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788Y1 -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 Google Patents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788Y1
KR200262788Y1 KR2020010032224U KR20010032224U KR200262788Y1 KR 200262788 Y1 KR200262788 Y1 KR 200262788Y1 KR 2020010032224 U KR2020010032224 U KR 2020010032224U KR 20010032224 U KR20010032224 U KR 20010032224U KR 200262788 Y1 KR200262788 Y1 KR 200262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ver
construction
fastening means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은
Original Assignee
이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은 filed Critical 이상은
Priority to KR2020010032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788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각 하천 용도에 맞게 적층 및 연결하며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부력수거구멍을 형성하여 수중에 시공될 때에 부력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시공성을 좋게 하고, 조립시 인접하는 블록들을 유볼트등의 체결수단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서로간의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이중 삼중의 고정 조립 구조를 제공하여 블록 상호간의 결합력이 뛰어나고, 현장 적응성이 뛰어나 시공되는 장소에 적합하게 응용/배치할 수가 있으며, 특히 어소 및 어도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하천수의 정화 및 치수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손실된 하천의 생태계 복원 및 보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Inter locking multi-function block for river conservation work}
본 고안은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도 및 어소기능을 겸비하고, 하천수의 정화 및 치수 기능을 갖추어, 생태계 복원 및 보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천 유역은 토지 이용의 증대 및 도시화, 하천 유역의 정비화 및 취로사업에 따라서 콘크리트 블럭등의 인공적인 수단으로 정비되고 있고, 자연적인 곡선 형태의 하천의 수중 및 유역부분까지 직선화로 정비되는 경향에 있다.
특히,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 하천의 경우에는 홍수 통제의 치수 목적으로 저수로와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 정비 및 하천 제방의 축조등의 획일적인 개발로 인하여 하천 환경이 크게 변화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하천 어류들의 산란처 및 은신처가 많이 줄어들게 되어, 하천에 서식하는 어종의 수가 크게 줄어들게 되고, 어류의 길목을 차단하는 등의 서식공간이 축소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하천 생태계가 파괴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수중토목공사에는 기초시공이 매우 중요한데, 예를들어 교각의 기초부에는 물의 유속에 의하여 원형 교각 주변에 소용돌이 현상에 의한 세굴이 발생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교각의 기초부에는 다수개의 블록을 적층하여 시공한 이른바 세굴방지공 공사를 하게 된다.
또, 하천에는 유속의 줄임 및 어류 보호를 목적으로 한 낙차공이나 호안공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 낙차공은 하천의 상황에 대응하여 자연석 형상의 호안블록이나 어소블록, 여울블곡(징검다리 겸용도 가능) 또는 물고기가 잘 다니도록 한 어도(魚道) 블록 등이 있다. 또 각종 댐이나 취입보 등의 바닥에 시공하는 바닥 다짐공 공사가 있다.
이러한 낙차공이나 바닥다짐공을 하천에 설치함으로써 상하류에 어류의 통로가 자유롭고 폭기현상에 의한 자연수질의 정화와 갯버들, 갈대, 수초 등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며 어족 서식 산란처를 제공하는 것이어서, 결과적으로 자연 생태계를 복원하는 큰 효과를 얻는다.
이들 공사에는 필연적으로 2개, 4개, 6개 등으로 구성되는 단위체인 블록을이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들 블록은 유속에 의하여 기초부가 세굴 전도되거나 토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기초부분에 사석을 덮어 주거나 사석을 채운 뒤 돌망태를 덮어 주는 공사를 하며, 용도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 및 기성 제품을 부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 상기 블록은 취수관료 보호공, 하상 노출관로 보호공, 연약지반 유로 안정공, 접안시설의 안정공(블록옹벽 축조), 긴급 수해 복구공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수중 구조물의 기초를 보호하기 위한 블럭은 정방형 블럭체 상하면에 대각선상으로 요부와 철부를 대칭으로 형성한 것(국내 실용신안공번 제 78-1501호)으로 시공 시에는 블럭과 블럭을 평면적으로 깔어 주었다. 이때 블럭과 블럭은 단순히 측면에 면접촉만 되어있는 상태이고 그 위에 적층되는 블럭은 상하로 교합되도록 적층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블럭은 그 기초가 되어야 할 부분, 즉 수중지면에 평면적으로 배치한 블럭과 블럭은 그 측면이 서로 결속되지 못하고 단순히 면과 면이 접한 상태이므로 유속이 심한 경우 단위 블럭이 유실되면서 블럭 구조물이 붕괴되어 결국은 수중구조물의 기초를 보호할 수 없게 된다.
다른 예로서, 블럭체의 중앙 상하면에 각각 오목부와 돌출부를 구비하고 둘레에는 일정간격으로 상하 동일높이의 돌출부를 다수 구비하며, 중심과 둘레부에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구비된 것(일본국 공개실용신안 공보소 57-174526호)으로 시공 시에는 일렬로 적층한 것을 철선으로 결박하여 하나의 기둥형 덩어리 상태로 만들어 이를 기초 주변에 쌓아두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덩어리 상태의 블럭은 수중구조물 기초부분의 수중지표를 효과적으로 덮지 못하고, 블럭덩어리와 덩어리 사이에 공간이 크게 생기므로 유속이 심한 하천의 경우 쇄굴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 제 10-0224526호(1999년07월14일 등록, 출원번호 10-1997-0017176호)에서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단위부재의 상하면에 서로 엇갈린 위치에 돌설되는 수개의 상하부 수직결합돌부와, 상기 상하부 수직결합돌부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하부 수직결합 돌부들의 기어식으로 맞물리는 것을 허용하는 상하부 수직결합 요홈과, 상기 단위부재의 좌우측면 각각의 양끝단에 돌설되며 좌우면측에 인접하는 단위부재들끼리 서로 맞물릴 수 있게 하는 좌우측 수평결합 돌부와, 상기 단위부재의 좌우측면 중간부분에는 상기 좌우측 수평결합 돌부를 수용하여 수평으로 축조하는 단위부재들이 수평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좌우측 수평결합 요부로 이루어진 수중구조물의 기초 보호용 콘크리트 블록이 공지되어 있다.
또 특허 제 10-0253849호(등록일자 : 2000년 1월27일, 출원번호 10-1998- 1620)에서는, 상하에 돌기와 요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홈에 상하 관통된 부력소거공이 구비되며 사방 측면에 철근연결고리가 구비된 단위부재들을 평면적으로 나열하여 서로 접하는 측면 사이에 조립간격을 두고, 상기 조립간격 내의 철근 연결고리들을 샤클로 채워 설계된 넓이와 중량을 가지면서 샤클 채움부가 유동되는 매트 상으로 구성된 구조물의 기초 보강을 위한 블록 매트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블록은 구조물 기초 부분에 보강된 사석 및 돌망태는 체적에 비하여 중량이 가벼워 홍수 또는 집중호우시 유속에 의하여 쇄굴이 일어나 구조물이 붕괴되는 현상이 잦아, 도로, 철도, 제방, 하천 등 기간 시설물에 치명적인 훼손을 일으켜 이로 인한 물적 피해는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해안 시설물의 호안공은 다수개의 돌출부로 구성된 블록으로 중량이 무겁고 운반성이 나쁘며 시공성도 좋지 않으며, 투척에 의한 시공 후, 블록과 블록 사이의 공간이 넓어 파도 또는 밀물이나 썰물의 유속에 의하여 기초부분의 사석 유실과 쇄굴현상이 일어나 영구적인 구조물로서는 부적합하다.
해안, 하천, 교량 공사는 대부분 수중공사이며 구조물 기초부 보강공사 및 호안공 설치 시 콘크리트 타설이 어려워 가물막이를 한 후 시공되므로 시공이 어렵고 공기가 늦어지며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각 하천 용도에 맞게 적층 및 연결하며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부력수거구멍을 형성하여 수중에 시공될 때에 부력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시공성을 좋게 하고, 조립시 인접하는 블록들을 유볼트등의 체결수단으로 견고하게 결합하여 서로간의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이중 삼중의 고정 조립 구조를 제공하여 블록 상호간의 결합력이 뛰어나고, 현장 적응성이 뛰어나 시공되는 장소에 적합하게 응용/배치할 수가 있으며, 특히 어소 및 어도기능을 겸비하고 있고, 하천수의 정화 및 치수 기능을 갖추고 있어서 손실된 하천의 생태계 복원 및 보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나타내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간의 평면 조립상태 및 그 조립을 위한 체결수단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의 적층시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세굴방지공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호안 근고공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낙차공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징검다리 여울과 V자형 여울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착면 12 : 돌출체
14 : 어도용 공간부 16 : 부력 수거공
20 : 조립홈 22 : 경사면
24 : 수직면 26 : 'U'자형 고리체
28 : U볼트 30 : 철판
32 : 철판지지홀 34 : 볼트조립홀
36 : 수직절개면 38 : 모따기면
100 : 다기능 블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천 시공용 블럭은: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된 부력수거공을 갖는 평행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각 모서리와 인접되는 상면 각 모서리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체와; 상기 각 돌출체의 내측면과 상기 안착면의 사이에 오목한 공간이 되도록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어도용 공간부와; 상기 하향 경사진 각 어도용 공간부의 표면 하단 표면에 일체로 부착된 체결수단과; 저면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각 블럭이 서로 접촉되어 모여지게 되는 4개의 돌출체가 동시에 삽입 체결되는 조립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돌출체의 내측면은 상단끝에서부터 안착면의 상면 높이까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복수개의 블럭이 조립될 때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수직면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조립홈의 사방 내측면도 상기 돌출체의 각 경사면과 밀착되도록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블럭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U'자형 고리체로서, 복수개의 블럭을 조립할 때, 서로 인접하게 되는 상기 'U'자형 고리체는 U볼트로 체결된다.
또는, 상기 체결수단은 일자형의 철판으로서, 블럭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체가 되는 쪽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철판지지홀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끝단부에는 볼트조립홀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U'자형 고리체 또는 철판의 외측끝단이 블럭의 측면라인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U'자형 고리체 또는 철판이 일체로 부착되는 상기 어도용 공간부의 부착면에는 수직 절개면이 더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돌출체의 상면에서 직각을 이루는 외측 모서리는 모따기면이 형성되고, 그 직각위치에서 아래쪽 끝단까지도 모따기면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의 구성과 그 조립양태와 시공양태를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기능 블럭(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의 육면체 형상으로서, 콘크리트등으로 성형된 것이다.
상기 다기능 블럭(100)의 상부 구조는 크게 중앙부에 형성되는 안착면(10)과,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돌출체(12)와, 각 돌출체(12)와 안착면(10) 사이의 공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어도용 공간부(14)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면(10)은 블럭(10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평평한 면으로서, 그 정중앙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부력수거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체(12)는 블럭(100)의 각 모서리 위치에서 위쪽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돌출체(12)의 하단 안쪽 모서리는 상기 안착면(10)의 각 모서리와 점접촉되며 인접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출체(12)의 내측면은 그 상단끝에서부터 상기 안착면(10)의 상면 높이까지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복수개의 블럭이 조립될 때 용이하게 서로 밀착되도록 수직면(24)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각 돌출체(12)의 내측면과 상기 안착면(10)의 각 변의 사이에는 어도용 공간부(14)가 형성되는 바, 이 어도용 공간부(14)는 삼각형 체적의 오목한 공간이 되도록 안착면(10)의 각 변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럭(100)을 서로 조립하고자 할 때, 각 블럭의 돌출체(12)가 서로 접촉하면서 모여지게 되는 바, 이때 접촉되어 모여지게 되는 4개의 돌출체(12)가 동시에 삽입 체결되는 조립홈(20)이 본 고안의 블럭(100)의 저면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립홈(20)의 사방 내측면도 블럭 조립시 서로 밀착되며 모여진 4개의 돌출체(12)의 각 내측면(경사면(22))과 밀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어도용 공간부(14)의 하단 표면에는 서로 다른 각 블럭들을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한 체결수단이 일체로 성형되면서 부착된다.
일구현예로서, 첨부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은 'U'자형 고리체(26)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U'자형 고리체의 안쪽단은 블럭(100)과 일체로 성형되고, 볼록한 고리 형태의 앞단은 평행하게 돌출되어 위치된다.
이때, 상기 'U'자형 고리체(26)의 앞단이 상기 다기능 블럭(100)의 어도용 공간부(14)의 표면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즉 다기능 블럭(100)의 각 측면 라인을 넘어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어도용 공간부(14)의 표면에서 'U'자형 고리체(26)가 부착되는 면에는 수직 절개면(36)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절개면(36)내에 상기 'U'자형 고리체(36)가 위치되어 그 앞단이 돌출되지 않게 되고, 또한 체결작업의 공간이 형성되어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다른 구현예로서, 첨부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은 일자형의 직사각형 철판(30)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측단은 블럭(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체로 성형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면서 수직절개면(36)내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철판(30)의 일측단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철판지지홀(32)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타단에는 블럭간의 조립을 위한 볼트조립홀(34)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돌출체(12)의 상면에서 직각을 이루는 외측 모서리와, 이 외측모서리의 직각위치에서 그 아래쪽 끝단까지는 모따기면(38)으로 형성되어, 각 블럭을 서로 조립하고자 밀착시키면, 상하로 관통된 형태의 홀이 형성되어 하천 흐름의 정화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기능 블럭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중 삼중의 조립이 가능하고, 그 적층 양태는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복수개의 다기능 블럭(100)을 시공하고자 하는 자리면에 서로 평행하게밀착시키는 동시에 첨부한 도 3a,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의 각 체결수단('U'자형 고리체 또는 철판)을 U볼트(28) 또는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다기능 블럭(100)의 평면조립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기능 블럭(100)의 평면 조립 상태는 각 블럭의 돌출체(12)의 수직면(24)이 밀착됨에 따라, 각 블럭(100)의 돌출체(12)가 서로 모여진 상태(4개의 돌출체가 서로 밀착되며 모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능 블럭(100)을 적층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서로 밀착되며 모여진 상태의 4개 돌출체(12)에 다기능 블럭(100)을 올려놓는 동시에 그 저면 중앙에 형성된 조립홈(20)으로 4개 돌출체(12)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적층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평면조립과 적층조립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다기능 블럭의 각 시공양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세굴방지공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콘트리크 낙차보가 끝나는 위치에서부터 소정의 면적과 길이로 평면 조립을 한 상태를 나타낸다.
하천호안의 하부와 하상(河床)에 설치하여, 유속에 의한 하상세굴을 방지할 수 있고, 호안의 기초부를 보호하여 제방이 붕괴되거나 호안법면에 축조된 구조물의 기반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블럭에 형성된 돌출체(12)와 경사진 요홈 형태의 어도용 공간부(14)에 의하여 하천수의 유속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블럭의 돌출체(12)에 하천수가 부딪치며 폭기작용을 하므로, 하천수의 정화작용을도모할 수 있으며, 어도용 공간부(14)에는 유사의 침식 및 퇴적이 이루어져 수초가 자랄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므로, 어류의 산란처를 제공하는 동시에 수질 정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천에 설치되는 세굴방지공으로는 낙차공의 취입보, 첨부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는 호안 근고공, 하천 바닥다짐공등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한 시공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주위에 심한 와류현상이 발생하는 교각 기초부에 설치되는 교각 세굴 방지공으로 시공 가능하며, 그에따라 교각 기초부의 세굴을 방지할 수 있고, 돌출체에 하천수가 부딪혀 폭기작용을 하므로 하천에 산소를 공급하여 정수기능을 갖게 되고 또한 요홈 형태의 어도용 공간부는 어류들의 서식장소로 제공된다.
첨부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낙차공으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블럭을 징검다리 여울과 V자형 여울로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천정비에서 중용한 시설물의 하나는 하천의 급경사때문에 세굴되거나 하천시설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낙차를 두어 흐름을 완화시키는 낙차공과 용수수요에 따라 횡단구조물을 설치하여 하상의 안정과 세굴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낙차보라고 하는데, 기존의 시공방법은 철근등으로 골조를 형성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왔으나, 이 시공방법은 철근조립 및 거푸집 설치, 콘트리트 타설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치며, 도한 하천수의 흐름을 막기 위한 가물막이를 해야 하는등 시공이 어렵고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고 부분파손시 거의 전부분에 대한 보수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산란을 위하여 이동하는 어류들의 길목을 차단하여 어류의 생태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기능 블럭은 조립식으로, 흐르는 물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며, 대상 하천 조건에 맞는 시공이 가능하고, 첨부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낙차보 및 낙차공의 하단부까지 연결되는 다짐공 설치로 세굴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블럭에 형성된 요홈 형태의 경사진 어도용 공간부는 자연적인 어도로서 형성되어 어류의 길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블럭은 개개를 분리하여 교체 가능하므로, 하자 보수성이 좋고, 특히 서로간의 체결력이 뛰어나 자연적인 재해등으로 인한 붕괴와 파손의 위험이 전혀 없어, 견고한 시공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V자형태로 시공하여 하천수의 여울을 조성 유도함으로써, 폭기작용으로 하천수의 정화기능을 촉진시킬 수 있고, 징검다리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하천 정비가 직강화, 평탄화로 하도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기 힘들며, 이로인해 수생물의 생존이 어려운 실정에 있는 바, 본 고안의 블럭을 첨부한 도 8과 같이 시공하여, 하천의 여울을 조성함으로써, 여울 주변부 호안의 세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여울의 위/아래 하도의 양안에 와류를 형성하여 물고기의 피난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에 의하면, 각 하천 용도에 맞게 적층 및 연결하며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고, 부력수거구멍 및 분산통로를 형성하여 수중에 시공될 때에 부력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시공성이 매우 좋은 장점이 있다.
특히, 인접하는 블록들을 유볼트등을 이용하여 서로간의 연결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어서, 자연적인 재해와 같은 외부적인 충격에도 그 조립 및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블럭은 돌출체와 조립홈간의 수평방향 삽입 체결로 인하여, 이중 삼중의 고정 조립 구조를 제공하여 블록 상호간의 상하 결합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견고한 조립 및 연결상태를 갖는 본 고안의 다기능 블럭을 각 용도(세굴방지, 낙차공, 낙차보, 여울 형성등)에 맞는 하천에 설치함에 따라, 요홈 형태의 경사진 어도용 공간부는 어류의 서식처로 제공되고, 블럭의 상면의 안착면등은 어도 기능으로 제공되며, 블럭 상면의 돌출체는 폭기현상을 일으켜서 하천수의 정화 및 산소제공에 따른 치수 기능을 제공하여, 손실된 하천의 생태계 복원 및 보존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부력수거공(16)을 갖는 평행한 안착면(10)과;
    상기 안착면(10)의 각 모서리와 인접되는 상면의 각 모서리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체(12)와;
    상기 각 돌출체(12)의 내측면과 상기 안착면의 각 변 사이에 오목한 공간이 되도록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어도용 공간부(14)와;
    상기 하향 경사진 각 어도용 공간부(14)의 하단 표면에 일체로 부착된 체결수단과;
    저면 중앙부위에 형성되어, 각 블럭(100)이 서로 접촉되어 모여지게 되는 4개의 돌출체(12)가 동시에 삽입 체결되도록 한 조립홈(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12)의 내측면은 그 상단끝에서부터 안착면(10)의 상면 높이까지 경사면(22)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은 복수개의 블럭이 조립될 때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수직면(2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20)의 사방 내측면도 상기 돌출체(12)의 경사면(22)과 밀착되도록 동일 각도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U'자형 고리체(26)로서, 복수개의 블럭을 조립할 때, 서로 인접하게 되는 각 'U'자형 고리체(26)는 U볼트(28)로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일자형의 철판(30)으로서, 블럭의 내부로 삽입되어 일체가 되는 쪽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철판지지홀(32)이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끝단부에는 볼트조립홀(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이 블럭의 측면라인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수단이 일체로 부착되는 상기 어도용 공간부(14)의 하단 표면에는 수직 절개면(3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12)의 상면에서 직각을 이루는 외측 모서리는 모따기면(38)으로 형성되고, 그 직각위치에서 아래쪽 끝단까지도 모따기면(3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KR2020010032224U 2001-10-22 2001-10-22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KR200262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24U KR200262788Y1 (ko) 2001-10-22 2001-10-22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24U KR200262788Y1 (ko) 2001-10-22 2001-10-22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788Y1 true KR200262788Y1 (ko) 2002-03-18

Family

ID=7311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224U KR200262788Y1 (ko) 2001-10-22 2001-10-22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7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54B1 (ko) 2007-08-08 2007-12-10 (주)우주엔지니어링 소하천바닥 세굴방지시설
KR101338897B1 (ko) 2013-07-05 2013-12-10 이형훈 플렉서블 연결재를 이용한 블록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구조물
KR101598369B1 (ko) * 2015-06-01 2016-03-02 주식회사 넥스코 인공어초
CN110835972A (zh) * 2019-12-16 2020-02-25 董辉 一种装配式高精度多功能组合空心模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54B1 (ko) 2007-08-08 2007-12-10 (주)우주엔지니어링 소하천바닥 세굴방지시설
KR101338897B1 (ko) 2013-07-05 2013-12-10 이형훈 플렉서블 연결재를 이용한 블록체 및 이를 이용한 블록구조물
KR101598369B1 (ko) * 2015-06-01 2016-03-02 주식회사 넥스코 인공어초
CN110835972A (zh) * 2019-12-16 2020-02-25 董辉 一种装配式高精度多功能组合空心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736A (en) Seawalls and shoreline reinforcement systems
US9644334B2 (en) Methods of and systems for controlling water flow, breaking water waves and reducing surface erosion along rivers, streams, waterways and coastal regions
KR200262788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 블럭
KR200247955Y1 (ko) 토목공사용 다기능 블록
KR101160882B1 (ko) 환경친화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법면 시공방법
KR200268968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KR100828222B1 (ko)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100671791B1 (ko) 친환경적 하상 옹벽 블록
JP4226150B2 (ja) 土木構造物用三角柱枠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WO1996017133A1 (fr) Structure de renforcement de sol
KR100282982B1 (ko) 소파블럭을 이용한 호안축조공법
KR20010070795A (ko) 토목공사용 다기능 블록
KR100645322B1 (ko) 하천 호안 생태보호 시설물
KR20100138705A (ko) 호안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KR200413124Y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20120005503U (ko) 세굴방지 블록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KR101114521B1 (ko) 호안 보호 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200318174Y1 (ko) 하천용 다기능 블록
KR200263821Y1 (ko) 하천 시공용 다기능블록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20200025639A (ko) 토목공사용 다기능 블록
KR100788950B1 (ko) 수중 구조물 세굴(洗掘) 방지용 헥사포드
KR100645315B1 (ko) 하천 제방블록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