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443B1 -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 Google Patents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7443B1 KR101377443B1 KR1020130057703A KR20130057703A KR101377443B1 KR 101377443 B1 KR101377443 B1 KR 101377443B1 KR 1020130057703 A KR1020130057703 A KR 1020130057703A KR 20130057703 A KR20130057703 A KR 20130057703A KR 101377443 B1 KR101377443 B1 KR 101377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d
- cover structure
- restoration
- cover
- los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구조물은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와 상기 커버 구조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커버 구조체는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와 배출부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커버 구조체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가 일체로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구조물은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와 상기 커버 구조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커버 구조체는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와 배출부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커버 구조체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가 일체로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구조물에 있어서,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와 상기 커버 구조체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지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복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파도가 많은 해안가의 해안의 침식작용이 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안의 침식작용은 폭풍우 등의 기상조건에 의한 국부적인 발생요인과 연속적인 파도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한 장기적인 발생요인이 있다. 이러한 침식작용은 사계절 내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동절기에 발생하는 북서풍, 남서풍에 의한 파도는 침식작용을 더욱 심각하게 유발하고 있다.
상기 해안의 침식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방파제 구조물과 블록 구조물 등 고정형 구조물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방파제 구조물은 해안으로 향하는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저감시켜 넓은 공간의 정온화 해역을 창출하고 해안선을 보호하는 것이나, 파랑에너지의 흡수 및 분산효과가 미흡하며, 방파제 구조물에 부딪혀 반사되는 중복파에 의해 심각한 침식이 유발됨과 동시에 심하게는 방파제 구조물이 붕괴되어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상기 방파제 구조물이 수면위로 돌출되도록 시공되는바, 자연경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철거 및 이동이 불가능하여 영구 방치되므로 바닷물이 일정구간에 정체되어 수질오염이 심각하게 유발되고, 자연생태계 환경에 나쁜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 상기 블록 구조물로는 등록특허 제10-0895525호 및 등록특허 제10-1011020호가 있다. 상기 블록 구조물은 침식작용이 일어나는 구간의 모래 위에 쌓아 올리므로 연안침식에 따른 모래 이동을 줄여주나, 영구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며, 다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과정에서 해저면의 형태에 맞춰서 설치하기가 어렵고, 블록과 해저면 사이에 있는 모래도 쉽게 파도에 휩쓸려 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단순히 침식 모래가 수중 방향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막는 것에서 나아가 적극적으로 유실 모래를 육지 방향으로 복원하며, 고정형 구조물이 아니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구조물을 제공하고, 이로써 철거 및 이동이 용이하며, 바닷물의 유수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자연생태계에 친환경적인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구조물(S)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구조물(S)은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100)와 상기 커버 구조체(100)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300) 및 상기 와이어 로프(30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110)와 배출부(120)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1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200)가 일체로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는 한 쌍의 외벽부(140,140')와 상기 외벽부(140,14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5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한 쌍의 외벽부(140,14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부(141) 또는 결합요부(142)가 형성되어 인접한 커버 구조체(100)의 결합요부(142) 또는 결합돌부(141)와 각각 끼움 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벽부(140,140')의 결합돌부(141)는 하부에 폭이 좁아지는 결합가이드부(141a)가 형성되어 결합요부(142)에 용이하게 끼움 결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배출부(120)의 단부에는 높이가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유도부(121)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유입부(110)측에는 유입유도부(111)가 길이 방향의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유입유도부(111)의 하부측 모서리에 챔퍼링부(112)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실방지부(160,160')가 수직되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공부(200)의 단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공부(200)가 스크류 형상을 지니도록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내면에 스크류 홈(17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배출부(120)에는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도록 수문(19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가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와이어 연결구(180)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와이어 로프(300)의 양 단부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구동수단(400)은 육지에 설치되는 권상기(410)와 수중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레(421)가 구비되어진 고정구조체(420)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300)가 상기 권상기(410)와 고정구조체(420)의 고정도르레(421)에 감겨져 이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은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복원방법(M)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복원방법(M)은 침식으로 인한 해안이나 하안의 복원 위치를 선정하는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이동식 구조물(S)을 설치하는 구조물 설치 단계(S200);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커버 구조체(100)를 구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 및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를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구조물(S)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물 설치 단계(S200)는, 육지에 설치되는 권상기(410)와 수중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레(421)가 구비되어진 고정구조체(420)로 구성되어지는 구동수단(400)을 설치하는 구동수단 설치 단계(S210); 및 와이어 로프(300)를 상기 커버 구조체(100) 및 구동수단(400)에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 단계(S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유수가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유입부(110)로 유입되어지는 유수 유입 단계(S311); 유입된 유수가 침식부(130)의 모래를 침식시키는 모래 침식 단계(S312); 침식된 모래와 유수가 상기 배출부(120)로 배출되어지는 유수 배출 단계(S313); 및 침식된 모래가 퇴적되는 모래 퇴적 단계(S314);를 포함하는 유수 흐름 단계(S310); 및 상기 유수 흐름 단계(S310)와 동시에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구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S400)는,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수중 방향으로 이송하는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 구동수단(400)의 권상기(410)를 고정구조체(42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시켜 배치하는 각도 변경 단계(S420); 및 상기 각도 변경 단계(S410)가 복수 회 반복된 이후에 상기 고정구조체(420)의 위치를 변경하는 고정구조체 변경 단계(S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에 따르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를 이용하여 단순히 침식 모래가 수중 방향으로 유실되지 않도록 막는 것에서 나아가 적극적으로 유실 모래를 육지 방향으로 복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 및 구동수단을 제공하여 고정형 구조물이 아니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추후에 구조물의 철거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공부가 형성되어 바닷물의 유수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자연생태계에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유실 모래 방지를 위한 블록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의 개략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커버 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구조체의 수문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의 개략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의 커버 구조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구조체의 수문을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구조물(S)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100)와 상기 커버 구조체(100)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300) 및 상기 와이어 로프(30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으로 구성되어진다.
벤츄리 효과란, 단면의 면적이 서서히 축소되는 형상의 구조물에서, 축소되는 지점에서의 유체의 흐름속도가 빨라지도록 유도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식 커버 구조체 유닛(U)의 단면이 서서히 축소되도록 제작하여, 유수의 흐름이 빨라지도록 유도하고, 이로써 적극적으로 모래를 복원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400)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바지선과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이동시키는 방법과 권상기(410)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고려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110)와 배출부(120)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1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200)가 일체로 마련되어진다.
상기 유입부(110)에서 배출부(120)를 향하여 유수가 유도되어야 하는바, 유수의 기본방향을 따라 유입부(110)와 배출부(120)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다. 해안이나 하안의 경우라면, 육지 방향에 배출부(12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하부에는 침식부(1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 유수의 흐름에 따라 바닥의 모래가 적극적으로 침식되어지고, 침식 모래가 상기 배출부(120)를 통해 퇴적되어진다.
따라서, 유입부(110)의 단면적에 비하여 배출부(120)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하여야 벤츄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바,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사각형 단면 뿐만 아니라, 곡선형, 삼각형, 사다리꼴 형상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중공부(200)의 단면 형상도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단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중공부(200)의 형상이 벤츄리 효과가 일어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는 한 쌍의 외벽부(140,140')와 상기 외벽부(140,14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5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형상은 커버 구조체(100)의 형상에 대한 하나의 일 실시예이다. 한편, 상기 외벽부(140,140')는 직립하는 형상이외에도, 사선형 형상, 곡선형 형상으로도 제작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150)도 수평형 형상이외에도 곡선형 형상으로도 제작되어질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한 쌍의 외벽부(140,14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부(141) 또는 결합요부(142)가 형성되어 인접한 커버 구조체(100)의 결합요부(142) 또는 결합돌부(141)와 각각 끼움 결속되어질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가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결속되어지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가 하나로 결속시 작업을 보다 바닥과의 접촉면적을 넓혀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만, 개수가 지나치게 증가할 경우 바닥과의 마찰 증가로 이동이 어려울 수 있는바, 작업 환경에 따라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의 개수를 유연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벽부(140,140')의 결합돌부(141)는 하부에 폭이 좁아지는 결합가이드부(141a)가 형성되어 결합요부(142)에 용이하게 끼움 결속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배출부(120)의 단부에는 높이가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유도부(121)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유입부(110)측은 유입유도부(111)가 길이 방향의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유입유도부(111)의 하부측 모서리에 챔퍼링부(112)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유도부(121)는 유수의 흐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출유도부(121)가 형성되지 않으면, 배출부(120)의 외측에서 갑작스런 유수의 팽창으로 흐름에 다소 차질이 생김과 동시에 모래의 상승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배출유도부(121)를 통해서 유수가 연속적으로 흐르게 되는바, 침식 모래가 배출부(120)의 외측으로 적극적으로 유도되어, 퇴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입유도부(111)는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유수로부터 상기 유입부(110)가 받을 수 있는 압력을 저감하고, 유수의 흐름에 갑작스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자연스런 흐름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챔퍼링부(112)는 구동수단(400)을 통하여 상기 커버 구조체(100)가 수중 방향으로 이동시 바닥과의 접촉으로 생길 수 있는 저항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육지 방향으로 이동시에도 동일한 이유로 상기 배출부(120)의 하부측 모서리에 챔퍼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실방지부(160,160')가 수직되게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유실방지부(160,160')는 유수의 침식부(130)를 통한 침식작용으로 발생한 침식 모래가 배출부(120)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측면 하부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유실방지부(160,160')의 단면은 커버 구조체(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되, 쐐기형으로 제작되어지고, 재질은 금속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실방지부(160,160)가 자중에 의하여 바닥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기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구동수단(400)에 의하여 이동시에 보다 효과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중공부(200)의 단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공부(200)가 스크류 형상을 지니도록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내면에 스크류 홈(170)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홈(170)에 의하여 중공부(200)는 스크류 형상을 지니며, 이로써 유수의 흐름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유도가 가능한바, 바닥에 대한 침식을 보다 활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배출부(120)에는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도록 수문(190)이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수문(190)은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개폐되어지되, 유수의 흐름이 육지 방향을 향할 때는 개방되어지고, 유수의 흐름이 수중 방향을 향할 때는 닫혀지도록 구성한다. 이로써, 모래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문(190)은 상부에 경첩을 두어 개폐되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가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결속되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 구조체(100)의 외벽부(140,140')에 결합돌부(141) 또는 결합요부(142)가 형성되어 인접한 커버 구조체(100)의 결합요부(142) 또는 결합돌부(141)와 각각 끼움 결속되어질 수도 있으나, 그 외에도 와이어가 상기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를 관통하도록 결속하거나, 다양한 방식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인접한 커버 구조체(100)를 결속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가 일체로 결속되어지면, 상기 커버 구조체(100)가 이동시에 바닥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다만, 개수가 지나치게 증가할 경우 바닥과의 마찰 증가로 이동이 어려울 수 있는바, 작업 환경에 따라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의 개수를 유연하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와이어 연결구(180)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와이어 로프(300)의 양 단부와 연결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로프(300)는 상기 커버 구조체(100)와 연결시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복수 개가 결속시, 모든 커버 구조체(100)의 와이어 연결구(180)에 일일이 상기 와이어 로프(300)을 연결할 수도 있으나, 양 측면의 커버 구조체(100)의 와이어 연결구(180)에만 연결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다만, 상기 와이어 로프(300)에는 양 단부에 복수 개의 가닥선을 형성하여 개별 커버 구조체(100)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구동수단(4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나, 상기 구동수단(400)은 육지에 설치되는 권상기(410)와 수중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레(421)가 구비되어진 고정구조체(42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 로프(300)가 상기 권상기(410)와 고정구조체(420)의 고정도르레(421)에 감겨져 이동되어지는 것으로, 와이어 로프(300)에 의하여 연결되어진 커버 구조체(100)는 상기 권상기(410)의 작동방향에 따라서 수중 방향 또는 육지 방향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체(420)는 다양한 형상과 방식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근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상기(410)의 일측에는 보조도르레(411)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30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으며, 고정구조체(420)의 고정도르레(421)는 와이어 로프(300)가 방향전환되도록 기능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커버 구조체(100)가 육지 방향은 물론 수중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벤츄리 효과를 통한 복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이동의 목적이 복원위치를 변경하기 위함이지 벤츄리 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며, 벤츄리 효과는 유수의 흐름만으로도 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복원방법(M)은 침식으로 인한 해안이나 하안의 복원 위치를 선정하는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 청구항 1항 내지 10항의 이동식 구조물(S)을 설치하는 구조물 설치 단계(S200);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커버 구조체(100)를 구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 및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를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구조물(S)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는 공지의 수단을 통하여 복원이 필요한 지점을 파악하고, 위치와 범위를 부표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설치 단계(S200)는 커버 구조체(100)와 상기 커버 구조체(100)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300) 및 상기 와이어 로프(30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의 구성을 기본 단위로 하는 이동식 구조물(S)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의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바닥의 모래를 침식하고, 침식된 모래를 배출부(120)의 외부로 배출시켜 퇴적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상기 구동수단(400)의 작동방향에 따라서 수중 방향 또는 육지 방향으로 이동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S400)는 특정 위치의 바닥의 모래를 복원한 후에 다른 위치로 변경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 구조체(100), 와이어 로프(300) 또는 구동수단(400)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조물 설치 단계(S200)는 육지에 설치되는 권상기(410)와 수중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레(421)가 구비되어진 고정구조체(420)로 구성되어지는 구동수단(400)을 설치하는 구동수단 설치 단계(S210); 및 와이어 로프(300)를 상기 커버 구조체(100) 및 구동수단(400)에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 설치 단계(S210)의 상기 고정구조체(4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과 방식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근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도르레(421)는 고정구조체(420)에 구비되어지되, 수중에 잠기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 구조체(100)와 상기 고정도르레(421)의 각도가 상향될수록 상향력이 작용하여, 이동과정에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가 들뜰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 결속 단계(S220)는 상기 고정도르레(421) 및 권상기(410)에 와이어 로프(300)를 감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에 와이어 로프(300)를 결속하는 단계이다. 커버 구조체(100)에 와이어 로프(300)를 결속하는 과정은 작업의 효율상 육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 개의 커버 구조체(100)에 와이어 로프(300)를 연결할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를 결속하여 양 측면의 커버 구조체(100)에만 와이어 로프(300)를 연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유수 흐름 단계(S310); 및 상기 유수 흐름 단계(S310)와 동시에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구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 흐름 단계(S310)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침식 모래를 복원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유수 흐름 단계(S310)을 구체적으로 세분화시키면, 유수가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유입부(110)로 유입되어지는 유수 유입 단계(S311); 유입된 유수가 침식부(130)의 모래를 침식시키는 모래 침식 단계(S312); 침식된 모래와 유수가 상기 배출부(120)로 배출되어지는 유수 배출 단계(S313); 및 침식된 모래가 퇴적되는 모래 퇴적 단계(S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 흐름 단계(S310)의 유수 유입 단계(S311), 모래 침식 단계(S312), 유수 배출 단계(S313) 및 모래 퇴적 단계(S314)는 동시 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과정으로써, 순차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유수의 흐름에 따라 과정을 세분화하면, 상기와 같은 순차적 단계로 진행된다.
상기 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S320)는 육지 방향 또는 수중 방향의 양 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커버 구조체(100)에 하나의 와이어 로프(300)가 체결되어,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각도를 돌리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와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300)를 이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고정구조체(420)에 복수 개의 고정도르레(421)를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여 설치하거나 상기 고정구조체(420)로 부터 특정거리 이내에는 격번으로 커버 구조체(100)의 이동을 중단시키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S400)는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수중 방향으로 이송하는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 구동수단(400)의 권상기(410)를 고정구조체(42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시켜 배치하는 각도 변경 단계(S420); 및 상기 각도 변경 단계(S410)가 복수 회 반복된 이후에 상기 고정구조체(420)의 위치를 변경하는 고정구조체 변경 단계(S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커버 구조체(100)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S320)를 수행한 후에는 상기 각도 변경 단계(S420)를 수행하여야 하는바, 그 전에 커버 구조체(100)를 상기 고정구조체(420)를 향하도록 수중방향으로 이송하는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화살표는 이동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는 목적이 상이할 뿐, 수중 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에서 상기 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S320)와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커버 구조체(100)가 바닥과 접하는지 여부와 무관하다는 점에서 상기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는 이송 방법이 보다 자유롭다.
다만, 구동수단(400)으로 바지선을 이용하는 경우라면, 바지선을 이용하여 위치를 용이하게 옮길 수 있는바, 상기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가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에서 컴프레서를 이용한다면,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부양할 수 있는바,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이송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변경 단계(S420)는 구동수단(400)으로 권상기(410)와 고정구조체(420)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되는 단계로서, 상기 고정구조체(420)의 위치는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가 수중 방향 또는 육지 방향으로 진행하는 경로가 달라지도록 권상기(410)와 상기 와이어 로프(3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커버 구조체(100)에 하나의 와이어 로프(300)가 체결되어,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각도를 돌리면서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나,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와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300)를 이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바, 상기 각도 변경 단계(S420)는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 및 와이어 로프(300)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와 복수 개의 와이어 로프(300)를 이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조체(420)의 고정도르레(421)도 복수 개 구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조체 변경 단계(S430)는 상기 고정구조체(420)로부터 작업이 가능한 영역의 복원이 마무리된 이후에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조체(420)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새로이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구조체(42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체(420)를 부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S:이동식 구조물 100:커버 구조체
110:유입부 111:유입유도부
112:챔퍼링부 120:배출부
121:배출유도부 130:침식부
140,140':외벽부 150:덮개부
160,160':유실방지부 170:스크류 홈
180:와이어 연결구 200:중공부
300:와이어 로프 400:구동수단
410:권상기 411:보조도르레
420:고정구조체 421:고정도르레
M:이동식 복원방법 S100:복원 위치 선정 단계
S200:구조물 설치 단계 S210:구동수단 설치 단계
S220:와이어 결속 단계 S300:유실 모래 복원 단계
S310:유수 흐름 단계 S311:유수 유입 단계
S312:모래 침식 단계 S313:유수 배출 단계
S314:모래 퇴적 단계 S320: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
S400: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 S410: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
S420:각도 변경 단계 S430:고정구조체 변경 단계
110:유입부 111:유입유도부
112:챔퍼링부 120:배출부
121:배출유도부 130:침식부
140,140':외벽부 150:덮개부
160,160':유실방지부 170:스크류 홈
180:와이어 연결구 200:중공부
300:와이어 로프 400:구동수단
410:권상기 411:보조도르레
420:고정구조체 421:고정도르레
M:이동식 복원방법 S100:복원 위치 선정 단계
S200:구조물 설치 단계 S210:구동수단 설치 단계
S220:와이어 결속 단계 S300:유실 모래 복원 단계
S310:유수 흐름 단계 S311:유수 유입 단계
S312:모래 침식 단계 S313:유수 배출 단계
S314:모래 퇴적 단계 S320: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
S400: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 S410: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
S420:각도 변경 단계 S430:고정구조체 변경 단계
Claims (14)
-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구조물(S)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구조물(S)은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커버 구조체(100)와 상기 커버 구조체(100)에 연결되는 와이어 로프(300) 및 상기 와이어 로프(300)를 구동하는 구동수단(400)으로 구성되어지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길이 방향 양 단부가 개방되어 유입부(110)와 배출부(120)가 각각 마련되어지되, 하부에는 침식부(130)가 개방되어지도록 마련되어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유입부(110)측으로 단면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내부에는 유수가 흐르는 중공부(200)가 일체로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지는 한 쌍의 외벽부(140,140')와 상기 외벽부(140,14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50)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한 쌍의 외벽부(140,14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돌부(141) 또는 결합요부(142)가 형성되어 인접한 커버 구조체(100)의 결합요부(142) 또는 결합돌부(141)와 각각 끼움 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140,140')의 결합돌부(141)는 하부에 폭이 좁아지는 결합가이드부(141a)가 형성되어 결합요부(142)에 용이하게 끼움 결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배출부(120)의 단부에는 높이가 일정하도록 형성되어 배출유도부(121)가 마련되어지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유입부(110)측에는 유입유도부(111)가 길이 방향의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유입유도부(111)의 하부측 모서리에 챔퍼링부(112)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폭 방향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유실방지부(160,160')가 수직되게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00)의 단면은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중공부(200)가 스크류 형상을 지니도록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내면에 스크류 홈(17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배출부(120)에는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도록 수문(19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는 복수 개의 커버 구조체(100)가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결속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와이어 연결구(180)가 구비되어, 각각 상기 와이어 로프(300)의 양 단부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구동수단(400)은 육지에 설치되는 권상기(410)와 수중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레(421)가 구비되어진 고정구조체(420)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300)가 상기 권상기(410)와 고정구조체(420)의 고정도르레(421)에 감겨져 이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 해안이나 하안의 침식으로 인한 유실 모래를 복원하기 위한 이동식 복원방법(M)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복원방법(M)은 침식으로 인한 해안이나 하안의 복원 위치를 선정하는 복원 위치 선정 단계(S100);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이동식 구조물(S)을 설치하는 구조물 설치 단계(S200);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는 커버 구조체(100)를 구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이동시켜, 유실 모래를 복원하는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 및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를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식 구조물(S)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S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설치 단계(S200)는,
육지에 설치되는 권상기(410)와 수중에 설치되는 고정도르레(421)가 구비되어진 고정구조체(420)로 구성되어지는 구동수단(400)을 설치하는 구동수단 설치 단계(S210); 및
와이어 로프(300)를 상기 커버 구조체(100) 및 구동수단(400)에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 단계(S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 모래 복원 단계(S300)는,
유수가 상기 커버 구조체(100)의 유입부(110)로 유입되어지는 유수 유입 단계(S311);
유입된 유수가 침식부(130)의 모래를 침식시키는 모래 침식 단계(S312);
침식된 모래와 유수가 상기 배출부(120)로 배출되어지는 유수 배출 단계(S313); 및
침식된 모래가 퇴적되는 모래 퇴적 단계(S314);
를 포함하는 유수 흐름 단계(S310); 및
상기 유수 흐름 단계(S310)와 동시에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구동수단(400)을 이용하여 육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버 구조체 이동 단계(S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위치 변경 단계(S400)는,
상기 커버 구조체(100)를 수중 방향으로 이송하는 커버 구조체 이송 단계(S410);
구동수단(400)의 권상기(410)를 고정구조체(420)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이격시켜 배치하는 각도 변경 단계(S420); 및
상기 각도 변경 단계(S410)가 복수 회 반복된 이후에 상기 고정구조체(420)의 위치를 변경하는 고정구조체 변경 단계(S4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실 모래 복원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703A KR101377443B1 (ko) | 2013-05-22 | 2013-05-22 |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7703A KR101377443B1 (ko) | 2013-05-22 | 2013-05-22 |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7443B1 true KR101377443B1 (ko) | 2014-03-25 |
Family
ID=5064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7703A KR101377443B1 (ko) | 2013-05-22 | 2013-05-22 |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744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5182A1 (ko) * | 2016-03-09 | 2017-09-14 | 조준호 | 표사제어용 블럭체 |
KR101949499B1 (ko) | 2018-07-03 | 2019-02-18 | 주식회사 나라에너지 |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3118A (ja) | 2000-06-30 | 2002-01-18 | Toshimitsu Komatsu | 底質移動制御方法 |
-
2013
- 2013-05-22 KR KR1020130057703A patent/KR1013774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13118A (ja) | 2000-06-30 | 2002-01-18 | Toshimitsu Komatsu | 底質移動制御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55182A1 (ko) * | 2016-03-09 | 2017-09-14 | 조준호 | 표사제어용 블럭체 |
KR101949499B1 (ko) | 2018-07-03 | 2019-02-18 | 주식회사 나라에너지 | 수력도약을 이용한 해안의 침식 및 모래 유실 방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7437B1 (ko) | 유실 모래 복원 고정식 구조체 유닛, 구조물 및 복원방법 | |
CN103993587A (zh) | 桥式江河潮汐水力风力联合发电长廊 | |
CN104775392B (zh) | 一种结合柔性植物消浪的潜堤堤顶结构 | |
WO2011157211A1 (zh) | 水动力自动清淤机 | |
CN1318702C (zh) | 河床与海床泥沙截留、促淤积防冲刷的装置 | |
CN105155464B (zh) | 一种用于沉排促淤加固的浮板装置 | |
GB2488809A (en) | Buoyant weir | |
KR101377443B1 (ko) | 유실 모래 복원 이동식 구조물 및 복원방법 | |
US6932539B2 (en) | Permanent and semi-permanent groyne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 |
KR101110188B1 (ko) | 파력감쇄용 블록 | |
CN104762921A (zh) | 避风港自动清淤结构 | |
CN104912028A (zh) | 一种圆形浮式防波堤 | |
RU144821U1 (ru) |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й водосброс плотины (варианты) | |
CN110080366A (zh) | 一种用于深层调蓄隧道水力排沙清淤的护底结构 | |
KR100657180B1 (ko) | 해안의 토사 침식 방지 구조물 | |
CN113987621A (zh) | 根据水阻力的拦污网设计方法 | |
JP4953125B2 (ja) | 長周期波低減対策構造物 | |
KR20140057783A (ko) | 동바리 구조 모래침식 방지 및 복원 공법 | |
CN111996984A (zh) | 兼具行洪、防洪的防汛装置及深潭浅滩构建方法 | |
CN108661021B (zh) | 江海近岸入海口源头垃圾拦截及收集系列控制系统 | |
JP2013053503A (ja) | 潮位差海水流発電装置 | |
CN101929144A (zh) | 一种围油廻水湾 | |
KR20110031515A (ko) | 복합 조지식 파력발전 장치 | |
KR100890029B1 (ko) | 수문 수납형 조력발전 방조제용 수로 | |
KR20090079572A (ko) | 파랑에너지 용출형 철근콘크리트 조립 말뚝식 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