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4535A -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4535A
KR20180134535A KR1020170072375A KR20170072375A KR20180134535A KR 20180134535 A KR20180134535 A KR 20180134535A KR 1020170072375 A KR1020170072375 A KR 1020170072375A KR 20170072375 A KR20170072375 A KR 20170072375A KR 20180134535 A KR20180134535 A KR 20180134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mesh body
stones
insertion hol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571B1 (ko
Inventor
이준희
김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to KR1020170072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57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본체; 상기 망본체 상부에 노출되는 복수의 상측돌; 상기 망본체와 상기 상측돌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상기 망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망본체에 체결되어 바닥면에 매입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 끝단에 형성되는 앵커머리를 포함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Prevent lifting stone ne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하천 등 수로바닥 등에서 시공된 스톤망의 시점 또는 종점에서 유수력, 와류 등에 의한 들림현상을 방지하여 바닥에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후적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개울 등과 같은 자연 수로나 또는 인공 수로 등과 같이 물이 흐르는 수로의 바닥에 경관 개선을 위하여 자연석 등과 같은 돌들을 배치하여 두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수로의 바닥에 배치한 돌들이 수로 내에서의 물살에 밀려서 다른 위치로 굴러가거나 이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안 중의 하나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돌들을 수로의 바닥에 고정하여 두는 것이다. 즉, 수로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콘크리트 위에 돌들을 놓아 두고 콘크리트를 경화시키거나 혹은 수로의 바닥에 돌들을 놓아두고 그 돌들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켜서 경화된 콘크리트에 의해 돌들을 수로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를 위해 수로를 막아 두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각종 환경문제와 수중 동식물의 이동경로가 막힐 수도 있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71215호에서는 각 그물눈이 대향하여 인접한 2개조의 구획요소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망상편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좌판과, 이 좌판을 상기 돌을 향하여 가압하는 정지구를 가지며, 상기 좌판이 상기 어느 한쪽의 인접한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는 기판부와 , 이 기판부의 판면에서 기립하면서 그 인접한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는 기립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 금속망의 시점 및 종점에서 유수력, 와류 등에 의해 들림현상이 발생되어 구조적으로 건전성이 저하되며 사후적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712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바닥 등에서 유수력, 와류 등에 의해 들림이 방지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사후적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는, 망본체; 상기 망본체 상부에 노출되는 복수의 상측돌; 상기 망본체와 상기 상측돌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상기 망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망본체에 체결되어 바닥면에 매입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 끝단에 형성되는 앵커머리를 포함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망본체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평판구조의 네트 또는 내부에 채움재가 수납되어 바닥면에 매립되는 입체구조의 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측돌 하면의 천공에 거치되며 일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 사이에 가압단이 형성되는 가압관과, 상기 망본체의 하면에 거치되며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삽입공으로 타입되며 일단부에서 직경이 커지는 가압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가압부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걸리는 머리로 구성된 타입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지지판에 있어 삽입공 주변부에는 복수의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제2절개홈 사이에 제2절곡단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있어 가압부 외주연에는 복수의 걸림테두리가 돌출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삽입공으로 타입시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2절곡단이 절곡되며 상기 제2절곡단의 끝단이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의 시공방법에 대해서도 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은 하천 바닥에 설치되어 시점에서 유수력 및 종점에서 와류, 흡출에 의한 스톤망 들림을 방지하여 견고한 하천바닥과의 부착이 가능하며, 망본체에서 노출되는 상측돌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사후적인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은 물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으면서 자연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각각 측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정구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앵커부재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정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정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1, 이하 "본 발명의 스톤네트"라함)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본체(2); 상기 망본체(2) 상부에 노출되는 복수의 상측돌(3); 상기 망본체(2)와 상기 상측돌(3)을 고정시키는 고정구(4); 상기 망본체(2)의 양단에서 상기 망본체(2)에 체결되어 바닥면에 매입되는 고정와이어(51)와 상기 고정와이어(51) 끝단에 형성되는 앵커머리(52)를 포함하는 앵커부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스톤네트(1)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천바닥에 시공시 시점(a) 및 종점(b)에 앵커부재(5)가 하천바닥에 매입되도록 구성됨에 의해 시점(a)에서 유수력에 의해 발생되기 쉬운 들림현상 등 및 종점(b)에서 와류현상, 흡출 등에 의해 발생되기 쉬운 들림현상 등을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들림에 의해 전체 구조물의 건전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후적인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망본체(2)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가지 예로서 제시되고 있다.
첫 번째 망본체(2)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고정되는 평판구조의 네트이다. 네트 형상의 망본체(2) 저면에서 고정구(4)에 의해 망본체(2) 상부로 상측돌(3)이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구조이다.
두 번째 망본체(2)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채움재(23)가 수납되어 바닥면에 매립되는 입체구조의 매트이다.
본 실시 예의 망본체(2)는 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금속망(22), 상부금속망(21)으로 이루어져 하부 금속망(22)의 공간이 상부금속망(21)에 의해 폐쇄된 구조로 각각의 하부금속망(22) 및 상부금속망(21)은 철선들을 엮어 만든 철망으로 되어 있다.
상기 채움재(23)는 상기 망본체(2)의 수납공간에 채워지는 것이다. 이 채움재(23)는 망본체(2)가 하천 등의 수로 내에 위치할 때 상기 망본체(2)가 수로 내의 물살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망본체(2)에 하중을 가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수로의 바닥에 배치되었을 때 상부 금속망(21) 및 상측돌(3)들이 수로에서 유동되는 물에 쓸려서 원래의 위치로부터 이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채움재(23)는 하중에 의해 상부금속망(21) 및 상측돌(3)이 고정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더라도 무방하나, 환경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고 또한 조달이 용이한 자갈이나 잡석 등의 다수의 석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본체(2)에 있어 상부금속망(21)은 채움재(23)가 상기 망본체(2)의 수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망본체(2)의 상측에 덮어 씌워지는 것이다. 상기 상부금속망(21)은 다양한 결합구에 의해 상기 하부금속망(22)에 고정된다. 상기 결합구의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U자형의 몸체를 가지는 고리부재와, 그 고리부재에 체결되는 걸쇠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측돌(3)들은 망본체(2)의 최상층에 위치하여 사람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수로의 조경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측돌(3)들로서는 인조석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예컨대 호박돌 등과 같은 자연석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 친화적이어서 바람직하다. 상측돌(3)들은 망본체(2)(도 2의 경우 상부 금속망(21)) 위에 늘어 놓여져서 망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상측돌(3)을 상기 망본체(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정구(4)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구(4)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돌(3)에 천공을 하고 상기 망본체(2) 배면에 절곡판(45)이 구성되며 상기 절곡판(45)을 관통하여 상기 천공에 타입되는 타입수단(44)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4)는 천공을 한 상태에서 다양한 구조의 타입수단(44)을 천공(31)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는 형태를 제시하고 있는데 상측돌(3) 천공(31)의 경우 천공과정에서 정확한 직경의 천공을 하는 것이 불가하여 기성 제품으로서 타입수단(44)과 상측돌(3)의 천공 사이에 직경차이로 인해 견고한 고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즉 시공후 망본체(2)로부터 상측돌(3)이 탈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돌(3)의 천공(31)의 타공과정에서 직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상측돌(3)을 망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4)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고정구(4)는, 상기 상측돌(3) 하면의 천공(31)에 거치되며 일단부에 절개홈(411)이 형성되어 절개홈(411) 사이에 가압단(412)이 형성되는 가압관(41)과, 상기 망본체(2)의 하면에 거치되며 삽입공(421)이 형성된 지지판(42)과, 상기 삽입공(421)으로 타입되며 일단부에서 직경이 커지는 가압부(431-1)가 형성된 몸체(431)와 상기 가압부(431-1)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42)에 걸리는 머리(432)로 구성된 타입앵커(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관(41)은 상기 상측돌(3) 하면의 천공(31)에 거치되며 일단부에 절개홈(411)이 형성되어 절개홈(411) 사이에 가압단(412)이 형성되는 구조로 도 6의 도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홈(411)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천공(31)에 거치시키는 것이다.
도면상은 절개홈(411)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천공(31)에 거치시키나 실질적으로는 망본체(2) 하부에 상측돌(3)을 거치하여 천공(31)이 상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가압관(41)은 절개홈(411)이 상방향에 위치하도록 천공(31)에 거치하는 것이다.
상측돌(3)에 타공되는 천공(31)의 직경이 다소 크게 타공되더라도 상기 가압관(41)은 천공(31)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하에서 설명할 작동기작에 의해 가압단(412)이 확장되어 천공(31)의 내주연을 가압함으로써 고정구(4)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42)은 상기 망본체(2)의 하면에 거치되며 삽입공(421)이 형성되는 바, 상기 지지판(42)은 망본체(2)를 사이에 두고 상측돌(3)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관(41)과 상기 타입앵커(43)의 작용기작에 의해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42)에 있어 삽입공(421) 주변부에는 복수의 제2절개홈(422)이 형성되어 제2절개홈(422) 사이에 제2절곡단(423)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렇게 구성되는 이유는 이하에서 설명할 타입앵커(43)의 가압부(431-1)의 타입가압에 의해 상기 제2절곡단(423)이 내측 즉 천공(31)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2절곡단(423)의 끝단이 이하에서 설명할 가압부(431-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테두리(431-2)에 걸리도록 하여 지지판(42)으로부터 타입앵커(43)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삽입공(41)의 직경은 타입앵커(43)의 몸체(431)의 직경과 대향하도록 하여 삽입공(41)으로 몸체(431)가 삽입되면서 몸체(431)에서 직경이 커지는 가압부(431-1)의 타입에 의해 상기 제2절곡단(423)이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타입앵커(43)는 도 7의 도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431)가 구성되며 몸체(431) 하단부에는 직경이 커지는 가압부(431-1)가 구성되고 가압부(431-1) 하단에서 가압부(431-1)보다 직경이 커지는 머리(432)가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431-1)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걸림테두리(43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타입앵커(43)의 삽입에 따른 고정구(4)의 작동기작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측돌(3) 천공(31)이 노출되도록 하여 천공(31)에 가압관(41)을 삽입하고, 상측돌(3) 상부에 망본체(2)를 배치한 후에 망본체(2) 상부에 천공(31)과 지지판(42)의 삽입공(421)이 대향하도록 지지판(42)을 배치하며, 상기 타입앵커(43)의 몸체(431)가 삽입공(421) 및 가압관(41)에 삽입되도록 타입한다.
이러한 타입과정에서 우선 상기 몸체(431)의 가압부(431-1)가 상기 가압관(41)에 삽입되면서 가압관(41)에서 가압단(412)이 확장되어 천공(31)의 내주연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가압부(431-1)의 가압력에 의해 타입앵커(43)가 가압관(41)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가압관(41)은 천공(31)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공(31)의 타공과정에서 직경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타공오차에 상관없이 상측돌(3)이 망본체(2)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타입과정에서 상기 가압부(431-1)가 상기 지지판(42)에 있어 상기 제2절곡단(423)을 가압하여 상기 제2절곡단(423)이 천공(31) 방향으로 절곡되는데, 상기 제2절곡단(423)의 끝단이 상기 가압부(431-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테두리(431-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지지판(42)으로부터 타입앵커(43)가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도록 한다.
상기 앵커부재(5)는 상기 망본체(2)의 양단 즉 시점(a) 및 종점(b)에서 상기 망본체(2)에 체결되어 바닥면에 매입되는 고정와이어(51)와 상기 고정와이어(51) 끝단에 형성되는 앵커머리(52)를 포함하는데, 망본체(2)에 고정와이어(51)와 앵커머리(52)가 체결되는 예가 도 6a 내지 6c에 도시되고 있다.
우선 도 6a에서는 고정와이어(51) 끝단에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후크가 형성되도록 하고 망본체(2)에 걸리도록 체결되는 절곡판(53)이 구성되며 상기 절곡판(53)은 볼트결합(54)에 의해 망본체(2)에 고정되는데 절곡판(53)과 볼트결합(54)에 의해 상기 고정와이어(51)의 후크가 걸리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도 6b에서는 고정와이어(51)와 상기 고정와이어(51) 끝단에 형성되는 앵커머리(52)와 상기 고정와이어(51)가 망본체(2)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걸림판(53)이 구성되도록 하는 예가 도시되는데 걸림판(55)은 사각판형으로 구성되며 하부에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상기 망본체(2)에 걸리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도 6c는 도 6b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걸림판(56)이 삼각판형으로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
상기 걸림판(55, 56)이 망본체(2)의 배면에 걸리도록 하여 앵커부재(5)가 망본체(2)의 양단 즉 시점(a) 및 종점(b)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고정와이어(51)의 망본체(2)에 고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어질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 2 : 망본체
3 : 상측돌 4 : 고정구
5 : 앵커부재

Claims (5)

  1. 망본체;
    상기 망본체 상부에 노출되는 복수의 상측돌;
    상기 망본체와 상기 상측돌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상기 망본체의 양단에서 상기 망본체에 체결되어 바닥면에 매입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 끝단에 형성되는 앵커머리를 포함하는 앵커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본체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평판구조의 네트 또는 내부에 채움재가 수납되어 바닥면에 매립되는 입체구조의 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상측돌 하면의 천공에 거치되며 하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 사이에 가압단이 형성되는 가압관과, 상기 망본체의 하면에 거치되며 삽입공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삽입공으로 타입되며 일단부에서 직경이 커지는 가압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가압부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걸리는 머리로 구성된 타입앵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있어 삽입공 주변부에는 복수의 제2절개홈이 형성되어 제2절개홈 사이에 제2절곡단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있어 가압부 외주연에는 복수의 걸림테두리가 돌출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삽입공으로 타입시 가압부에 의해 상기 제2절곡단이 절곡되며 상기 제2절곡단의 끝단이 상기 걸림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항의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시공방법.
KR1020170072375A 2017-06-09 2017-06-09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9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75A KR101999571B1 (ko) 2017-06-09 2017-06-09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75A KR101999571B1 (ko) 2017-06-09 2017-06-09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535A true KR20180134535A (ko) 2018-12-19
KR101999571B1 KR101999571B1 (ko) 2019-07-15

Family

ID=6500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75A KR101999571B1 (ko) 2017-06-09 2017-06-09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03B1 (ko) * 2019-06-10 2020-06-11 주식회사 지오환경 앵커부재 고정형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8790B1 (ko) * 2020-06-09 2021-03-16 김인성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KR102243672B1 (ko) * 2020-10-15 2021-04-26 주식회사 지오환경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215B1 (ko) 2000-03-09 2003-02-06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고정구,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
KR20080038104A (ko) * 2008-03-30 2008-05-02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밀착형 지지판이 설치된 자연석 호안재 및 그 지지판의제조방법
KR101009811B1 (ko) * 2009-07-29 2011-01-1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석재고정매트 및 시공방법
KR101055635B1 (ko) * 2010-07-08 2011-08-09 덕산콘크리트(주)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215B1 (ko) 2000-03-09 2003-02-06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고정구,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
KR20080038104A (ko) * 2008-03-30 2008-05-02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밀착형 지지판이 설치된 자연석 호안재 및 그 지지판의제조방법
KR101009811B1 (ko) * 2009-07-29 2011-01-1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석재고정매트 및 시공방법
KR101055635B1 (ko) * 2010-07-08 2011-08-09 덕산콘크리트(주)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03B1 (ko) * 2019-06-10 2020-06-11 주식회사 지오환경 앵커부재 고정형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8790B1 (ko) * 2020-06-09 2021-03-16 김인성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KR102243672B1 (ko) * 2020-10-15 2021-04-26 주식회사 지오환경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571B1 (ko) 201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571B1 (ko)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60253B1 (ko)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KR101598582B1 (ko) 유실이 방지되는 스톤네트
KR101378203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EP3420138B1 (en) Anchoring device for a fence
US20060239781A1 (en) Form Drain For Incorporation Into Foundation
JP2017036592A (ja) 受圧板
KR20170017199A (ko) Phc 파일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839671B1 (ko) 징검다리 및 그 시공방법
US10576321B2 (en) In-ground trampoline system
KR101598580B1 (ko)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1463777B1 (ko) 하천정화기능이 향상된 자연석고착 금속망
KR101072738B1 (ko) 피에이치씨 파일의 두부 보강 장치
KR101021466B1 (ko) 기초공사용 파일캡
JP2023072118A (ja) 路面成型補助部材、及び、路面成型方法
KR101790249B1 (ko) 스톤네트 고정부재를 이용한 스톤네트 구조물
KR101366486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54399B1 (ko) 배수시스템
KR101726719B1 (ko) 스톤 고정 매트리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1041792B1 (ko) 스톤 네트
KR102121803B1 (ko) 앵커부재 고정형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US20120183360A1 (en) MSE Anch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