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738A -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738A
KR20200028738A KR1020180107251A KR20180107251A KR20200028738A KR 20200028738 A KR20200028738 A KR 20200028738A KR 1020180107251 A KR1020180107251 A KR 1020180107251A KR 20180107251 A KR20180107251 A KR 20180107251A KR 20200028738 A KR20200028738 A KR 20200028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upport
support member
waterwa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2700B1 (ko
Inventor
이종은
민병하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7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27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2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2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는, 기 설치된 수로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벽 지지부와, 상기 측벽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측벽의 상단을 감싸면서 결합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 지지부의 상단이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벽 결합부로 이루어져 서로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몸체부재; 일단이 서로 다른 상기 몸체부재의 상기 제1 결합공에 각각 결합되어 각 상기 몸체부재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지지부재; 높이가 서로 같고 이웃하는 양쪽 상기 몸체부재의 각 지지부재에 양단이 결합되어 수평탈출로를 형성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보다 낮은 높이의 이웃하는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각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경사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로의 바닥에서 상기 상단까지 이어진 탈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부재, 경사부재, 지지부재, 및 몸체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기 설치된 대형 수로를 훼손하지 않고 사람이나 동물이 용이하게 수로를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제작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PREFABRICATED WATERWAYS-ESCAPE APPARATUS FOR WILD ANIMALS}
본 발명은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치된 대형 수로를 훼손하지 않고 수평부재, 경사부재, 지지부재, 및 몸체부재를 조립하여 사람이나 동물이 용이하게 수로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농수로(일반적으로 3m 이상의 폭, 2m 이상의 높이)에 빠져서 탈출하지 못해 죽는 토끼나 고라니 등의 동물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대형 농수로는 특별한 탈출로 설치 기준 또는 지침이 없어 탈출로의 설치 의무는 없으나, 동물 보호 차원에서 농수로에 갇혀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동물을 위한 탈출로 설치 요구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뿐만아니라 사람이 갇혀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 탈출로를 설치하는 노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4808호에는 탈출로는 구비한 수로관이 개시된다. 이는 탈출로를 형성하는 탈출판을 수로관 내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되, 탈출판은 길이방향으로 다수 분리하고, 분리된 중간에 수평판을 배치하여 경사판과 수평판과 경사판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경사진 탈출판을 구성함으로써 수로관을 탈출하는 작은 동물이 중간 수평판에서 휴식을 취한 다음 오를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수로관과 탈출판의 결합수단으로 수로 내측벽에 다수의 너트공을 형성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 너트공을 설치한 콘크리트 내측벽이 부분적으로라도 깨지거나 하면 근접한 곳의 콘크리트도 같이 깨져서 그 근처에 다시 설치가 불가하며, 물살이나 풍압 등에 의해 탈출로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 설치된 수로를 훼손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구조가 매우 단순하고 부품수가 적어 조립 시간이나 제작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탈출 장치 기술이 요구되어 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4808호(공고일: 2011.06.29.)
본 발명의 목적은, 기설치된 수로의 내부로부터 사람이나 동물의 탈출이 미끄럼 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로 밖의 상황에 따라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립 설치가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설치된 수로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벽 지지부와, 상기 측벽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측벽의 상단을 감싸면서 결합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 지지부의 상단이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벽 결합부로 이루어져 서로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몸체부재; 일단이 서로 다른 상기 몸체부재의 상기 제1 결합공에 각각 결합되어 각 상기 몸체부재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지지부재; 높이가 서로 같고 이웃하는 양쪽 상기 몸체부재의 각 지지부재에 양단이 결합되어 수평탈출로를 형성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보다 낮은 높이의 이웃하는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각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경사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로의 바닥에서 상기 상단까지 이어진 탈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의 단부 영역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하향으로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각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의 단부 영역은, 절곡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하도록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각 상기 단부 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부 영역이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서로 맞닿는 접촉부의 일영역에는 제1 자성체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성체가 형성되어 임시 결합력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부 영역이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서로 맞닿는 접촉부의 일영역에는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임시 결합력을 갖게 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는, 사람이나 동물이 밟게 되는 중간 영역이 미끄러지지 않고 물이 쉽게 빠지도록 타공된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사람 및 동물의 추락방지를 위한 난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대가 각각 구비되고, 각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벽 결합부의 자유단 영역은,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방향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1/2 이상 길이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 결합부의 자유단 영역에는, 상기 측벽에 안정된 지지를 위해 상기 측벽에 밀착되되 하향하는 화살표 형태의 확대지지부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부재, 경사부재, 지지부재, 및 몸체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기 설치된 대형 수로를 훼손하지 않고 사람이나 동물이 용이하게 수로를 탈출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고, 제작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로 밖의 상황에 따라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부재 및 수평부재가 타공된 형상을 함으로써, 사람 및 동물의 이동 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고, 풍압에 의한 마찰이 줄어들며, 물 빠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의 타단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지지대에 마련된 와이어공에 와이어를 연결해주어 사람이나 동물이 탈출 경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가 각각 하나씩 설치될 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가 측벽에 결합된 상태의 첨단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b)는 도 2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가 측벽에 결합된 상태의 확대지지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수평부재 영역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의 (b) 및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경사부재 영역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의 (a), (b), (c), 및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접촉부의 임시 결합을 위한 다양한 응용을 도시한 응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가 각각 하나씩 설치될 때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도 1의 부호 'T' 참조)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2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가 측벽에 결합된 상태의 첨단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2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가 측벽에 결합된 상태의 확대지지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1)는, 수로에 빠진 사람이나 동물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수로의 측벽(2)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몸체부재(100)와, 일단이 서로 다른 몸체부재(100)에 각각 결합되어 각 몸체부재(10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지지부재(200)와, 높이가 서로 같고 이웃하는 양쪽 상기 몸체부재(100)의 각 지지부재(200)에 양단이 결합되어 수평탈출로를 형성하는 수평부재(300), 및 상기 수평부재(300)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200)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부재(300)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200)보다 낮은 높이의 이웃하는 지지부재(200)에 결합되어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는 경사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몸체부재(100), 지지부재(200) 등이 구비되는 바, 이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 1에 표시된 수평부재 A, 경사부재 B, C, D, 및 E를 기준으로, A, B, C, D, 및 E 중 인접한 두 개의 사이에 결합되는 구성은 '숫자 부호 + 알파벳 부호(도면을 기준으로 왼쪽 수평부재 또는 경사부재) + 알파벳 부호(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 수평부재 또는 경사부재)'로 표기하고자 한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일 왼쪽에 있는 몸체부재는 '100'과 '100ED'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제일 오른쪽에 있는 몸체부재는 '100'과 '100BC'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몸체부재(100)는, 소정의 너비와 폭을 갖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후술할 제1 결합공(111)이 형성됨에 문제없는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부재(100)의 단면 모양의 한정은 없지만, 측벽(2)에 닿는 면은 편평해야하고,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몸체부재(100)는, 내구성을 유지하도록 목재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인성을 가지기 위해 인광성의 안료 또는 형광성의 안료가 첨가되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재(100)는,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결합공(111)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고 측벽(2)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벽 지지부(110)와, 측벽 지지부(110)와의 사이에 측벽(2)의 상단을 감싸면서 결합되기 위한 수용부(121)를 형성하도록 측벽 지지부(110)의 상단이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벽 결합부(120)로 이루어진다.
즉, 수로 내측면에 수로 높이 방향으로 길게 밀착되는 측벽 지지부(110)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지점(124)에서 절곡되어 측벽(2) 상단에 밀착되고 제2 절곡지점(125)에서 다시 절곡되어 논이나 밭으로 된 지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측벽 결합부(1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측벽 지지부(110)의 상단이 다중 절곡되어 측벽 지지부(110)와의 사이에 수용부(121)가 형성됨으로써, 수용부(121)에 수로 측벽(2)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결합이 용이하게되며 결합력 또한 향상된다.
바닥(3)과 인접하는 측벽 지지부(110)의 단부에는, 바닥(3) 쪽으로 단면이 넓어지는 받침부(112)가 형성된다. 이는 측벽 지지부(110)가 물살로 인해 물살 방향으로 유동 되지 않도록 측벽 지지부(110)가 바닥(3)에 닿게 되는 면을 넓게 제작하여 바닥(3)을 단단히 지지하기 위함이며, 또한, 무게 중심이 측벽 지지부(1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몸체부재(100)가 측벽(2)에 설치되었을 때 안정감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측벽 결합부(120)의 자유단 영역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 방향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는 첨단부(122)가 구비될 수 있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에 안정된 지지를 위해 측벽(2)에 밀착되되 하향하는 화살표 형태의 확대지지부(12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삽입되는 길이는 측벽(2) 높이의 1/2 이상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부재(100)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제1 결합공(111)은, 지지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간격을 유지하여 다수개로 형성되되, 수평부재(300)가 결합되었을 때, 수평부재(300)의 상면과 측벽(2)의 상단이 동일면상에 있을 수 있도록 제1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경사부재(400)의 일단이 바닥(3)과 인접하게 설치되도록 제1 결합공(111)이 형성된다. 이는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가 바닥(3)에서부터 측벽(2) 상단까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사람 및 동물의 탈출 경로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결합공(111)의 형성 개수는, 몸체부재(100)의 개수와 함께 탈출 경로의 완만한 정도를 정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재(200)는,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부재(200)의 일단에는, 서로 다른 몸체부재(100)의 제1 결합공(111)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공(111)에 대응되는 제1 결합부(2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몸체부재(100)에는 하나의 지지부재(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제1 결합공(111)과 제1 결합부(220)는 나사결합이나 억지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부재(200)가 몸체부재(100)에 단단히 고정 및 지지되도록 다양한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타단에는, 난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대(500)가 끼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공(230)이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지지대(500)는, 제2 결합공(230)에 대응되는 제2 결합부(520)가 형성되고, 중간 부분에는 각 지지대(500)를 연결하는 와이어(W)가 관통되도록 와이어공(501)이 다수개 구비되어 사람 및 동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500)의 높이는, 대략 30 ~ 100cm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30cm 이하로 낮을 경우에는 고라니와 같은 큰 동물이나 사람의 추락이 우려되고, 100cm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 제조비용 상승 또는 지지부재(200)에 과한 압력을 과중 또는 풍압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략 30 ~ 100c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부재(200)에는, 수평부재(300) 또는 경사부재(400)의 하향 절곡된 단부 영역이 삽입되도록 삽입공(21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는, 사람이나 동물이 밟게 되는 중간 영역이 미끄러지지 않고 물이 쉽게 빠지도록 타공된 판으로 이루어지고,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의 단부영역에는, 삽입공(210)에 하향으로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310, 4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로 탈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몸체부재(100), 6개의 지지부재(200), 1개의 수평부재(300) 및 4개의 경사부재(400)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몸체부재(100)를 이격 간격을 둔 채 기 설치된 수로 측벽(2)에 설치한다. 여기서 이미 제작된 수평부재(300)와 경사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 간격을 조정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부(122)나 확대지지부(123)가 선택적으로 형성된 측벽 결합부(120)의 자유단을 논이나 밭으로 된 지면에 인접하는 측벽(2)에 결합시킨다.
몸체부재(100)가 설치되면, 몸체부재(100)의 일반적인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가진 받침부(112)가 수로 바닥(3)에 닿게 된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OE, 200ED, 200DA, 200AB, 200BC, 200CO)를 각 몸체부재(100)에 높이가 점차 높아졌다 낮아지게 설치한다. 이때, 바닥(3)에 인접하는 지지부재(200OE, 200CO)를 설치함으로써 물살이나 바람 등에 의해서 경사부재(400; C, E)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수평부재(300; A)를 중심으로 경사부재(400; B, C, D, E)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수로의 바닥(3)에서 측벽(2) 상단까지 이어진 탈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절곡부(310, 410)를 삽입공(2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수평부재(300)와 경사부재(400)가 유동되지 않도록 제2 고정수단으로 지지부재(200)와 각 절곡부(310, 410)에는, 볼트(b)와 너트(n)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공(31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지부재(200)의 타단에 지지대(500)를 설치하고, 지지대(500)에 마련된 와이어공(501)에 와이어(W)를 연결해주면, 사람이나 동물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난간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기 설치된 수로에 훼손 없이 각각의 몸체부재(100), 지지부재(200),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를 조립함으로써, 수로 바닥(3)에 위치한 사람이나 동물은 경사부재(400) 및 수평부재(300)를 밟고 걷거나 기어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재(400) 및 수평부재(300)가 타공된 형상을 함으로써, 사람 및 동물의 이동 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 설치된 수로에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제작 및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수평부재 영역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5의 (b) 및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의 경사부재 영역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의 (a), (b), (c), 및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접촉부의 임시 결합을 위한 다양한 응용을 도시한 응용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1)는,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의 양단이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는 점이나, 제1 실시예에서 필요한 최소 몸체부재(100)의 개수(x)에 비해 x-2개를 필요로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의 단부영역은, 타공된 판으로 이루어진 중간영역의 양단에서 고무재나 실리콘재와 같은 플렉시블 소재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수평부재(300)와 경사부재(400)를 구분하여 제작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즉, 수평부재(300) 및 경사부재(400)의 단부영역을 절곡한 상태로 지지부재(200)에 형성된 삽입공(210)에 끼워서 결합한다.
이때, 임시결합력을 갖도록, 도 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는 접촉부(ct)의 일영역에는 홈(g1, g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과 대응되는 돌기(s1, s2)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는 접촉부(ct)의 일영역에는 제1 자성체(m1)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1 자성체(m2)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성체(m2)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플렉시블 소재로 이루어진 단부 영역이 완전히 결합되기 전에 의도하지 않게 서로 이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안정된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결합수단은, 제1 실시예의 접촉부(ct)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시블 소재로 이루어진 경사부재(400, B)와 경사부재(400, C)가 접할 때 생기는 단턱 부분(P1)이 생김으로써, 사람 및 동물의 이동 시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3)에 인접하는 경사부재(400, C)의 자유단은 바닥(3)과 밀접하는 부분(P2)에 의해 작은 동물도 용이하게 경사부재(400)에 올라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기 설치된 대형 수로를 훼손하지 않고 수평부재(300), 경사부재(400), 지지부재(200), 및 몸체부재(100)를 조립하여 사람이나 동물이 용이하게 수로를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수로 밖의 상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1)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1)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2 : 측벽 3 : 바닥
100 : 몸체부재 110 : 측벽 지지부
111 : 제1 결합공 112 : 받침부
120 : 측벽 결합부 121 : 수용부
122 : 첨단부 123 : 확대지지부
124 : 제1 절곡지점 125 : 제2 절곡지점
200 : 지지부재 210 : 삽입공
220 : 제1 결합부 230 : 제2 결합공
300 : 수평부재 310 : 절곡부
311 : 볼트공 400 : 경사부재
410 : 절곡부 411 : 볼트공
500 : 지지대 501 : 와이어공
520 : 제2 결합부 ct : 접촉부

Claims (9)

  1. 기 설치된 수로의 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측벽에 수직방향으로 밀착되어 지지되는 측벽 지지부와, 상기 측벽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측벽의 상단을 감싸면서 결합되기 위한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측벽 지지부의 상단이 다중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벽 결합부로 이루어져 서로 거리를 유지하여 상기 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다수개의 몸체부재;
    일단이 서로 다른 상기 몸체부재의 상기 제1 결합공에 각각 결합되어 각 상기 몸체부재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지지부재;
    높이가 서로 같고 이웃하는 양쪽 상기 몸체부재의 각 지지부재에 양단이 결합되어 수평탈출로를 형성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평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부재보다 낮은 높이의 이웃하는 지지부재에 결합되어 경사진 탈출로를 형성하는 경사부재를 포함하고,
    각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경사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로의 바닥에서 상기 상단까지 이어진 탈출 경로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의 단부 영역은,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삽입공에 하향으로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각 상기 절곡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의 단부 영역은,
    절곡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끼워져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하도록 플렉시블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와 각 상기 단부 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수평부재 및 상기 경사부재가 상기 지지부재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이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서로 맞닿는 접촉부의 일영역에는 제1 자성체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자성체와 인력이 작용하는 제2 자성체가 형성되어 임시 결합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영역이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공에 삽입될 때,
    서로 맞닿는 접촉부의 일영역에는 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홈과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임시 결합력을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 및 경사부재는,
    사람이나 동물이 밟게 되는 중간 영역이 미끄러지지 않고 물이 쉽게 빠지도록 타공된 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에는,
    사람 및 동물의 추락방지를 위한 난간을 형성하도록 지지대가 각각 구비되고, 각 상기 지지대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결합부의 자유단 영역은,
    삽입이 용이하도록 삽입방향으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1/2 이상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결합부의 자유단 영역에는,
    상기 측벽에 안정된 지지를 위해 상기 측벽에 밀착되되 하향하는 화살표 형태의 확대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KR1020180107251A 2018-09-07 2018-09-07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KR102162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51A KR102162700B1 (ko) 2018-09-07 2018-09-07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251A KR102162700B1 (ko) 2018-09-07 2018-09-07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738A true KR20200028738A (ko) 2020-03-17
KR102162700B1 KR102162700B1 (ko) 2020-10-07

Family

ID=7000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251A KR102162700B1 (ko) 2018-09-07 2018-09-07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270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53A (ja) * 2004-09-01 2006-04-13 Impact:Kk 水路構造体
KR200425934Y1 (ko) * 2006-06-09 2006-09-12 황우갑 야생동물의 이동로가 형성된 수로
KR20090096085A (ko) * 2008-03-07 2009-09-10 임태승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KR20100048463A (ko) * 2008-10-31 2010-05-11 김승규 농수로용 친환경 생태 이동로
KR101044808B1 (ko) 2010-09-17 2011-06-29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281422B1 (ko) * 2010-12-16 2013-07-02 최선용 개방형 수로
KR20160139784A (ko) * 2015-05-28 2016-12-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로 탈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453A (ja) * 2004-09-01 2006-04-13 Impact:Kk 水路構造体
KR200425934Y1 (ko) * 2006-06-09 2006-09-12 황우갑 야생동물의 이동로가 형성된 수로
KR20090096085A (ko) * 2008-03-07 2009-09-10 임태승 수로관용 생태계 보호장치
KR20100048463A (ko) * 2008-10-31 2010-05-11 김승규 농수로용 친환경 생태 이동로
KR101044808B1 (ko) 2010-09-17 2011-06-29 주식회사 은성콘크리트 탈출로를 구비한 수로관
KR101281422B1 (ko) * 2010-12-16 2013-07-02 최선용 개방형 수로
KR20160139784A (ko) * 2015-05-28 2016-12-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로 탈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2700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3707B1 (en) Anchor device for a wooden post
US6598366B2 (en) Modular raised floor system with cable-receiving groove network
US20220241636A1 (en) Playground climber unit comprising one or more net-containing portions and/or one or more suspended tube portions
US20100276653A1 (en) Extruded Aluminum Rail
KR20200028738A (ko)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AU2010297972B2 (en) Electric fencing standard
KR100773488B1 (ko) 신도시 공원의 생태계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보행자 도로
NL2007963C2 (en) System for preventing a person to fall from a roof of a building and method for providing such a system.
US6810631B2 (en) Pool deck drain and safety fence support structure
KR101477754B1 (ko) 볼트공이 없는 무천공형 울타리용 지주
JP6268641B2 (ja) 農業用ハウス
US20220251871A1 (en) Securing device
JP3145084U (ja) 猪侵入防止柵
KR101843696B1 (ko) 펜스 고정 시스템
KR102650561B1 (ko) 안전 난간대
KR200490124Y1 (ko) 조립식 트레이
EP4202157A1 (en) Modular fence with dig protection
KR200335789Y1 (ko) 논두렁 구축용 블럭
KR200465986Y1 (ko) 블록설치용 식생 파레트
US20220316232A1 (en) Grid structure
KR10214427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로프용 울타리 간격 유지대
JP3738448B2 (ja) フェンス
JP3153367U (ja) 獣害防護フェンス用網状体
US20040232400A1 (en) Fence structure and its method of installation
NZ784839A (en) Sec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