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808B1 -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 Google Patents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808B1
KR101044808B1 KR1020100091879A KR20100091879A KR101044808B1 KR 101044808 B1 KR101044808 B1 KR 101044808B1 KR 1020100091879 A KR1020100091879 A KR 1020100091879A KR 20100091879 A KR20100091879 A KR 20100091879A KR 101044808 B1 KR101044808 B1 KR 10104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plate
waterway
water pip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100091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농경지, 토목공사지에 설치되는 수로관의 내측면에 경사진 탈출판은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탈출판은 경사판과 수평판이 교차하도록 다단 분리구성함은 물론 내측에 식생부재를 식재하여 탈출판 자체를 친환경 지면으로 형성하여 양서류 파충류 등이 데워진 콘크리트 바닥이 아닌 친환경 지면을 통해 탈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WATERWAY PIPE HAVING ESCAPE ROAD}
본 발명은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농경지, 토목공사지에 설치되는 수로관의 내측면에 경사진 탈출판은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탈출판은 경사판과 수평판이 교차하도록 다단 분리구성함은 물론 내측에 식생부재를 식재하여 탈출판 자체를 친환경 지면으로 형성하여 양서류 파충류 등이 데워진 콘크리트 바닥이 아닌 친환경 지면을 통해 탈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철도변과 법면 및 관개용에는 개방형수로가 형성된다. 상기 수로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동물이 한번 유입되면 빠져나가지 못하고 수로 내에서 갇혀 굶어 죽거나 말라죽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같이 수로에 빠진 동물을 탈출시키기 위해서 실용신안등록 제0240509호(2001.07.18. 등록)의 조립식수로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도록 수로관을 제공하되 수로관의 내부 측면에는 턱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탈출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건의 탈출로는 수로관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턱을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재료가 더 소요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물론 탈출로를 형성하기 위한 단턱부분을 중심으로 벽체의 두께를 조절하면 재료소모량을 절감시킬 수 있으나 이 역시 단턱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거푸집을 제조하여야 함으로 투자비용이 증대되는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 수로를 형성하는 수로관의 양측벽 상부에 고정보를 설치하고, 탈출판의 일단을 고정보에 안치하고 타단을 수로저면에 안치하게 함으로써 수로관의 설계변형없이 탈출로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수로저면으로부터 외부까지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기 때문에 양서류 또는 파충류와 같이 비교적 작은 동물이 한번에 올라가기 힘든 구조를 갖고 있다. 물론 완만한 경사로 제공할 수 있으나 경사가 너무 완만하면 탈출판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는 수로관 제조시설을 사용하면서, 제조비용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탈출로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은,
수로관의 내측에 탈출판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원하는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게 하고, 탈출판의 중간부분에 평행판이 형성되도록 하여 양서류 또는 파충류 이동시 쉬었다가 갈수 있게 하는 친환경적인 수로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출판에 식생부재를 식재하여 양서류 및 파충류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한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은,
관개용, 도로용 또는 토목공사용 수로를 형성하는 상부가 개구된 개방형 수로관에 있어서, 탈출로를 형성하는 탈출판을 수로관 내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탈출판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분리하고, 분리된 중간에 수평판을 배치하여 경사판과 수평판과 경사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경사진 탈출판을 구성함으로써 수로관을 탈출하는 작은 동물이 중간 수평판에서 휴식을 취한 다음 오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수로관 내측벽에 다수 형성된 너트공과; 상기 탈출판의 측면으로 회전가능하게 돌출된 볼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로관의 내측벽과 접하는 탈출판의 측면에는 결합대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가 결합대를 삽통하여 너트공에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출판의 폭방향 양측에는 단턱을 형성한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단턱사이의 내면에는 식생부재가 식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은,
수로관 내측벽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이에 탈출판을 결합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사용되는 벤치플룸관, 측구수로관, 환경수로관, 개거수로관 등의 제조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시설투자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작은 동물이 이동되는 탈출로를 제공하는 탈출판도 길이방향으로 다수 구획하여 중간에 수평면을 제공함으로써 이동하는 동물이 중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탈출판의 내측면에는 식생부재를 식재하여 양서류나 파충류와 같이 열에 민감한 동물이 풀을 밟고 탈출하도록 하여 탈출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1과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출판과 수로관의 결합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공의 다양한 설치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분리된 탈출판 및 연결판의 설치예를 도시한 개략도 및 사시도.
도 1과 2은 본 발명에 따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관개용, 도로용 또는 토목공사용 수로를 형성하는 상부가 개구된 개방형 수로관에 있어서, 탈출로를 형성하는 탈출판(20)을 수로관 내측벽(11)에 경사지도록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수로관(10)과 탈출판(20)의 착탈가능한 결합수단(30)으로는 수로관 내측벽(11)에 형성된 너트공(31)과, 탈출판(20)을 삽통하여 상기 너트공에 결합되는 볼트(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공(31)은 수로관 양생과정에서 수로관의 내측에 미리 너트(33)를 삽설하여 수로관의 양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너트(33)의 일면이 수로관의 내측면에 표출되도록 함으로써 양생 후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공(31)을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볼트(32)는 외면에 너트공 내면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공과는 나사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32)가 탈출판을 삽통하여 너트공(31)에 체결됨으로써 탈출판(20)을 수로관 내측벽(11)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30)의 다른예로는 수로관 내측벽의 너트공 내주면과 볼트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산 대신 걸림턱과 후크를 형성하여 압밀에 의해 삽입된 볼트의 후크가 너트공의 걸림턱에 걸려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외의 결합수단으로는 탈출판과 일체로 형성된 결합봉을 탈출판 측면으로 길게 돌출하고, 상기 돌출된 결합봉을 너트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장입하여 결합봉이 결합공 내에 걸려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
또한, 볼트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탈출판(20)의 측면에는 결합대(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3을 참조한 바와같이 탈출판의 측면에는 수로관의 내측면과 접하는 결합대(2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대내에는 장공(211)이 형성되어 결합될 두 너트공(31) 사이의 간격차를 흡수하여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각 수로관에 형성된 너트공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제조하기 힘들기 때문에 탈출로 측면의 결합대 장공(211)에서 일정범위 내의 유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장공(211)이 형성된 결합대(21)를 볼트(32)가 삽통하여 수로관의 내측벽에 형성된 너트공(31)에 체결됨으로써 볼트체결에 의해 탈출판을 수로관 내측벽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탈출판(20)은 시멘트,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시멘트로 제조될 경우에는 상술된 결합대 바람직하게는 금속재질의 결합대를 탈출판과 일체로 형성되게 양생하여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탈출판은 작은 동물의 이동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비교적 중량이 큰 시멘트 양생에 의한 제조보다는 상대적으로 경량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수지로 탈출판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를 사용할 경우 사출이 용이하게 때문에 합성수지 자체에서 결합대를 형성하여 수로관으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제는 광조사 열에 경화되어 파손이 쉽게 이루어짐으로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금속재를 이용하여 탈출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재를 사용할 경우 측면을 절곡하여 접고 접은 면에 장공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재는 구조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탈출로를 형성하는 내면을 타공하여 경량화시킬 수 있으며, 우천시 배수공으로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즉, 판체를 사용하거나, 배수가 가능한 메쉬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탈출판(20)은 그 단면을 "U"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탈출판의 폭방향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단턱(22)을 형성하여 일측 단턱은 수로관의 내측벽과 접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타측 단턱은 작은 동물이 이동과정에서 다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벽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출판의 양측벽인 단턱(22) 사이에는 식생부재(40)가 식재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재는 탈출판의 탈출경로에 식재되어 양서류 파충류등이 이동간에 데워진 탈출판에 의해 말라죽는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광조사량이 높은 시간에는 물에 잠기지 않은 탈출판(20) 표면이 가열된다. 가열된 탈출판 표면을 양서류 또는 파충류가 통과하게 되면 피부에 화상을 입어 이동이 제한되고 결국 말라죽게 된다. 따라서, 탈출판의 표면에 식생부재를 식재함으로써 식생부재에서 자라난 식물을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조사량이 높은 시간대에서 작은 동물의 탈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탈출판(20)을 체결시키기 위한 너트공(31)을 수로관 내측벽(11)에 다수 형성하여 다양한 각도로 탈출판(20)의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한 바와같이 수로관 내측벽(11)에 X자 형태로 너트공(31)을 형성하여 탈출판의 설치방향을 우상향 또는 좌상향으로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도 6을 참조한 바와같이 수로관 내측벽에 너트공(31)을 다수열과 행으로 형성하여 탈출판(20)을 다양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탈출판(20)을 길이방향으로 다수 분리 구성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탈출판(20)은 경사판(23)와 수평판(24)을 교차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수로관(10) 내측 바닥면에는 경사판(23)을 형성하고 높이 방향의 중간부분에는 수평판(24)을 연결하고, 수평로의 타단에는 다시 수로관 상부까지 경사판(23)을 형성하여 작은 동물이 수로관으로부터 탈출시 한번에 오르지 않고 중간에 휴식을 취한 다음 올라갈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출판(20)은 3개 부분으로 분리된 각 파트마다 수로관 내측벽과 최소 2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해야된다. 따라서, 수로관 내측벽(11)에도 상기 분리된 경사판(23) 및 수평판(24)을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너트공(31)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공은 도시된 바와같이 수로관 내측벽 중간 높이에 수평으로 최소 2개를 형성하여 탈출판의 수평판이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평판(24)의 양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각각 일정경사를 갖도록 최소 2개의 너트공을 직렬로 형성한다. 즉, 수평판의 양 단부에는 각각 상향과 하향경사를 갖는 너트공(31)을 형성하여 탈출판의 진행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도면의 왼쪽 하부에서 상향경사를 갖는 경사판(23)이 장착되면 중간에는 수평판(24)을 설치하고, 오른쪽에는 수평판의 단부로부터 상향경사를 갖도록 경사판(23)을 장착하여 수로관 내의 동물이 수로관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수평판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수평판 단부로부터 상향경사를 갖는 경사판을 설치하고, 오른쪽에는 수평판 단부로부터 하향경사를 갖는 경사판을 설치하여 상기예보다는 다른 방향으로의 탈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로관 상부에 위치하는 탈출판(20) 단부에는 수평으로 연결판(50)을 더 설치하여 탈출판을 올라온 동물이 수로관 외부의 지면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판(50)은 수로관 상부로 표출되는 탈출판(20)과 일체로 형성되게 하거나, 도 7과 도 8에서와 같이 수로관 내측벽에 별도의 너트공(31a)을 수평으로 형성하고 이에 설치되게 함으로써 탈출판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판(50)은 지면과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차단측벽(51)이 형성되어 탈출판을 따라 올라온 작은 동물이 다시 수로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10 : 수로관
11 : 내측벽
20 : 탈출판
21 : 결합대 22 : 단턱
23 : 경사판 24 : 수평판
211 : 장공
30 : 결합수단
31,31a : 너트공 32 : 볼트
33 : 너트
40 : 식생부재
50 : 연결판 51 : 차단측벽

Claims (5)

  1. 관개용, 도로용 또는 토목공사용 수로를 형성하는 상부가 개구된 개방형 수로관에 있어서,
    탈출로를 형성하는 탈출판을 수로관 내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탈출판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분리하고, 분리된 중간에 수평판을 배치하여 경사판과 수평판과 경사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경사진 탈출판을 구성함으로써 수로관을 탈출하는 작은 동물이 중간 수평판에서 휴식을 취한 다음 오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판은 폭방향의 양측에 단턱을 형성한 형태를 갖도록 하고, 상기 단턱 사이의 내면에는 식생부재가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과 탈출판의 결합수단으로는
    수로관 내측벽에 다수 형성된 너트공과;
    상기 탈출판을 삽통하여 상기 너트공에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로관의 내측벽과 접하는 탈출판의 측면에는 결합대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가 결합대를 삽통하여 너트공에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20100091879A 2010-09-17 2010-09-17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04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79A KR101044808B1 (ko) 2010-09-17 2010-09-17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879A KR101044808B1 (ko) 2010-09-17 2010-09-17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808B1 true KR101044808B1 (ko) 2011-06-29

Family

ID=4440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879A KR101044808B1 (ko) 2010-09-17 2010-09-17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738A (ko) 2018-09-07 2020-03-1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KR102222562B1 (ko) 2020-10-05 2021-03-05 이종록 외부로의 탈출과 식생 공간이 확보되는 수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583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파라 감량화된 지지체를 가진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1390A (ko) * 2002-11-11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축 고정장치
KR200361583Y1 (ko) * 2004-06-01 2004-09-14 박성현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200441390Y1 (ko) 2007-04-24 2008-08-13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KR20090096085A (ko) * 2008-03-07 2009-09-10 임태승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583A (ko) * 2002-01-15 2003-07-22 주식회사 파라 감량화된 지지체를 가진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1390A (ko) * 2002-11-11 2004-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축 고정장치
KR200361583Y1 (ko) * 2004-06-01 2004-09-14 박성현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KR200441390Y1 (ko) 2007-04-24 2008-08-13 주식회사 제일에코텍 수로관용 생태보호구
KR20090096085A (ko) * 2008-03-07 2009-09-10 임태승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738A (ko) 2018-09-07 2020-03-1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KR102222562B1 (ko) 2020-10-05 2021-03-05 이종록 외부로의 탈출과 식생 공간이 확보되는 수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808B1 (ko)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233647B1 (ko) 관수장치를 구비한 식생옹벽구조
KR101036257B1 (ko) 논두렁 보호장치
KR100544053B1 (ko) 건축단지 내 잔디 구간의 블록 구조
KR100807771B1 (ko) 잔디블럭 구조물
AU2011100491A4 (en) Root Barrier
KR100773488B1 (ko)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KR101868974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1766918B1 (ko) 수로관용 가변형 탈출유도장치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JP2004218269A (ja) スロープ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CN113789795A (zh) 一种公路边坡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209816818U (zh) 一种用于公路的防风固沙生态毯
KR20120001579U (ko) 식생구역이 형성된 친환경 수로블록
KR100772155B1 (ko) 친환경 동물 보호를 위한 이동통로를 갖는 배수로
CN208675868U (zh) 一种梯田组合结构
KR100993620B1 (ko) 신도시 공원의 조립식 생태계 보도
KR200395563Y1 (ko) 배수로의 생태통로
KR20200021348A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CN205305502U (zh) 应用于坡面结构的燕巢绿化构筑槽
KR100910550B1 (ko) 다용도 슬릿구
KR102455207B1 (ko) 암거형 생태통로용 관 및 이를 이용한 양서류를 위한 생태통로 조립체
KR100789938B1 (ko) 생태계 보호용 수로관
CN220666252U (zh) 一种基于公路边坡挡土组件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