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145B1 -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145B1
KR101019145B1 KR1020100058793A KR20100058793A KR101019145B1 KR 101019145 B1 KR101019145 B1 KR 101019145B1 KR 1020100058793 A KR1020100058793 A KR 1020100058793A KR 20100058793 A KR20100058793 A KR 20100058793A KR 101019145 B1 KR101019145 B1 KR 101019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osion prevention
ball
coastal
fixing pin
er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제철
심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인건설
류제철
주식회사 상록 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인건설, 류제철, 주식회사 상록 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인건설
Priority to KR1020100058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6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bituminous material or synthetic re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형의 침식방지볼와, 상기 침식방지볼를 관통하며, 다수개의 침식방지볼를 격자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를 해수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를 포함함으로써,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해안에 볼을 단독으로 지면에 고정하거나, 띠형태 또는 네트형태로 형성된 해안침식방지장치를 설치하여 파도를 따라 실려오는 모래를 수월히 받아들일 수 있는 동시에 썰물과 함께 모래가 침식되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식으로 인한 자연경관의 훼손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해안거동을 저해하여 인근지역에 이차적인 피해를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침식방지볼에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하여 해안(연안)에 밀려오는 큰파도와 부딪혔을 때 상기 침식방지볼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소파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시공기간 단축 및 지면과 상기 침식방지볼이 맞닿아 고정됨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Coast Erosion Prevention Apparatus using Ball}
본 발명은 해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해안에 볼을 단독으로 지면에 고정하거나, 띠형태 또는 네트형태로 형성된 해안침식방지장치를 설치하여 파도를 따라 실려오는 모래를 수월히 받아들일 수 있는 동시에 썰물과 함께 모래가 침식되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침식으로 인한 자연경관의 훼손을 방지하고 장기적인 해안거동을 저해하여 인근지역에 이차적인 피해를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침식방지볼에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하여 해안(연안)에 밀려오는 큰파도와 부딪혔을 때 상기 침식방지볼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소파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시공기간 단축 및 지면과 상기 침식방지볼이 맞닿아 고정됨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안에 접근하는 파랑은 해변에 각을 가지고 접근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도의 작용에 의해서 해빈의 모래가 이동하는 것을 연안 수송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풍파는 해안에 각도를 가지고 접근해서 수심이 얕은 곳에서 굴절이 되어서 해안에 거의 평행하게 부서지게 된다. 부서진 파도로 인한 물은 해빈에 약간 비스듬히 밀려 올라가지만 내려올 때는 중력의 영향으로 경사면을 똑바로 내려와서 바다로 돌아간다. 파도에 의해서 교란된 모래 입자들은 물의 경로를 따라 해빈면을 비스듬히 올라갔다가 똑바로 되돌아오게 되고, 입자의 순이동은 연안방향, 즉 파도가 접근해 오는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안에 평행하게 일어나게 된다.
계절의 변화에 따라 연안에 접근하는 파향의 변화에 의해 연안수송에 의한 모래의 이동은 변화하게 된다. 연안에 평행하게 발생되는 연안수송에 의한 모래의 이동 역시 대부분은 연안에 평행하게 발생되며 결국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형성된 해빈 백사장의 경계부분에 존재하는 모래 입자의 경우 경계를 벗어나게 되고 계절이 바뀌어 파향이 변하더라도 백사장으로 돌아올 수 없는 입자의 유실을 계외유실이라고 한다. 반면 하절기 우기 시 하천에서 토사가 공급되어 유실되는 입자의 부족분을 보충함으로써 해빈 백사장은 평행상태에 놓이게 된다.
최근 발생되는 해안 침식은 이러한 자연 상태의 평행상태가 깨어지면서 기존에 형성되어있던 해빈이 점점 깎여 나가거나(백사장 침식) 무너지게 되는 (사구포락, 토사포락) 해안 침식이 발생하게 된다. 해안침식이 발생되는 원인은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이지만 크게 해안 구조물의 형성 하천 상류 개발 및 골재 채취 등에 의한 공급 토사 감소, 지구온난화와 기후 변동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너울, 태풍 등에 의한 계절성 풍랑의 증대 등으로 나뉘다.
따라서, 사빈 해안의 침식에 따른 대책 공법으로 표사와 관계되는 것으로 돌제나 도류제와 같은 해안선에 직각 방향 구조물, 이안제나 헤드 런드와 같은 해안선에 평행한 구조물, 잠제와 같은 기술들이 있지만, 상기와 같은 공법은 자연경관을 훼손시키고, 장기적인 해안거동을 저해하여 인근지역에 이차적인 피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해안침식방지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도1은 종래의 해안침식방지장치의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해안침식방지장치는 해수가 통과할 수 있는 그물형 휀스(2)에 수개의 지지대(3)를 방형으로 결속하고, 상기한 휀스(2)의 하단부 지지대(3)에는 휀스(2)의 하단을 지면에 고정하도록 앙카(4)를 형성하며, 휀스(2)의 상단부 지지대(3)에는 해수면의 수위에 따라 휀스(2)의 상부가 수면 위에 떠오르도록 부구(5)를 장착하고, 또 휀스(2)의 상단부 지지대(3)에는 휀스(2)가 파도에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우프(6)를 지면에 고정한 앙카(4)에 연결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휀스(2)가 파도의 움직임과 해수의 수위에 따라 스스로 뉘어졌다 세워지는 조리질 작용을 계속 반복하게 함으로써, 밀려오는 파도의 모래는 수월히 받아들이고 밀려나가는 파도의 모래는 조리질에 의해 바닥에 침전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해안침식방지장치는 단주기 파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소파성능을 보여주었으나, 비교적 주기가 긴 파랑에 대해서는 비효율적이었으며, 이것은 수심 방면으로 상당부분 공간을 허용함으로써 파장이 긴 파들을 대부분 그 파형의 전파특성으로 인해 투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썰물과 밀물이 교차하는 해안가에 볼을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다수개의 볼을 연결시켜 띠형상이나 네트형상으로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물시에는 파도와 함께 밀려오는 모래를 수월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썰물시에는 나가는 물이 해안가를 침식시키지 않고 밀물시 퇴적되었던 모래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여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안거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적인 해안활동으로 인해 변형된 지형환경으로 인근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식방지볼의 표면에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함으로서 소파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식방지볼이 지면에 맞닿도록 시공하여 구조상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침식방지볼, 연결부, 고정핀로 간단하게 형성됨으로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해안침식방지장치가 띠형상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되어 보관 및 이동이 수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띠형태 또는 네트형태로 형성된 해안침식방지장치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고정핀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고정핀이 해저면에 고정되었을 때 지면과 돌기사이에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인 안정성 증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관통공을 포함하는 침식방지볼와, 상기 침식방지볼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침식방지볼과 결합된 연결부를 해저면 또는 해안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일측에는 끝단을 동그랗게 말린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고정핀의 끝단부에 의해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핀의 다른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돌기와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고정핀이 지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식방지볼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함으로서, 해수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소파의 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식방지볼은 다른 침식방지볼과 소파기능을 하는 정도의 거리인 30~50cm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은 상기 연결부에 다수개의 침식방지볼이 결합되어 해안에 설치시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깊이 1.5m~2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핀은 ABS, PVC, PP 중에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해안 침식방지 장치는 침식방지볼을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다수개의 침식방지볼을 연결시켜 띠형상이나 네트형상으로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물시에는 파도와 함께 밀려오는 모래를 수월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썰물시에는 나가는 물이 해안가를 침식시키지 않고 밀물시 퇴적되었던 모래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여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에 있어서, 썰물과 밀물이 교차하는 해안가에 볼을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다수개의 볼을 연결시켜 띠형상이나 네트형상으로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물시에는 파도와 함께 밀려오는 모래를 수월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썰물시에는 나가는 물이 해안가를 침식시키지 않고 밀물시 퇴적되었던 모래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여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해안거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장기적인 해안활동으로 인해 변형된 지형환경으로 인근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차적인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침식방지볼에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하여 해안(연안)에 밀려오는 큰파도와 부딪혔을 때 상기 침식방지볼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소파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추후 침식방지볼나 연결부가 손상되더라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고, 침식방지볼을 하나 또는 다수개를 이용하여 띠형상이나 네트형상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어 해안 지형의 특성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침식방지볼에 단순히 연결부를 관통시켜 엮을 수 있는 것으로 설치하고자 해안의 면적에 따라 쉽게 크기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침식방지볼이 지면에 맞닿도록 시공하여 구조상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침식방지볼, 연결부, 고정핀로 간단하게 형성됨으로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종래의 해안침식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침식방지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볼에 대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침식방지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볼에 대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핵심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본발명의 구성요소인 침식방지볼, 연결부, 고정핀의 기본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실시예에 따라 「', "」로 각각 표현되며, 각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식방지볼, 연결부, 고정핀의 하부 구성이 일 실시예와 동일할 경우에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은 해안 또는 연안의 침식의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장치(1)는 구형의 침식방지볼(11)와, 상기 침식방지볼(11)를 관통하며, 다수개의 침식방지볼(11)를 격자형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13)와, 침식방지볼이 연결된 상기 연결부(13)를 밀물과 썰물이 교차되는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15)를 포함한다.
상기 침식방지볼(11)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하며, 합성수지재, 콘크리트, 석재 등으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침식방지볼(11)에의 표면에는 해안으로 밀려 들어오는 큰 파도와 부딪쳐 잔물결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소파(小波)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홈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침식방지볼(11)의 내측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연결부(13)가 상기 침식방지볼(11)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제2관통공(113-1, 113-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관통공(113-1, 113-2)의 크기는 후술되는 연결부(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3)는 상기 침식방지볼(11)의 관통공(113)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상기 침식방지볼(11)를 엮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침식방지볼(11)와 다른 침식방지볼(11)의 사이를 소파기능을 하는 정도의 거리인 30~50cm의 간격으로 띄어놓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바닷물의 염도에 부식되지 않고 플랙시블하여 거친파도에 상기 연결부(13)가 쉽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침식방지볼(11)은 내측에 십자형태로 관통된 광통공(113)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13)가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침식방지볼(11)을 상기 연결부(13)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침식방지볼(11)은 해안(연안)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30~50cm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침식방지볼(11)는 상기 연결부(13)에 의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격자무늬로 형성되어 해안(연안)의 밀물과 썰물의 교차되는 부분의 지면에 설치되어 밀물시 파도와 함께 들어오는 모래를 수용하여 퇴적시키고, 썰물때는 밀물시 퇴적된 모래를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게 되어 해안의 원래 지형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빈해안을 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15)은 상기 연결부(13)에 다수개의 침식방지볼(11)이 결합되어 해안(연안)에 설치시 해저면에 상기 해안침식방지장치(1)가 고정될 수 있도록 깊이 1.5m~2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핀(15)은 일측에는 끝단을 동그랗게 말린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13)가 상기 고정핀(15)의 끝단부에 의해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핀(15)의 다른 일측에는 하부쪽과 상부쪽의 직경이 다르면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151)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핀(15)이 지면에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반면, 상기 돌기(151)와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고정핀(15)이 지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고정핀(15)은 ABS, PVC, PP 등의 합성수지재 사출품으로 형성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서부터 썰물과 밀물이 교차되는 해안 또는 연안까지 걸쳐 설치되며, 다수개의 침식방지볼(11)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되,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13)를 상기 침식방지볼(11)의 내측에 포함된 제1, 제2관통공(113-1, 113-2)에 가로, 세로로 관통하여 삽입함으로서 상기 침식방지볼(11)과 연결부(13)가 서로 교차되어 엮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네트형태의 해안 침식 방지 장치(1)는 설치하고자 하는 해안(연안)의 지형 및 면적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해안침식방지방치(1)를 서로 이웃하게 위치시킨 다음,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15)을 연결부(13)의 사이 사이에 위치시켜 해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해안침식방지방치(1)가 부력에 의해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장치(1)가 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침식방지볼(11')을 지면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해안 침식 방지 장치(1')는 일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요소인 침식방지볼(11'), 연결부(13'), 고정핀(15')을 포함하며, 다만, 상기 고정핀(15')의 형상을 달리하여 땅속에 상기 고정핀(15')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침식방지볼(11'), 연결부(13')의 자세한 설명은 상기 일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다시 기재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핀(15')은 쐐기형태로 형성되며,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S, PVC, PP 등의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중간에 연결부(13')를 끼우는 홈(미도시)이 있고, 양쪽으로 조립되어(끼워지는 홈 및 볼트, 너트 사용) 상기 연결부(13')를 꽉 잡아 고정하며, 설치는 건설용 중장비를 사용하며, 0.8~1.2m 정도의 설치용 지그를 이용하여 해안의 백사장에 찔러 넣어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연결부(13')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여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의 해안 침식 방지 장치(1')은 해안가에 하나씩 다수개 설치하거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네트형태의 해안 침식 방지 장치(1)의 격자 형태의 연결부 내측 공간이 넓을 경우에 상기 해안 침식 방지 장치(1')를 추가삽입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른 실시예의 해안 침식 방지 장치(1')를 다수개 형성한 뒤, 상기 침식 방지 장치(1')의 침식방지볼(11")의 제1관통공(113-1) 또는 제2관통공(113-2)에 하나의 연결부(13")을 삽입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태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침식방지볼에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하여 해안(연안)에 밀려오는 큰파도와 부딪혔을 때 상기 침식방지볼와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소파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침식방지볼 하나만으로 형성하거나, 다수개의 침식방지볼을 엮어 띠형태 또는 네트형태로 형성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해안(연안)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해안 침식 방지 장치는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해안가에 설치하여 파도를 따라 실려오는 모래를 수월히 받아들여 들어오는 모래를 상기 해안침식방지 장치내로 퇴적시킬 수 있고, 썰물때는 장치내에 퇴적된 모래를 다시 바다로 돌려보낼 수 있도록 하여 해안의 침식을 방지할 수 있어 지형보존이 가능하므로 자연경관의 훼손방지하고, 장기적인 해안거동을 저해하여 인근지역에 이차적인 피해를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침식방지볼이 지면에 맞닿도록 시공하여 구조상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고, 침식방지볼, 연결부, 고정핀로 간단하게 형성됨으로 시공이 간단하여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해안 침식 방지 장치가 띠형상 또는 그물형상으로 형성되어 보관 및 이동이 수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해안 침식 방지 장치 11 : 침식방지볼
13 : 연결부 15 : 고정핀
111 : 홈부 113-1: 제1관통공
113-2 : 제2관통공 151 : 돌기

Claims (6)

  1. 구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관통공을 포함하는 침식방지볼와,
    상기 침식방지볼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침식방지볼과 결합된 연결부를 해저면 또는 해안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일측에는 끝단을 동그랗게 말린 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고정핀의 끝단부에 의해 감쌀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핀의 다른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돌기와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고정핀이 지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방지볼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홈부를 형성함으로서, 해수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소파의 기능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식방지볼은 다른 침식방지볼과 소파기능을 하는 정도의 거리인 30~50cm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연결부에 다수개의 침식방지볼이 결합되어 해안에 설치시 해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깊이 1.5m~2m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고정핀은 ABS, PVC, PP 중에 선택된 하나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 침식방지 장치는 침식방지볼을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다수개의 침식방지볼을 연결시켜 띠형상이나 네트형상으로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물시에는 파도와 함께 밀려오는 모래를 수월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썰물시에는 나가는 물이 해안가를 침식시키지 않고 밀물시 퇴적되었던 모래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하여 해안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KR1020100058793A 2010-06-21 2010-06-21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KR101019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93A KR101019145B1 (ko) 2010-06-21 2010-06-21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93A KR101019145B1 (ko) 2010-06-21 2010-06-21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145B1 true KR101019145B1 (ko) 2011-03-04

Family

ID=4393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793A KR101019145B1 (ko) 2010-06-21 2010-06-21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91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033A (ja) * 1994-08-31 1996-03-12 Yoshikazu Nishimura 透水玉石連結ブロック
KR20060101409A (ko) * 2006-08-28 2006-09-22 박이동 해안침식방지삼발이
KR100953305B1 (ko) * 2009-09-11 2010-04-20 주인산업(주) 녹화용 식생 매트와 그 제조방법,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8033A (ja) * 1994-08-31 1996-03-12 Yoshikazu Nishimura 透水玉石連結ブロック
KR20060101409A (ko) * 2006-08-28 2006-09-22 박이동 해안침식방지삼발이
KR100953305B1 (ko) * 2009-09-11 2010-04-20 주인산업(주) 녹화용 식생 매트와 그 제조방법, 식생 매트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00674B2 (en) Submarine construction for tsunami and flooding protection, for tidal energy and energy storage, and for fish farming
CN109196167B (zh) 防止海岸侵蚀用流失沙捕集装置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US6499911B2 (en) Compliant porous groin and shoreline reclamation method
KR101958907B1 (ko)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KR102069672B1 (ko) 해안 침식 방지 구조물
KR100513270B1 (ko) 하천 생태 보호용 물고기 집
JPH04504151A (ja) 透水形防波堤
KR101019145B1 (ko) 볼을 이용한 해안 침식 방지 장치
JP6674220B2 (ja) サンゴ礫堆積による陸化方法、そのための透過構造物および構造体
WO2014045132A1 (en) Sea-gabion walls for tsunami and flooding protection, for fish farming, and for protection of buildings in the sea
US9279223B2 (en) Sand retention system
Suprayogi et al. Critical-phase sea dike construction of NCICD program in Jakarta as national capital city
KR101700738B1 (ko) 항만이나 연안지역에서 결속 보강된 테크라포트 블록
KR101062728B1 (ko) 필터층과 너울제어구조체를 이용한 해안 양빈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25740A (ko) 세굴 방지용 물결형 매트 블록
US20020132539A1 (en) Ribbed module for wave energy dispersion
JP4502268B2 (ja) 護岸ブロック及び海底面保護構造体
Soliman et al. Shoreline changes due to construction of Alexandria submerged breakwater, Egypt
WO2014045085A1 (en) Protection against tsunami and high sea waves
KR101280330B1 (ko) 세굴방지용 기초블럭
JP5342048B1 (ja) 離岸式海中防波堤
Simanjuntak Performance evaluation on low-crest breakwater at north coast of Java Island
KR20100138705A (ko) 호안블록 지지용 기초블록
KR101766182B1 (ko) 해안침식 방지용 잠제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