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79U -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 Google Patents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579U
KR20120001579U KR2020100008943U KR20100008943U KR20120001579U KR 20120001579 U KR20120001579 U KR 20120001579U KR 2020100008943 U KR2020100008943 U KR 2020100008943U KR 20100008943 U KR20100008943 U KR 20100008943U KR 20120001579 U KR20120001579 U KR 201200015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way
animals
bottom plat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희
Original Assignee
이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희 filed Critical 이민희
Priority to KR2020100008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579U/ko
Publication of KR20120001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농수로, 사면 배수로 등의 수로를 형성하되, 뱀, 개구리 등의 동물들이 수로에 빠졌을 때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기타 수생 동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수로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중앙바닥판(11); 제1외측벽체(12); 수로블록의 종방향 시작부에서 타측의 종결부로 가면서 상부가 하향 계단식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벽체(13); 제2외측벽체(14); 시작부와 종결부에서 상기 내측벽체(13)와 상기 제2외측벽체(14) 사이에 형성되는 마감벽(15); 상기 하향식 계단부의 수직면에서 내측벽체(13)와 제2외측벽체(14) 사이에 형성되는 격벽(16); 및 상기 마감벽(15)들과 제2외측벽체(14) 사이로 구획된 공간의 바닥에 존재하는 계단부 바닥판(1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향식 계단부 측면으로 형성된 격벽(16)들과 계단부 바닥판(17)과 제2외측벽체(14) 사이에는 계단생육공간(19)이 형성되는데, 상기 계단생육공간(19)에는 토사가 채워져서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기어올라 수로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계단이 형성됨과 동시에 동물들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형 수로블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Eco Bench Flume}
본 고안은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농수로, 사면 배수로 등의 수로를 형성하되, 뱀, 개구리 등의 동물들이 수로에 빠졌을 때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며 기타 수생 동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수로블록에 관한 것이다.
농수로나 사면 배수로 등의 수로를 형성할 때에, 많은 경우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ㄷ자 형 단면을 가지는 U자형 콘크리트 수로블록을 이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U자형 콘크리트 수로블록의 경우, 이에 의해 만들어진 수로내에 개구리나 뱀, 맹꽁이 등과 같은 작은 동물이나 곤충들이 들어갈 경우, 빠져나오지 못하고 죽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U자형 콘크리트 수로블록의 양측 벽체를 기울어지게 하여 수로의 단면이 역사다리꼴이 되도록 하거나, 동물의 이동을 유도할 목적으로 양측 벽체에 돌기를 형성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408826호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물의 이동을 유도할 목적으로 벽체에 경사지게 계단을 형성한 수로블록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사람의 입장에서 편의적으로 생각한 것으로서, 비록 계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였지만, 그 폭이 좁으며 경사진 계단은 단순히 콘크리트로만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에 익숙하지 않은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계단을 찾는 것은 순전히 우연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설사 동물들이 계단을 찾았다고 하더라도 동물이 계단을 기어오르게 할만한 어떠한 유인도 없는 상태이다. 특히, 동물들이 계단을 오를 때, 몸을 숨길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동물들은 불안감을 느끼게 되며, 따라서 이와 같이 단순히 벽체를 기울이거나 돌기를 형성하거나 단순한 계단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실질적으로 동물들이 수로에서부터 탈출하도록 하는 데는 효과적이지 못하다.
또한 종래의 수로블록은 콘크리트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록 여름철 등의 시기에 수로에 물이 흐를 때에 물고기 등이 서식하더라도, 알을 낳거나 새끼를 생육할 공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 같은 갈수기에는 동물이 서식할 공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 수로블록으로 이루어진 수로에는 실제로 물고기나 기타 동물들이 전혀 존재하지 않고 물만 흐르게 되는 삭막한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길이 방향 전, 후로 통상의 수로형성블록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물이 흐르게 되는 수로를 형성하되, 블록의 일측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승하는 계단을 형성하여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계단을 타고 올라가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계단에 토사 또는 자갈 등을 담을 수 있는 오목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동,식물이 생육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며, 수로블록의 일측의 바닥에도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토사가 퇴적되도록 함으로써, 동,식물이 생육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동물들이 계단을 올라갈 수 있도록 쉽게 유인할 수 있고, 또 동물들이 안심하고 계단을 올라가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생태 수로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종방향으로 시작부와 종결부에 각각 U자형 콘크리트 수로블록이 연결되어 수로를 형성하게 되는 수로블록으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앙바닥판; 상기 중앙바닥판의 횡방향 가장자리 일측에 세워져 형성되는 제1외측벽체; 상기 제1외측벽체에 마주하여 상기 중앙바닥판의 횡방향 가장자리 타측에 세워져 있되 수로블록의 종방향 시작부에서 타측의 종결부로 가면서 상부가 하향 계단식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벽체; 상기 내측벽체와 간격을 두고 상기 외측벽체와 나란하게 세워져 있는 제2외측벽체; 시작부와 종결부에서 상기 내측벽체와 상기 제2외측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감벽; 상기 하향식 계단부의 수직면에서 내측벽체와 제2외측벽체 사이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 및 상기 마감벽들과 제2외측벽체 사이로 구획된 공간의 바닥에 존재하는 계단부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향식 계단부 측면으로 형성된 격벽들과 계단부 바닥판과 제2외측벽체 사이에는 계단생육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계단생육공간에는 토사가 채워져서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기어올라 수로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계단이 형성됨과 동시에 동물들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형 수로블록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생태형 수로블록에서, 상기 내측벽체의 높이가 계단부 바닥판까지 낮아져 있는 부분에서 상기 계단부 바닥판 상면에는 토사가 담길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 블록에서는, 동물이 기어 올라가서 수로를 탈출할 수 있는 계단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계단은 단순히 콘크리트만으로 형성되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들이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 수로에 빠진 동물들을 수로 외부의 환경과 마찬가지로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계단으로 유도할 수 있어,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안전하고 쉽게 수로를 탈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수로블록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선 A-A에 따라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블록의 전후로 일반적인 수로형성블록이 연결되어 수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블록(1)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도 2의 선 A-A에 따라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에는 오목부(18)와 계단생육공간(19)이 비어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블록(1)이 사용되어 오목부(18)와 계단생육공간(19)에 토사 등이 채워져 식물이 자라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블록(1)의 전후로 일반적인 수로형성블록(100)이 연결되어 수로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블록(1)은,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는데, 물이 흐르는 방향(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앙바닥판(11)과, 상기 중앙바닥판(11)의 횡방향 가장자리 일측에 세워져 형성되는 제1외측벽체(12)와, 상기 제1외측벽체(12)에 마주하여 상기 중앙바닥판(11)의 횡방향 가장자리 타측에 세워져 있는 내측벽체(13)와, 상기 내측벽체(13)와 간격을 두고 상기 외측벽체(12)와 나란하게 세워져 있는 제2외측벽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방향으로 생태형 수로블록(1)의 시작부와 종결부에서 상기 내측벽체(13)와 상기 제2외측벽체(14)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마감벽(15)이 각각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마감벽(15)과 제2외측벽체(14) 사이로 구획된 공간의 바닥에는 계단부 바닥판(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벽체(13)는 그 높이가 시작부에서 종결부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낮아지게 된다. 즉, 내측벽체(13)의 상단 가장자리는 하향식 계단부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향식 계단부의 수직면에서 내측벽체(13)와 제2외측벽체(14)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격벽(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향식 계단부 측면으로 형성된 2개의 격벽(16)과 계단부 바닥판(17)과 제2외측벽체(14) 사이에는 계단생육공간(19)이 형성되는데, 상기 계단생육공간(19)에 토사나 자갈 등이 채우게 되면,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기어올라 수로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계단이 형성됨은 물론이고, 식물이 활착하고 동물들이 생육할 수 있는 장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동물이 기어오를 수 있는 계단의 형성과, 동식물의 생육 장소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계단생육공간(19)은 계단식으로 만들어져서 그 내부에 담겨지는 식생토나 자갈 등이 쉽게 유실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로를 흐르는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그로 인하여 계단생육공간(19)에 담겨 있던 식생토 등이 유실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내측벽체(13)의 높이가 계단부 바닥판(17)까지 낮아져 있는 부분에서 상기 계단부 바닥판(17) 상면에는 토사 등이 쌓일 수 있는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생태형 수로블록(1)의 시작부와 종결부에 각각 종방향으로 통상의 U자형 단면을 가지는 U자형 콘크리트 수로블록(2)이 연결되어 수로를 이루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생태형 수로블록(1)의 종방향으로 시작부와 종결부에는 각각 수로의 단면이 확장되어 있는 소켓부(21)와, 상기 소켓부(21)에 끼워지는 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생태형 수로블록(1)의 시작부에 끼움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종결부에 소켓부(21)가 형성되어 있으나, 소켓부(21)와 끼움부(22)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생태형 수로블록(1)은 종방향으로 통상의 U자형 단면을 가지는 U자형 콘크리트 수로블록(2)이 연결되어 수로를 이루게 되는데, 물은 본 고안의 생태형 수로블록(1)의 시작부는 물 흐름의 상류에 위치하고 종결부는 하류에 위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내측벽체(13)의 높이가 낮아진 위치에서는 수로의 폭이 확장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로를 따라 물이 흐를 때, 상류로부터 흘러오던 물이 내측벽체(13)의 높이가 낮아진 위치에 이르게 되면, 제2외측벽체(14) 방향으로도 흘러들어가게 되는데, 수로 폭의 확장에 의해 유속이 낮아지면서 흐르던 물에 포함되어 있던 토사 등이 오목부(18)에 자연스럽게 쌓이게 된다. 이렇게 오목부(18)에 쌓인 토사 등에는 수생식물들의 뿌리가 활착될 수 있게 되며, 동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활용된다. 물론 이와 같이 흐르는 물에 의해 오목부(18)에 흙 등이 침전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인위적으로 오목부(18)에 식생토나 자갈 등을 담아두고 식물을 식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오목부(18)는 동,식물의 유용한 식생공간으로서 활용된다. 특히,오목부(18)에 토사나 자갈 등이 담겨져 있게 되면, 겨울철과 같은 갈수기에도 동물들의 알이나 식물의 씨앗, 또는 동면하는 수생동물들의 생육공간으로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언급한 것처럼, 하향식 계단부 측면으로 형성된 격벽(16)들과 계단부 바닥판(17)과 제2외측벽체(14) 사이에 형성된 계단생육공간(19)에는 토사나 자갈 등이 채워지며, 이를 통하여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하고 동물들이 생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태형 수로 블록(1)에서는, 단순히 계단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들이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동물들은 삭막한 콘크리트 표면으로 이루어진 것보다는 식물이 식재되어 있는 부분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에서 확보하고 있는 공간을 이용하여 식물들이 자라게 하면, 수로에 빠진 동물들을 계단으로 쉽게 유도할 수 있게 되어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안전하고 쉽게 수로를 탈출할 수 있게 된다.
1: 생태형 수로블록, 11: 중앙바닥판, 12: 제1외측벽체,
13: 내측벽체 14: 제2외측벽체

Claims (2)

  1. 종방향으로 시작부와 종결부에 각각 U자형 콘크리트 수로블록(2)이 연결되어 수로를 형성하게 되는 수로블록으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중앙바닥판(11);
    상기 중앙바닥판(11)의 횡방향 가장자리 일측에 세워져 형성되는 제1외측벽체(12);
    상기 제1외측벽체(12)에 마주하여 상기 중앙바닥판(11)의 횡방향 가장자리 타측에 세워져 있되 수로블록의 종방향 시작부에서 타측의 종결부로 가면서 상부가 하향 계단식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벽체(13);
    상기 내측벽체(13)와 간격을 두고 상기 외측벽체(12)와 나란하게 세워져 있는 제2외측벽체(14);
    시작부와 종결부에서 상기 내측벽체(13)와 상기 제2외측벽체(14) 사이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감벽(15);
    상기 하향식 계단부의 수직면에서 내측벽체(13)와 제2외측벽체(14) 사이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격벽(16); 및
    상기 마감벽(15)들과 제2외측벽체(14) 사이로 구획된 공간의 바닥에 존재하는 계단부 바닥판(17)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향식 계단부 측면으로 형성된 격벽(16)들과 계단부 바닥판(17)과 제2외측벽체(14) 사이에는 계단생육공간(19)이 형성되는데, 상기 계단생육공간(19)에는 토사가 채워져서 수로에 빠진 동물들이 기어올라 수로 밖으로 나갈 수 있는 계단이 형성됨과 동시에 동물들을 유도할 수 있도록 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형 수로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체(13)의 높이가 계단부 바닥판(17)까지 낮아져 있는 부분에서 상기 계단부 바닥판(17) 상면에는 토사가 담길 수 있는 오목부(1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형 수로 블록.


KR2020100008943U 2010-08-26 2010-08-26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201200015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43U KR20120001579U (ko) 2010-08-26 2010-08-26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43U KR20120001579U (ko) 2010-08-26 2010-08-26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79U true KR20120001579U (ko) 2012-03-07

Family

ID=4617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943U KR20120001579U (ko) 2010-08-26 2010-08-26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5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62B1 (ko) * 2020-10-05 2021-03-05 이종록 외부로의 탈출과 식생 공간이 확보되는 수로
KR20220101232A (ko) * 2021-01-11 2022-07-19 최석배 아쿠아 로드 및 보행로를 구비하는 상업 공간 인테리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62B1 (ko) * 2020-10-05 2021-03-05 이종록 외부로의 탈출과 식생 공간이 확보되는 수로
KR20220101232A (ko) * 2021-01-11 2022-07-19 최석배 아쿠아 로드 및 보행로를 구비하는 상업 공간 인테리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1660462B1 (ko) 지그재그형 월류식 어도보 및 그 시공 방법
KR20150103826A (ko) 산발식 어도를 갖는 자연형 어도보 겸용 습지용 유지용수 공급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갖는 하천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101355112B1 (ko) 친환경 수로관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463754Y1 (ko) 동식물 및 조류서식용 보강블록
KR101112426B1 (ko) 친환경 생태보호 기능을 갖는 수로관
JP2001172941A (ja) 環境に配慮した水路用u形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223653B1 (ko) 여울목 및 수중 도랑을 구비한 다단 생태하천 수중보와 그의 시공방법
KR20080113147A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JP4190534B2 (ja) 誘導路形成用ブロック
CN209975296U (zh) 园林用防攀爬路缘构筑结构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200408872Y1 (ko) 조립식 개거 수로관
KR20060081452A (ko) 생태복원 수로관
CN107059770A (zh) 栖息地型生态堤岸系统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101044808B1 (ko)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KR100926296B1 (ko) 배수로 구조물
KR100678870B1 (ko) 배수로관
JP4065442B2 (ja) 生態系配慮型水路構造
KR200390488Y1 (ko) 배수로관
JP3040191U (ja) 自然生態系を考慮した水路用コンクリート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