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606Y1 -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 Google Patents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606Y1
KR200267606Y1 KR2020010037075U KR20010037075U KR200267606Y1 KR 200267606 Y1 KR200267606 Y1 KR 200267606Y1 KR 2020010037075 U KR2020010037075 U KR 2020010037075U KR 20010037075 U KR20010037075 U KR 20010037075U KR 200267606 Y1 KR200267606 Y1 KR 200267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outer frame
fram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호 filed Critical 윤성호
Priority to KR2020010037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6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606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조성된 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침식과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자틀 형태의 제방보호용 프레임을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제방 경사면의 표면보호기능과 함께 초본식물의 식생기능을 가지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호안블록을 별도의 장비없이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호안블록의 시공상에 노출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초본식물의 식생토 취부와 취부된 식생토의 안전한 지지를 도모하여 제방 경사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은, "¬" 형태의 모서리블록(21)과 일자형블록(22) 및 T자형블록(23)에 의하여 사각형태로 연결 고정되는 외곽프레임(20)이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에 의하여 격자형태로 연결 고정되는 커버프레임(30)이 체결볼트(12)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상기 T자형블록(23)과 경사면(1)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2)(23)(31)의 사이에는 몸체(40a) 전체에 걸쳐 형성된 식생공(41)의 후방에 식생시트(42)가 부착된 식생블록(40)이 끼움 결합되어 앵커볼트(11)로서 경사면(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모서리블록(21)은 앵커공(214)이 관통된 막대형상의 몸체(210) 양단에 연결단부(211)와 삽입홈(2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블록(22)은 막대형상의 몸체(220) 양단에 연결단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T자형블록(23)은 앵커공(234)이 관통된 몸체(230)의 각 절단면에 삽입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30)의 십자형블록(31)은 앵커공(314)이 관통된 몸체(310)의 머리부의 각 절단면에 삽입홈(312)이 형성되고, 몸체(310)의 연장부(315) 하단에는 연결단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2)(23)(31)의 측면에는 상기 식생블록(40)의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홈(213)(223)(233)(313)이 몸체(210)(220)(230)(310)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Revetment block for a slope of river dike}
본 고안은 하천의 범람방지와 수자원의 이용을 위하여 조성된 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침식과 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자틀 형태의 제방보호용 프레임을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제방 경사면의 표면보호기능과 함께 초본식물의 식생기능을 가지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호안블록을 별도의 장비없이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호안블록의 시공상에 노출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초본식물의 식생토 취부와 취부된 식생토의 안전한 지지를 도모하여 제방 경사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호수 등지에는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토사를 다짐한 제방이 조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조성된 제방은 수압에 따른 제방의 붕괴를 방지하고, 차량을 포함한 각종 장비의 주행을 위한 가도로를 제방 위에 축조하는 것과 같은 시공학적인 이유로 인하여 수면과 직접 맞닿게 되는 제방의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거나 제방의 양측면에 모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방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방의 경사면 하측이 하천의 흐름에 의하여 쉽게 침식되고, 우천이나 폭우시에는 빗물에 의하여 제방의 토사가 경사면을 따라 하천 등지로 쉽게 유실되므로서 제방의 지지강도가 취약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방이 붕괴될 경우에는 심각한 인명피해나 재산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방 경사면의 침식과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호안수단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안수단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가로와 세로의 폭이 40cm 내외이고, 두께가 10~12cm 정도이며, 중량이 30~35kg 정도인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호안블록을 사각이나 육각 또는 팔각 등의 각종 형태로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호안블록을 인력에 의한 짜맞추기 방식으로 제방의 경사면 상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안블록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재질로 제작되어 그 무게가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호안블록의 운반과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각각의 호안블록을 인력에 의한 짜맞추기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호안블록을 제방의 경사면상에 설치하는 작업이 숙련된 기술을 요하는 까다롭고 힘든 작업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각각의 호안블록이 제방의 경사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게 되므로서 단위면적당 많은 개수의 호안블록을 설치해야 함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설치된 호안블록 상호간의 결합력이 약하게 되어 호안블록이 경사면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넓은 면적을 가지는 제방의 경사면에 상기한 호안블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많은 인력과 긴 공사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사비용의 상승과 공기의 지연을 초래하게 되며,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재질의 호안블록에는 초본식물이 전혀 생육할 수 없기 때문에 하천 등지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의 정화작용을 방해하여 하천오염을 유발시키게 되고, 자연의 전체적인 경관과도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재질의 호안블록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호안블록을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한 것과, 콘크리트 재질의 호안블록 양측에 각종 중장비의 집게발이 걸쳐질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하여 호안블록을 기계적으로 시공하도록 한 것 또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에 해당하는 플라스틱 호안블록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블록에 비하여 그 무게를 가볍게 하므로서 운반과 취급상의 편의를 다소 향상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짜맞추기 시공방식에 의한 시공성의 저하와 호안블록의 이탈이나 유실과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시공비용의 상승과 공사기간의 지연 및 초본식물의 식생불가능과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호안블록의 무게가 너무 가볍게 되어 제방 경사면의 보호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후자에 해당하는 기계시공용 호안블록의 경우에는 호안블록의 설치를 위하여 크레인이나 포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중장비를 동원한다 하더라도 호안블록의 짜맞추기 시공방식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기한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에 해당하는 하천이나 호수 등지로 중장비를 진입시켜야 하는 시공상의 추가적인 장애요인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제방의 상부에 축조된 가도로상에 중장비를 진입시킨 상태에서 호안블록을 시공한다 하더라도 제방의 경사면 하측으로부터 호안블록을 적층식으로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장비를 이용한 호안블록의 시공에 많은 난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은 격자틀 형태의 제방보호용 프레임을 조립식 결합에 의하여 형성시키고,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는 제방 경사면의 표면보호기능과 함께 초본식물의 식생기능을 가지는 식생블록을 조립식으로 고정시키므로서, 우수한 보호기능을 가지는 호안블록을 별도의 장비없이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호안블록의 시공상에 노출되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초본식물의 식생토 취부와 취부된 식생토의 안전한 지지를 도모하여 제방 경사면의 조기녹화를 이루어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천이나 호수를 둘러싸는 제방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경사면의 침식과 토사유출을 방지하게 한 것에 있어서, "¬" 형태의 모서리블록과 일자형블록 및 T자형블록에 의하여 사각형태로 연결 고정되는 외곽프레임이 앵커볼트에 의하여 경사면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부에는 십자형블록과 일자형블록에 의하여 격자형태로 연결 고정되는 커버프레임이 체결볼트와 앵커볼트에 의하여 상기 T자형블록과 경사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사이에는 몸체 전체에 걸쳐 형성된 식생공의 후방에 식생시트가 부착된 식생블록이 끼움 결합되어 앵커볼트로서 경사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곽프레임의 모서리블록은 앵커공이 관통된 막대형상의 몸체 양단에 연결단부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블록은 막대형상의 몸체 양단에 연결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T자형블록은 앵커공이 관통된 몸체의 각 절단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의 십자형블록은 앵커공이 관통된 몸체의 머리부의 각 절단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몸체의 연장부 하단에는 연결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을 이루는 각 블록의 양측면에는 상기 식생블록의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홈이 몸체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십자형블록과 일자형블록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면 2 : 초본식물 10 : 호안블록
11 : 앵커볼트 12 : 체결볼트 20 : 외곽프레임
21 : 모서리블록 22 : 일자형블록 23 : T자형블록
30 : 커버프레임 31 : 십자형블록 40 : 식생블록
40a : 몸체 41 : 식생공 42 : 식생시트
43 : 앵커공
210, 220, 230, 310 : 몸체 211, 221, 311 : 연결단부
212, 232, 312 : 삽입홈 213, 223, 233, 313 : 끼움홈
214, 234, 314 : 앵커공 226, 316 : 콘크리트
315 : 연장부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의 (가) 및 (나)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십자형블록과 일자형블록의 평단면도이며,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중 미설명된 부호 12a는 너트, 21a, 21b, 22a, 23b, 31a 및 31b는 체결볼트의 체결공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하천이나 농수로 또는 호수 등지에 조성된 제방의 경사면(1) 가장자리측에서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상에 고정 설치되는 사각형태의 외곽프레임(20)과,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상에 고정 설치되는 격자형태의 커버프레임(30)과,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틀 형태의 공간에서 각 프레임(20)(30)의 사이에 삽입되는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은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에 고정되는 4개의 모서리블록(21)과, 상기 모서리블록(21)과 함께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을 이루는 일자형블록(22)과,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에 고정되고 상기 모서리블록(21)과 일자형블록(22)을 서로 연결하는 T자형블록(23)에 의하여 사각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각각의 블록(21~23)은 그 양측단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21~23)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은 몸체를 관통하는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에 고정되는 다수 개의 십자형블록(31)과, 상기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에 연결되는 상기 일자형블록(22)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경사면(1)을 덮게 되는 격자 형태의 구도로 형성되며, 상기한 각 블록(31)(22)의 연결부가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인접한 다른 블록(31)(22)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커버프레임(30) 또한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프레임(30)이 외곽프레임(20)의 내측면과 맞닿는 부분은, 커버프레임(30)의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 일측단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3)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또한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되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격자틀 형태의 공간에는 식생공(41)과 식생시트(42)를 구비하는 식생블록(40)이 상기한 각 블록(21)(22)(23)(31)의 내측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므로서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에서 각각의 프레임(20)(30)을 구성하는 블록(21)(22)(23)(31) 및 식생블록(40)에 대한 세부적인 구조를 도 3 및 도 4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모서리블록(21)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 형태로 절곡된 막대 형상의 몸체(210)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210)의 단부(短部)측 절단면에는 삽입홈(212)이 몸체(21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에 체결공(21b)이 관통되고, 몸체(210)의 장변부측에는 연결단부(211)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체결공(21a)이 관통되며, 상기 몸체(210)의 측면상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홈(213)이 절곡된 몸체(210)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고, 몸체(210)의 절곡부에는 앵커공(21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모서리블록(21)은 도 1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 모서리 부분과 우측상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모서리블록(21)과 좌,우로 대칭되는 또 다른 하나의 모서리블록(21)이 도 1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상단 모서리 부분과 우측하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한 모서리블록(21)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모서리블록(21)과 좌,우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므로 이를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일자형블록(2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막대 형상의 몸체(220)를 가지며, 상기 몸체(220)의 양단에는 연결단부(221)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체결공(22a)이 관통되고, 상기 몸체(220)의 측면상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홈(223)이 몸체(220)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의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T자형블록(23)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T"자 형태로 절곡된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230)를 가지며, 상기 몸체(230)의 각 절단면에는 삽입홈(232)이 몸체(23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에 체결공(23b)이 관통되고, 몸체(230)의 측면상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홈(233)이 절곡된 몸체(230)를 따라 연이어 형성되며, 몸체(230)의 중앙부에는 앵커공(23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일자형블록(22)은 모서리블록(21)의 단부측에 형성된 삽입홈(212)에 그 연결단부(221)가 삽입되어 모서리블록(21)의 장변부와 동일한 길이를 이루게 함과 동시에 상기 모서리블록(21)과 함께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의 T자형블록(23)은 모서리블록(21)의 장변부측에 형성된 연결단부(211)와 일자형블록(22)의 연결단부(221)가 양측 삽입홈(232)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모서리블록(21)과 일자형블록(22)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상에서는 3개의 일자형블록(22)과 2개의 T자형블록(2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이 구성되어 있고,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은 모서리블록(21)의 장변부측에 연결되는 2개의 T자형블록(23)과 이에 연결되는 1개의 일자형블록(22)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커버프레임(30)을 구성하는 십자형블록(31)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십(十)자형으로 절곡된 플라스틱 재질의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하부로 연장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연장부(315)를 가지며, 몸체(310)의 머리부에는 3방향으로 연장된 각 단부(短部)측의 절단면에 삽입홈(312)이 몸체(310)의 내측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에 체결공(31b)이 관통되고, 몸체(310)의 중앙부에는 앵커공(314)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3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15)의 하단에는 연결단부(311)가 단지게 연장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 체결공(31a)이 관통되고, 상기 몸체(310)와 연장부(315)의 측면상에는 식생블록(40)의 끼움홈(31)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십자형블록(31)은 머리부에 형성된 각각의 삽입홈(312)에 일자형블록(22)과 십자형블록(31)의 각 연결단부(221)(311)가 삽입되도록 하여,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서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에 의한 규칙적인 격자틀의 형성을 가능하게 구성요소로서, 도 1상에서는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 양측으로 삽입되는 일자형블록(22)에 의하여 수평프레임이 형성되고,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 상단으로 삽입되는 다른 십자형블록(31)의 연장부(315) 및 일자형블록(22)에 의하여 수직프레임이 형성되는 식으로 격자형태의 커버프레임(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30)이 외곽프레임(20)의 내측면과 맞닿는 부분은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2)(31)의 연결단부(221)(311)가 외곽프레임(20)을 이루는 T자형블록(23)의 삽입홈(232)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이 하나의 일체화 된 프레임을 이루게 되며, 이와 같은 배열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프레임(31)의 머리부는 외곽프레임(20)의 T자형블록(23)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된 격자틀 형태의 공간에서 각 블록(21)(22)(23)(31)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식생블록(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사각판 형상의 몸체(40a) 전체에 걸쳐 다수 개의 식생공(41)이 규칙적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몸체(40a)의 후측면에는 식생공(41)을 후방에서 커버하는 식생시트(42)가 몸체(40a)와 일체로 부착 형성되며, 상기 몸체(40a)의 중앙부에는 앵커공(4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식생블록(40)은 제방 경사면(1)의 표면으로부터 토사가 유실되지 않도록 커버프레임(30)과 함께 경사면(1) 전체를 덮어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방의 경사면(1)에 초본식물(2)이 식생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식생블록(40)의 몸체(40a)에 형성된 식생공(41)에 의하여 초본식물(2)의 씨앗이 함유된 식생토의 취부공간이 확보되고, 식생공(41)의 후방에 부착된 식생시트(42)에 의하여 식생공(41)에 취부된 식생토가 일정한 결합력으로 식생공(41)의 내부에서 지지되며, 식생토의 효과적인 지지를 위하여 상기의 식생시트(42)는 천 재질의 망사 표면에 부직포가 얇게 부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의 (가) 및 (나)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의 몸체(310)(220) 내부를 중공부로 형성하여 그 내부에 콘크리트(316)(226)를 충진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그 외관적인 형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의 설치 및 작용관계를 도 1을 중심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각 블록(21)(22)(23)(31)의 조합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방 경사면(1)의 폭과 높이, 그리고 현장여건에 따라 블록(21)(22)(23)(31)간의 조합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을 설치할 제방 경사면(1)의 폭과 높이를 계산하여 호안블록(10)에 사용될 각 블록(21)(22)(23)(31)(40)의 종류와 개수를 결정하므로서 호안블록(10)의 설치를 위한 설계를 완료한 다음, 이와 같이 설계된 호안블록(10)의 폭과 높이에 맞추어 제방의 경사면(1)상에 사각형태의 기초터를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의 기초터는 외곽프레임(20)을 구성하는 각 블록(21)(22)(23)의 전체적인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만큼 인력에 의한 터파기 작업을 통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초터의 각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블록(21)을 설치한 다음,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에 해당하는 기초터에는 각 모서리블록(21)의 단부(短部)측에 형성된 삽입홈(212)에 일자형블록(22)의 일측 연결단부(221)를 삽입하여 각각의 삽입홈(212)과 연결단부(221)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상하 모서리블록(21)에 고정된 일자형블록(22)의 사이에 다른 하나의 일자형블록(22)을 삽입하여 각 일자형블록(22)의 연결단부(221)가 T자형블록(23)의 양측 삽입홈(232)에 삽입되도록 연결하면, 3개의 일자형블록(22)과 2개의 T자형블록(23)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 조립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일자형블록(22)과 T자형블록(23)의 각 연결부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외곽프레임(20)의 세로변을 조립함과 동시에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에 해당하는 기초터에는 모서리블록(21)의 각 장변부측에 형성된 연결단부(211)에 T자형블록(23)의 일측 삽입홈(232)이 삽입되도록 하여, 각 연결단부(211)와 삽입홈(232)을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고정시킨 다음, 이와 같이 좌우 모서리블록(21)에 고정된 T자형블록(23)의 사이에 일자형블록(22)을 삽입하여 일자형블록(22)의 양측 연결단부(221)가 T자형블록(23)의 타측 삽입홈(232)에 삽입되도록 하면, 모서리블록(21)의 장변부에 연결되는 2개의 T자형블록(23)과, 상기 T자형블록(23)의 사이에서 연결되는 1개의 일자형블록(22)에 의하여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 조립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일자형블록(22)과 T자형블록(23)의 각 연결부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서리블록(21)와 일자형블록(22) 및 T자형블록(23)에 의하여 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외곽프레임(20)을 기초터의 외곽부분에 조립식으로 설치한 다음에는, 외곽프레임(20)을 이루는 각 모서리블록(21)과 T자형블록(23)의 앵커공(214)(234)에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므로서, 외곽프레임(20)을 기초터의 가장자리부분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을 기초터의 가장자리 부분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 후에는,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설치하게 되는 데, 상기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의 설치는 외곽프레임(20)의 내부 하측으로부터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 및 식생블록(40)을 외곽프레임(20)의 내부 상측으로 조립해 나가는 식으로 설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의 설치과정에서 상기의 기초터파기 작업를 통하여 얻은 토사를 잘 간추려 식생시트(42)의 하측면 높이까지 토사를 뒷채움시키면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설치하게 된다.
먼저, 도 1상에서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 모서리부를 이루는모서리블록(21)과 일자형블록(22) 및 T자형블록(23)의 각 끼움홈(213)(223)(233)에 식생블록(40)을 끼움결합시킨 다음, 이와 같이 끼움결합된 식생블록(40)의 우측면에는 십자형블록(31)의 일측 끼움홈(313)을 끼움결합시키면서 십자형블록(31)의 연결단부(311)가 T자형블록(23)의 삽입홈(232)에 삽입되도록 하고, 식생블록(40)의 상면에는 일자형블록(22)의 하측 끼움홈(223)을 끼움결합시키면서 일자형블록(22)의 양측 연결단부(221)가 T자형블록(23)의 삽입홈(232)과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 일측 삽입홈(312)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면,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 모서리부에 식생블록(40)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식생블록(40)의 고정을 위하여 각 블록(22)(23)(31)의 연결부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십자형블록(31)과 식생블록(40)의 앵커공(314)(43)에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의 좌측하단 모서리부에 하나의 식생블록(40)을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한 다음에는, 외곽프레임(20)의 하측 가로변과 외곽프레임(20)의 우측하단 모서리부에 식생블록(40)을 동시에 끼움결합시키게 되는 데, 먼저 상기한 십자형블록(31)의 타측 끼움홈(313)과, 외곽프레임(20)의 가로변을 이루는 일자형블록(22) 및 T자형블록(23)의 각 끼움홈(223)(233)에 하나의 식생블록(40)을 끼움결합시킨 다음, 이와 같이 끼움결합된 식생블록(40)의 우측면에는 십자형블록(31)의 일측 끼움홈(313)을 끼움결합시키면서 십자형블록(31)의 연결단부(311)가 T자형블록(23)의 삽입홈(232)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십자형블록(31)의 타측 끼움홈(313)와, 외곽프레임(20)의우측하단 모서리부를 이루는 모서리블록(21), 일자형블록(22) 및 T자형블록(23)의 각 끼움홈(213)(223)(233)에 다른 하나의 식생블록(40)을 끼움 결합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끼움결합된 각각의 식생블록(40) 상면에는 일자형블록(22)의 하측 끼움홈(223)을 끼움결합시키면서 일자형블록(22)의 양측 연결단부(221)가 각 십자형블록(31)의 머리부에 형성된 삽입홈(312)과 T자형블록(23)의 삽입홈(232)에 삽입되도록 하면, 외곽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서 하나의 층을 이루는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의 고정을 위하여 각 블록(22)(23)(31)의 연결부를 체결볼트(12)와 너트(12a)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킴과 동시에 십자형블록(31)과 식생블록(40)의 앵커공(314)(43)에 앵커볼트(11)를 관통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곽프레임(20)의 내부 하측에 하나의 층을 이루는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설치한 다음에는, 동일한 조립순서와 조립방법을 사용하여 외곽프레임(20)의 내부 중앙과 내부 상측에 제 2, 제 3의 층을 이루는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설치하므로서,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 및 식생블록(40)이 하나의 일체화 된 구조물로 조립된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을 제방의 경사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은 모서리블록(21), 일자형블록(22), T자형블록(23) 및 십자형블록(31)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단부(211)(221)(311)와 삽입홈(212)(232)(312)을 사용하여, 격자틀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조립식 결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격자틀 형태의 공간에 삽입되는 식생블록(40) 또한 각 블록(21)(22)(23)(31)에 형성된 끼움홈(213)(223)(233)(313)에 끼움 결합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서,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10)을 제방의 경사면(1)상에 매우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테두리형태의 외곽프레임(20)을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그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을 체결볼트(12)와 너트(12a) 의하여 견고하게 조립하고, 이와 같이 조립되는 커버프레임(30)과 식생블록(40) 또한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제방의 경사면(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므로서, 상기한 각 블록(21)(22)(23)(31)(40)을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더라도 블록(21)(22)(23)(31)(40)간의 전체적이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호안블록(10)의 시공과정에서 각 블록(21)(22)(23)(31)(40)이 경사면(1)으로부터 이탈 및 유실되지 않게 되며, 시공된 호안블록(10)이 우수한 제방보호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호안블록(10)을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시공강도면에서 전혀 하자가 없기 때문에, 호안블록(10)의 시공에서 사용되는 각 블록(21)(22)(23)(31)(40)의 재질에 따른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종래의 경우와 같이 크레인이나 포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중장비를 호안블록(10)의 시공에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콘크리트(316)(226)가 충진된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을 커버프레임(30)에 사용할 경우에는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록(10)의 시공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호안블록(10)을 제방의 경사면(1)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한 후에는, 잔디와 같은 초본식물(2)의 씨앗을 함유하는 식생토를 식생블록(40)의 상면으로 취부시키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식생토의 취부작업을 기계에 의한 살포작업을 통하여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식생블록(40)의 상면으로 취부되어 식생공(41)의 내부로 투입된 식생토가 망사재질의 식생시트(42)에 의하여 식생공(41)의 내부에서 일정한 부착력으로 고정됨과 동시에 식생공(41)의 깊이에 의하여 그 내부에서 안전하게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식생블록(40)의 상면으로 취부된 식생토가 식생공(41)과 식생시트(42)에 의하여 안전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우천시나 폭우시에도 식생토가 거의 유실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식생토에 함유된 초본식물(2)의 씨앗이 매우 빠른 시간내에 자연 발아되어 경사면(1)의 조기녹화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발아된 초본식물(2)의 뿌리가 망사재질로 되는 식생시트(42)와 서로 얽히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발아된 초본식물(2)이 식생블록(40)의 내부에서 이탈없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성장하는 초본식물(2)에 의하여 호안블록(10)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20)(30)이 완전히 가려지게 되므로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면서도 각종 동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은, 격자틀 형태로 이루어지는 외곽프레임과 커버프레임을 조립식 결합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격자틀형태의 공간에 삽입되는 식생블록 또한 끼움 결합식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서,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본 고안에 의한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을 제방의 경사면상에 매우 빠르고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호안블록을 이루는 각각의 블록을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더라도 블록 상호간의 결합강도와 제방보호기능이 우수한 호안블록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블록의 운반과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호안블록의 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블록의 이탈과 유실을 방지하며, 별도의 중장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호안블록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생블록에 취부된 식생토가 식생공과 식생시트에 의하여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우천시나 폭우시에 발생하는 식생토의 유실을 최소화시켜 경사면을 조기에 녹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발아된 초본식물이 식생시트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초본식물의 이탈없는 성장으로 도모하므로서, 자연의 아름다운 경관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잘 이루면서도 각종 동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자연친화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하천이나 호수를 둘러싸는 제방의 경사면(1)에 설치되어 경사면(1)의 침식과 토사유출을 방지하게 한 것에 있어서,
    "¬" 형태의 모서리블록(21)과, 일자형블록(22)과, T자형블록(23)에 의하여 사각형태로 연결 고정되는 외곽프레임(20)이 앵커볼트(11)에 의하여 경사면(1)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내부에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에 의하여 격자형태로 연결 고정되는 커버프레임(30)이 체결볼트(12)와 앵커볼트(11)에 의하여 상기 T자형블록(23)과 경사면(1)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2)(23)(31)의 사이에는 몸체(40a) 전체에 걸쳐 형성된 식생공(41)의 후방에 식생시트(42)가 부착된 식생블록(40)이 끼움 결합되어 앵커볼트(11)로서 경사면(1)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의 모서리블록(21)은 앵커공(214)이 관통된 막대형상의 몸체(210) 양단에 연결단부(211)와 삽입홈(2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블록(22)은 막대형상의 몸체(220) 양단에 연결단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T자형블록(23)은 앵커공(234)이 관통된 몸체(230)의 각 절단면에 삽입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프레임(30)의 십자형블록(31)은 앵커공(314)이 관통된 몸체(310)의 머리부의 각 절단면에 삽입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10)의 연장부(315) 하단에는 연결단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외곽프레임(20)과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각 블록(21)(22)(23)(31)의 측면에는 상기 식생블록(40)의 끼움결합을 위한 끼움홈(213)(223)(233)(313)이 몸체(210)(220)(230)(310)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30)을 이루는 십자형블록(31)과 일자형블록(22)의 몸체(310)(220) 내부에는 콘크리트(316)(226)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20010037075U 2001-11-30 2001-11-30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267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75U KR200267606Y1 (ko) 2001-11-30 2001-11-30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075U KR200267606Y1 (ko) 2001-11-30 2001-11-30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361A Division KR100433496B1 (ko) 2001-11-30 2001-11-30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606Y1 true KR200267606Y1 (ko) 2002-03-09

Family

ID=73113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075U KR200267606Y1 (ko) 2001-11-30 2001-11-30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606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54B1 (ko) * 2002-03-15 2004-07-12 이강세 그린 호안블록
KR100443037B1 (ko) * 2002-01-16 2004-08-04 윤성호 법면보호블록
KR100617373B1 (ko) 2004-09-18 2006-08-29 재 술 나 평면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KR100999185B1 (ko) * 2009-04-22 2010-12-08 나라앤텍 주식회사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CN116219951A (zh) * 2023-03-28 2023-06-06 射阳县海涂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滩涂养殖围垦堤坝结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037B1 (ko) * 2002-01-16 2004-08-04 윤성호 법면보호블록
KR100439954B1 (ko) * 2002-03-15 2004-07-12 이강세 그린 호안블록
KR100617373B1 (ko) 2004-09-18 2006-08-29 재 술 나 평면식 사면안정화 보강용 구조물
KR100999185B1 (ko) * 2009-04-22 2010-12-08 나라앤텍 주식회사 성벽 이미지 연출이 가능한 축조블록과 축조구조
CN116219951A (zh) * 2023-03-28 2023-06-06 射阳县海涂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滩涂养殖围垦堤坝结构
CN116219951B (zh) * 2023-03-28 2024-02-23 射阳县海涂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滩涂养殖围垦堤坝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106A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674635B1 (ko) 보강토 옹벽용 친환경 식생블록
KR100644413B1 (ko) 식생 녹화블록
KR100433496B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200267606Y1 (ko)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KR101025260B1 (ko) 조립식 호안블록 및 코이어매트를 이용한 사면안정공법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0349863B1 (ko) 호안용 블록 및 그를 이용한 자연형 호안시공법
US20230295894A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2276932B1 (ko) 세굴 보호 및 생태 복원용 호안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호안 구조물
KR101628201B1 (ko) 생태 블록 구조물
KR100694874B1 (ko) 사면안정용 방틀형 조립블록
KR200311986Y1 (ko)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200272869Y1 (ko) 자연형 식생블록
KR200327418Y1 (ko) 식생용 호안블럭
KR100662876B1 (ko) 하천 생태보호용 식생블록 설치구조
KR100994426B1 (ko) 사면보강형 조경블럭
KR200408078Y1 (ko) 연결식 식생호안블록
KR200262788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JP3056699B2 (ja) 覆土ブロック
JP2974961B2 (ja) 湛水面裸地の法面緑化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金網型枠
KR200415620Y1 (ko) 하천 게비온 호안의 식생블럭
KR200346774Y1 (ko) 식생용 호안블록
KR200344697Y1 (ko) 호안용 식생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