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672B1 -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 Google Patents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672B1
KR102243672B1 KR1020200133487A KR20200133487A KR102243672B1 KR 102243672 B1 KR102243672 B1 KR 102243672B1 KR 1020200133487 A KR1020200133487 A KR 1020200133487A KR 20200133487 A KR20200133487 A KR 20200133487A KR 102243672 B1 KR102243672 B1 KR 10224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anchor
net
ring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전병돈
황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환경
Priority to KR102020013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움석이 충진되는 복수의 제 1망본체; 제 1망본체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어도를 형성하는 제 2망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Stone net Structure With Fish Way}
본 발명은 하천 등 수로바닥 등에서 어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톤네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개울 등과 같은 자연 수로나 또는 인공 수로 등과 같이 물이 흐르는 수로의 바닥에 경관 개선을 위하여 자연석 등과 같은 돌들을 배치하여 두는 경우가 있다. 이때 수로의 바닥에 배치한 돌들이 수로 내에서의 물살에 밀려서 다른 위치로 굴러가거나 이동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방안 중의 하나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돌들을 수로의 바닥에 고정하여 두는 것이다. 즉, 수로의 바닥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콘크리트 위에 돌들을 놓아두고 콘크리트를 경화시키거나 혹은 수로의 바닥에 돌들을 놓아두고 그 돌들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시켜서 경화된 콘크리트에 의해 돌들을 수로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타설 및 경화를 위해 수로를 막아 두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수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각종 환경문제와 수중 동식물의 이동경로가 막힐 수도 있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이에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71215호에서는 각 그물눈이 대향하여 인접한 2개조의 구획요소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망상편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좌판과, 이 좌판을 상기 돌을 향하여 가압하는 정지구를 가지며, 상기 좌판이 상기 어느 한쪽의 인접한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는 기판부와, 이 기판부의 판면에서 기립하면서 그 인접한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는 기립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제시되고 있다.
한편 어도(fish way)란 하천을 횡단하는 보ㆍ댐 등의 수공구조물에 의하여 어류의 이동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수로 또는 장치를 총칭하는 바, 상기 기술의 경우 어류의 산란 등을 위한 생장환경의 조성을 위해서는 어도가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한 어떠한 구성이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712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천바닥 등에 스톤네트가 구성되도록 하면서 이에 더하여 어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톤네트 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이하 "본 발명의 구조"라함)는, 채움석이 충진되는 복수의 제 1망본체; 제 1망본체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어도를 형성하는 제 2망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2망본체는 내부에 채움석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2망본체는 제 1망본체에 각각 접하면서 상면이 하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한쌍의 경사망본체와, 상기 경사망본체 사이에 게재되는 연결망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2망본체는, 평판형상의 망과 상기 망에 상부로 노출되는 상측돌과 하부로 노출되는 하측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상측돌 및 상기 하측돌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망에 체결되되, 상기 고정구는, 하측돌의 체결공에 안치되며 끌단에 직경이 커지는 머리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되는 심체와, 상기 몸체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에 안치되며 끝단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 사이에 가압단이 형성되는 확장체를 포함하는 하부고정구; 상기 망에서 상기 몸체가 관통하도록 안치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에 접하도록 상기 몸체에 회전결합이 되는 너트체결구와 상기 너트체결구 상단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 사이에 가압단이 형성되는 가압테두리와 상기 가압테두리 내부에 충진된 탄성재를 포함하는 상부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제 1망본체의 측면에 각각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서 각각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유속 제어 및 감지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단부에 위치하는 제 1망본체와 연결되는 앵커연결줄과 상기 앵커연결줄과 체결되는 앵커돌을 포함하는 앵커수단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앵커돌에는 앵커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앵커돌 외측으로 노출되는 링으로 구성되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복수의 앵커돌이 각각 링을 관통하면서 최외측 앵커돌의 링에 고정이 되는 제 2앵커연결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앵커연결줄은 상기 제 2앵커연결줄에 하나 이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앵커돌에는 앵커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앵커돌 외측으로 노출되는 링으로 구성되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기 앵커연결줄의 일단은 복수의 앵커돌에 있어 각각 링을 관통하면서 최외측 앵커돌의 링에 고정이 되고, 상기 제 1망본체에 충진된 채움석에는 상기 고정구가 체결되며, 상기 앵커연결줄의 타단은 상기 채움석에 체결된 고정구의 링에 고정되어 제 1망본체와 앵커연결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하천바닥을 스톤네트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어류의 이동경로의 제공은 물론 휴식처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류의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고, 치어 등의 보호막으로서의 어도가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이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각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 고정구의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도 5에 도시된 고정구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각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조(1)는 도 1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움석(22)이 충진되는 복수의 제 1망본체(2); 제 1망본체(2)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어도(6)를 형성하는 제 2망본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조(1)는 하천바닥에 시공시 제 1망본체(2) 사이에 낮은 단차를 형성하는 제 2망본체(3)가 조립되도록 하여 어도(6)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경우는 제 1망본체(2) 및 제 2망본체(3)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망프레임(21, 31)에 채움석(22, 32)이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며, 망프레임(21, 31)의 상부에 상측돌(23, 33)이 노출되도록 고정이 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측돌(23, 33)은 망프레임(21, 31)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람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수로의 조경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측돌(23, 33)들로서는 인조석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예컨대 호박돌 등과 같은 자연석을 사용하는 것이 자연 친화적이어서 바람직하다. 상측돌(23, 33)들은 망프레임(21, 31) 위에 늘어 놓여져서 망프레임(21, 3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어도(6)에 위치하는 상측돌(33)은 유속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여 어류의 휴식장소, 산란장소, 피난장소 등의 기능이 더해지는 것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제 2망본체(3)는 제 1망본체(2)에 각각 접하면서 상면이 하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한쌍의 경사망본체(3-1)와, 상기 경사망본체(3-1) 사이에 게재되는 연결망본체(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접합부에서 형성될 수 있는 사수를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2망본체(4)는 평판형상의 망(41)에 상측돌(42)만 고정되거나 상측돌(42) 및 하측돌(43)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평판형상의 망(41)은 양측에 다양한 공지의 고정수단이 구성되어 제 1망본체(2)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는 바, 특별히 그 구조를 설명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예는 평판형상의 망(41)에 상측돌(42)만 고정된 예로서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비교적 단차가 크게 형성되도록 하기가 용이하여 수위가 높은 어도(6)가 형성됨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하천바닥에서 식생하는 식물이 제 2망본체(4) 상면으로 노출되기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어도(6)에 산란 등 어류의 생장환경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는 평판형상의 망(41)에 상측돌(42) 및 하측돌(43)이 상,하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망(41)에 상측돌(42)에 더하여 하측돌(43)이 구성되도록 하면서 하측돌(43)에 의해 하천바닥에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하는 이유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41)에 상측돌(42)만을 구성하는 경우 상측돌(42) 간의 간극(a1)만이 형성되는데 망(41)에 하측돌(43)을 더 구성하는 경우 하측돌(43) 간의 간극(a2)이 더해져 어도(6)에는 치어 등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어류가 생장하고 보호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더 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당연히 어도(6)에서 유속제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41)에 상측돌(42) 및 하측돌(43)을 하나의 고정구(5)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는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고정구(5)는, 하측돌(43)의 체결공(431)에 안치되며 끌단에 직경이 커지는 머리(511-1)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511-2)로 구성되는 심체(511)와, 상기 몸체(511-2)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431)에 안치되며 끝단에 절개홈(512-1)이 형성되어 절개홈(512-1) 사이에 가압단(512-2)이 형성되는 확장체(512)를 포함하는 하부고정구(51); 상기 망(41)에서 상기 몸체(511-2)가 관통하도록 안치되는 가스켓(52); 상기 가스켓(52)에 접하도록 상기 몸체(511-2)에 회전결합이 되는 너트체결구(531)와 상기 너트체결구(531) 상단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절개홈(532-1)이 형성되어 절개홈(532-1) 사이에 가압단(532-2)이 형성되는 가압테두리(532)와 상기 가압테두리(532) 내부에 충진된 탄성재(533)를 포함하는 상부고정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고정구(5)에 의해 망(41)에 상측돌(42) 및 하측돌(43)이 체결되는 과정이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되고 있다.
각각 상측돌(42) 및 하측돌(43) 후면에 체결공(421, 431)을 타공한다. 여기서 후면이라 함은 상측돌(42) 및 하측돌(43)이 망과(41)과 대향하는 면을 정의하는 것이다.
도 6a는 하측돌(43)에 하부고정구(51)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공(431)에 우선 심체(511)에서 도면상 머리(511-1)에 상기 확장체(512)가 걸린 상태로 거치되도록 한다. 이후에 확장체(512)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511-2)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타격체의 요홈에 수용되도록 타격체를 거치하고 타격체를 타격함에 따라 타격체가 상기 확장체(512)를 상기 몸체(511-2)에서 밀어 확장체(512)에 심체(511)의 머리(511-1)가 삽입되면서 가압단(512-2)이 체결공(421)을 가압함에 따라 심체(511) 및 확장체(512)가 상기 체결공(421)에 고정이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타격체를 탈리시키고, 망(41)의 메쉬로 몸체(511-2)가 관통하도록 하측돌(42) 상부에 망(41)을 거치한다.
그 다음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망(41)에서 상기 몸체(511-2)가 관통하도록 가스켓(52)을 안치하며, 가스켓(52) 상부로 몸체(511-2)가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고정구(53)를 가스켓(52)에 접하도록 몸체(511-2)에 장착한다.
상기 상부고정구(53)는 상기 가스켓(52)에 접하도록 상기 몸체(511-2)에 회전결합이 되는 너트체결구(531)와 상기 너트체결구(531) 상단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절개홈(532-1)이 형성되어 절개홈(532-1) 사이에 가압단(532-2)이 형성되는 가압테두리(532)와 상기 가압테두리(532) 내부에 충진된 탄성재(5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연히 상기 너트체결구(531)에는 상기 몸체(511-2)의 나사산과 대향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결합에 의해 상기 너트체결구(531)가 상기 몸체(511-2)에 체결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가압테두리(53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너트체결구(531) 상단에서 원기둥형상으로 돌출되는 구성으로 절개홈(532-1) 및 절개홈(532-1) 사이에 가압단(532-2)이 형성되어 이하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단(532-2)의 외측으로 확장에 의해 상부고정구(53)가 상측돌(42)의 체결공(421)에서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재(533)는 상기 가압테두리(532) 내부에 충진되어 가압에 의해 외측으로 직경이 커지면서 상기 가압단(532-2)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힘을 더욱 강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가압시 상기 가압단(532-2)이 더욱 견고하게 상측돌(42) 체결공(421)의 내주연을 가압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재(533)는 고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구(53)의 길이(ℓ1)는 바람직하게 상측돌(42)의 체결공(421)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됨에 의해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된 상부고정구(53)에 상측돌(42)의 체결공(421)을 안치하고 상측돌(42)을 고무망치 등을 이용하여 타격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단(532-2)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상측돌(42)의 체결공(421)과 상부고정구(53)가 고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속 제어 및 감지구(7)가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도(6)에서 어도(6) 하측은 상측돌(32, 42)에 의해 유속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유속 제어 및 감지구(7)에 의해 어도(6) 상측에서도 유속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어도(6)의 기능발현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고, 이에 더하여 어도(6)의 위치별 유속을 시각적으로 감지되도록 하여 어도(6)에서 이물질(SS)의 침적에 의한 폐색구간 등이 모니터링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속 제어 및 감지구(7)는 제 1망본체(2)의 측면에 각각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줄(71)과 상기 연결줄(71)에서 각각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의 임펠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줄(71)은 후크 등을 이용하여 각 단부가 제 1망본체(2)에 연결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임펠러(7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줄(71)이 관통하는 회전구(721)와 상기 회전구(721)에서 복수로 돌출되는 날개(722)로 구성되어 어도(6) 상측에서 유체의 흐름에 의해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연결줄(71)에 각각 별도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4개의 임펠러(72)가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임펠러(72)의 구성에 의해 유속이 어도(6) 상측에서 제어되도록 하면서 각 임펠러(72)는 별도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어도(6)에 이물질(SS)이 다량으로 침적된 위치에서는 해당 임펠러(72)의 회전(S1)이 타 위치 임펠러(72)의 회전(S2, S3, S4)보다 더디게 되는데 관리자 등은 이러한 임펠러(72)의 회전을 감지하여 청소 등이 필요한 구간이 모니터링 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어도 설치에 따라 단면감소에 의해 세굴, 전도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면감소에 따른 세굴, 전도를 제어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 8 등에서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부에 위치하는 제 1망본체(2)와 연결되는 앵커연결줄(81)과 상기 앵커연결줄(81)과 체결되는 앵커돌(82)을 포함하는 앵커수단(8)이 더 구성되도록 하여 세굴, 전도 등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부에 위치하는 제 1망본체(2)는 물론 앵커연결줄(81) 및 앵커돌(82)은 지중에 매립되도록 하여 앵커링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하천바닥에 시공시 시점 및 종점에 앵커수단(8)이 하천바닥에 매입되도록 구성됨에 의해 시점에서 유수력에 의해 발생되기 쉬운 들림현상 등 및 종점에서 와류현상, 흡출 등에 의해 발생되기 쉬운 들림현상 등을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들림에 의해 전체 구조물의 건전성을 저해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후적인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예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고 있다.
도 9에서는, 상기 앵커돌(8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바(831)와 상기 고정바(831)에서 앵커돌(82) 외측으로 노출되는 링(832)으로 구성되는 고정구(83)가 구성되며, 복수의 앵커돌(82)이 각각 링(832)을 관통하면서 최외측 앵커돌(82)의 링(832)에 고정이 되는 제 2앵커연결줄(8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앵커연결줄(81)은 상기 제 2앵커연결줄(84)에 하나 이상 연결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부에 위치하는 제 1망본체(2)와 평행하게 복수의 앵커돌(82)에 의해 라인으로서 앵커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전체 너비에 걸쳐 앵커링이 됨으로써 부분적인 들림 등을 제어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구(83)에 있어 고정바(831)는 앵커돌(82)에 삽입 고정되는 구성인데 고정바(831)가 앵커돌(82)에 삽입 및 고정되는 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링(832)은 상기 고정바(831)의 단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바(831)에서 링(832)이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앵커돌(82)을 나열시키면서 각 앵커돌(82)의 링(832)에 제 2앵커연결줄(84)이 용이하게 관통이 되도록 하여 조립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앵커연결줄(81)은 일단이 상기 제 2앵커연결줄(84)에 고정되고 타단이 망프레임(21)에 고정이 되도록 하는데 여기서 앵커연결줄(81)의 고정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 또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또 하나의 구현예가 도 10에 도시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앵커돌(82)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바(831)와 상기 고정바(831)에서 앵커돌(82) 외측으로 노출되는 링(832)으로 구성되는 고정구(83)가 구성되며, 상기 앵커연결줄(81)의 일단은 복수의 앵커돌(82)에 있어 각각 링(832)을 관통하면서 최외측 앵커돌(82)의 링(832)에 고정이 되고, 상기 제 1망본체(2)에 충진된 채움석(22)에는 상기 고정구(83)가 체결되며, 상기 앵커연결줄(81)의 타단은 상기 채움석(22)에 체결된 고정구(3)의 링(832)에 고정되어 제 1망본체(2)와 앵커연결줄(81)이 연결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 지점에서 앵커링에 앵커돌(82)의 개수가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시공의 용이성이 도모되고, 각 지점에서 앵커링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앵커연결줄(81)의 제 1망본체(2)에 연결시 채움석(22)에 고정이 되도록 하여 망프레임(21)에 체결하는 구조보다 더욱 견고하게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 2 : 제 1망본체
3 : 제 2망본체 4 : 제 2망본체
5 : 고정구

Claims (9)

  1. 채움석이 충진되는 복수의 제 1망본체;
    제 1망본체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조립되어 어도를 형성하는 제 2망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망본체는, 평판형상의 망과 상기 망에 상부로 노출되는 상측돌과 하부로 노출되는 하측돌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돌 및 상기 하측돌은 고정구에 의해 상기 망에 체결되되,
    상기 고정구는,
    하측돌의 체결공에 안치되며 끌단에 직경이 커지는 머리와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되는 심체와, 상기 몸체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에 안치되며 끝단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 사이에 가압단이 형성되는 확장체를 포함하는 하부고정구;
    상기 망에서 상기 몸체가 관통하도록 안치되는 가스켓;
    상기 가스켓에 접하도록 상기 몸체에 회전결합이 되는 너트체결구와 상기 너트체결구 상단 테두리에서 일체로 돌출되며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 사이에 가압단이 형성되는 가압테두리와 상기 가압테두리 내부에 충진된 탄성재를 포함하는 상부고정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망본체는 내부에 채움석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망본체는 제 1망본체에 각각 접하면서 상면이 하향의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한쌍의 경사망본체와, 상기 경사망본체 사이에 게재되는 연결망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망본체의 측면에 각각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에서 각각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복수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유속 제어 및 감지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단부의 제 1망본체와 연결되는 앵커연결줄과 상기 앵커연결줄과 체결되는 앵커돌을 포함하는 앵커수단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돌에는 앵커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앵커돌 외측으로 노출되는 링으로 구성되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복수의 앵커돌이 각각 링을 관통하면서 최외측 앵커돌의 링에 고정이 되는 제 2앵커연결줄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앵커연결줄은 상기 제 2앵커연결줄에 하나 이상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돌에는 앵커돌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서 앵커돌 외측으로 노출되는 링으로 구성되는 고정구가 구성되며, 상기 앵커연결줄의 일단은 복수의 앵커돌에 있어 각각 링을 관통하면서 최외측 앵커돌의 링에 고정이 되고, 상기 제 1망본체에 충진된 채움석에는 상기 고정구가 체결되며, 상기 앵커연결줄의 타단은 상기 채움석에 체결된 고정구의 링에 고정되어 제 1망본체와 앵커연결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KR1020200133487A 2020-10-15 2020-10-15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KR102243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87A KR102243672B1 (ko) 2020-10-15 2020-10-15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487A KR102243672B1 (ko) 2020-10-15 2020-10-15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672B1 true KR102243672B1 (ko) 2021-04-26

Family

ID=7573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487A KR102243672B1 (ko) 2020-10-15 2020-10-15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67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20A (ja) * 1992-06-12 1993-12-21 Hokubu Kenkyusho:Kk フトン篭を用いる河川内の魚道形成法
KR200293471Y1 (ko) * 2002-08-01 2002-10-30 명남재 프로펠러식 하천 유속측정장치
KR100371215B1 (ko) 2000-03-09 2003-02-06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고정구,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
KR101136661B1 (ko) * 2011-11-10 2012-04-18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31952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석송 토목, 도로, 단지, 수자원, 항만, 상하수도 및 하천분야에 적용되는 식생가능한 여울 형성용 스톤매트
KR101585639B1 (ko) * 2015-08-19 2016-01-22 이노펙스 주식회사 어도블록 및 어도시공방법
KR20180134535A (ko) *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지오환경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8494B1 (ko) * 2020-06-05 2020-07-28 주식회사 승은 스톤네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9920A (ja) * 1992-06-12 1993-12-21 Hokubu Kenkyusho:Kk フトン篭を用いる河川内の魚道形成法
KR100371215B1 (ko) 2000-03-09 2003-02-06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고정구,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
KR200293471Y1 (ko) * 2002-08-01 2002-10-30 명남재 프로펠러식 하천 유속측정장치
KR101136661B1 (ko) * 2011-11-10 2012-04-18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30131952A (ko)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석송 토목, 도로, 단지, 수자원, 항만, 상하수도 및 하천분야에 적용되는 식생가능한 여울 형성용 스톤매트
KR101585639B1 (ko) * 2015-08-19 2016-01-22 이노펙스 주식회사 어도블록 및 어도시공방법
KR20180134535A (ko) * 2017-06-09 2018-12-19 주식회사 지오환경 프리벤트 리프팅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38494B1 (ko) * 2020-06-05 2020-07-28 주식회사 승은 스톤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3985B1 (ko) 콘크리트 격자형 사면보강 공법 및 사면 보강 구조
KR102243672B1 (ko) 어도가 형성되는 스톤네트 구조
CN217537011U (zh) 一种水土保持边坡护理结构
KR101059140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징검 다리
KR20190082131A (ko) 스톤네트 구조물
CN108166451B (zh) 江河边岸仿土毯式立体消能护坡
KR101669891B1 (ko) 스톤네트 구조체
KR200267606Y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JP2001172936A (ja) 地面防護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0044558A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JP3357641B2 (ja) 護岸ブロック
JP2000129650A (ja) 護岸用敷石セグメント
KR20070104111A (ko) 말뚝기둥 일체형 교량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214089694U (zh) 一种河道堤坝生态护坡
RU232081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крепления из габионных тюфяков в период паводков
KR102121803B1 (ko) 앵커부재 고정형 스톤네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92064B1 (ko) 블럭식생매트
JPH08199529A (ja)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ト覆土ブロック護岸
JPH11117258A (ja) 河川用敷石ブロック
JP3066635B2 (ja) 護岸用敷石プレート
KR200327425Y1 (ko) 다수의 호박돌 형상 구조를 갖는 생태 옹벽블럭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JP3862679B2 (ja) 自然石ブロック
KR200370059Y1 (ko) 호안 보호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