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253B1 -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253B1
KR101560253B1 KR1020150038220A KR20150038220A KR101560253B1 KR 101560253 B1 KR101560253 B1 KR 101560253B1 KR 1020150038220 A KR1020150038220 A KR 1020150038220A KR 20150038220 A KR20150038220 A KR 20150038220A KR 101560253 B1 KR101560253 B1 KR 101560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le
precast
bridge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태무
조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3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2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하천, 해상에 있어 파일을 설치하고, 파일 두부에 프리캐스트코핑부와 거더를 간단하게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공방법은 (a) 교량시점부에서 상단에 프리캐스트 브라켓이 설치된 파일을 교량연장방향으로 일부 시공하고, (b) 교량시점부로부터 시공된 파일 상단의 프리캐스트 브라켓의 상면에 저면이 지지되는 파일두부지지대가 파일삽입홈 중간에 형성된 프리캐스트 코핑부를 각각 삽입설치하고, (c) 상기 삽입 설치된 프리캐스트 코핑부 상면 사이에 거더의 양 단부가 서로 이격되어 지지되어 지점부가 형성되도록 거치하되 거더가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하고, (d) 상기 설치된 거더 상면에 임시바닥판을 설치함과 더불어 임시바닥판 사이의 지점부 상부에 위치하는 임시지점부 격자바닥판을 함께 설치하여 인양장치가 상기 임시바닥판과 임시지점부 격자바닥판 상면을 이동하면서 추가로 시공되어야 할 파일, 프리캐스트 코핑부 및 거더를 설치하고, (e) 상기 프리캐스트 코핑부와 양 거더가 거치된 사이의 지점부와 설치된 거더 상면에 지점부 및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PRECAST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LE AND PRECAST COPING}
본 발명은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천, 해상에 있어 파일을 설치하고, 파일 두부에 프리캐스트코핑부와 거더를 간단하게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해상에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저부가 지반(12) 속 지지층에 삽입되고, 상부는 교량의 코핑부(30)와 일체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말뚝기둥(4), 하부에 일체로 다수 개의 상기 말뚝기둥이 결합되며, 교량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코핑부(3), 다수 개의 코핑부에 의해 저부가 지지되어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량상부구조물(5, 거더 및 슬래브)을 포함하여, 다수의 말뚝기둥(4)이 기초 및 기둥의 역할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별도의 푸팅 및 기둥을 시공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지진 시 특정부위에 모멘트가 집중되지 않고 전체 구조계에 분산되어 내진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말뚝기둥 일체형 교량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결국 이러한 말뚝기둥 일체형 교량구조는 교량시공에 있어 기초를 별도로 시공하지 않기 때문에 해상교량 시공에 있어서 급속 교량 시공이 가능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코핑부(3)의 설치는, 코핑부(3)를 먼저 지상에서 형성한 다음에, 다수의 말뚝기둥(4)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코핑부(3)를 들어올려 각각의 말뚝기둥(4)의 상부와 코핑부(3)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다수 개의 말뚝기둥(4)의 설치를 완료 한 다음에, 각각의 말뚝기둥(4)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철근 등에 연이어서, 코핑부(3)의 거푸집을 형성한 다음,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코핑부(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해상에서 즉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을 이용할 경우 급속시공의 취지에 맞지 않는 다는 문제점이 있어 프리캐스트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도 1b는 종래 급속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각을 도시한 것이다.
즉,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교각기둥부와 코핑부를 제작하고, 교각기둥부 상단을 코핑부의 저면을 통해 삽입시켜 연결시키는 방식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교각기둥부(2)의 상단부에는 결합봉(26)이 돌출되도록 제작한 후 교각기초부에 교각기둥부를 일체로 조립하게 된다.
상기 코핑부(3)는 교각기둥부(2) 상부가 저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31) 내부에는 관통공(32)가 형성된 결합판(32)이 내장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봉(26)이 상기 관통공(32)이 관통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코핑부(3)의 상면으로부터 관통공(34)까지 진입공(33)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봉(26)은 진입공까지 삽입되도록 코핑부(3)가 거치된다.
이에 진입공(33)을 통하여 체결수단을 삽입 체결사쳐 결국 교각기둥부(2)와 코핑부(3)를 일체로 조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특히 프리캐스트코핑부에 다수의 파일을 일체화시켜 교량 연장방향으로 연속 시공해야 하는 교량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 상기 다수의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보다 안전하게 일체화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급속 시공이 가능한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프리캐스트코핑부는 철근콘크리트로 제작하되 파일 두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일삽입홀을 상기 프리캐스트코핑부를 관통하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파일 두부에 프리캐스트코핑부의 파일삽입홀이 하방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파일 두부가 파일삽입홀 중간에 상면이 걸려져 지지되도록 파일두부지지대를 파일삽입홀 중간 내부를 횡단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파일두부지지대는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제작할 때 파일삽입홀에 미리 형성되도록 하여 파일 두부의 지지를 위한 현장 작업이 매우 단순해 지도록 하게 된다.
둘째, 상기 파일 두부에는 콘크리트채움마감판을 걸어 설치할 수 있는 파일두부브라켓을 설치하게 된다. 이에 파일두부브라켓의 상단이 파일두부지지대의 저면에 지지되도록 하되 걸림쇠를 이용하여 파일두부지지대에 파일두부브라켓을 서로 구속되도록 함으로서 서로의 시공 위치오차를 흡수하면서 프리캐스트코핑부를 파일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셋째, 나아가 파일 두부 보강철근망을 파일삽입홀에 삽입하여 파일 두부 보강철근망이 프리캐스트코핑부 상면에 돌출되도록 세팅하고, 프리캐스트코핑부에 양 단부가 거치되도록 거더를 거치한 후, 파일 상단 내부와 프리캐스트코핑부에 지점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점부를 연속시켜 교량을 완성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파일두부지지대가 파일삽입홀에 형성된 프리캐스트코핑부의 저면으로 상기 파일삽입홀에 파일두부브라켓을 이용하여 파일 두부가 안전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코핑부의 안정적인 설치 및 높이 세팅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특히 하천이나 해상에 미리 시공한 파일 두부에 프리캐스트코핑부를 바로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 파일 두부의 높이를 맞추어 놓은 다음 바로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설치할 수 있어 급속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파일 및 프리캐스트코핑부와 거더를 교량 연장방향으로 설치함에 있어서 크레인과 같은 양중장치가 지속적으로 교량에 하중으로 작용함에 있어 시공된 교량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임시 목재 및 임시 발판을 이용함으로서 시공품질관리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파일과 코핑부를 이용한 교량 시공단면도,
도 1b는 종래 급속시공이 가능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각의 시공 단면도 및 코핑부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파일과 파일두부브라켓, 콘크리트채움마감판의 결합사시도,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파일두부브라켓이 설치된 파일과 파일두부지지대가 형성된 프리캐스트코핑부의 구성 및 결합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파일두부브라켓과 프리캐스트코핑부의 파일두부지지대 결합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파일 두부 보강철근망의 설치사시도 및 구성사시도,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순서도,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의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의 임시발판이 설치된 가설사시도 및 콘크리트 타설 전 완성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파일과 파일두부브라켓, 콘크리트채움마감판 ]
도 2a는 본 발명의 파일(110)과 파일두부브라켓(120),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파일(110)은 중공관 형태의 강관파일을 이용하면 되는데 해상에서 항타기 등을 이용하여 서로 동일한 상면높이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 상단은 중공부가 노출되어 있게 된다.
상기 파일두부브라켓(120)은 도 2c와 같이 프리캐스트코핑부(140)의 파일삽입홀(143)의 중간에 형성된 파일두부지지대(150)가 상면에 접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코핑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파일에 분산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에 파일두부브라켓(120)은 상기 파일 상단의 중공부에 외삽(파일 상단이 내측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단삽입부(121)와 하단삽입부(121)의 상단에 보강편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확장판(122) 및 상부확장판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걸림홈(123)이 형성된 상면지지대(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상면지지대(124)로 전달되는 하중은 상부확장판(122)에 분산되어 파일(110)에 지지되도록 하게 되며 상부확장판(122)은 프리캐스트코핑부(140)의 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보다 안정적인 프리캐스트코핑부(140)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은 파일 상단의 중공부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충진이 파일 하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판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파일 내부에 위치하는 마감판(131)과 상기 마감판(131)이 파일 내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걸림봉(132)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봉(132)의 하단은 마감판(131)에 연결되고, 상단은 절곡걸림구로서 상면지지대(124)의 상면에 걸려지도록 설치함으로서 파일(110) 두부에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이 걸쳐져 설치된 파일두부브라켓(120)이 삽입 설치됨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프리캐스트코핑부(140) ]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파일두부브라켓(120)이 설치된 파일(110)과 파일두부지지대(150)가 형성된 프리캐스트코핑부(110)의 구성 및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b와 같이 상기 파일(100)은 두부에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이 걸쳐져 설치된 파일두부브라켓(120)이 삽입 설치된 상태로 다수개가 시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프리캐스트코핑부(140)는 도 2b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한 두께에 의한 높이를 가진 몸통부(141)와 몸통부(141)의 양 단부에 몸통부 상면보다 높이가 큰 양 단부벽(142)을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141)에는 파일 두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일삽입홀(14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파일삽입홀(143)은 파형관(144)을 세팅시켜 미리 몸통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파일삽입홀(143)의 중간에 파일두부지지대(150)가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에 프리캐스트코핑부(140) 제작 시 거푸집 내부에 파일두부지지대(144)가 수평으로 관통되도록 파형관을 배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파일삽입홀이 형성된 프리캐스트코핑부(140)를 준비하게 된다.
이에 도 2c와 같이 프리캐스트코핑부(140)를 파일(110)에 삽입 설치하여 파일(110)의 파일두부브라켓(120) 상면에 파일두부지지대(150)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하여 간단하고 신속한 프리캐스트코핑부(140)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파일두부브라켓(120)과 프리캐스트코핑부(140)의 파일두부지지대(150)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파일두부브라켓(120)에는 파일(110)의 두부가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파일두부브라켓(120)의 걸림홈(123)이 형성된 상면지지대(124) 상면에 파일두부지지대(150)가 걸림쇠(160)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두부지지대(150)는 십자형 수직판재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으며 양 단부에는 몸체부와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다수의 스터드(전단연결재)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공상 파일(110)이 먼저 시공된 이후에 파일두부지지대(150)의 위치가 세팅된 프리캐스트코핑부(140)를 설치하기 때문에 파일두부지지대(150)의 중심축과 파일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도 3b와 같이 파일두부브라켓(120)의 걸림홈(123)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걸림쇠(160)에 의하여 파일두부지지대(150)의 세팅위치에 따라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파일두부지지대(150)를 파일두부브라켓(120)에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걸림쇠(160)는 십자형 파일두부지지대(150) 각각의 수직판재(151)에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수직판재(151) 상면에 지지되는 상부수평판(161), 수직판재(151)의 측면에 접하는 수직판(162), 볼트홀이 형성된 하부수평판(163)를 포함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결볼트는 볼트부의 나사부가 걸림홈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볼트홀로 연장되도록 하여 너트로 체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본 발명의 파일두부철근망(170) ]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파일두부철근망(170)의 설치사시도 및 구성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와 같이 프리캐스트코핑부(140)를 파일(110)에 삽입 설치하여 파일(110)의 파일두부브라켓(120) 상면에 파일두부지지대(150)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하여 설치한 후에는 파일삽입홀 상부로부터 파일두부철근망(170)을 하방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파일삽입홀에는 추후 지점부 콘크리트(C) 타설에 의하여 충진되도록 하게 되는데 파일두부철근망(170)을 이용하여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 및 지점부 콘크리트가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a에 의하면 파일두부철근망(170)이 프리캐스트코핑부(140)의 파일삽입홀(143)에 삽입되면 파일두부철근망(170)은 하단이 파일두부브라켓 상면에 지지되도록 세팅되어 상단이 일정 높이만큼 프리캐스트코핑부(140)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4b와 같이, 상기 파일두부철근망(170)은 복수개의 수직철근(171)이 서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속되도록 띠철근(172)을 이용함과 상기 개개의 수직철근(17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측면을 절삭하여 끼움구(173)가 수평으로 벌어진 수직철근끼움용 원형밴드(174)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끼움구(173) 내측에 수직철근(171)이 끼워지도록 하여 수직철근끼움용 원형밴드(174)에 수직철근(171)이 접하면서 지지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철근끼움용 원형밴드(174)는 원형으로 수직철근이 배치되도록 원형으로 배치된 수직철근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띠철근(172)은 원형으로 배치된 수직철근 외측면에 감아 설치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본 발명의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은 해안에 있어 낚시 교량에 특히 유리한 공법이라 할 수 있으며, 파일(110)을 시공한 후에 파일에 프리캐스트코핑부(140)를 삽입 설치하고, 거더(200)를 프리캐스트코핑부(140)에 양 단이 지지되도록 설치한 후, 지점부 철근을 배근한 후 지점부 콘크리트와 함께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시키게 되며, 상기 프리캐스트코핑부(140), 거더(200)는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300)를 이용하여 교량 시점부에서 종점부까지 먼저 시공된 교량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설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a와 같이, 먼저 교량이 시공되어야 연장길이에 걸쳐 교량 시점부(A1)에 있어 교대부(400)를 설치함과 더불어 파일(110a,110b)을 설치하게 된다.
도 5a에서는 교대부(400)와 2개의 파일(110a,110a)이 먼저 설치되고 첫번째 파일(110a)에 프리캐스트코핑부(140)가 설치되며, 거더(200)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300)가 도 6a와 같이 거더(200) 상면에 설치한 임시바닥판(410)을 이용하여 2번째 파일(110b)과 첫번째 파일(110a) 사이에 설치되어야 할 프리캐스트코핑부(14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5b와 같이 2개의 프리캐스트코핑부(140) 사이의 새로운 거더(200)를 인양장치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바닥판(410)은 도 6a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목재 다수를 서로 접하도록 설치한 것을 이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거더(200)는 예컨대 도 6b와 같이 수평판 형태의 몸통부가 서로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며 몸통부의 양 단부는 헌치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면은 상부연결판으로서 몸통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부연결판 사이로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거더는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슬래브콘크리트 및 지점부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점부에서 역시 서로 연속화 시키게 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도 5c와 같이 파일들(110c,110d,100e), 프리캐스트코핑부(140) 및 거더(200)를 인양장치(300)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되며,
역시 도 6a와 같이거더(200) 상면에 설치한 임시바닥판(410)과 지점부에 설치된 지점부 임시격자바닥판(420)을 이용하여 파일들(110c,110d,100e) 사이에 설치되어야 거더(200)와 프리캐스트코핑부(14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5d와 같이 교량 종점부(A2)까지 파일(110), 프리캐스트코핑부(140), 거더(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임시바닥판(410) 및 지점부 임시격자바닥판(420)을 해체하고, 도 6b 및 도 6c와 같이 슬래브 콘크리트(미도시)와 지점부 콘크리트(C)를 함께 타설하여 슬래브를 완성시키게 된다.
이때 슬래브 콘크리트와 지점부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 지점부에서는 파일두부철근망(170)이 매립되고, 프리캐스트코핑부의 파일삽입홀 상단 내부까지 상기 콘크리트가 충진되어 함께 양생되도록 하게 되며, 파일(110) 상단에 설치된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에 의하여 콘크리트는 파일 하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은 인양장치(300)에 의한 작업하중을 먼저 시공된 교량 일부를 사용하기 때문에 프리캐스트코핑부, 거더등을 시공함에 있어 해양, 하천등에 별도로 바지선을 접근시키는 작업이 배제되어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인 교량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하중은 임시바닥판(410) 및 지점부 임시격자바닥판(420)을 이용하여 교량 완성 이전에 교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면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일에 파일두부브라켓(120)을 설치하여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설치하게 되므로 프리캐스트코핑부의 파일삽입홀과 파일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도 시공오차를 걸림쇠를 이용하여 흡수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이고 안전한 프리캐스트코핑부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 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110a,110b,100c,100d,100e: 파일
120: 프리캐스트 브라켓
121: 하단삽입부 122: 상부확장판
123: 걸림홈 124: 상면지지대
130: 콘크리트채움마감판
131: 마감판 132: 걸림봉
140: 프리캐스트코핑부
141: 몸통부 142: 양 단부벽
143: 파일삽입홀 144: 파형관
150: 파일두부지지대 151: 수직판재
160: 걸림쇠
161: 상부수평판 162: 수직판
163: 하부수평판
170: 파일두부철근망
171: 수직철근 172: 띠철근
173: 끼움구 174: 수직철근끼움용 원형밴드
200: 거더 300: 인양장치
400: 교대부 500: 슬래브
A1: 교량시점부 A2: 교량종점부
C: 지점부 및 슬래브콘크리트

Claims (7)

  1. (a) 교량시점부에서 상단에 프리캐스트 브라켓이 설치된 파일을 교량연장방향으로 일부 시공하고,
    (b) 파형관으로 형성된 파일삽입홀의 중간에 파일두부지지대가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교량시점부로부터 시공된 파일 상단의 프리캐스트 브라켓의 상면에 파일두부지지대의 상면지지대 저면이 지지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코핑부를 각각 삽입설치하고,
    (c) 상기 파일에 삽입 설치된 각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상면에서 교량연장방향으로 거더의 각 단부가 서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각 거더의 단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지점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각 거더는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하고,
    (d) 상기 설치된 거더 상면에 임시바닥판(410)을 설치함과 더불어 임시바닥판 사이에 형성된 상기 지점부 상부에 위치하는 지점부 임시격자바닥판(420)을 함께 설치하여 인양장치(300)가 상기 임시바닥판과 지점부 임시격자바닥판 상면을 이동하면서 상기 교량시점부부터 교량종점부까지 교량연장방향으로 파일, 프리캐스트 코핑부 및 거더를 추가 설치하고,
    (e) 상기 교량시점부부터 상기 교량종점부까지 상기 파일, 상기 프리캐스트 코핑부 및 상기 거더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임시바닥판 및 상기 지점부 임시격자바닥판을 해체하고, 상기 지점부와 설치된 상기 거더 상면에 지점부 콘크리트 및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프리캐스트 브라켓(120)은 파일 상단의 중공부에 외삽되는 방식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하단삽입부(121); 하단삽입부(121)의 상단에 보강편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부확장판(122); 및 상부확장판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걸림홈(123)이 형성된 상면지지대(1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면지지대(124)의 상면에 파일두부지지대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123)에 파일두부지지대(150)가 걸림쇠(16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브라켓(120)에는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이 미리 설치되도록 하여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에 의하여 파일 상단의 중공부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충진이 파일 하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마감판 역할을 하도록 하되,
    상기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은 파일 내부에 위치하는 마감판(131); 상기 마감판(131)이 파일 내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걸림봉(132)을 포함하여, 걸림봉(132)의 하단은 마감판(131)에 연결되고, 상단은 절곡걸림구로서 상면지지대(124)의 상면에 걸려지도록 설치함으로서 파일(110) 두부에 콘크리트채움마감판(130)이 걸쳐져 설치된 프리캐스트 브라켓(120)이 삽입 설치되도록 하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123)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걸림쇠(160)에 의하여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파일두부지지대(150)를 프리캐스트 브라켓(120)의 상면지지대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걸림쇠(160)는 십자형 파일두부지지대(150) 각각의 수직판재(151)에 설치되도록 하며,
    수직판재(151) 상면에 지지되는 상부수평판(161); 수직판재(151)의 측면에 접하는 수직판(162); 볼트홀이 형성된 하부수평판(163)를 포함하도록 형성시켜, 연결볼트는 볼트부의 나사부가 걸림홈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볼트홀로 연장되도록 하여 너트로 체결시켜, 걸림홈(123)에 파일두부지지대(150)가 걸림쇠(160)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프리캐스트 코핑부(140)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일정한 두께에 의한 높이를 가진 몸통부(141)와 몸통부(141)의 양 단부에 몸통부 상면보다 높이가 큰 양 단부벽(142)을 포함하되, 상기 몸통부(141)에는 파일 두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일삽입홀(143)이 형성되며,
    상기 파일삽입홀(143)은 파형관(144)을 미리 몸통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거더(200)는 수평판 형태의 몸통부가 서로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며 몸통부의 양 단부는 헌치부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면은 상부연결판으로서 몸통부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연결판 사이로 슬래브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더는 횡방향으로 서로 접하도록 설치되어 슬래브콘크리트 및 지점부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점부에서 서로 연속화되도록 하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와 (e)단계 사이에,
    파일두부철근망(170)이 프리캐스트코핑부(140)의 파일삽입홀(143)에 삽입되도록 하여 파일두부철근망(170) 하단이 파일두부브라켓 상면에 지지되도록 세팅되어 상단이 일정 높이만큼 프리캐스트코핑부(140)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단계가 추가되도록 하되,
    상기 파일두부철근망(170)은 복수개의 수직철근(171)이 서로 이격되어 원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속되도록 띠철근(172)을 이용함과 상기 개개의 수직철근(171)이 끼워질 수 있도록 측면을 절삭하여 끼움구(173)가 수평으로 벌어진 수직철근끼움용 원형밴드(174)를 이용함으로서,
    상기 끼움구(173) 내측에 수직철근(171)이 끼워지도록 하여 수직철근끼움용 원형밴드(174)에 수직철근(171)이 접하면서 지지되도록 하며, 수직철근끼움용 원형밴드(174)는 원형으로 수직철근이 배치되도록 원형으로 배치된 수직철근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띠철근(172)은 원형으로 배치된 수직철근 외측면에 감아 설치되도록 하는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KR1020150038220A 2015-03-19 2015-03-19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Active KR101560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20A KR101560253B1 (ko) 2015-03-19 2015-03-19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20A KR101560253B1 (ko) 2015-03-19 2015-03-19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253B1 true KR101560253B1 (ko) 2015-10-14

Family

ID=5435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220A Active KR101560253B1 (ko) 2015-03-19 2015-03-19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253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33B1 (ko) * 2015-12-09 2016-11-04 (주)지아이건설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
KR101702098B1 (ko) 2016-06-27 2017-02-02 주식회사 지에스씨 조립식 거더 교량의 강관파일과 코핑부 결합 구조
KR20180065510A (ko) * 2016-12-08 2018-06-18 오석환 수상 교각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102072685B1 (ko) 2019-04-03 2020-02-03 주식회사 리빌텍이엔씨 접속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1395156A (zh) * 2020-04-28 2020-07-10 广西北部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桩柱一体化预制装配桥梁下部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410140A (zh) * 2019-12-16 2020-07-14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升降平台内嵌式组合桩柱
KR102157306B1 (ko) 2020-06-08 2020-09-17 김성 기둥과 다수 개의 돌출결합부가 마련된 코핑부의 결합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교량
KR102162125B1 (ko) 2019-12-17 2020-10-06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잔교 시공을 위한 말뚝 및 코핑 결합구조
CN111764299A (zh) * 2020-07-17 2020-10-13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桩柱一体化装配式桥梁盖梁标高控制设备及控制方法
KR102258554B1 (ko) 2020-08-18 2021-06-01 주식회사 빌드윈 말뚝 상단의 고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코핑의 시공방법
CN113073540A (zh) * 2021-03-26 2021-07-06 广东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桩梁一体化全预制拼装桥梁下部结构和桥梁及其施工方法
KR102308731B1 (ko) 2020-07-29 2021-10-05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기둥 및 코핑과 거더의 결합구조
CN114319077A (zh) * 2022-01-05 2022-04-12 腾达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桩板桥支撑结构及支撑方法
KR102517707B1 (ko) * 2021-12-29 2023-04-04 (주)삼현비앤이 잔교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664955B1 (ko) * 2023-06-22 2024-05-10 (주)렉스코 상자형 강재코핑과 원형강관 기둥에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프리캐스트 교각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68358B1 (ko) * 2023-10-12 2024-05-23 (주)삼현비앤이 장경간 교량용 조립식 강교각 및 그 시공 방법
KR102700359B1 (ko) * 2023-11-15 2024-09-02 (주)아이오컨스텍 보정겸용 보강받침이 구비된 포켓형 프리캐스트 피어캡
KR102799003B1 (ko) 2024-12-06 2025-04-23 (주)효성 조립식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234B1 (ko) 2002-11-22 2005-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03307B1 (ko) 2013-07-09 2013-09-03 부림산업개발(주)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KR101452178B1 (ko) 2014-05-20 2014-10-22 주식회사 에이스이엔씨 프리캐스트 교대흉벽을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234B1 (ko) 2002-11-22 2005-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거더의 연결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303307B1 (ko) 2013-07-09 2013-09-03 부림산업개발(주) 조립식 프리캐스트 교량
KR101452178B1 (ko) 2014-05-20 2014-10-22 주식회사 에이스이엔씨 프리캐스트 교대흉벽을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933B1 (ko) * 2015-12-09 2016-11-04 (주)지아이건설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
KR101702098B1 (ko) 2016-06-27 2017-02-02 주식회사 지에스씨 조립식 거더 교량의 강관파일과 코핑부 결합 구조
KR20180065510A (ko) * 2016-12-08 2018-06-18 오석환 수상 교각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101955579B1 (ko) * 2016-12-08 2019-03-07 오석환 수상 교각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
KR102072685B1 (ko) 2019-04-03 2020-02-03 주식회사 리빌텍이엔씨 접속부재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1410140A (zh) * 2019-12-16 2020-07-14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升降平台内嵌式组合桩柱
KR102162125B1 (ko) 2019-12-17 2020-10-06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잔교 시공을 위한 말뚝 및 코핑 결합구조
CN111395156A (zh) * 2020-04-28 2020-07-10 广西北部湾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桩柱一体化预制装配桥梁下部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57306B1 (ko) 2020-06-08 2020-09-17 김성 기둥과 다수 개의 돌출결합부가 마련된 코핑부의 결합 구조체 및 이를 적용한 교량
CN111764299A (zh) * 2020-07-17 2020-10-13 广西交科集团有限公司 一种桩柱一体化装配式桥梁盖梁标高控制设备及控制方法
KR102308731B1 (ko) 2020-07-29 2021-10-05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기둥 및 코핑과 거더의 결합구조
KR102258554B1 (ko) 2020-08-18 2021-06-01 주식회사 빌드윈 말뚝 상단의 고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코핑의 시공방법
CN113073540A (zh) * 2021-03-26 2021-07-06 广东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集团股份有限公司 桩梁一体化全预制拼装桥梁下部结构和桥梁及其施工方法
KR102517707B1 (ko) * 2021-12-29 2023-04-04 (주)삼현비앤이 잔교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114319077A (zh) * 2022-01-05 2022-04-12 腾达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桩板桥支撑结构及支撑方法
KR102664955B1 (ko) * 2023-06-22 2024-05-10 (주)렉스코 상자형 강재코핑과 원형강관 기둥에 콘크리트가 합성된 강합성 프리캐스트 교각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68358B1 (ko) * 2023-10-12 2024-05-23 (주)삼현비앤이 장경간 교량용 조립식 강교각 및 그 시공 방법
KR102700359B1 (ko) * 2023-11-15 2024-09-02 (주)아이오컨스텍 보정겸용 보강받침이 구비된 포켓형 프리캐스트 피어캡
KR102799003B1 (ko) 2024-12-06 2025-04-23 (주)효성 조립식 교량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253B1 (ko) 파일과 프리캐스트코핑부를 이용한 급속 교량 시공방법
KR101519086B1 (ko) 프리캐스트 t형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교량 시공방법
JP4750562B2 (ja) 杭頭部とプレキャスト桁との接続構造
KR101964678B1 (ko) 말뚝과 코핑과 거더의 결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34185B1 (ko) 프리캐스트 코핑부와 교각 파일의 결합을 이용한 자전거 통행용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02898A (ko) 캡빔을 이용한 말뚝지지형 조립식 잔교시공방법
KR102258554B1 (ko) 말뚝 상단의 고정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코핑의 시공방법
US20080019779A1 (en) Steel-Cased Concrete Piers
KR100778252B1 (ko) 격자형의 파일기둥 위에 삽입된 연결지지부재에 h형거더를거치하여 설치한 조립식슬래브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05395B1 (ko) 급속시공이 가능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거더 및 이를 이용한 낚시교량 시공방법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345183B1 (ko) 우수 저류조
KR101507924B1 (ko)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457620B1 (ko) 파일을 이용한 종방향 일체형 프리캐스트 라멘구조물 제작방법
KR100766888B1 (ko) 기초부를 생략하고, 파일기둥을 기둥연결부재로 연결하여교각코핑부로 활용한 조립식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81320B1 (ko) 프리캐스트 코핑데크를 이용한 급속시공용 프리캐스트 코핑
KR101289155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
KR101472027B1 (ko) 교대 벽체와 콘크리트 빔 단부의 결속용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482523B1 (ko) 안전휀스 설치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 노듈러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422840Y1 (ko) 격자형의 파일기둥 위에 삽입된 연결지지부재에 h형거더를거치하여 설치한 조립식슬래브교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219459B1 (ko) 시공성 및 생산성이 개선된 저류조용 피씨 구조물
KR101824963B1 (ko) 하이브리드 강합성거더 및 그 시공방법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