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0188B1 - 파력감쇄용 블록 - Google Patents

파력감쇄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0188B1
KR101110188B1 KR1020100011323A KR20100011323A KR101110188B1 KR 101110188 B1 KR101110188 B1 KR 101110188B1 KR 1020100011323 A KR1020100011323 A KR 1020100011323A KR 20100011323 A KR20100011323 A KR 20100011323A KR 101110188 B1 KR101110188 B1 KR 101110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waves
protrusions
energ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949A (ko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알라스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라스건설(주) filed Critical 알라스건설(주)
Priority to KR1020100011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01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력감쇄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은,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이상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표면 길이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 전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에 마련되는 기둥과는 교호 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 이상의 기둥과;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와의 사이에 마련한 복수 개 이상의 요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해양에서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가 일정한 길이로 길게 설치된 블록의 기둥에 형성된 요철홈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하여 기둥의 뒷부분에서 모임으로써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와류발생으로 인해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일정부분이 감소하며, 일정부분의 에너지가 감소 된 해류가 원형을 갖는 다수의 기둥을 통과하면서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더욱 감소되어 해안에 닿았을 때 약해진 파랑에너지가 해변의 부분 침식 및 퇴적을 최소화하여 해안선을 원형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요입부에 사석을 채움으로써 수중에 위치하는 블록의 자중을 증가시켜 블록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점과 아울러 고기가 산란하고, 미역, 다시마, 어패류 등이 자생할 수 있는 인공어초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이에 따른 어민들의 소득증대에 따른 생활의 터전이 될 수 있고, 또한 기둥의 상부에 수중 등을 설치하고 해변에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해안의 야간 조명으로 활용하여 해수욕장의 관광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력감쇄용 블록{BLOCK FOR WAVE POWER DIMINUTION}
본 발명은 해변과 가까운 수중에 설치되어 잠제 또는 이안제와 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파도 및 파랑의 파력을 감쇄시키는 파력감쇄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으로부터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를 순차적으로 감소시켜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로 인한 해변의 부분 침식 및 퇴적을 최소화하여 해안선을 원형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파력감쇄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제란 해양으로부터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구조물의 상부면이 수면 아래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구조물을 의미하며, 이안제란 해양으로부터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구조물의 상부면이 수면에서 일정 높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잠제와 이안제 모두 파력감쇄용 구조물 또는 블록으로 명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블록은 파도 및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켜 해변의 부분 침식 및 퇴적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해수욕장 및 해안구조물 주변의 백사장은 월파로 인한 백사장 유실과 아울러 월파로 인한 주민 피해 및 관광자원의 감소로 인한 사회 경제적인 문제가 크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변에서 일정한 거리를 둔 수중에 잠제 또는 이안제의 설치를 증가시키고 있다.
종래의 파력감쇄용 구조물 또는 블록은 다양하게 제안된바 있다.
도 1 은 종래 잠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이안제를 보인 예시도 이며, 도 3 및 도 4는 잠제 및 이안제를 설치한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는 잠제(1) 및 이안제(2)는, 해안에서 일정거리가 떨어진 해저 하부(수심 7~10m)에 콘크리트 또는 TTP(Tetrapot) 사석 등을 폭 20~40m 정도로 적층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축조한 구성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물은 해양에서 들어오는 파도의 에너지를 일부 줄임으로써 해변에 도달하는 에너지가 감소된 상태에서 해안의 모래이동(세굴)을 최소화 함으로서 해안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잠제, 이안제와 같은 구조물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해양에서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를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는 하나, 파랑의 주기 및 폭을 감안하여 20~40m 정도 넓게 설치하여야 효과가 발휘되고 구조물의 설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데 비하여 경제성 있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며, 잠제와 잠제 사이에 발생하는 이안류와 같은 2차적인 해류의 변화로 해안의 모래이동을 발생시키고, 해안을 침식시켜 해수욕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0-27920호 " 폐타이어와 콘크리트파일을 이용한 회전방파시설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폐타이어와 콘크리트파일을 이용한 회전방파시설장치는, 수심이 비교적 얕은 연안해역의 양식장이나 선박보호시설 또는 해수욕장의 모래 침식 방지기능 등 각종 파도(波濤)나 파랑(波浪)의 제어 및 이를 감소시켜주는 방파장치에 관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연안해역의 해저면에 다수의 콘크리트파일을 지그재그형 또는 군집형 등으로 타삽하여 띠(帶) 상으로 방파 파일을 구성하고, 각 콘크리트파일에는 다수개의 폐타이어를 수평으로 적층 조립하되, 각 폐타이어 상간에는 스크류형 파력완충회전날개판을 일정간격으로 배열, 조립하여 파력에 의하여 파력 완충 회전날개판이 회전하면서 해수의 유통을 원활히 하는 방파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에는 각 폐타이어의 적층 상간에 스크류형 파력완충회전날개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운 구성을 취하고 있고, 따라서 파력완충회전날개판은 상 하부면이 폐타이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해수의 흐름에 의해 파력완충회전날개판의 회전이 용이치 못하고 따라서 파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없어 방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파일이 개체로서 지그재그형 또는 군집형 등으로 타삽되어 띠(帶) 상으로 방파 파일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파일의 지름이 크지 않으면 파력에 의해 짧은 시간 안에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파일에 다수 적층된 폐타이어의 내측 공간에 물이 들어가 부력을 발생시키므로 콘크리트파일이 흔들리고, 따라서 파력에 의해 회전방파시설장치가 파손되어 많은 량의 폐타이어가 유실된다면 폐타이어의 유해성분으로 인해 인근 해안의 해양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폐타이어의 유해성을 자세히 분석해놓은 ‘Hazardous Waste and Tire Incineration in the U.S. and Mexican Cement Industries: Environmental and Health Problems(미국과 멕시코 시멘트 산업의 유해 폐기물과 타이어 소각:환경과 건강상의 문제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해양에서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가 일정한 길이로 길게 설치된 블록의 기둥에 형성된 요철홈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하여 기둥의 뒷부분에서 모임으로써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와류발생으로 인해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일정부분이 감소하며, 일정부분의 에너지가 감소 된 해류가 원형을 갖는 다수의 기둥을 통과하면서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더욱 감소되어 해안에 닿았을 때 해변의 부분 침식 및 퇴적을 최소화하여 해안선을 원형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파력감쇄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요입부에 사석을 채움으로써 수중에 위치하는 블록의 자중을 증가시켜 블록의 유동을 방지하고 아울러 고기가 산란할 수 있는 인공어초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둥의 상부에 수중 등을 설치하고 해변에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해안의 야간 조명으로 활용하여 해수욕장의 관광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파력감쇄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이상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표면 길이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 전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에 마련되는 기둥과는 교호 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 이상의 기둥과;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와의 사이에 마련한 복수 개 이상의 요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쇄용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 각각에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과 상호 접촉되는 베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면과 요입면으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철홈의 단면 형상은 원형(⊂), 각형 (ㄷ), 에스형(S), 쇄기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인접한 돌출부의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1 경사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원호로 이루어진 파력감쇄부와; 상기 파력감쇄부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제 2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른 내부에 형성한 전선삽입공 및 상기 전선삽입공의 입구에 설치된 수중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에서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가 일정한 길이로 길게 설치된 블록의 기둥에 형성된 요철홈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하여 기둥의 뒷부분에서 모임으로써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와류발생으로 인해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일정부분이 감소하며, 일정부분의 에너지가 감소 된 해류가 원형을 갖는 다수의 기둥을 통과하면서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더욱 감소되어 해안에 닿았을 때 약해진 파랑에너지가 해변의 부분 침식 및 퇴적을 최소화하여 해안선을 원형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과 기둥 사이에 형성된 요입부에 사석을 채움으로써 수중에 위치하는 블록의 자중을 증가시켜 블록의 유동을 방지하는 이점과 아울러 고기가 산란하고, 미역, 다시마, 어패류 등이 자생할 수 있는 인공어초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이에 따른 어민들의 소득증대에 따른 생활의 터전이 될 수 있고, 또한 기둥의 상부에 수중 등을 설치하고 해변에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해안의 야간 조명으로 활용하여 해수욕장의 관광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잠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이안제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종래 잠제 또는 이안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5 4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을 상호 연결시킨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에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가 통과하면서 와류를 일으키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1 실시예 및 2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 감쇄용 블록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에 따른 파력 감쇄용 블록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A-A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력 감쇄용 블록(10)은, 해저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로부터 상측을 향하여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돌출부(20)(21)(22)(23)를 복수 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있는데, 여기서 돌출부(20)(21)(22)(23)의 개수는 굳이 제안할 필요가 없으며, 현장에서 직접 타설한다면 그 개수가 많아도 무방하나, 파력 감쇄용 블록(10)을 현장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타설한 후 이동 설치한다면 이동의 편리한 정도의 파력 감쇄용 블록(10) 전체 무게에 따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20)(21)(22)(23)의 표면 길이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측을 향하여는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 전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철홈(35)이 형성된 기둥(30)(31)(32)(33)을 설치하고 있는데, 돌출부(20)(21)(22)(23)에서 형성된 기둥(30)(31)(32)(33)은 상호 교호 되도록 복수 개 이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도 기둥(30)(31)(32)(33)의 개수는 굳이 제안할 필요가 없으며, 현장에서 직접 타설한다면 그 개수가 많아도 무방하나, 파력 감쇄용 블록(10)을 현장이 아닌 다른 장소에서 타설한 후 이동 설치한다면 이동의 편리한 정도의 파력 감쇄용 블록(10) 전체 무게에 따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요철홈(35)의 단면 형상은 원형(⊂), 각형 (ㄷ), 에스자형(S), 쇄기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해양으로부터 밀려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가 요철홈(35)을 따라 회전이 원활하며 기둥(30)(31)(32)(33)에 형성된 각 요철홈(35)은 작은 원이 형성되고 각 요철홈(35) 사이의 기둥 외주면(36)은 큰 원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들을 통과한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기둥의 후면에서 충돌 와류를 일으켜 다수의 기둥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각 돌출부(20)(21)(22)(23) 사이 즉 어느 하나의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 사이에는 요입부(40)(41)(42)를 형성하고 있는데, 여기서 요입부에는 사석(100)을 채움으로써 수중에 위치하는 파력 감쇄용 블록(10)에 자중을 증가시켜 파력에 의한 파력 감쇄용 블록(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고기가 산란할 수 있는 인공어초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 감쇄용 블록을 상호 연결시킨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1)의 양 측면 각각에는 베이스(11)의 양 측면과 상호 접촉되는 베이스(12)(13)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면(25)과 요입면(26)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7)를 형성하여 하나의 베이스(11) 양 측면에 다른 베이스(12)(13)를 연결함으로써 일정한 길이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파력감쇄용 블록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11)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인접한 돌출부(20)의 제 1 경사면(51)과 제 1 경사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원호(52)로 이루어진 파력감쇄부(50)를 형성하고 있으며, 파력감쇄부(50)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제 2 경사면(5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파력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1 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의 단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둥(30)(31)(32)(33)의 길이방향을 따른 내부에 전선삽입공(37)을 각각 형성하고 전선삽입공의 입구에 수중 등(60)을 설치하여 해변에서 전선(61)을 통해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해안의 야간 조명으로 활용하여 해수욕장의 관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에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가 통과하면서 와류를 일으키는 것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력감쇄용 블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본원리는 해양에서 들어오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가 다수의 기둥(30)을 통과하면서 기둥의 원형의 요철홈(35)과 기둥의 외주면(36)을 따라 원형으로 회전하게 되고, 기둥(30)의 뒷부분에 모여 서로 충돌함으로써 와류가 발생하게 되며, 와류 발생으로 들어온 파랑의 에너지가 일정부분 감소한다. 이어서 기둥(31)(32)(3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기둥(31)(32)(33)의 많은 개수의 요철홈(35)과 기둥의 외주면(36)을 통과하면서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획기적으로 감소하여 해안에 닿았을 때는 약해진 파랑 에너지가 해안의 모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잠제 및 이안제와 같이 일정거리를 확보할 필요 없어 주열식으로 설치하여 해류의 이동을 왜곡함이 없이 파랑의 에너지만 감소시킴으로써 해안선의 유지가 가능하고 해변 침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둥(30)(31)(32)(33)의 단면 형상을 요철홈(35)과 외주면(36)을 포함하는 요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기둥에서 작은 지름을 갖는 요철홈(35)과 큰 지름을 갖는 외주면(36)을 통과하는 해류의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끝 부분에서 와류 효과를 더 크게 하게 된다. 즉, 작은 지름을 갖는 요철홈(35)과 큰 지름을 갖는 외주면(36)에 접촉 안내되는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의 회전반경이 상이하므로 회전에 의한 충돌로 인한 에너지 상쇄(파도에 내재 되어 있는 모래는 물보다 비중이 커 바닥에 떨어지는 원리)또한 기둥(30)(31)(32)(33)을 지지하는 베이스(10)에 제 1 경사면(51)과 제 1 경사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원호(52)로 이루어진 파력감쇄부(50)를 형성하고, 파력감쇄부(50)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제 2 경사면(53)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파력을 감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구조물 하부의 세굴 및 침식을 방지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철홈(35)의 단면 형상은 원형(⊂), 각형(ㄷ), 에스자형(S), 쇄기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상의 형상에 구애 받지 않고 기둥의 외주면(36)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요입된 형상이면 가능하다.
한편, 각 기둥(30)(31)(32)(33)들 사이에 요입부(40)(41)(42)를 형성함으로써 이들에 사석(100)을 채움으로써 파력감쇄용 블록(10)의 자중의 증가을 꾀하여 수중에서 파력에 의해 유동 또는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요입부(40)(41)(42)에 사석(100)을 채움으로써 인공어초(산란)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기둥(30)(31)(32)(33)의 길이방향을 따른 내부에 전선삽입공(37)을 각각 형성하고 전선삽입공의 입구에 수중 등(60)을 설치하여 해변에서 전선(61)을 통해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해안의 야간 조명으로 활용하여 해수욕장의 관광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잠제 또는 이안제와 같이 폐쇄형 콘크리트 방파제의 단점으로 지적되어온 모래의 이상 침식.퇴적을 방지하여 해수의 이동은 자유롭고 파도 및 파랑의 에너지는 감소시켜 방파제의 기본 목적에 부합하며 모래의 침식을 방지하는 대체공법으로 활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 잠제 및 이안제의 단점인 넓은 폭(약20~40m)에 이르는 구조물 대신에 복수 개 열 내지는 다수 열의 기둥(30)(31)(32)(33)을 설치함으로써 파력감쇄용 블록(10)의 폭을 줄여서 공기 및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기존 잠제 및 이안제의 단점인 부분침식 및 퇴적을 최소화하여 이안류의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해수욕장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둥(30)(31)(32)(33)이 원형 단면이므로 해안에 직각 방향으로 진행하는 파랑이나 해류와 직각방향이 아닌 해류의 흐름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방사제 및 방파제의 대체 시설로 활용 가능하고, 기둥(30)(31)(32)(33)이 설치됨으로 인하여 모래 포집이 가능하다.
10 : 블록 11~13 : 베이스
20~23 : 돌출부 25 : 돌출면
26 : 요입면 30~33 : 기둥
35 : 요철홈 36 : 외주면
37 : 전선삽입공 40~42 : 요입부
50 : 파력감쇄부 51 : 제 1 경사면 52 : 원호 53 : 제 2 경사면
60 : 수중 등 61 : 전선

Claims (5)

  1. 지면에 접촉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이상 돌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표면 길이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측을 향하여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른 외주 전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철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에 마련되는 기둥과는 교호 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 이상의 기둥과;
    상기 돌출부와 인접한 돌출부와의 사이에 마련한 복수 개 이상의 요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쇄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 각각에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과 상호 접촉되는 베이스와의 연결을 위한 돌출면과 요입면으로 이루어진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쇄용 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홈의 단면 형상은 원형(⊂), 각형 (ㄷ), 에스자형(S), 쇄기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쇄용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전면 및 후면 각각에는 인접한 돌출부의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1 경사면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원호로 이루어진 파력감쇄부와;
    상기 파력감쇄부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제 2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쇄용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른 내부에 형성한 전선삽입공 및 상기 전선삽입공의 입구에 설치된 수중 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 감쇄용 블록.


KR1020100011323A 2010-02-08 2010-02-08 파력감쇄용 블록 KR101110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23A KR101110188B1 (ko) 2010-02-08 2010-02-08 파력감쇄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1323A KR101110188B1 (ko) 2010-02-08 2010-02-08 파력감쇄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49A KR20110091949A (ko) 2011-08-17
KR101110188B1 true KR101110188B1 (ko) 2012-04-05

Family

ID=4492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323A KR101110188B1 (ko) 2010-02-08 2010-02-08 파력감쇄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01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203B1 (ko) 2014-01-10 2014-03-26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82103A (ko) 2021-12-01 2023-06-08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WO2023209410A1 (en) * 2022-04-29 2023-11-02 Totalenergies Onetech Preventing or reducing coastal or river bank erosion with bush-like artificial reef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70963A1 (en) * 2011-08-25 2014-09-18 Pilepro Llc Pile arrangement for wave barriers and methods
CN103374901B (zh) * 2012-04-19 2015-08-19 彭大雄 柔性消能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421A (ko) * 2008-03-19 2009-05-06 백국양 해안침식 방지용 철근콘크리트 조립 말뚝식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3421A (ko) * 2008-03-19 2009-05-06 백국양 해안침식 방지용 철근콘크리트 조립 말뚝식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203B1 (ko) 2014-01-10 2014-03-26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30082103A (ko) 2021-12-01 2023-06-08 윤홍식 부표식 파력 저감 장치
WO2023209410A1 (en) * 2022-04-29 2023-11-02 Totalenergies Onetech Preventing or reducing coastal or river bank erosion with bush-like artificial reef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949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188B1 (ko) 파력감쇄용 블록
WO2015005617A1 (ko) 자연 재해를 예방하는 기능성 차단장치
US20170080348A1 (en) Submerged wave generation system
GB2583105A (en) Breakwater
WO2009108070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astal protection reefs
US4834578A (en) Energy-dissipating overflow-type protection system on dikes and/or jetties
KR101205295B1 (ko)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해안 침식방지용 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20077514A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KR101059241B1 (ko) 다목적 소파 블록
US9422684B2 (en) Beach erosion mitigation device
CN1963028A (zh) 四面体透水框架群防护桥墩方法
KR101557006B1 (ko)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42941A (ko) 이동식 그물망을 이용한 수생생물의 이동경로 변경에 의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생생물 유입방지 방법
KR101377443B1 (ko)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RU79113U1 (ru) Берегозащи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варианты) и блок берегозащит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1193578B1 (ko) 생태복원형 망태 및 그 제작방법
CN219568740U (zh) 一种港口航道边坡防护结构
KR200215952Y1 (ko) 폐타이어와 콘크리트파일을 이용한 회전방파시설장치
KR101522923B1 (ko)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KR100743550B1 (ko) 세굴방지블럭
CN219690426U (zh) 入海河流风暴潮防护装置
JP2005036453A (ja) 遮水水域浄化装置
KR101161424B1 (ko) 생태하천의 생태보호시설
KR101019145B1 (ko)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