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203B1 -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203B1
KR101378203B1 KR1020140003236A KR20140003236A KR101378203B1 KR 101378203 B1 KR101378203 B1 KR 101378203B1 KR 1020140003236 A KR1020140003236 A KR 1020140003236A KR 20140003236 A KR20140003236 A KR 20140003236A KR 101378203 B1 KR101378203 B1 KR 101378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nit block
fixture
bottom plate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문
Original Assignee
김석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문 filed Critical 김석문
Priority to KR102014000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203B1/ko
Priority to JP2014262771A priority patent/JP5957068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고 소파성능이 우수한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해저에 설치되며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와,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바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둘레에서 복수의 기둥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상측을 덮도록 둘레가 측면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과 바닥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가 바닥플레이트 상에 배열 및 적층되는 단위블록과,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위블록의 상부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의 격자 사이의 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바닥플레이트의 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단위블록의 수평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Breakwate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시공이 용이하고 소파성능이 우수한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 구조물은 항만 또는 어항의 근방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에너지로부터 항 내의 선반 기타 시설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방파제 구조물은 해안선의 길이, 파고, 지반의 특성 등 여러 요소가 고려되어 설계되며, 파도에 대한 소파기능 및 경제성의 측면을 골고루 만족시킬 수 있는 방식이 적절히 선택되어 시공된다.
일반적으로 방파제 구조물은 어느 정도 파도를 막을 수 있는 높이로 설치되어 방파제가 설치되는 구간의 내해와 외해를 차단시킴으로써 내해를 보호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내해에 바닷물을 가두어 높은 형태가 되기 때문에 바닷물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내해 쪽의 바닷물이 오염되며, 각종 오물이 쌓이고, 심한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내해 쪽 갯벌이나 해저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방파제 구조물에 부딪힌 바닷물에 반발력이 발생되고, 뒤에 연이어 들이닥치는 바닷물이 합해져서 더욱 큰 에너지로 방파제 구조물을 때리게 되어 그 결과 파고가 점점 높아져 방파제를 넘어 내해로 들어가 피해를 주는 경우도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닷물이 유통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구조의 방파제가 제안되었는데,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770238호에 따른 '방파제 구축용 단위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위블록'을 이용한 방파제 구조물은 해수 유통이 가능하면서도 우수한 소파성능을 보여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물속에서 단위블록의 돌기와 홈을 서로 맞추며 적층시켜야 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결합시키기가 힘든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단위블록을 적층, 결합하는 와중에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외해로부터의 파랑에너지가 높은 경우에 블록 전체의 크기에 비하여 돌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양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파성능이 우수하고 시공이 용이한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에 설치되며,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와,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둘레에서 복수의 기둥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측을 덮도록 둘레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가 상기 바닥플레이트 상에 배열 및 적층되는 단위블록과,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블록의 상부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의 격자 사이의 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의 수평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체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단위블록의 바닥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은 각각 원기둥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요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단위블록의 최상층을 덮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체는 상단이 상기 단위블록의 최상층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하면에 상기 고정체의 상단이 부착된 형태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저에 설치되며,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와,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둘레에서 복수의 기둥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측을 덮도록 둘레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가 상기 바닥플레이트 상에 안착 배열되는 제1단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단위블록의 바닥프레임의 격자 사이의 홀에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돌출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단위블록의 수평 유동이 제한되는 방파제 구조물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방파제 구조물은 상기 제1단위블록의 상측에 다층으로 적층되는 제2단위블록과,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단위블록의 상부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의 격자 사이의 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돌출부와 고정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의 수평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해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항 내의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수직, 수평방향으로의 곡면 형태가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파도의 방향 전환 및 마찰에너지의 생성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상하로 고정체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의하면, 고정체의 직경, 수량 및 고정체 간의 거리 조절이 쉽기 때문에 최적 방파제의 설계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파제 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방파제 구조물의 단위블록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방파제 구조물의 고정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방파제 구조물의 단위블록에 고정체가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방파제 구조물의 설치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바닥플레이트(100), 단위블록(200), 고정체(300)을 포함하며, 커버플레이트(400), 기초블록(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플레이트(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에 설치되며, 방파제 구조물의 기초를 이룬다. 바닥플레이트(100)는 상면에 다수의 홈(110)이 형성되는데, 홈(110)은 서로 소장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며, 홈(110)에는 고정체(300)의 하단이 삽입 고정된다.
바닥플레이트(100)는 해저의 바닥면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해저의 바닥면의 지형이 불안정한 경우에는 수평 설치를 위하여 별도의 기초블록(5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플레이트(100) 및 기초블록(500)은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단위블록(200)은 바닥플레이트(100)의 상측에 복수가 적층, 배열되며, 방파제 구조물의 몸체를 이룬다. 단위블록(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내부로 해수가 통과할 수 있도록 격자 형태의 구성과 내부의 공간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를 갖는다. 단위블록(200)은 복수가 적층, 배열되고, 서로 적층된 단위블록(200)은 고정체(30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단위블록(200)은 서로 일렬로 배열되며 적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그재그로 배열되며 적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위블록(200)은 바닥프레임(210), 측면프레임(220), 상부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지는데, 바닥프레임(210) 단위블록(200)의 바닥면을 이루며 복수의 원기둥이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측면프레임(220)은 바닥프레임(210)의 둘레에 형성되는데, 바닥프레임(210)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바닥프레임(210)과 동일하게 원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상부프레임(230)은 바닥프레임(210)과 동일한 형태로 복수의 원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며, 바닥프레임(210)의 상측 즉, 측면프레임(220)에 의해 형성되는 단위블록(200)의 내부 공간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의 상방을 덮도록 형성된다.
단위블록(200)의 상부프레임(230) 및 바닥프레임(210)의 격자 사이의 홀(도면부호 표시되지 않음)에는 고정체(300)가 관통되며, 따라서 각각의 단위블록(200)은 고정체(300)에 의해 측면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수평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단위블록(200)이 몸체를 이루고, 단위블록(200)은 복수의 원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며 구성되어 내부의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단위블록(200)의 공간부를 통해 해수가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고, 원기둥이 수평, 수직으로 그물망처럼 서로 연결되어 있어 3차원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유동하는 파도의 에너지를 사방으로 바꿈으로써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 수직방향으로 곡면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파도의 방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킴과 동시에 마찰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단위블록(200)이 고정체(300)에 의해 수평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방파제 구조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체(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플레이트(100)의 홈(110)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체(30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되 외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다수의 요홈(3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다수의 요홈(310)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형성될 수 있는데, 고정체(300)의 수직홈(310)의 단면은 반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에너지는 수직홈(310)에 의해 용이하게 방향전환이 됨과 동시에 에너지가 감쇠될 수 있다.
고정체(300)은 단위블록(200)의 내부를 관통하는데, 단위블록(200)이 복수가 적층된 경우에 각각의 단위블록(200)의 상부프레임(230)의 격자 사이의 홀을 관통하여 바닥프레임(210)의 격자 사이로 통과함으로써 복수의 단위블록(200)을 고정시킨다. 이때,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 설계값이 변경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설계값에 따라 고정체(300)의 직경, 수량 및 고정체(300) 간의 거리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고 및 파력이 낮은 장소에서는 고정체(300)의 직경을 작게 하거나 고정체(300) 간의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유통되는 해수의 양을 늘림과 동시에 공극율을 높이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파고와 파력이 높은 장소에서는 고정체(300)을 좀 더 촘촘하게 설치함으로써 파랑에너지의 감쇠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정체(300)은 하나의 긴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의 짧은 기둥이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고정체(300)은 단위블록(200)을 관통하여 측면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방파제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세로 방향의 원기둥 형태의 고정체(300)에 의해 상하 방향의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형태의 구조가 생성되어 방파제의 체적 공간을 이용하여 파도의 에너지를 감쇠시킴으로써 파랑에너지의 감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체(300)의 크기 및 수량 등의 변경이 용이하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따른 설계 변경이 용이하며, 단위블록(200)의 사이로 고정체(300)을 관통시키는 단순한 작업으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방파제 구조물의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다.
커버플레이트(400)는 단위블록(200)의 상방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때, 커버플레이트(400)는 단위블록(200)의 최상층의 상부에서 자체 중량으로 단순히 안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서 커버플레이트(400)의 하측에 복수의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고정체(300)의 상부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고정체(300)를 최상단의 단위블록(200)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단위블록(200)의 최상층의 상측에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고정체(300)의 상단이 부착된 커버플레이트(400)의 하면에 부착된 형태로 성형될 수도 있다.
기초블록(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플레이트(100)의 설치시 해저의 바닥면이 불안정한 경우에 설치되는 부재로서, 해저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면에 바닥플레이트(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평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초블록(500)의 하측에는 해저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는 돌출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바닥플레이트(100), 단위블록(200), 고정체(300) 및 커버플레이트(400)를 각각 성형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바닥플레이트(100)를 해저에 설치하는 단계와, 바닥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다수의 단위블록(200)을 안착 배열하고 다층으로 적층하는 단계와, 적층된 단위블록(200)의 격자 사이의 홀에 상기 고정체(300)을 끼운 다음 상기 고정체(300)의 하단을 바닥플레이트(100)의 홈(110)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계와, 커버플레이트(400)를 고정체(300)의 상단에 안착 결합시켜 단위블록(200)의 최상층을 덮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 우선 바닥플레이트(100), 단위블록(200), 고정체(300) 및 커버플레이트(400)를 각각 성형하여 현장으로 운반한다. 다음으로, 해저의 바닥면에 시공을 위한 기초블록(500)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과정은 해저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기초블록(500) 또는 해저의 상면에 바닥플레이트(100)를 안착시킨다. 이러한 바닥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복수의 홈(110)이 형성되며, 홈(110)에는 복수의 고정체(300)이 수직한 방향으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바닥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복수의 단위블록(200)이 일렬 또는 지그재그로 배열되며 적층된다. 이때, 단위블록(200)은 설계 높이에 따라 여러 층으로 적층되며 설치된다.
다음으로, 복수의 고정체(300)이 적층된 단위블록(20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고정체(300)의 하단은 바닥플레이트(100)의 홈(110)에 삽입 고정된다.
다음으로, 적층된 단위블록(200)의 최상단에 커버플레이트(300)를 안착 결합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되며, 이로써 방파제 구조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시공방법의 다른 예로써 커버플레이트(400)를 고정체(300)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커버플레이트(400)를 성형하여 운반하지 않고 시공 과정 중에 커버플레이트(400)를 성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단계 중에서 적층된 단위블록(200)의 최상단에 커버플레이트(300)를 안착 결합시키는 단계가 삭제되며, 그에 대신하여 고정체(300)의 상측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하여 고정체(300)의 상단이 하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커버플레이트(400)를 성형함으로써 단위블록(300)의 최상층을 덮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은 바닥플레이트(100), 제1단위블록(200')을 포함하며, 제2단위블록(200"), 고정체(300), 커버플레이트(400), 기초블록(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닥플레이트(100), 제1단위블록(200'), 제2단위블록(200"), 고정체(300), 커버플레이트(400), 기초블록(5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바닥플레이트(100), 단위블록(200), 고정체(300), 커버플레이트(400), 기초블록(500)과 기술적 특징이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나는 부분에 관하여만 설명한다.
바닥플레이트(100)는 해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방파제 구조물의 기초가 된다. 바닥플레이트(100)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120)가 형성되며, 돌출부(120)는 제1단위블록(200')의 바닥프레임(210)의 격자 사이의 홀에 끼워진다.
제1단위블록(2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위블록(200)과 동일하며 다만, 바닥플레이트(100)의 상측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지 않고 하나의 층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바닥프레임(210)에 바닥플레이트(100)의 돌출부(120)가 끼워짐으로써 수평 유동이 제한된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제2단위블록(2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단위블록(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제1단위블록(200')의 상측에 배열, 적층되는 단위블록(200)을 제2단위블록(200")으로 명명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의 시공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다만, 제1단위블록(200')이 하나의 층으로 적층되고, 이때 제1단위블록(200')에 바닥플레이트(100)의 돌출부(120)가 끼워지도록 한다는 점이 차이가 있다. 또한, 제1단위블록(200')의 상방에 배열, 적층되는 단위블록(200)을 제2단위블록(200")으로 명명한다는 차이와, 고정체(300)가 바닥플레이트(100)의 돌출부(120)와 고정된다는 차이가 있을 뿐이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이 파고가 낮은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2단위블록(200")과 커버플레이트(400) 없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해수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아 항 내의 환경오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수직, 수평방향으로의 곡면 형태가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파도의 방향 전환 및 마찰에너지의 생성이 유리한 방파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하로 고정체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하며, 고정체의 직경, 수량 및 고정체 간의 거리 조절이 용이하고 고정체의 밀도 조절이 용이한 방파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바닥플레이트
200 : 단위블록
300 : 고정체
400 : 커버플레이트
500 : 기초블록

Claims (10)

  1. 해저에 설치되며,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둘레에서 복수의 기둥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측을 덮도록 둘레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가 상기 바닥플레이트 상에 배열 및 적층되는 단위블록;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블록의 상부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의 격자 사이의 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홈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의 수평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체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바닥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은 각각 원기둥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요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최상층을 덮는 커버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단이 상기 단위블록의 최상층 상부로 노출되어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레이트는 하면에 상기 고정체의 상단이 부착된 형태로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구조물.
  7. 청구항 5의 바닥플레이트, 단위블록, 고정체 및 커버플레이트를 각각 성형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바닥플레이트를 해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단위블록을 안착 배열하고 다층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단위블록의 격자 사이의 홀에 상기 고정체를 끼운 다음 상기 고정체의 하단을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홈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를 상기 고정체의 상단에 안착 결합시켜 상기 단위블록의 최상층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시공방법.
  8. 청구항 6의 바닥플레이트, 단위블록 및 고정체를 각각 성형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단계;
    상기 바닥플레이트를 해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상면에 다수의 단위블록을 안착 배열하고 다층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단위블록의 격자 사이의 홀에 상기 고정체의 하단을 끼운 다음 상기 고정체의 하단을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홈에 끼워서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위블록의 최상층의 상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하여 하면에 상기 고정체의 상단이 부착된 형태로 커버플레이트를 성형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의 최상층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시공방법.
  9. 해저에 설치되며, 상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바닥플레이트;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둘레에서 복수의 기둥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측면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측을 덮도록 둘레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기둥이 격자 형태를 이루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 측면프레임 및 상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가지며, 다수가 상기 바닥플레이트 상에 안착 배열되는 제1단위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단위블록의 바닥프레임의 격자 사이의 홀에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돌출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단위블록의 수평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단위블록의 상측에 다층으로 적층되는 제2단위블록과,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단위블록의 상부프레임 및 바닥프레임의 격자 사이의 홀을 관통하여 하단이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돌출부와 고정됨으로써 상기 단위블록의 수평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수의 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10. 삭제
KR1020140003236A 2014-01-10 2014-01-10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378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36A KR101378203B1 (ko) 2014-01-10 2014-01-10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14262771A JP5957068B2 (ja) 2014-01-10 2014-12-25 防波堤構造物及びその施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236A KR101378203B1 (ko) 2014-01-10 2014-01-10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203B1 true KR101378203B1 (ko) 2014-03-26

Family

ID=50649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236A KR101378203B1 (ko) 2014-01-10 2014-01-10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57068B2 (ko)
KR (1) KR1013782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19B1 (ko) * 2014-03-17 2014-12-22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JP2016079804A (ja) * 2014-10-16 2016-05-16 ソク−ムン,キム 海上灯台構造物
KR102005502B1 (ko) * 2019-03-29 2019-07-30 에스비비 주식회사 친환경 폴리우레탄 복합소재를 이용한 다공성 수중방파제의 제작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다공성 수중방파제의 시공 방법
KR102176648B1 (ko) 2020-03-24 2020-11-09 김석문 모듈결합형 방파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2681A (zh) * 2021-11-26 2022-03-15 中交第四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板桩重力结合式防波堤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97B1 (ko) * 2005-01-13 2007-07-30 최재철 방파제 구축용 단위블럭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KR101132861B1 (ko) * 2011-06-20 2012-04-03 김수진 방파제 블록
KR101110188B1 (ko) 2010-02-08 2012-04-05 알라스건설(주) 파력감쇄용 블록
KR101169689B1 (ko) 2011-10-04 2012-08-06 김석문 방파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8610A (ja) * 1988-06-20 1989-12-25 Kazuma Itoi 構築用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構造体
JPH0745616Y2 (ja) * 1992-04-28 1995-10-18 日建工学株式会社 根固ブロック
JP4181273B2 (ja) * 1999-06-01 2008-11-12 千葉窯業株式会社 消波施設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0352080A (ja) * 1999-06-11 2000-12-19 Shinichiro Hayashi ユニット部材
KR100627672B1 (ko) * 2003-03-14 2006-09-27 이호열 호안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97B1 (ko) * 2005-01-13 2007-07-30 최재철 방파제 구축용 단위블럭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KR101110188B1 (ko) 2010-02-08 2012-04-05 알라스건설(주) 파력감쇄용 블록
KR101132861B1 (ko) * 2011-06-20 2012-04-03 김수진 방파제 블록
KR101169689B1 (ko) 2011-10-04 2012-08-06 김석문 방파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319B1 (ko) * 2014-03-17 2014-12-22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JP2016079804A (ja) * 2014-10-16 2016-05-16 ソク−ムン,キム 海上灯台構造物
KR102005502B1 (ko) * 2019-03-29 2019-07-30 에스비비 주식회사 친환경 폴리우레탄 복합소재를 이용한 다공성 수중방파제의 제작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된 다공성 수중방파제의 시공 방법
KR102176648B1 (ko) 2020-03-24 2020-11-09 김석문 모듈결합형 방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32156A (ja) 2015-07-23
JP5957068B2 (ja)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203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856248B2 (ja) 防波堤構造物
KR101073750B1 (ko) 방파제의 단위 유닛 및 방파제 구조물과 그 설치 방법
KR101379040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255961B1 (ko) 케이슨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338834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콘크리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과 해안구조물
CN212103878U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防波堤结构
KR101168833B1 (ko) 케이슨 방파제, 그 케이슨 방파제 구축용 케이슨유닛, 및 그 케이슨 방파제의 제조방법
KR20120012726A (ko) 마찰력을 증대시킨 케이슨 제조방법 및 그 케이슨
JP5322068B1 (ja) 潜堤の構築方法
JP2019203314A (ja) サクション基礎構造体
KR102408973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82410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KR20180006679A (ko) 방파제 구조물
KR100481970B1 (ko) 폐흄관을 이용한 하천제방 보호공 설치구조
KR101475319B1 (ko) 방파제 구조물
KR101198407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방파제 구조물용 단위구조체
KR102153322B1 (ko) 컴파운드블록 및 그의 시공공법
KR20060118938A (ko) 적층 조립식 방파제
JP5620850B2 (ja) 雨水等貯留浸透設備
KR101413652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갖는 방파제 구조물
KR100576181B1 (ko) 생태계 보호를 위한 하천용 제방블록
KR102431884B1 (ko)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239894B1 (ko) 컴파운드블록
KR100770238B1 (ko) 방파제 구축용 단위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