)의 경사면을 따라 각 블록을 근접 설치할 때 서로 짜맞춤이 가능하게 돌출부(202)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돌출부(202)에 대응하는 바닥의 상류와 하류측 각 변에는 상호 맞물림이 가능한 요철부(203)가 각각 구비되고, 측면에는 점착재인 몰탈이 충진되는 안전홈(204)이 구비되어 상기 각 블록을 수로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설치할 때 상하측 변이 서로 맞물리면서 몰탈의 점착력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어도블록(101)과 측면마감블록(102)에 구비된 바닥(200)(201)의 상부 중앙에 월류격벽(301)이 구비되게 하되 그 월류격벽 양측에 거리를 유지하게 잠월류격벽(302)이 설치되고, 잠월류격벽(302)의 사이에 유량이 많은 홍수기 외의 갈수기나 평수기에 하천수가 월류하지 않는 부분으로 어류의 기준도약높이 보다 높게 비월류격벽(305)과 비월류격벽의 상류측으로 절곡 연장하여 돌출된 유황조절벽(304)이 월류격벽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잠월류격벽(302)의 바깥 측에는 비월류격벽에 연결되면서 상류측을 향하는 풀경계벽(306)이 구비되어 비월류격벽(305)의 하류측 벽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이음부(307)와 풀경계벽이 연결되면서 방(cell)) 단위의 풀(pool)이 조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잠월류격벽(302)의 하부와 바닥이 연결되는 지점에 저서성 어류가 이동가능하게 하나 이상의 잠공(303)이 구비되며, 상기 풀경계벽(306)과 이에 연결되는 이음부(307)의 각 접촉면에는 이음홈(308)이 구비되어 몰탈을 충진함으로써, 충진된 몰탈이 전단력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하여 구조적인 안전을 유지하면서 공극을 채워 누수를 차단하게 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어도블록(101)을 3등 분할한 중앙에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105)을 위치되게 하되 그 양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잠월류 어도블록(106)이 복합으로 구비된 구조로서, 상기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105)은 중앙에 형성된 월류격벽(301)의 양측에 유황조절벽(304)이 각각 구비되고, 잠월류 어도블록(106)은 월류격벽(301)과 같은 높이의 잠월류격벽(302)을 중심으로 양측에 비월류격벽(305)이 연결되며, 아이스하버식 어도블록(105)에 연결되는 비월류격벽(305)의 하류측 면에는 다른 블록의 풀경계벽(306)이 맞닿는 풀 경계벽 이음부(307)가 구비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형어도블록(101)의 중앙에 위치한 월류격벽(301)을 경계로 그 우측 또는 좌측으로 연결되어 있는 유황조절벽(304)을 절단 제거하여 잔류된 나머지 부분을 측면마감블록(102)으로 제작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100)의 출구에 설치되어 어도 내로 유입되는 유황을 조절하기 위하는 유량조절블록(103)은 바닥의 상·하류측 변에 각각 요철부(203)가 구비되어 각 블록 간에 맞물림 결합되면서 유수에 저항하는 구조이며, 상부 중앙에는 잠월류격벽(302)이 구비되어 있되 그 좌·우측에는 홍수기 외의 갈수기나 평수기에 하천수가 그 위로 월류하지 않는 부분으로 어류의 기준 도약 높이보다 높은 비월류격벽(305)을 매개로 월류격벽(301)이 구비되며, 상기 월류격벽에 인접된 비월류격벽(305)의 상류측으로 절곡 연장되게 유황조절벽(304)이 연결되고, 비월류격벽과 바닥이 연결되는 지점의 중앙에는 저서성 어류가 이동하는 잠공(303)이 구비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KR1020200069728A 2020-06-09 2020-06-09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KR10222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28A KR102228790B1 (ko) 2020-06-09 2020-06-09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728A KR102228790B1 (ko) 2020-06-09 2020-06-09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790B1 true KR102228790B1 (ko) 2021-03-16

Family

ID=7522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728A KR102228790B1 (ko) 2020-06-09 2020-06-09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3922A (zh) * 2023-08-29 2023-10-31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基于水声信号探测的水下生物分布特征分析方法
KR20240067802A (ko) 2022-11-09 2024-05-17 김인성 내측이 원호 형상의 잠공을 갖춘 잠월류 어도블록 구조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20A (ja) * 1992-06-12 1993-12-21 Hokubu Kenkyusho:Kk フトン篭を用いる河川内の魚道形成法
KR200293471Y1 (ko) * 2002-08-01 2002-10-30 명남재 프로펠러식 하천 유속측정장치
KR101136661B1 (ko) * 2011-11-10 2012-04-18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31952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석송 토목, 도로, 단지, 수자원, 항만, 상하수도 및 하천분야에 적용되는 식생가능한 여울 형성용 스톤매트
KR101585639B1 (ko) * 2015-08-19 2016-01-22 이노펙스 주식회사 어도블록 및 어도시공방법
KR20180134535A (ko) *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지오환경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8494B1 (ko) * 2020-06-05 2020-07-28 주식회사 승은 스톤네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20A (ja) * 1992-06-12 1993-12-21 Hokubu Kenkyusho:Kk フトン篭を用いる河川内の魚道形成法
KR200293471Y1 (ko) * 2002-08-01 2002-10-30 명남재 프로펠러식 하천 유속측정장치
KR101136661B1 (ko) * 2011-11-10 2012-04-18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31952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석송 토목, 도로, 단지, 수자원, 항만, 상하수도 및 하천분야에 적용되는 식생가능한 여울 형성용 스톤매트
KR101585639B1 (ko) * 2015-08-19 2016-01-22 이노펙스 주식회사 어도블록 및 어도시공방법
KR20180134535A (ko) *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지오환경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8494B1 (ko) * 2020-06-05 2020-07-28 주식회사 승은 스톤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7802A (ko) 2022-11-09 2024-05-17 김인성 내측이 원호 형상의 잠공을 갖춘 잠월류 어도블록 구조체
CN116973922A (zh) * 2023-08-29 2023-10-31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基于水声信号探测的水下生物分布特征分析方法
CN116973922B (zh) * 2023-08-29 2024-04-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一种基于水声信号探测的水下生物分布特征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opodis et al. Nature-like and conventional fishways: Alternative concepts?
Larinier Dams and fish migration
KR102228790B1 (ko)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CN105887776A (zh) 交错式蛮石墙仿自然通道
KR20150109701A (ko)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Meister Fish protection and guidance at water intakes with horizontal bar rack bypass systems
CN110258437A (zh) 内河航道工程中鱼类栖息地的构建方法
CN109338987A (zh) 内河生态整治丁坝群
CN107916650A (zh) 梯级箱体生态鱼道系统
CN114956341B (zh) 一种塘泡型近自然河流湿地及其构建方法
JP5726475B2 (ja) 垂直魚道ブロック
KR101210491B1 (ko) 어도블럭
KR100478900B1 (ko) 조립식 어도 및 그의 시공방법
CN209798707U (zh)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Ferguson et al.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fish passage at the Stornorrfors Power Station on the Umeälven, Umeå, Sweden
KR100976973B1 (ko)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JP2951263B2 (ja) 魚道用ブロック
Teppel et al. Hydraulic research for successful fish migration improvement–” nature-like” fishways
Horváth et al. Impacts of dams on fish fauna. Feasibility of mitigation measures
US20200256025A1 (en) Alternating side-baffle fish ladder for passing fish at dams or natural barriers
CN219175171U (zh) 一种适应不同游泳行为动物的生物通道
JPH06257126A (ja) 複合魚道ブロックとその複合魚道ブロックによる魚道構造 体とその魚道構造体の施工方法と魚道構造体とその魚道構 造体を含む他の水路構造体との結合構造体
KR100421059B1 (ko) 수중보 어도 블록
KR102224578B1 (ko) 뱀장어를 비롯한 저서성 어류와 저서생물의 통합어도시스템
JPH05545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