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006B1 -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7006B1 KR101557006B1 KR1020150034188A KR20150034188A KR101557006B1 KR 101557006 B1 KR101557006 B1 KR 101557006B1 KR 1020150034188 A KR1020150034188 A KR 1020150034188A KR 20150034188 A KR20150034188 A KR 20150034188A KR 101557006 B1 KR101557006 B1 KR 101557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ixing plate
- connecting member
- connection
- buoya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2 stone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의 일정 수심에 설치되어 입사파의 파향과 수심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해안으로 밀려들어오는 파도의 에너지를 저감시켜 해안에 연접된 육지 측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의 일정 수심에 설치되어 입사파의 파향과 수심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화하여 해안으로 밀려들어오는 파도의 에너지를 저감시켜 해안에 연접된 육지 측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지구 온난화 등에 의한 해수면의 상승과 무분별한 개발 등으로 국내외로 많은 해안이 침식 등의 피해를 받고 있다. 이로 인해 국토유실의 손실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해안 백사장에 서식하고 있는 각종 동식물 등의 생태계가 파괴되어 또 다른 환경적 피해도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침식피해는 해안역의 수심변화에 따른 예상치 못한 파도의 발생으로 인명피해는 물론 각종 시설물의 파괴 등 물적 피해도 심각하게 유발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십 년 전부터 국내외에서 해안에 파랑에너지를 저감하기 위하여 이안제, 잠제 등 많은 해안 구조물이 일정거리, 일정높이, 일정형식 등으로 설치되었으나 대부분 고정형 구조물들로서 수심과 입사파의 파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해안에 또 다른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해안과 백사장 보전 등 파도로 부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종래의 소파구조물은 해수면보다 아래에 설치되는 구조의 형식을 하고 있기도 하며, 해수면 위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서 소파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다단형으로 설치하기도 하며 입사파의 파향과 경사지게 설치하기도 하여 내해 측으로 토사흐름을 유도하여 백사장의 안정화를 도모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소파구조물들을 잠제 또는 이안제라고 하며 소파성능 향상을 위하여 설치된 구조물의 상단면인 천단면과, 천단수심 등에 의하여 구조물의 내측인 해안 방향으로 수위가 높아져 수면차에 의한 해안과 평행하게 연안류가 발생하여 잠제나 이안제의 배후의 모래가 유출되어 해빈의 안정화를 악화시키는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해안구조물은 단독으로 설치하지 않고 이안제, 소파제, 잠제 및 돌제 등 복수의 구조물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기술로 공사비도 많이 소요되고 있다. 이렇게 많은 비용으로 설치된 해안은 안정적이여야 하나 설치 후에도 수시로 인공적으로 모래를 옮겨 놓는 양빈을 하기도 하며, 기 설치된 구조물이 파도에 의해 침식과 세굴 등의 발생에 의하여 붕괴 또는 침하되어 추가로 예산을 들여 공사를 해야 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소파구조물은 대부분 사석 또는 콘크리트 구조로 축조되어 중량 구조로 파도에 대하여 안정적일 수 있으나 반대로 자체 상재 하중에 의하여 설치 후 시간과 더불어 침하되어 성능발휘를 위한 유효 높이가 낮아져 해안 방향으로 입사하는 파도의 에너지를 저감시키지 못하고 입사되어 해안에 많은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또한, 매년 해수면의 상승으로 종래의 구조물들은 당초 설계파고 보다 높은 파고의 파도가 발생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발생의 주원인은 종래의 구조물들이 대부분 중량 구조물들로서 한번 설치되면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형 구조물들로서 환경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해안의 해수면 아래에 설치되어 해안을 향해 내습하는 파랑을 일차적으로 쇄파 및 월파시키는 수중호안부; 상기 수중호안부에 연하여 해안까지 형성되며, 상기 수중호안부를 월류하면서 전환된 바닷물의 흐름이 완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모래를 통해 지반으로 흡수되도록 하는 인공해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연안해역의 해저지반에 다수의 블록을 투하하여 해안침식 방지 및 해양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잠제로서, 상기 잠제에 공극이 발생하도록 공극유지돌기가 돌출되면서 크기가 다른 다수의 블록을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블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골에 두 개 이상의 마루가 형성되도록 적층하여 파랑에너지를 감쇠시키면서 어장을 형성하는 에너지흡수부를 구성하며, 상기 에너지흡수부의 기저부와 중간부로 이동하는 파랑에너지를 에너지흡수부에서 흡수, 분산 및 회절하여 감쇠시키고, 상기 에너지흡수부의 제1마루를 통과하면서 골로 이동하는 파랑에너지를 제2마루에서 흡수, 분산 및 회절하여 감쇠시키면서 파고의 간격을 줄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침식 방지 및 어장 형성을 위한 다골다공형 잠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대부분 잠제, 이안제, 돌제, 소파제 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혹은 재활용제 등을 이용한 소파구조물로서, 중량물로 조적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한번 설치하면 재시공이 어렵고 그 구조물의 설치로 해수의 흐름에 악영향을 유발시켜 해안에 침식 피해를 발생시키며 자체 중량에 의한 침하로 그 고유 기능을 상실하여 또 다른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해안의 일정 수심 하에 설치되는 경량구조물로서 자체 상재 하중을 최소화하여 이동 가설이 용이하고 자체 하중으로 인한 침하의 우려가 없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해안 환경변화에 따른 수심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며, 입사파의 파향과 파도의 흐름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로 종래의 강성구조물이 표사의 원할한 이동을 제어하여 발생되는 침식피해와 파도에 의한 해안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부력체의 다양한 형상 제공을 통한 각종 치어나 어폐류의 서식을 가능하게 하고, 부력체와 연설되는 앵커블록 형상도 파랑에 대한 안정성 확보와 각종 어류가 서식이 가능하도록 형상화하여 환경친화형 구조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소재의 사용도 가능하나 재활용 소재의 사용도 가능하여 산업폐기물 재활용에 따른 환경보호도 고려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이용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구조물이 시공될 해안의 바닥면을 일정구간 정비하는 기초단계와; 정비된 해안의 바닥면에 앵커블록을 설치하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설치된 앵커블록 위에 연결부재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와; 설치된 연결부재에 고정플레이트와 부력체를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부력체 설치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부력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해안의 바닥면에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다수 설치하고 각 부력체를 고정바로 연결하는 고정바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콘크리트와 사석 등으로 설치되는 소파구조물과는 다르게 경량구조물로서, 이동이 간편하고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사비 면에서 예산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적 측면에서도 해수면이 항상 일정하지 않고 조위와 지형변화, 태풍, 지진, 기후 등의 다양한 외부 조건에 따라서 연동하며 진입하는 파도의 에너지를 분산시킴으로써 해안지대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물은 입사파의 파향에 따라서 유동하는 부력체로 입사파의 파향에 따라서 연동되어 파랑에너지 저감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식방지, 안전한 해안 환경조성, 생태계 서식공간 제공, 유지관리비 저감에 따른 예산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수위변화에 따른 부력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수위변화에 따른 부력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이용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구조물이 시공될 해안의 바닥면을 일정구간 정비하는 기초단계와; 정비된 해안의 바닥면에 앵커블록을 설치하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설치된 앵커블록 위에 연결부재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와; 설치된 연결부재에 고정플레이트와 부력체를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부력체 설치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부력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해안의 바닥면에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다수 설치하고 각 부력체를 고정바로 연결하는 고정바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이용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구조물이 시공될 해안의 바닥면을 일정구간 정비하는 기초단계와; 정비된 해안의 바닥면에 앵커블록을 설치하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설치된 앵커블록 위에 연결부재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와; 설치된 연결부재에 고정플레이트와 부력체를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부력체 설치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부력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해안의 바닥면에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다수 설치하고 각 부력체를 고정바로 연결하는 고정바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블록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수위변화에 따른 부력체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은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2)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1)과, 상기 연결부재(2)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3)와, 상기 연결부재(2)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3)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3)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4)와, 상기 연결부재(2)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5)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블록(1)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111)의 내부에 연결고리(112)가 설치되는 블록몸체(11)와, 상기 블록몸체(11)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블록(1)은 콘크리트 재질로 단위 용적당 비중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제철소 슬러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블록의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 어류의 서식지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앵커블록(1)은 상기 통공(111) 내부에 와이어 또는 로프가 연결이 가능하도록 연결지그가 내장될 수 있다. 특히 시공에 있어서 해안선과 수평이 되게 설치 가능하며 블록간의 연결성 증대와 입사파에 대하여 안정성 향상을 위해 해안선과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앵커블록(1)은 다수의 부력체(3)가 수직으로 연결된 연결부재(2)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부력체(3)가 파도에 유실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다리(12)는 기초 지반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지면과 접지되는 블록몸체(11)의 하부에 하향 돌출 연장된다.
상기 앵커블록(1)의 내부에는 많은 공간이 형성되어 물고기 등의 서식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해안선과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고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2)는 상기 앵커블록(1)의 연결고리(112)에 연결되며 부식방지 코팅 처리된 강연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2)는 다수의 부력체(3)를 연결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력체(3)의 관통공(31)을 관통하게 되며 부식방지 코팅처리가 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연성구조로 이루어져 유동성을 가짐으로써 입사 파랑에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다수 설치하는 경우에 연결부재(2)의 일정 간격에 고정바(6)가 연결 설치되어 부력체(3)의 유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3)는 합성수지 재질이며 중앙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된다.
상기 부력체(3)는 원형, 각형, 원통형, 돌출형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제조가 가능하며, 소재는 금속, 고무, 플라스틱. 폴리에스터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며 재활용 소재의 사용도 가능하다.
삭제
상기 부력체(3)는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에 의하여 일정 수심에서 연동되는 구조로서 해수면 상승에 따라 연동되어 입사파의 파랑에너지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부력체(3)의 일측에 각종 어류와 수초가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부력체(3)는 고정형이 아닌 유동형으로서 입사파에 따라 부력체(3)가 회전하기도 하여 파도를 회절 또는 분산시켜 파랑에너지 감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유동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1)을 통해 연결부재(2)를 관통시켜 계획된 수량을 연결 설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4)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2)가 연통되도록 통공(41)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4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는 부식에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공(41)을 통해 연결부재(2)가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4)는 계획된 수량의 부력체(3)를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상기 고정플레이트(4)는 계획된 부력체(3)의 위치를 최대한 유지하게 하여 해안으로 밀려오는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최대한 저감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4)의 연결공(42)과 상기 고정플레이트(4)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6)에 의해 부력체(3)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고정바(6)는 원통의 바(bar) 형태로서 부식에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바(6)에 의해 부력체(3)가 서로 충돌 또는 간섭받지 않고 일정한 공극이 형성 유지되어 최대한의 소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력볼(5)은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여 부표 역할을 수행하고, 항해하는 선박 등이 본 구조물의 설치 위치를 사전에 인지하여 회항할 수 있도록 안전표시용 기능과 함께 각 부력체(3)들이 상부에서 서로 엉키지 않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며, 각 부력체(3)들의 가장 상부에 설치되어 장기적인 유지관리에 있어서 각 부력체(3)들의 유실 등의 상태를 선상에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잠수부들이 수면 아래에 들어가 부력체(3)들의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는 물론 비용절감, 안정성 측면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은 일정 규격의 부력체(3)를 연속 설치하거나, 동일한 크기의 부력체(3)를 이중으로 연결 설치하거나, 크기가 크고 작은 부력체(3)를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현장 여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온상태 즉 잔잔한 수면에서의 부력체(3)의 상태, 조위변화에 의해 일정 높이로 부력체(3)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만조 또는 너울성 파도 등의 최고 파도가 진입한 경우에 부력체(3)의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수심변화에 따라서 부력체(3)가 상승 또는 하강하며 밀려오는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흡수하여 해안지대에 파도로 인한 제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이용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구조물이 시공될 해안의 바닥면을 일정구간 정비하는 기초단계와; 정비된 해안의 바닥면에 앵커블록을 설치하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설치된 앵커블록 위에 연결부재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와; 설치된 연결부재에 고정플레이트와 부력체를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부력체 설치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부력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해안의 바닥면에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다수 설치하고 각 부력체를 고정바로 연결하는 고정바 연결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현장의 요구 수량에 따라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계획된 수량을 연속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은 설정된 수심에 따라 부력체(3)가 상하로 연동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입사하는 파랑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재(2)와 고정바(6) 또한 연성구조로 이루어져 입사하는 파향에 따라 연동됨으로써 불규칙한 입사파의 파랑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앵커블록
11 : 블록몸체
111 : 통공, 112 : 연결고리
12 : 지지다리
2 : 연결부재
3 : 부력체
31: 관통공
4 : 고정플레이트
41 : 통공
42 : 연결공
5 : 부력볼
6 : 고정바
11 : 블록몸체
111 : 통공, 112 : 연결고리
12 : 지지다리
2 : 연결부재
3 : 부력체
31: 관통공
4 : 고정플레이트
41 : 통공
42 : 연결공
5 : 부력볼
6 : 고정바
Claims (7)
-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2)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1)과, 상기 연결부재(2)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3)와, 상기 연결부재(2)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3)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3)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4)와, 상기 연결부재(2)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5)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1)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111)의 내부에 연결고리(112)가 설치되는 블록몸체(11)와, 상기 블록몸체(11)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12)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4)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2)가 연통되도록 통공(41)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4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4)의 연결공(42)과 상기 고정플레이트(4)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6)에 의해 부력체(3)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해안의 바닥에 설치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부재가 연결 설치되는 앵커블록과,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부력조절용제인 콘크리트가 충진되는 다수의 부력체와, 상기 연결부재에 관통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상하 이격거리를 제한시키는 다수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설치되어 해수면에 상시 위치하게 되는 부력볼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블록은 중앙에 부력방지를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도록 상기 통공의 내부에 연결고리가 설치되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다수로 이격 형성되어 해안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다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중앙에 상기 연결부재가 연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둘레에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과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이웃하는 다른 고정플레이트의 연결공에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고정바에 의해 부력체들이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이용한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은,
구조물이 시공될 해안의 바닥면을 일정구간 정비하는 기초단계와;
정비된 해안의 바닥면에 앵커블록을 설치하는 앵커블록 설치단계와;
설치된 앵커블록 위에 연결부재를 연결 설치하는 연결부재 설치단계와;
설치된 연결부재에 고정플레이트와 부력체를 반복적으로 연결 설치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부력체 설치단계와;
상기 연결부재의 최상단에 부력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해안의 바닥면에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을 다수 설치하고 각 부력체를 고정바로 연결하는 고정바 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4188A KR101557006B1 (ko) | 2015-03-12 | 2015-03-12 |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34188A KR101557006B1 (ko) | 2015-03-12 | 2015-03-12 |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7006B1 true KR101557006B1 (ko) | 2015-10-06 |
Family
ID=5434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4188A KR101557006B1 (ko) | 2015-03-12 | 2015-03-12 |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700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86199A (zh) * | 2017-07-27 | 2017-11-24 | 武汉理工大学 | 一种摆锤式多层囊式消波装置及方法 |
CN110067231A (zh) * | 2019-06-02 | 2019-07-30 | 赵国柱 | 浮动悬挂式消浪装置 |
-
2015
- 2015-03-12 KR KR1020150034188A patent/KR101557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86199A (zh) * | 2017-07-27 | 2017-11-24 | 武汉理工大学 | 一种摆锤式多层囊式消波装置及方法 |
CN110067231A (zh) * | 2019-06-02 | 2019-07-30 | 赵国柱 | 浮动悬挂式消浪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64233A (en) | Fluid dynamic repeller for protecting coast from erosion | |
KR101291326B1 (ko) |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 |
KR101006982B1 (ko) |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 |
US20220178100A1 (en) | Breakwater | |
US10550535B2 (en) | Protective maritime assembly and method | |
KR101557006B1 (ko) | 해안 침식방지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JPH04504151A (ja) | 透水形防波堤 | |
KR100762474B1 (ko) | 인공어초의 기능을 구비한 잠제 | |
CN107245980A (zh) | 一种起脊式多层消能浮式防波堤 | |
KR102253127B1 (ko) | 다기능 부유체 | |
WO2013048915A1 (en) | Anchoring apparatus for wave energy converters | |
JP3500321B2 (ja) | 海上浮体式消波堤 | |
KR100918494B1 (ko) |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 |
KR101522923B1 (ko) | 다목적 해양 인공구조물 | |
KR100488920B1 (ko) |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 |
JPH0432058Y2 (ko) | ||
KR101131879B1 (ko) | 인공 수초를 이용한 부유식 방파제 | |
KR101161424B1 (ko) | 생태하천의 생태보호시설 | |
KR102495853B1 (ko) | 파일형 유동방지유닛을 가지는 다기능 부유체 | |
US20170268191A1 (en) | Modular shell reef for erosion abatement | |
RU206923U1 (ru) | Волногаситель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модульный | |
CN220666093U (zh) | 一种沙丘侵蚀防治系统 | |
KR102368917B1 (ko) |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방파제 | |
KR102505714B1 (ko) | 해안의 모래유실 방지 기술을 갖는 바다 풀장 | |
KR102192138B1 (ko) |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수위조절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