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924B1 -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924B1
KR101507924B1 KR20130127511A KR20130127511A KR101507924B1 KR 101507924 B1 KR101507924 B1 KR 101507924B1 KR 20130127511 A KR20130127511 A KR 20130127511A KR 20130127511 A KR20130127511 A KR 20130127511A KR 101507924 B1 KR101507924 B1 KR 10150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precast concrete
fixing
steel ba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4266A (ko
Inventor
장수호
Original Assignee
장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호 filed Critical 장수호
Publication of KR2013012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Abstract

본 발명은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긴장재가 삽입되는 제2통과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공에 상기 긴장재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제2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긴장재의 끝단이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제3고정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터파기된 지반 상에 거치되는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에 적층 설치되고, 상기 제2통과공과 연통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고, 탑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철재가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최상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제3고정너트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최상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정착플레이트 및 긴장너트에 의해 타단이 긴장 정착되어 긴장된 상태로 상기 제2통과공에 설치되는 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로 다른 통과공에서 제1강봉파일과 제2강봉을 각각 고정하여 기초 구조의 상하 방향으로의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함에 따라, 시공이 보다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제1고정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게 되어 기초 구조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탑 구조물의 기초 시공 방법 및 기초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NG CONCRETE FOOTING STRUCTURE OF TOP STRUCTURE}
본 발명은 송전탑, 철탑, 윈드 터빈 등과 같은 탑 구조물의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탑 구조물에 의한 수직 하중 뿐만 아니라 탑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하여 기초구조물에 작용하는 인발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기초 구조의 균열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탑, 철탑, 전신주, 윈드 터빈, 풍차, 관제탑 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높게 뻗은 탑 구조물은 지면을 향하여 큰 자중이 작용하고 또한 탑 구조물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의한 기초구조물에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기초구조물에 인장력이 발생하는데 이 기초구조물에 발생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기둥 구조물의 기초 콘크리트는 매우 넓게 형성되거나 깊게 형성된다.
'철탑구조물의 지지구조'라는 고안의 명칭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1983호에서도, "구축된 철탑이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중에 매립되는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정도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특히, 철탑이 설치되는 지형에 따라 설정된 각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의 메인 기둥이 지상으로 노출되는 높이는 철탑 자체의 설치상태를 좌우하므로 매우 중요하다. 즉,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메인 기둥의 설치 높이가 미리 정해진 값에서 벗어날 경우 구축된 철탑에 기울어짐이 발생되어 구조적으로 상당히 불안정한 심각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바, 관련 법규에서도 메인 기둥의 설치높이 오차를 설계치의 -10mm 내지 10mm로 규정하고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어, 철탑 등의 탑 구조물에 기울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정도(精度)를 엄격하게 관리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는, 탑 구조물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관리되는 것을 전제로 탑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시공되어 왔다. 이에 따라, 탑 구조물에 예상치 못한 횡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탑 구조물에 갑작스레 작용하는 횡방향의 힘에 의해 전복되어 큰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도1a 또는 도1b에 도시된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송전탑(80)은 기초 콘크리트(10,10')에 대부분 매립되고 일부 끝단이 노출된 제1강봉(20)을 송신주(81)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82)와 상하부 너트(31,32)로 체결 고정하는 것에 의해 지면(5)에 직립 설치된다. 이 때, 송전탑(80)은 높이가 매우 높아 큰 자중과 수평하중에 의한 기초구조물에 발생하는 모멘트에 의해 기초구조물에 인장력이 발생 하므로, 송전탑(80)의 큰 자중과 기초구조물의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견디기 위하여, 기초 콘크리트(10,10')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80)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된 확대 기초로 형성되거나,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80)으로부터 암반층(6)에 이르기까지 깊게 분포된 심형 기초로 형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윈드 터빈(80')도 송전탑(80)과 유사한 심형 기초 콘크리트(10")에 의해 기초가 형성된다. 즉, 윈드 터빈(80')은 길이가 길고 무거운 블레이드(86)가 도면부호 86d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반복적인 모멘트가 심형 기초 콘크리트(10")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는데, 심형 기초 콘크리트(10")에 돌출된 강재(20)가 윈드 터빈(80')의 베이스 플레이트(82)를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31)로 죄어 고정하는 것에 의해 윈드 터빈(80')을 고정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10,10',10")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 기초로 형성되거나 도1b 및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형 기초로 형성되는 경우라도, 기초 콘크리트(10,10',10")는 성질상 높은 압축력을 지지할 수 있지만 인장력을 지지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기초 콘크리트(10,10',10")는 탑 구조물(80,80')에 작용하는 모멘트를 충분히 견디기 위해서는 심형기초의 규격이 대형화되고 대형 굴착장비가 소요되는 등 비경제적인 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송전탑(80)은 다수의 고압 전선(89)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지진이나 폭풍 등의 천재지변에 의하여 외력(66)에 의해 송전탑(80)의 일측 전선(89)이 끊어지면, 탑 구조물인 송전탑(80)에는 고압 전선(89)이 한쪽에만 연결되어 있으므로, 그 힘에 의해 보다 큰 모멘트가 갑자기 탑 구조물(88)에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탑 구조물에 큰 모멘트가 급작스럽게 작용하면, 커다란 휨 모멘트를 상쇄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으므로 탑 구조물(88)에는 이 전복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탑 구조물(88)에 급작스럽게 큰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0438호에 따르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고정플레이트를 미리 설치하여, 암반층까지 천공된 구멍에 설치된 제1강봉이 고정플레이트에 관통하도록 하여 고정하고, 고정플레이트에 제1강봉을 고정시킨 후, 커플러로 긴장재를 연결하여 다수의 프리캐스트 분절 콘크리트를 관통하는 긴장재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기초 구조를 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기초 구조의 보강 능력은 우수하지만, 제1강봉과 긴장재를 커플러로 연결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성이 저하되고, 제1강봉과 긴장재의 재료성질과 직경이 서로 다른 구조체를 커플러를 사용하여 이를 긴장시 정확한 하중전달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용시 제1강봉에 의한 기초구조물에 발생하는 압축력에 의하여 고정플레이트에는 상방으로 작용하는 힘이 크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긴장재를 긴장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고정플레이트를 상방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더해져 고정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의 결합부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기초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탑 구조물에 의한 수직 및 수평하중 뿐만 아니라, 탑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대하여 기초구조물에 작용하는 인발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면서도, 고정플레이트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한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탑, 송전탑, 윈드 터빈 등의 탑 구조물에 지진 등의 천재지변이 발생하여 급작스런 큰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이를 효과적으로 지탱하여 탑 구조물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탑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한 기초 구조물에 발생하는 압축력과 인장력 및 수평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사용량을 최소화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탑 구조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기초 구조의 보강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고정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응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은 산의 중턱이나 정상에 송전탑을 설치하는 경우에 기초 콘크리트의 타설시 래미콘 차량이 산의 중턱이나 정상에 진입이 어려움에 따라 이를 헬리콥터로 제한된 무게(약 3.5 톤)의 콘크리트를 운반하여야 됨으로써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현장에서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 동안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단 없이 빠른 기간 내에 탑 구조물의 기초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기초 콘크리트 구조물이 신뢰성 있게 일정한 지지 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철탑, 송전탑, 윈드 터빈 등의 탑 구조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훨씬 높은 휨 모멘트에 견딜 수 있고, 경제적이며,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함에 따라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균질한 품질의 지지 능력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해지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집중 응력이 작용하는 것을 최소화하며 시공기간을 단축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긴장재가 삽입되는 제2통과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공에 상기 긴장재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제2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긴장재의 끝단이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제3고정너트가 설치되어 있고, 터파기된 지반 상에 거치되는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에 적층 설치되고, 상기 제2통과공과 연통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고, 탑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철재가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최상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제3고정너트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최상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정착플레이트 및 긴장너트에 의해 타단이 긴장 정착되어 긴장된 상태로 상기 제2통과공에 설치되는 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천공된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터파기된 지면 상측에 상부가 드러나도록 설치된 다수의 제1강봉파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는 상기 제2통과공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강봉파일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1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공에 상기 제1강봉파일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강봉파일의 끝단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를 매개로 제2고정너트로 체결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형성된 제1통과공에서는 제1강봉파일을 고정하여 지반에 대하여 기초 구조를 고정시키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또 다른 제2통과공에서는 제2강봉을 이용하여 기초 구조의 상하 방향으로의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함에 따라, 제1고정플레이트 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매개로 하여 기초 구조물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과 탑구조물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을 이원화하여 시공이 보다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제1고정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게 되어 기초 구조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강봉파일은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상기 탑 구조물의 바깥에 위치하도록 지면 내에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 설치되어, 인발력에 저항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바람 및 지진 등에 의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에 대해서도 제1강봉파일의 연직저항력의 분력으로 작용하는 수평저항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제2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공에 제2고정플레이트 및 제3고정너트가 고정 설치된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터파기 된 지반에 위치시키는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 위치단계와; 상기 제2통과공의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긴장재의 끝단을 상기 제3고정너트에 고정시키는 긴장재 설치단계와; 상기 제2통과공과 연통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고, 탑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철재가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최상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에 적층하여 위치시켜, 상기 긴장재가 상기 최상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제2통과공에 상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상단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위치단계와; 상기 상단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제2통과공에 드러난 긴장재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정착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긴장너트로 긴장재를 죄어 긴장력을 도입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력 도입단계와; 상기 탑 구조물을 상기 고정 철재에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탑 구조물을 고정하는 구조물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터파기 된 지반에 다수의 구멍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천공한 후, 제1강봉파일(pile)의 두부가 터파기 된 지반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다수의 구멍에 제1강봉파일을 각각 삽입 설치하는 제1강봉파일 설치단계를;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 위치단계 이전에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에는 상기 제2통과공에 이격된 상기 제1강봉파일의 설치 위치마다 제1통과공이 형성되고, 제1통과공에 제1고정플레이트가 고정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위치 단계는, 상기 제1강봉파일의 상부가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제1통과공에 삽입되게 위치시키고, 상기 제1강봉파일은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를 매개로 제1고정너트와 제2고정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터파기 된 지반에 다수의 구멍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천공한 후, 파일(pile)의 두부가 터파기 된 지반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다수의 구멍에 제1강봉파일을 각각 삽입 설치하는 제1강봉파일 설치단계와; 터파기 된 지반으로부터 노출된 상기 제1강봉파일에 제1고정너트를 체결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강봉파일의 위치에 수직 방향으로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의 일부에는 상기 제1강봉파일이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제1고정플레이트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를 통과한 제1강봉파일을 제2고정너트로 설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를 거치시키되,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고정된 제1고정플레이트를 제1강봉파일에 연결된 제1고정너트와 제2고정너트를 사용하여 이를 조임으로써 상기 제1강봉파일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를 일체로 만드는 기초 콘크리트 거치단계와; 상기 또 다른 제2통과공에 제3고정너트와 제2고정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또 다른 제2강봉을 삽입하여 상기 제3고정너트에 결합시키는 제2강봉 설치단계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1개 이상 더 적층시키는 단계와; 상기 1개 이상의 적층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단에서 제3고정너트에 연결된 제2강봉을 긴장하고 긴장너트로 고정하여 제2강봉(긴장재)에 긴장력을 작용시켜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일부가 매립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일부가 돌출된 고정 철재(Anchor Bolt)가 탑 구조물의 하부에 미리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탑 구조물을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구조물 거치단계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철재(Anchor Bolt)를 일체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탑 구조물을 고정하는 구조물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 구조물의 설치를 신속하게 시공해야 하는 경우에, 기초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에 의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콘크리트 압축응력을 도입할 수 있을 정도로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로 발현이 될 때까지 양생되기 위해서는 약 7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므로, 이보다 짧은 기간 내에 탑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시공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형성된 제1통과공을 통과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일체로 고정된 제1고정플레이트에 제1강봉파일을 제1고정너트와 제2고정너트로 일체화시킴으로써 지반에 묻힌 제1강봉파일을 지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일체시키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또 다른 제2통과공에서는 제2강봉을 이용하여 기초 구조의 상하 방향으로의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함에 따라, 제1고정플레이트 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매개로 하여 기초 구조물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과 탑 구조물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을 이원화하여 시공이 보다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제1고정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게 되어 기초 구조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장력과 압축력에 모두 견딜 수 있는 강봉 파일이 암반층에 이르도록 깊게 천공된 구멍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연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탑 구조물의 자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파일을 일정한 경사방향으로 설치하여, 바람 및 지진 등에 의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에 대하여 제1강봉파일의 연직저항력의 분력으로 작용하는 수평저항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강봉이 기초 콘크리트의 하부에 지지부재를 사용한 고정단을 설치하고 기초 콘크리트를 관통한 상태에서 기초 콘크리트 상단에서 긴장 정착하여 제2강봉을 긴장함으로써 압축 응력이 미리 기초 콘크리트에 도입됨으로 탑 구조물에 긴장력이 가해져 휨 모멘트가 작용하더라도 기초 콘크리트가 파괴되지 않으면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기초 콘크리트에 고정 설치된 제1강봉파일이 작용하는 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인발력을 저항함으로써 탑 구조물의 기울어짐이나 전복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산등성이나 산중턱에 송전탑 등의 탑 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레미콘 차량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이를 헬리콥터로 제한된 무게(약 3.5톤)로 운반 시공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양생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설계 강도로 제작된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적층하여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을 제작함에 따라, 탑 구조물의 시공 장소에 구애되지 않으면서 미리 정해진 강도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초 구조를 시공하므로, 기초 구조의 설계 강도가 현장에서도 신뢰성 있게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도1a 내지 도1c는 종래의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3 내지 도6은 도2의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도2의 'X'의 확대도,
도8은 도2의 'Y'의 확대도,
도9는 도8의 'Z'의 확대도,
도10은 도2의 절단선 A-A 단면도,
도11은 도2의 절단선 B-B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14는 도13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제2강봉을 설치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100)는 연약지반층(2)으로부터 암반층까지 천공한 구멍에 설치하되 터파기한 영역(2a)의 상측에 상부가 드러나도록 설치된 다수의 제1강봉파일(10)과, 제1강봉파일(10)의 드러난 영역이 일부의 제1통과공(77)에 삽입 설치되고 제1통과공(77)에 제작당시부터 미리 설치되어 있는 제1고정플레이트(21)에 제1강봉파일(10)을 제1고정너트(15)와 제2고정너트(16)로 고정시키는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과,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다른 일부의 제2통과공(78)에 제작 당시부터 설치되어 있는 제3고정너트(115)와 제2고정플레이트(22)에 긴장재로서 고정 설치된 제2강봉(110)과, 제2강봉(110)이 관통하도록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상에 적층되는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30, 40)과, 최상단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40)에 형성된 블록아웃부에서 제2강봉(110)의 끝단부를 긴장하여 제2강봉(11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제2강봉(110)을 정착하는 정착플레이트(118) 및 긴장너트(1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강봉파일(10)은 인장강도와 압축강도가 동일한 마이크로 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강봉(110)은 강봉이나 강선 혹은 강선 다발과 같은 긴장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은 서로 맞닿는 면에 요입하거나 돌출되어 서로 맞물리는 전단키(23, 34; 33, 44)가 형성되어, 탑 구조물(88)의 풍하중 등에 의한 수평 방향으로의 전단 저항에 대하여 보다 높은 지지 능력을 갖도록 함과 동시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적층 시에 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사이마다 탄성고무 받침판(57)이 개재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가 적층되면서 충격없이 안착되면서 상호간의 미끄럼이 억제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몰탈 마감재로서 탄성 재질로 형성된 O-링(59)이 개재되어 O-링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사이에는 에폭시 몰탈 주입구(95)를 통해 에폭시(도2의 55) 등의 충전재를 주입하여 마감함으로써, 거친 표면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표면이 형성되었더라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가 서로 밀착되는 효과를 구현한다.
한편, 이미 제작되어 있는 한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20)의 상부 표면상에 윤활유나 비닐 등의 신.구 콘크리트를 분리 할 수 있는 소재를 도포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또 다른 제2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를 제작한 후 이를 설치하는 매치 캐스팅(Match Casting) 방식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를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2에 도시된 탑 구조물(88)의 기초 구조(10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블록(20, 30, 40)에 형성되는 제1통과공(77)과 제2통과공(78)은 모두 8개가 관통 형성되고, 제1강봉파일(10)은 4개가 설치되며, 제2강봉(110)도 4개가 설치되는 구성을 예로 들기로 한다.
단계 1: 터파기(2a)된 지반(2)에 다수의 구멍을 단단한 암반층에 이르기까지 천공한 후, 이들 구멍에 각각 주름진 쉬스관 내에 강봉파일(10)을 삽입하고 지상에서 강봉파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구성된 강봉파일(10)을 삽입 설치하여, 강봉파일(10)의 두부(頭部)가 터파기(2a)된 지반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지반에 설치되는 강봉파일(10)은 지면에 대해 직각이거나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강봉파일(10)은 압축력에만 견디는 재질로 형성되지 않고 인장력에도 견디는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강도와 압축 강도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강봉파일(10)은 압축에만 견디는 강봉과 달리 부식에 매우 민감하므로, 주름이 있는 쉬스관(312)에 지상에서 시멘트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그리고, 쉬스관은 상기 터파기(2a)된 지반의 상부에 도면부호 L만큼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지면 주변의 이물질이나 물기가 쉬스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구멍과 강봉파일(10) 사이의 간극에는 시멘트 그라우트로 충진된다.
이 때, 강봉파일(10)이 삽입 설치되는 구멍이 제1프리캐스트 기초콘크리트 블록(20)의 제1통과공(77)이 형성된 위치에 천공되도록, 제1분절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제1통과공(77)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터파기(2a)된 지반에 고정한 상태에서 강봉 파일(10)이 삽입 설치될 구멍을 천공할 수도 있다.
단계 2: 그리고 나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파기(2a)된 지반에 노출된 파일강봉(10)에는 제1고정너트(15)를 체결 설치한다. 이 때, 제1고정너트(15)는 대략 제1프리캐스트 기초콘크리트 블록(20)의 제1통과공(77)에 매설되어 설치된 제1고정플레이트(21)의 높이(도3의 h)보다 약간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단계 3: 그리고 나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5)에 노출된 강봉(10)이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블록(20)의 일부(4개)의 제1통과공(77)에 삽입되도록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블록(20)를 도면부호 20d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거치시킨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봉 파일(10)이 제1분절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제1통과공(77)에 고정된 제1고정플레이트(21)의 구멍을 관통하면 제2고정너트(16)로 강봉파일(10)을 제1고정플레이트(21)에 위치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제1고정플레이트(21)를 관통하는 제1강봉(10)은 각각의 제1고정너트(15)와 제2고정너트(16)가 제1고정플레이트(21)에 밀착하게 4군데의 제1통과공(77)에서 고정됨에 따라, 제1분절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에 위치 고정된다.
단계 4: 그리고 나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절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또 다른 일부의 제2통과공(78)에 설치된 제2고정플레이트(22)의 중앙 구멍을 제2강봉(110)이 관통하도록 한 다음에, 제2강봉(110)의 끝단을 제2고정플레이트(22)의 하측에 위치한 제3고정너트(115)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제2고정플레이트(22) 및 제3고정너트(115)는 제2강봉을 정착하는 정착구의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분절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일부인 4개의 제1통과공(77)에는 제1강봉파일(110)이 제1고정플레이트(21)에 고정 설치되고, 제1분절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또 다른 4개의 제2통과공(78)에는 제2강봉(110)이 제2고정플레이트(22)와 제3고정너트(115)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제2강봉을 보호하는 쉬스관이 긴장용 제2강봉(110)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제2강봉(110)이 또 다른 제2통과공(78)에 관통하도록 제2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30)를 적층시킨다. 이 때,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들의 사이에는 O-링(59)이 개재되며, 각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에는 전단 방향으로 구속되도록 전단키(23, 34; 33, 44)가 맞물린 상태가 된다.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40)를 적층시키기 이전에, 제1분절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과 제2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30)의 중앙부 공간(C)이 비워진 경우에는, 이 공간(C)을 현장타설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메울 수도 있다. 이 공간(C)에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채우더라도, 도8의 기초 구조물에서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횡방향의 전단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중앙부 공간(C)에 현장 타설하는 콘크리트가 충분한 강도로 양생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는 없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은 중앙부가 채워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계 5: 그리고 나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강봉(110)이 가장 윗층에 적층된 기초 콘크리트 블록(40)의 상면 블록아웃부에 노출되도록 하고,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30)의 상측에 O-링(59)과 탄성 고무판(57)을 사이에 두고 제2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30)를 적층시킨다.
제1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블록(20) 및 제2프리캐스트 콘트리트 블록(30)에는 중앙부에 중공부(C)가 형성되지만, 최상측에 배치되는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40)에는 탑 구조물(88)과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91)의 설치를 위하여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제2강봉(110)과 제2통과공(78)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스페이서(94)가 제2통과공(78)에 설치될 수 있다.
단계 6: 그리고 나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사이에 엑폭시몰탈 주입구(95)를 통하여 엑폭시몰탈(55)를 채운다. 이 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사이 공간과 외기를 연통시키는 엑폭시몰탈 유출구(96)가 설치되어, 엑폭시몰탈 주입구(95)를 통하여 엑폭시몰탈(55)를 충진하는 공정이 원활히 진행된다.
이에 의하여, 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사이의 불균등질한 단면으로 인한 틈을 보완하고 두 콘크리트 사이의 접착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단계 7: 단계 5 또는 단계 6이 행해진 이후에,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을 적층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이 제작되고,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제2통과공(78)을 관통하는 제2강봉(110)이 제2통과공(78)의 끝단의 요입 형성된 블록아웃부에 노출되면, 이 블록아웃부에 노출된 제2강봉(110)의 끝단에 대하여, 충분한 넓이를 갖는 정착 플레이트(118)를 설치하고, 노출된 제2강봉(20)에 긴장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제2강봉(20)을 긴장한 후 긴장너트(116)를 체결함으로써,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이 일체화됨과 동시에, 기초 콘크리트 블록(20-40)에는 수직 방향으로의 압축력이 도입된다.
여기서, 제2강봉(110)은 강봉 또는 강선 혹은 강선다발로 형성된 긴장재로 적용될 수 있다.
그 다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의 제2통과공(78)에 물기가 유입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라우팅 시멘트(56)로 충진시킨 후,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40)의 상면에 형성된 블록아웃부위에는 무수축 콘크리트(59)로 메워, 긴장된 상태의 제2강봉(110)이나 긴장너트에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단계 8: 한편,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층에 적층된 제3프리캐스트 기초콘크리트 블록(40)에는 고정철재(92)가 그 상면에 돌출된다. 상기 고정철재(92)는 탑 구조물(88)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고정철재(92)의 대부분은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40)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있으며, 상면에 노출된 고정 철재(92)는 탑 구조물(88)의 베이스 플레이트(90)에 형성된 관통공과 정렬되도록 분포된다.
따라서,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압축 응력이 도입된 기초 콘크리트의 상면에는, 탑 구조물(88)의 베이스 플레이트(90)의 관통공에 고정 철재(92)가 삽입되도록 탑 구조물(88)이 거치된다.
단계 9: 그리고 나서, 탑 구조물(88)의 베이스 플레이트(90)와 고정철재(92)를 연결너트(91)로 일체로 고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탑 구조물을 고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의 시공방법을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100')가 도1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파기 지면(2)에 거치되는 최하단의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제1고정플레이트(21)에 고정되는 제1강봉파일(10')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강봉파일(10')은 다양한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설치될 수 있지만, 지하에 위치한 하부가 지상의 상부에 비하여 탑 구조물(88)로부터 멀리 떨어진 반경 방향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제1통과공에 제1고정플레이트(21)가 경사지게 고정되어, 전체적으로 경사진 자세로 설치된 제1강봉파일(10')의 상부가 제1고정플레이트(21)에 고정 너트(15, 16)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강봉파일(10')이 경사진 자세로 삽입 설치되어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에 고정됨에 따라, 바람 및 지진 등에 의하여 탑 구조물(88)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을 제1강봉파일(10')의 연직저항력의 분력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100")는 지반 상태가 양호하여 제1강봉파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지반 상태가 양호(예를 들어, 암반층에 의해 곧바로 기초 구조물이 지지)하여 제1강봉파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터파기 지면(2)에 삽입 설치되는 제1강봉파일(10)없이 터파기 지면상에 바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 30, 40)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설치 구성을 예시한 도3 및 도4에 해당하는 구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최하단 프리캐스트 블록(20)을 터파기 지면 상에 위치시킨 후, 곧바로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20)의 제2통과공(78)에 고정된 제2고정플레이트(22)에 긴장재인 제2강봉(110)을 제3고정너트(115)로 위치 고정시키는 단계 4에서부터 시작하여, 제1실시예의 단계 5 이하의 공정을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간단하게 도13에 도시된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은, 탑 구조물의 설치를 신속하게 시공해야 하는 경우에, 미리 공장 등에서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를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형성된 제1통과공의 일부에서는 제1강봉파일을 고정하여 지반에 대하여 기초 구조를 고정시키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2통과공에서는 제2강봉을 이용하여 기초 구조의 상하 방향으로의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함에 따라, 제1고정플레이트 가 설치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매개로 하여 기초 구조물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는 것과 탑 구조물과 연결되는 기초 구조물을 수직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을 이원화하여 시공이 보다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제1고정플레이트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게 되어 기초 구조의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강봉파일은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상기 탑 구조물의 바깥에 위치하도록 지면 내에 경사진 자세로 삽입 설치함으로써, 바람 및 지진 등에 의한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수평력에 대해서도 제1강봉파일의 연직저항력의 분력으로 작용하는 수평저항력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제1강봉파일 110: 제2강봉
15: 제1고정너트 16: 제2고정너트
115: 제3고정너트 116: 긴장너트
88: 기둥 91: 기초판
20, 30, 4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77: 제1통과공 78: 제2통과공
21: 제1고정플레이트 22: 제2고정플레이트

Claims (9)

  1. 천공된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터파기된 지면 상측에 상부가 드러나도록 설치된 다수의 제1강봉파일과;
    상기 다수의 제1강봉파일의 상단부가 수용되는 제1통과공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공에 상기 제1강봉파일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제1고정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강봉파일의 끝단이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를 매개로 제2고정너트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통과공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긴장재가 삽입되는 제2통과공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공에 상기 긴장재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제2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긴장재의 끝단이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제3고정너트가 설치되고, 터파기된 지반 상에 2개 이상이 적층되어 거치되는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의 최상단에 적층되고, 상기 제1강봉파일은 관통하지 않고 상기 긴장재가 관통하는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제3고정너트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정착플레이트 및 긴장너트에 의해 타단이 긴장 정착되어 긴장된 상태로 상기 제2통과공에 설치되는 상기 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파일은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상기 탑 구조물의 바깥에 위치하도록 지면 내에 경사진 자세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의 시공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는 강봉, 강선, 강선 다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공과 상기 제2통과공은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5. 터파기 된 지반에 다수의 구멍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천공한 후, 제1강봉파일(pile)의 두부가 터파기 된 지반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다수의 구멍에 제1강봉파일을 각각 삽입 설치하는 제1강봉파일 설치단계와;
    상기 제1강봉파일의 설치위치에 정렬되게 다수의 제1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과공마다 제1고정플레이트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제1통과공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위치에 제2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통과공에 제2고정플레이트 및 제3고정너트가 고정 설치된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을 터파기된 지반에 위치시키는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 위치단계와;
    상기 제1강봉파일의 상기 두부가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제1통과공에서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를 매개로 제2고정너트에 의하여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에 일체로 고정되는 제1강봉파일 고정단계와;
    상기 제2통과공의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긴장재의 끝단을 위치시키고, 상기 긴장재를 상기 제2고정플레이트에 상기 제3고정너트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긴장재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긴장재 설치단계와;
    상기 제1강봉파일은 관통하지 않고 상기 긴장재가 관통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어, 탑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철재가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의 최상단에 적층하여 위치시켜, 상기 긴장재가 상기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상기 제2통과공에 상부가 드러나도록 하는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위치단계와;
    상기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제2통과공에 드러난 긴장재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정착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긴장너트로 긴장재를 죄어 긴장력을 도입하여 압축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력 도입단계와;
    상기 탑 구조물을 상기 고정 철재에 일체로 고정시켜 상기 탑 구조물을 고정하는 구조물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시공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과 상기 제3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사이에는 1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시공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봉파일은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시공 방법.
  8. 제 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공과 상기 제2통과공은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9. 삭제
KR20130127511A 2013-06-27 2013-10-25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5079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229 2013-06-27
KR1020130074229 2013-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266A KR20130124266A (ko) 2013-11-13
KR101507924B1 true KR101507924B1 (ko) 2015-04-07

Family

ID=49853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7511A KR101507924B1 (ko) 2013-06-27 2013-10-25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26B1 (ko) 2019-07-05 2020-05-25 신을호 조립식 pc 철탑 기초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1590B (zh) * 2015-11-20 2019-03-12 国家电网公司 用于钢管塔安装的具有管道保护通道的基础构筑物及其制备方法
CN106120844B (zh) * 2016-08-20 2018-08-21 安徽阳光水泥有限公司 一种基于万向节铰接的电线塔防塌陷地基
CN107355114A (zh) * 2017-07-20 2017-11-17 常熟市谷雷特机械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容易塌陷地面的电线杆
CN107269096A (zh) * 2017-08-09 2017-10-20 常熟市谷雷特机械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平衡可控制的防倒电线杆
CN111485573A (zh) * 2020-03-19 2020-08-04 衡水衡源电力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输电工程预制基础安装、铁塔组立连贯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1772A (ja) 2004-08-30 2008-04-17 フット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エー/エス 構造物、杭打ち基礎および拡大底盤設置用ゴム風船向け杭打ち基礎設置方法
KR100952596B1 (ko) * 2009-07-16 2010-04-15 (주)일산금속 습지용 기초 구조물
KR101100438B1 (ko) * 2009-06-03 2011-12-30 장수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30061335A (ko) * 2011-12-01 2013-06-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조립식 기둥-기초 연결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1772A (ja) 2004-08-30 2008-04-17 フット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エー/エス 構造物、杭打ち基礎および拡大底盤設置用ゴム風船向け杭打ち基礎設置方法
KR101100438B1 (ko) * 2009-06-03 2011-12-30 장수호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952596B1 (ko) * 2009-07-16 2010-04-15 (주)일산금속 습지용 기초 구조물
KR20130061335A (ko) * 2011-12-01 2013-06-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조립식 기둥-기초 연결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826B1 (ko) 2019-07-05 2020-05-25 신을호 조립식 pc 철탑 기초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266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924B1 (ko)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구조 및 시공 방법
KR101100438B1 (ko) 탑 구조물의 기초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713692B1 (ko) 내부구속 중공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사용한 프리스트레스연결형 조립식교각 및 그 시공방법
US11274412B2 (en) Reinforcement structures for tensionless concrete pier foundation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the same
KR20110103000A (ko) 콘크리트 충전유닛을 이용한 강합성 중공 프리캐스트 교각 접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0404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콘크리트 교대
KR101478131B1 (ko)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교각의 시공방법
KR100768031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콘크리트 합성파일에 강재파일을일체로 연결한 복합파일 및 이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CN111894045A (zh) 地下室底板抗浮锚固构造及抗浮锚固施工方法
KR101086646B1 (ko)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슬래브교 시공방법
KR20010100042A (ko) 교각의 내진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86643B1 (ko)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
KR100837263B1 (ko) 강합성 말뚝 제작방법
KR102254227B1 (ko) Pc 말뚝캡이 구비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2582757U (zh) 地下室底板抗浮锚固构造
KR102114826B1 (ko) 조립식 pc 철탑 기초구조물
KR20230081880A (ko) 소켓식 탄성덕트 커플러를 구비한 조립식 교량 하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860592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KR100819504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이용한 콘크리트복합체와 지지구조물의 연결방법
JP2006348480A (ja) 建築物及び建築物形成方法
KR101131631B1 (ko) 다수개의 강선을 인장부의 전단면에 배치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조립식교량시공방법
KR10059976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합성 중공 교각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239887Y1 (ko) 교각의 내진 보강구조
KR20080000243A (ko) 보강토 교각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658249B1 (ko) 캡형상의 확대기초 하부주철근에 의한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말뚝 두부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