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973B1 -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 Google Patents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973B1
KR100976973B1 KR1020100005680A KR20100005680A KR100976973B1 KR 100976973 B1 KR100976973 B1 KR 100976973B1 KR 1020100005680 A KR1020100005680 A KR 1020100005680A KR 20100005680 A KR20100005680 A KR 20100005680A KR 100976973 B1 KR100976973 B1 KR 10097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block
eco
overflow
friend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주)하이스콘
윤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스콘, 윤근수 filed Critical (주)하이스콘
Priority to KR102010000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의 습성이 고려된 효율적인 구조의 어도가 구비됨과 동시에 수중보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경제성 및 시공성을 제공하고 하천 생태계의 보존 및 복원을 이룰 수 있는 친환경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전면 벽부(10)와, 전면 벽부(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연장된 월류부(20)와, 월류부(2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후면 경사부(30)와, 양 측면부(40)가 구비되고, 후면 경사부(30)의 하단부와 월류부(20)의 후단부에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 개구된 제1 입구(32) 및 출구(22)와,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으로부터 전면 벽부(10)의 상부까지 형성된 바닥면(52)과, 출구(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후면 경사부(3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안내판(54)을 갖는 어도(50)가 전면 벽부(10), 월류부(20), 후면 경사부(30) 및 측면부(40)의 내측에 형성되고, 월류부(20)에서 후면 경사부(30)로 월류하는 하천수 중 일부가 어도(50)의 출구(22)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Fish way block using the nature of fish}
본 발명은 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의 습성이 고려된 효율적인 구조의 어도가 구비됨과 동시에 수중보 형태의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경제성 및 시공성을 제공하고 하천 생태계의 보존 및 복원을 이룰 수 있는 친환경 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보(洑) 또는 낙차공(落差工)과 같은 횡단구조물이 축조되고 있다. 이들은 하천수를 가두어 농업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이용하거나 하천의 종단경사를 완화하여 낙차에 의한 하상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있다. 특히 하천 횡단구조물 중에서도 수중보(水中洑)가 가장 많이 축조되고 있다. 수중보는 벽체가 수면에 잠입되도록 축조되어 하천수를 일정량 저장함과 동시에 하류측으로 계속적으로 흘려보내게 된다. 그러나, 수중보는 월류(越流)하는 하천수(이하, '월류수'라고 함)의 급격한 낙차로 인해 다른 횡단구조물과 마찬가지로 상,하류의 연속성을 단절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어와 같은 회귀성 어류를 포함한 각종 수중생물이 상류측으로 소상(疏上)하는 것을 방해하고, 갈수기에는 상,하류가 완전 단절되어 하천 생태계가 교란 및 파괴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천에 횡단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수중생물들이 상류측으로 소상하거나 하류측으로 강하(降下)할 수 있는 이동통로로서 어도(魚道)가 설치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어도는 완경사를 이루는 어도 구조물이 횡단구조물에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어도내의 유속을 완화하여 어류의 에너지 소모를 분배시킴으로써 상류측으로 소상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수중보의 한쪽에 경사가 완만한 수로를 형성하거나, 블록을 쌓아 계단형의 어도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어도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첫째, 약 10°이내의 완경사를 이루기 위해 어도 구조물이 횡단구조물의 후방으로 과도하게 연장된다. 구조물의 대형화로 인한 시공기간 및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어도 구조물이 손상된 경우에 개수 또는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둘째, 장마철 또는 여름철과 같이 하천의 유량이 풍부한 경우에는 어도 내의 유속이 빨라져서 물위로 도약하는 능력(도약력) 또는 헤엄치는 능력(유영력)이 떨어지는 어류들이 쉽게 소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어류가 어도 구조물을 통해 소상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조류, 야생동물 또는 사람들에게 쉽게 포획되기 쉽다. 그리고, 어도의 입구가 횡단구조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어류가 어도의 입구를 쉽게 발견하지 못하여 결국 소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시공성이 우수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공 및 유지보수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류의 습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어도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각종 수중생물이 쉽게 소상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천 생태계의 보존 및 복원을 이룰 수 있는 친환경 어도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전면 벽부(10)와, 전면 벽부(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연장된 월류부(20)와, 월류부(2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후면 경사부(30)와, 양 측면부(40)가 구비되고, 그리고, 후면 경사부(30)의 하단부와 월류부(20)의 후단부에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 개구된 제1 입구(32) 및 출구(22)와,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으로부터 전면 벽부(10)의 상부까지 형성된 바닥면(52)과, 출구(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후면 경사부(3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안내판(54)을 갖는 어도(50)가 전면 벽부(10), 월류부(20), 후면 경사부(30) 및 측면부(40)의 내측에 형성되고, 월류부(20)에서 후면 경사부(30)로 월류하는 하천수 중 일부가 어도(50)의 출구(22)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 경사부(30)는 제1 입구(32)의 상측에 상기 폭 방향으로 개구된 제2 입구(34)가 더 구비된다. 이때, 제2 입구(34)의 하측에 어도(50)의 바닥면(5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도판(56)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월류부(20)는 월류하는 하천수의 폭기작용을 위한 만곡부(24)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경사부(30)와 어도(50)의 바닥면(52)은 각각 30 ~ 60°의 경사각(α)과 15 ~ 25°의 경사각(β)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어도(50)의 바닥면(52)과 안내판(54)의 상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52a, 54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어도(50)는 갑각류 또는 수서곤충 등이 어도(50)의 바닥면(52)에서 안내판(54)으로 기어올라가거나 안내판(54)에서 월류부(20)로 기어올라가기 위한 미세요철부(58, 59)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세굴방지판(6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어도블록(1)의 측면부(40) 주위에는 이웃한 어도블록(1') 또는 횡단구조물과의 조립시공을 위해 형성된 고정볼트(82) 및 관통홀(83)이 더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어도블록은 수중보 형태의 하천 횡단구조물의 설치에 앞서 공장에서 미리 블록화되어 제작된다. 그리고, 어도블록 내부에 완만한 경사의 어도를 형성시킴으로써 전후방의 폭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횡단구조물을 개수 또는 보수하거나 다수의 어도블록을 횡으로 조립시공할 수 있어 시공기간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같은 이유로 어도블록의 해체 또한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은 월류수가 양분되어 후면 경사부와 어도를 따라 흐르게 되며, 월류수 유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한 양의 물이 어도를 따라 흐르게 된다. 그리고, 어류의 습성을 고려하여 형성된 제1 및 제2 입구를 구비하고, 각각을 통해 도약어류와 일반어류가 어도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어도의 바닥면이 완만하게 형성되어 어도 내의 유속이 크게 저하된다. 그리고, 어도가 블록 내부에 형성되어 어류가 소상하는 과정에서 포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각종 수중생물의 소상 효율이 크게 향상되고, 생태계의 보존 및 복원사업에 기여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어도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직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설치상태 및 월류수의 흐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있어서 어류의 소상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설치된 수중보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설치된 수중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설치된 수중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 어도블록의 구성]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어도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어도블록(1)은 수중보 형태의 하천 횡단구조물을 조립 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전면 벽부(10), 월류부(20), 후면 경사부(30) 및 양 측면부(40)가 구비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전면 벽부(10), 월류부(20), 후면 경사부(30) 및 측면부(40)의 내측에 어도(50)가 형성된다.
전면 벽부(10)는 하천에 잠입되어 일정 저수량 이상의 하천수가 월류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계된다. 또한 어도블록(1)의 무게,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폭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벽부(10)는 하천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을 고려하여 후방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월류부(20)는 전면 벽부(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연장 형성되어 상류측 강이나 하천수가 월류하는 곳이다. 그리고, 월류부(20)의 후단부에는 전면 벽부(10)의 폭방향으로 어도(50)의 출구(22)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월류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22)의 전방측이 상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만곡부(24)가 구비된다. 만곡부(24)는 폭기작용을 통해 월류수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특히 큰 비가 오거나 유량이 많아질 경우 대부분의 월류수를 후면 경사부(30)로 내보냄으로써 일정한 유량의 월류수가 어도(50)에 유입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후면 경사부(30)는 월류부(20)의 후단, 출구(22)의 후방측으로부터 어도블록(1)의 바닥까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월류수가 하류측으로 흐르게 된다. 후면 경사부(30)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30 ~ 60°범위의 경사각(α)을 갖는다. 그리고, 후면 경사부(30)의 하단부와 그 상측에는 전면 벽부(10)의 폭방향으로 개구된 어도(50)의 제1 입구(32)와 제2 입구(34)가 각각 구비된다.
측면부(40)는 이웃한 어도블록(1) 또는 다른 횡단구조물과의 조립시공을 위해 수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측면부(40)는 상술된 전면 벽부(10), 월류부(20), 후면 경사부(30)의 형상에 따라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외관을 갖는 어도블록(1)은 후면 경사부(30)가 약 30 ~ 60°범위의 경사각(α)을 가지므로 종래의 어도 구조물이 약 10°이내의 경사각을 갖는 것과 비교할 때, 전후방의 폭이 비교적 짧게 형성된다. 즉, 어도블록(1)의 수직단면은 기존의 보, 낙차공과 같은 횡단구조물의 수직단면과 비슷한 형태를 갖게 된다.
어도(50)는 어도블록(1)의 내측에 형성되어 각종 수중생물이 소상하거나 강하할 수 있는 이동통로가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어도(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제1 및 제2 입구(32, 34)와 출구(22)를 연통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바닥면(52), 안내판(54), 유도판(56) 및 미세요철부(58, 59)가 구비된다.
제1 입구(32)는 후면 경사부(3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치어, 뱀장어, 참게, 수서곤충 등도 쉽게 진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2 입구(34)는 제1 입구(32)의 상측에 해당하는 후면 경사부(30)에 형성된다. 제2 입구(34)는 연어, 송어와 같은 회귀성 어류와 같이 도약력 또는 유영력이 강한 어류가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출구(22)는 월류수의 일부가 유입되도록 월류부(20)의 후단부에 형성된다.
바닥면(5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으로부터 전면 벽부(10)의 상부까지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어도(50)의 바닥면(52)는 후면 경사부(30)보다 완경사인 약 15 ~ 25°범위의 경사각(β)을 갖는다. 그리고, 바닥면(52)에는 어도(50)에 유입된 월류수의 유속을 완화시키고, 어류 등이 하방으로 쉽게 미끌어지지 않도록 요철(5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요철(52a)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형태의 돌기 또는 홈일 수 있으며, 패턴화된 엠보싱 무늬일 수도 있다.
안내판(54)은 출구(22)로 유입된 월류수의 유속을 완화하고, 어도(50) 내의 어류 등이 출구(22)로 빠져나가기 위한 최종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안내판(5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후면 경사부(3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판(54)의 상면에는 바닥면(52)의 요철(52a)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요철(54a)이 형성된다.
유도판(56)은 제2 입구(34)로 진입하는 어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유도판(56)은 제2 입구(3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어도(50)의 바닥면(5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제1 입구(32)로부터 유입된 어류들이 바닥면(52)을 따라 출구(22)쪽으로 소상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52)과 접하는 부분에 다다를수록 바닥면(52)의 가로폭보다 점차 좁게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도판(5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52)과 대략 10°내외의 경사각(γ)을 갖는다. 한편, 유도판(56)의 상면에도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56a)이 형성되어 있다.
미세요철부(58, 59)는 갑각류 또는 수서곤충 등이 상류측으로 소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52)에서 안내판(54)으로 연장 형성된 미세요철부(58)와, 안내판(54)에서 월류부(20)의 상면으로 연장 형성된 미세요철부(59)가 구비된다. 미세요철부(58, 59)에는 갑각류와 수서곤충의 소상을 돕는 미세요철(58a, 59a)이 형성되어 있다.
세굴방지판(60)는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월류수에 의한 하천 바닥면의 침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어도블록(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도(50)의 하측에 양 측면부(40)를 관통하여 형성된 중공부(7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부(70)는 구조적 안정성이 허락되는 한도에서 그 크기를 최대한으로 하여 어도블록(1)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어도블록(1)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도블록(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어도블록 또는 다른 횡단구조물과의 조립시공을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82) 및 관통홀(83)이 측면부(40)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1)은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타설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도 있으나 제작의 용이성을 위해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를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천의 유량, 시공하고자 하는 수중보의 높이와 폭, 그리고 시공성 등을 고려하여 소형화 또는 대형화 제작이 가능하다.
[ 어도블록의 작용]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설치상태 및 월류수의 흐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어도블록(1)의 설치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어도블록(1)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시공하고자 하는 하천에서 조립시공된다. 이때, 도 3에서와 같이 어도블록(1)을 설치하기에 앞서 하천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층(2)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초 콘크리트층(2)은 어도블록(1)의 후방 단부가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맞춤돌기(2a)가 형성되고, 어도블록(1)의전면 벽부(10) 하단부에 볼트공(12)이 형성되어 기초 콘크리트층(2)에 볼트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에서 월류수의 흐름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보 형태로 시공된다. 전면 벽부(10) 전방의 상류측 하천수는 월류부(20)에서 월류하고, 도 3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양분되어 후면 경사부(30)와 어도(50)를 따라 하류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월류부(20)의 만곡부(24)는 폭기작용을 통해 월류수에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수질정화의 효과뿐만 아니라 특히, 큰 비가 오거나 유량이 많아질 경우 대부분의 월류수를 후면 경사부(30)로 내보내어 어도(50)에는 일정한 유량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당연히 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대부분의 월류수가 출구(22)로 통해 어도(50)로 유입되므로 본 발명의 어도블록(1)의 어도에는 유량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량과 유속이 유지된다.
출구(22)를 통해 어도(50)로 유입된 월류수는 먼저 안내판(54)과 충돌하게 된다. 이때, 월류수는 안내판(54)에 의해 휘돌이 되면서 유속이 대폭 감소된다. 그리고, 월류수는 완만한 경사의 바닥면(52)을 따라 흐르면서 유속이 더욱 감소된다. 한편, 후면 경사부(30)를 따라 흐르는 월류수의 일부가 제2 입구(34)로 유입됨에 따라 어도(50) 내의 유량이 증가되고, 어류의 소상을 돕는다.
마지막으로, 월류수는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에 형성된 세굴 방지판(60)에 충돌함으로써 하상세굴 없이 하류측으로 흐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에 있어서 어류의 소상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의 어도(50)는 각종 어류를 포함한 수중생물의 습성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어류의 경우 도약력 또는 유영력이 강한 어류와 약한 어류로 구분할 수 있다. 도약력 또는 유영력이 강한 어류(이하, '도약 어류'라고 함)로는 연어, 송어, 은어, 잉어 등이 있고, 도약력 또는 유영력이 약한 어류(이하, '일반 어류'라고 함)로는 각종 치어, 붕어, 피래미, 뱀장어 등이 있다. 이때,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도약 어류의 소상경로를 나타내고,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일반 어류의 소상경로를 나타낸다.
도약 어류 중에서 연어, 송어 등과 같은 회귀성 어류는 급류를 만나게 되면 물위를 뛰어오르는 습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회귀성 어류는 후면 경사부(30)의 후방에서 솟구쳐서 제2 입구(34)를 통해 어도(50)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잉어, 숭어 등과 같이 헤엄을 잘 치는 어류는 도약하지 않고서도 월류수를 거슬러 제2 입구(34)에 진입할 수 있다. 이때, 도약 어류가 후면 경사부(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입구(32)로 진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어도 블록(1)의 후방에서 물길을 탐색하게 되는 일반 어류는 제1 입구(32)를 통해 어도(50)로 쉽게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도(50)로 진입한 어류들은 후면 경사부(30)에 비해 완만한 경사를 갖는 바닥면(52)를 따라 소상할 수 있다. 이때, 어류들은 어도(50)에 유입된 유량이 적더라도 바닥면(52)에 형성된 요철(52a)에 의해 하방으로 미끌어지지 않고 소상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52)의 상단부는 어류들이 잠시 휴식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고, 출구(22) 하부에 위치한 안내판(54)으로 소상하게 된다. 이때, 안내판(54)에서는 월류수가 휘돌이되면서 유속이 급격하게 저하되기 때문에 어류가 잠시 대기하며 마지막 도약을 위한 여건을 제공한다. 그리고, 안내판(54)과 월류부(20)의 사이의 낙차가 아주 작기 때문에 일반 어류들도 월류부(20)를 넘어 상류측으로 소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참게, 가재 등과 같은 갑각류와, 물방개와 같은 수서곤충들도 어도(50)를 통해 상류측으로 소상할 수 있다. 갑각류와 수서곤충들은 물살이 비교적 약한 바닥면(52)의 양측을 따라 기어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어도(50)의 상부에 형성된 미세요철부(58, 59)를 이용하여 상류측으로 소상할 수 있다.
[ 어도블록의 설치예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한 어도블록(1')과의 조립시공을 위해 다수의 고정볼트(82)와 관통홀(83)을 구비한다. 그리고, 한 쌍의 관통홀이 형성된 연결부재(84)를 서로 이웃한 어도블록들(1, 1')의 고정볼트(82)에 끼우고 너트(86)로 체결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볼트가 구비된 연결부재(84')를 서로 이웃한 어도블록들(1, 1')의 관통홀(83)에 끼우고 너트(86)로 체결하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설치된 수중보의 일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1)은 도 6a에서와 같이 댐식 횡단구조물(A)의 중앙부에 1개가 설치되어 수중보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댐(A)을 도 6a와 같이 개수 또는 보수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처음부터 어도블록(1)을 이용하여 축조할 수도 있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설치된 수중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b는 기존의 수중보(B)를 개수 또는 보수하여 수중보(B)의 양단부에 어도블록(1)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어도블록(1)을 이용하여 축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는 하천의 가장자리 부분의 유속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어도블록(1) 주위로 어류가 쉽게 모일 수 있어 어류의 소상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블록이 설치된 수중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어도블록(1)을 이용하여 수중보를 축조한 사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예는 수중보 전체를 어도화할 수 있어 어류가 위치에 상관없이 어도에 진입할 수 있다. 이는 어류의 소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미리 제작된 어도블록(1)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직접 조립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기일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빠른 시공이 요구되는 하천 횡단구조물 공사에 적합하다.
1 : 어도블록
2 : 기초 콘크리트층 10 : 전면 벽부
20 : 월류부 22 : 출구
24 : 만곡부 30 : 후면 경사부
32 : 제1 입구 34 : 제2 입구
40 : 측면부 50 : 어도
52 : 바닥면 54 : 안내판
56 : 유도판 52a, 54a, 56a : 요철
58, 59 : 미세요철부 58a, 59a : 미세요철
60 : 세굴방지판 70 : 중공부
82 : 고정볼트 83 : 관통홀
84, 84' : 연결부재 86 : 너트
A : 댐 B : 수중보

Claims (9)

  1. 소정 높이와 폭을 갖는 전면 벽부(10)와, 상기 전면 벽부(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 연장된 월류부(20)와, 상기 월류부(20)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된 후면 경사부(30)와, 양 측면부(40)가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후면 경사부(30)의 하단부와 상기 월류부(20)의 후단부에 각각 상기 폭 방향으로 개구된 제1 입구(32) 및 출구(22)와, 상기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전면 벽부(10)의 상부까지 형성된 바닥면(52)과, 상기 출구(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 경사부(3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안내판(54)을 갖는 어도(50)가 상기 전면 벽부(10), 상기 월류부(20), 상기 후면 경사부(30) 및 상기 측면부(40)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월류부(20)에서 상기 후면 경사부(30)로 월류하는 하천수 중 일부가 상기 어도(50)의 출구(22)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경사부(30)는 상기 제1 입구(32)의 상측에 상기 폭 방향으로 개구된 제2 입구(3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구(34)의 하측에 상기 어도(50)의 바닥면(5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유도판(5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부(20)는 상기 월류하는 하천수의 폭기작용을 위한 만곡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경사부(30)와 상기 어도(50)의 바닥면(52)은 각각 30 ~ 60°의 경사각(α)과 15 ~ 25°의 경사각(β)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50)의 바닥면(52)과 상기 안내판(54)의 상면에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요철(52a, 54a)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50)는 갑각류 또는 수서곤충 등이 상기 어도(50)의 바닥면(52)에서 상기 안내판(54)으로 기어올라가거나 상기 안내판(54)에서 상기 월류부(20)로 기어올라가기 위한 미세요철부(58, 59)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경사부(3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세굴방지판(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블록(1)의 측면부(40) 주위에는 이웃한 어도블록(1') 또는 횡단구조물과의 조립시공을 위해 형성된 고정볼트(82) 및 관통홀(8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KR1020100005680A 2010-01-21 2010-01-21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KR10097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80A KR100976973B1 (ko) 2010-01-21 2010-01-21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680A KR100976973B1 (ko) 2010-01-21 2010-01-21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973B1 true KR100976973B1 (ko) 2010-08-20

Family

ID=4275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680A KR100976973B1 (ko) 2010-01-21 2010-01-21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66B1 (ko) 2010-03-31 2010-12-14 극동엔지니어링(주) 조립식 하천 수중보
KR20170067624A (ko) * 2015-12-08 2017-06-16 정문비 실뱀장어 포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32A (ja) * 1993-12-07 1995-06-20 Hokuetsu:Kk 多自然型魚巣付き低水位用護岸
JP2000352028A (ja) 1999-06-10 2000-12-19 Hitachi Zosen Corp 消波型防波ケーソン
KR200311153Y1 (ko) 2003-01-29 2003-04-23 (주)서경엔지니어링 물고기 이동통로가 구비된 계단식 하천 수중 구조물
KR100673984B1 (ko)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032A (ja) * 1993-12-07 1995-06-20 Hokuetsu:Kk 多自然型魚巣付き低水位用護岸
JP2000352028A (ja) 1999-06-10 2000-12-19 Hitachi Zosen Corp 消波型防波ケーソン
KR200311153Y1 (ko) 2003-01-29 2003-04-23 (주)서경엔지니어링 물고기 이동통로가 구비된 계단식 하천 수중 구조물
KR100673984B1 (ko)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의 경사진 바닥에 설치되는 어도 경사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66B1 (ko) 2010-03-31 2010-12-14 극동엔지니어링(주) 조립식 하천 수중보
KR20170067624A (ko) * 2015-12-08 2017-06-16 정문비 실뱀장어 포획장치
KR102130001B1 (ko) 2015-12-08 2020-07-03 주식회사 호도스이노텍 실뱀장어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4404B (zh) 一种在顺直河道中构建深潭浅滩的方法
CN104088260A (zh) 多级助驱式生态鱼道设施及其运行方法
KR100976973B1 (ko) 어류의 습성을 이용한 친환경 어도블록
KR101119972B1 (ko) 친환경 어도구조물
KR100913772B1 (ko)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KR100681338B1 (ko) 하천용 친환경 조립식 어도
KR20150109701A (ko)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KR100641823B1 (ko) 조립식 어도의 시공방법
KR102228790B1 (ko) 하천 보의 잠월류 어도
JP5726475B2 (ja) 垂直魚道ブロック
KR101136661B1 (ko) 어도블럭 조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566850B2 (ja) 杭を用いた床止め工法
KR100478900B1 (ko) 조립식 어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40048170A (ko) 양서류를 비롯하여 모든 동물들이 수로에 빠지거나 갖혔을 때에 탈출이 용이하도록 도와 주는 친환경 생태통로를 구성하는 친환경 공법
JP6429198B2 (ja) 魚道構造体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CN209798707U (zh)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JP4180218B2 (ja) 魚礁兼用消波用ブロック
KR20100111552A (ko) 유량손실을 방지하며 양 방향으로 상시 이동이 용이한 어도
KR100421059B1 (ko) 수중보 어도 블록
KR200244937Y1 (ko) 강이나 하천의 저수로에 돌 상자를 이용한 다단계 계단의 구조에 의해 물고기와 양서류 또는 파충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의 다단계 계단 겸용 침수방지 축대의 구조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100336583B1 (ko) 어소를 겸용하는 생태계 보호용 수로
KR20010102874A (ko) 환경 생태 통로 다리의 구성 방법
WO2002053843A1 (fr) Passe a poissons, et procede permettant d'assister a la remontee ou a la descente d'organismes aquat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