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696B1 - 펜스 고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펜스 고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696B1
KR101843696B1 KR1020170163839A KR20170163839A KR101843696B1 KR 101843696 B1 KR101843696 B1 KR 101843696B1 KR 1020170163839 A KR1020170163839 A KR 1020170163839A KR 20170163839 A KR20170163839 A KR 20170163839A KR 101843696 B1 KR101843696 B1 KR 101843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plate portion
network
support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곤
Original Assignee
최해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곤 filed Critical 최해곤
Priority to KR102017016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주 및 제2 지주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펜스망을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고정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펜스망은,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망 및 복수의 세로망이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세로망 중 상기 제1 지주와 인접한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복수의 세로망 중 상기 제2 지주와 인접한 제2 세로망과 상기 제2 지주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세로망과 상기 제2 지주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가로망의 적어도 일부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세로망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동시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부의 외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연결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의 일측과 상기 제2 평판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굴곡부, 상기 제1 평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 평판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평판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평판부 및 제1 평판부의 타측과 상기 제3 평판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일측면은 상기 제1 평판부와 대향하며, 타측면은 상기 제3 평판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세로망은, 상기 제2 평판부와 상기 제3 평판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굴곡부에 안착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 사이를 통과하는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지주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펜스 고정 시스템{Fixing system for fence}
본 발명은 펜스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주 및 제2 지주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펜스망을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고정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전원도시나 아파트의 울타리 및 대형 작업장, 공장, 일반도로, 고속도로, 철도 등의 주변부를 외부와 분할시켜 주는 구조물로서, 종래의 펜스는 중공벽돌을 쌓아서 설치하는 재래식 방법과, 철재빔을 세우고 금속판을 용접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다수개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제작한 후 이들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용접하거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조립식 펜스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펜스는 펜스의 가장자리부에 고정용 지주를 횡으로 끼운 다음 이 지주의 상, 하 프레임과 지주에 체결밴드로서 고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지주에 펜스망을 걸고 다시 프레임에 펜스망을 고정볼트로 체결하여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감겨진 펜스망을 펼치면서 지주에 U형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지주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자에게 부담을 주고, 펜스망의 일부가 훼손되거나, 외력에 의해 형상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일체로 형성된 펜스망의 교체와 수선 등에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5904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에 펜스망을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외력에 취약한 펜스망의 구조를 보강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주 및 제2 지주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펜스망을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고정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펜스망은,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망 및 복수의 세로망이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세로망 중 상기 제1 지주와 인접한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복수의 세로망 중 상기 제2 지주와 인접한 제2 세로망과 상기 제2 지주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세로망과 상기 제2 지주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가로망 중 적어도 일부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세로망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동시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부의 외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연결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의 일측과 상기 제2 평판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굴곡부, 상기 제1 평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 평판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평판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평판부 및 제1 평판부의 타측과 상기 제3 평판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일측면은 상기 제1 평판부와 대향하며, 타측면은 상기 제3 평판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세로망은, 상기 제2 평판부와 상기 제3 평판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굴곡부에 안착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 사이를 통과하는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지주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2 평판부와 접촉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세로망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평판부와 이격되는 제2-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3 평판부와 접촉된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세로망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3 평판부와 이격되는 제4-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3 평판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과 상기 제2 평판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2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2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4-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굴곡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평판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굴곡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세로망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평판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2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4-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2 평판부와의 사이에 각각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제1 굴곡부의 높이는, 상기 제1 평판부, 상기 제2 평판부 및 상기 제3 평판부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세로망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제3 평판부는,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평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경로로의 진입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경로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제1 평판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1 관통홀 및 상기 제1-1 관통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1 관통홀 및 상기 제2-1 관통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1 관통홀은, 상기 제2-1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관통홀은, 상기 제2-2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1-1 관통홀 및 상기 제2-1 관통홀을 관통한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1 지주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지주로의 고정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면에 연결된 채, 인접한 제1 가로망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가로망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상기 제1 가로망의 자중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2 관통홀, 상기 제2-2 관통홀 및 상기 제3 관통홀을 관통한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회동부, 상기 제1 세로망이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를 연결하는 경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가 회동되어, 상기 제1 회동부의 테두리와 상기 제2 회동부의 테두리가 접촉되면, 상기 제1 연결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경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가 회동되어, 상기 제1 회동부의 테두리와 상기 제2 회동부의 테두리가 이격되면, 상기 제1 연결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에 펜스망을 설치 또는 해체함에 있어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외력에 취약한 펜스망의 구조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이 적용된 펜스망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연결부에 제1 세로망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 및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이 적용된 펜스망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1)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주(L1) 및 제2 지주(L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펜스망(F)을 제1 지주(L1) 또는 제2 지주(L2)에 고정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펜스망(F)은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망 및 복수의 세로망이 교차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1)은 제1 연결부(10), 제2 연결부(20), 지지부(30) 및 제1 커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0)는 복수의 세로망 중 제1 지주(L1)와 인접한 제1 세로망(M1)과 제1 지주(L1)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세로망(M1)과 제1 지주(L1)를 연결한다.
제2 연결부(20)는 복수의 세로망 중 제2 지주(L2)와 인접한 제2 세로망과 제2 지주(L2)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세로망과 제2 지주(L2)를 연결한다.
지지부(30)는, 제1 연결부(10)와 제2 연결부(20) 사이에 배치된 채, 복수의 가로망 중 적어도 일부의 자중을 지지한다.
제1 커버부(40)는, 제1 세로망(M1) 및 제1 연결부(10)에 동시에 연결된 채, 제1 연결부(10)의 외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 연결부(10)를 커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의 제1 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제1 연결부(10)에 제1 세로망이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 및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10)는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평판부(11), 제1 평판부(11)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평판부(12), 제1 평판부(11)의 일측과 제2 평판부(12)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굴곡부(14), 제1 평판부(11)와의 사이에 제2 평판부(12)가 위치하도록 제2 평판부(1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평판부(13) 및 제1 평판부(11)의 타측과 제3 평판부(13)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굴곡부(15)를 구비한다.
제2 평판부(12)는, 일측면은 제1 평판부(11)와 대향하며, 타측면은 제3 평판부(13)와 대향하게 배치된다.
간략히, 제1 평판부(11), 제2 평판부(12) 및 제3 평판부(13)는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 평판부(11)와 제2 평판부(12)는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는 평행하게 배치되거나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선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면접촉된 상태이어도 무방하다.
제1 굴곡부(14) 및 제2 굴곡부(15)는, 제1 세로망(M1)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제1 굴곡부(14)는, 제1 평판부(11), 제2 평판부(12) 및 제3 평판부(13)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굴곡부(14)는 제1 세로망(M1)에 안착된 채, 제1 세로망(M1)이 제1 지주(L1)에 연결된 채, 고정되도록 하는 부재로서, 최종적으로 제1 세로망(M1)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 때, 제1 평판부(11), 제2 평판부(12) 및 제3 평판부(13)보다 높게 형성된 제1 굴곡부(14)는, 제1 세로망(M1)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효과를 주어, 보다 안정적으로 제1 세로망(M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세로망(M1)은,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 사이를 통과하여 제2 굴곡부(15)에 안착되는 제1 경로 및 제2 평판부(12)와 제1 평판부(11) 사이를 통과하는 제2 경로를 통해 제1 굴곡부(14)에 안착된다.
제1 연결부(10)는, 제1 세로망(M1)이 제1 굴곡부(14)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제1 지주(L1)와 연결되어 제1 세로망(M1)과 제1 지주(L1)가 연결되도록 한다.
제3 평판부(13)는, 제2 평판부(12)와 접촉된 제1 위치(도 4 참조)에서, 제1 세로망(M1)과의 접촉에 의해 제2 굴곡부(15)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제2 평판부(12)와 이격되는 제2-1 위치(도 5 (a) 참조)로 위치 이동되어 제1 경로를 제공한다.
이 때, 제2 평판부(12)는, 제3 평판부(13)와 접촉된 제3 위치(도 4 참조)에서, 제1 세로망(M1)과의 접촉에 의해 제1 굴곡부(14)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제3 평판부(13)와 이격되는 제4-1 위치(도 5의 (a) 참조)로 위치 이동되어 제1 경로를 제공한다.
정리하면, 제1 세로망(M1)은 제1 경로를 통해 제2 굴곡부(15)에 안착되며, 이 때 제1 경로는 제3 평판부(13)의 제1 위치에서 제2-1 위치로의 위치 이동과 제2 평판부(12)의 제3 위치에서 제4-1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확보된다.
간략히, 제1 경로는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 사이에 삽입된 제1 세로망(M1)에 의해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가 이격되면서 생성된 공간이다.
이 때, 제3 평판부(13)의 제1 위치에서 제2-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과, 제2 평판부(12)의 제3 위치에서 제4-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3 평판부(13)는,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제2 평판부(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31)를 구비한다.
경사부(131)는, 제1 세로망(M1)의 제1 경로로의 진입 위치를 결정하며, 제1 세로망(M1)의 제1 경로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1 세로망(M1)의 제1 경로로의 진입을 위해, 제1 세로망(M1)을 경사부(131)와 제2 평판부(12)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한 후,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제1 세로망(M1)의 제1 경로로의 진입을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경사부(131)는 접촉된 상태의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 사이에 제1 세로망(M1)을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만약, 경사부(131)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접촉된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 사이로의 제1 세로망(M1)의 삽입은 어려울 수 있으며 나아가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외력에 의해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를 이격 시킨 후, 이격 공간 사이로 제1 세로망(M1)을 삽입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제1 경로는, 외력에 의해 진입한 제1 세로망(M1)에 의해 확보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부(131) 및 제2 평판부(12)와 접촉된 제1 세로망(M1)은, 경사부(131) 및 제2 평판부(12)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도록 하며, 이에 따라 확보된 공간으로 제1 세로망(M1)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3 평판부(13)는, 제1 세로망(M1)이 제1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제2 굴곡부(15)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2-1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도 5의 (b) 참조)된다.
또한, 제2 평판부(12)는, 제1 세로망(M1)이 제1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제2 굴곡부(15)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4-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도 5의 (b) 참조)된다.
여기서, 제2 굴곡부(15)는, 제1 세로망(M1)의 단면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 세로망(M1)이 안착되면, 제2 평판부(12) 및 제3 평판부(13)의 복원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제2 평판부(12)는 제4-1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제3 평판부(13)는 제2-1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제2 평판부(12)의 끝단은 제3 평판부(13)와 이격된 상태가 되어, 본 발명의 펜스 고정 시스템(1)의 해체 작업 시, 제1 세로망(M1)의 제2 굴곡부(15)로부터 외부로의 이탈 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굴곡부(15)에 안착된 제1 세로망(M1)은 이격된 제2 평판부(12)와 제3 평판부(13) 사이로 진입하여 제1 경로를 거꾸로 이동하여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제3 평판부(13)는, 상기 제1 세로망(M1)이 상기 제2 굴곡부(15)로부터 상기 제1 굴곡부(14)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2 평판부(12)와의 접촉에 의해 제2 굴곡부(15)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제1 위치에서 제2-2 위치(도 5의 (c) 참조)로 위치 이동되어 제2 경로를 제공한다.
제2 평판부(12)는, 상기 제1 세로망(M1)이 상기 제2 굴곡부(15)로부터 상기 제1 굴곡부(14)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제1 세로망(M1)과의 접촉에 의해 제1 굴곡부(14)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제3 위치에서 제4-2 위치(도 5의 (c) 참조)로 위치 이동되어 제2 경로를 제공한다.
정리하면, 제1 세로망(M1)은 제2 경로를 통해 제2 굴곡부(15)에서 제1 굴곡부(14)로 위치 이동되며, 이 때 제2 경로는 제3 평판부(13)의 제1 위치에서 제2-2 위치로의 위치 이동과 제2 평판부(12)의 제3 위치에서 제4-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의해 확보된다.
간략히, 제2 경로는 제1 평판부(11)와 제2 평판부(12) 사이에 삽입된 제1 세로망(M1)에 의해 제2 평판부(12)가 제1 평판부(11)로부터 이격되면서 생성된 공간이다.
이 때, 제2 평판부(12)가 제1 평판부(11)로부터 이격되면서, 탄성 변형(제1 굴곡부(14)를 기준으로 회동) 제2 평판부(12)에 의해 제3 평판부(13) 또한 탄성 변형(제2 굴곡부(15)를 기준으로 회동)된다.
참고적으로, 제1 경로는 제1 세로망(M1)과 접촉된 제2 평판부(12) 및 제3 평판부(13)에 의해 제공되며, 제2 경로는 제1 세로망(M1)과 직접적으로 접촉된 제1 평판부(11) 및 제2 평판부(12)와 제2 평판부(12)에 의해 회동되는 제3 평판부(13)에 의해 제공된다.
한편, 제2 평판부(12)의 제3 위치에서 제4-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과 제3 위치에서 제4-2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제2 평판부(12)는 제1 경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1 평판부(11)와의 이격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제2 경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제1 평판부(11)와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제3 평판부(13)는, 제1 세로망(M1)이 제2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제1 굴곡부(14)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2-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도 5의 (d) 참조)된다.
또한, 제2 평판부(12)는, 제1 세로망(M1)이 제2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제1 굴곡부(14)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4-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도 5의 (d) 참조)된다.
제1 굴곡부(14)는, 제1 평판부(11) 및 제2 평판부(12)와의 사이에 각각 제1 단차부(141) 및 제2 단차부(142)를 구비하여, 제1 세로망(M1)이 제1 굴곡부(14)에 안착되는 경우, 제1 세로망(M1)의 제1 굴곡부(14)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한다.
한편, 제1 평판부(1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1 관통홀(111) 및 제1-1 관통홀(11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 관통홀(112)을 구비한다.
제2 평판부(12)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1 관통홀(121) 및 제2-1 관통홀(121)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 관통홀(122)을 구비한다.
제1-1 관통홀(111)은, 제2-1 관통홀(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란, 나란하게 형성되어 직선 형태의 일부재에 의해 동시에 관통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제1-2 관통홀(112)은, 제2-2 관통홀(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란, 나란하게 형성되어 직선 형태의 일부재에 의해 동시에 관통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제1 세로망(M1)이 제1 굴곡부(14)에 안착되면, 제1-1 관통홀(111) 및 제2-1 관통홀(121)을 관통한 제1 체결부재(51)가 제1 지주(L1)에 고정되어 제1 세로망(M1)의 제1 지주(L1)로의 고정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0)는, 제1 체결부재(51)와 연결되는 베이스부(31) 및 베이스부(31)의 상측면에 연결된 채, 인접한 제1 가로망(N1)을 지지하는 받침부(32)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31)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 관통홀(311)을 구비한다.
받침부(32)는, 제1 가로망(N1)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제1 가로망(N1)의 자중을 지지한다.
지지부(30)는, 제1-2 관통홀(112), 제2-2 관통홀(122) 및 제3 관통홀(311)을 관통한 제2 체결부재(52)에 의해 제1 연결부(10)에 고정된다.
제2 연결부(20)는, 제1 연결부(10)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제2 연결부(20)에 관한 설명은 제1 연결부(10)에 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40)는, 제1 세로망(M1)이 연결된 제1 연결부(10)의 상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회동부(41), 제1 세로망(M1)이 연결된 제1 연결부(10)의 하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회동부(42) 및 제1 회동부(41)와 제2 회동부(42)를 연결하는 경첩부(43)를 구비한다.
경첩부(43)를 기준으로 제1 회동부(41)와 제2 회동부(42)가 회동되어, 제1 회동부(41)의 테두리와 제2 회동부(42)의 테두리가 접촉되면, 제1 연결부(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커버부(40)에 의해 제1 연결부(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 제1 연결부(10)는 비 또는 눈 등에 의한 수분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아, 수분에 의해 녹스는 것이 방지되고, 예기치 못한 외력에 의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첩부(43)를 기준으로 제1 회동부(41)와 제2 회동부(42)가 회동되어, 제1 회동부(41)의 테두리와 제2 회동부(42)의 테두리가 이격되면, 제1 연결부(10)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는, 제1 연결부(10)를 보완, 점검 및 교체하는 경우, 제1 연결부(10)를 보호하고 있는 제1 커버부(40)를 제1 연결부(10)로부터 해체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스 고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제1 지주 및 제2 지주 사이의 이격 공간에 펜스망을 설치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펜스 고정 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설치된 펜스 고정 시스템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설명을 역순으로 구현하여, 해체 작업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펜스 고정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5의 (a), (b), (c), (d) 순서로 제1 세로망을 이동시키며, 본 발명의 펜스 고정 시스템을 해체하기 위해서는, 도 5의 (d), (c), (b), (a) 순서로 제1 세로망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에서는, 펜스 고정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지주와 제2 지주 사이의 제1 세로망 및 제1 가로망을 기준으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설명하였으나, 펜스망은 복수의 세로망 및 가로망으로 구성된 바, 펜스망의 크기 및 구조에 따라 제3 연결부, 제4 연결부, 제n 연결부(n은 4보다 큰 자연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부 또한 제2 지지부, 제3 지지부, 제m 지지부(m은 3보다 큰 자연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부는 제1 연결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펜스 고정 시스템은,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L1: 제1 지주
L2: 제2 지주
M1: 제1 세로망
N1: 제1 가로망
F: 펜스망
1: 펜스 고정 시스템
10: 제1 연결부
20: 제2 연결부
30: 지지부
40: 제1 커버부

Claims (9)

  1.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지주 및 제2 지주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이격 공간을 차단하는 펜스망을 상기 제1 지주 또는 상기 제2 지주에 고정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펜스망은, 상기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망 및 복수의 세로망이 교차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세로망 중 상기 제1 지주와 인접한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복수의 세로망 중 상기 제2 지주와 인접한 제2 세로망과 상기 제2 지주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세로망과 상기 제2 지주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채, 상기 복수의 가로망 중 적어도 일부의 자중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제1 세로망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동시에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부의 외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연결부를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는 제1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평판부, 상기 제1 평판부의 일측과 상기 제2 평판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 굴곡부, 상기 제1 평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2 평판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2 평판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 평판부 및 제1 평판부의 타측과 상기 제3 평판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굴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일측면은 상기 제1 평판부와 대향하며, 타측면은 상기 제3 평판부와 대향하고,
    상기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의 단면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세로망은, 상기 제2 평판부와 상기 제3 평판부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굴곡부에 안착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평판부와 상기 제1 평판부 사이를 통과하는 제2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지주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세로망과 상기 제1 지주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2 평판부와 접촉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세로망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2 평판부와 이격되는 제2-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3 평판부와 접촉된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세로망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3 평판부와 이격되는 제4-1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1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3 평판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과 상기 제2 평판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2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1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2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4-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굴곡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평판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2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굴곡부로부터 상기 제1 굴곡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세로망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굴곡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2 위치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제2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2 평판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1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2 위치로의 탄성 변형 방향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2 경로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4-2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 이동되며,
    상기 제1 굴곡부는,
    상기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2 평판부와의 사이에 각각 제1 단차부 및 제2 단차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굴곡부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곡부의 높이는, 상기 제1 평판부, 상기 제2 평판부 및 상기 제3 평판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세로망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평판부는,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 평판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경로로의 진입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경로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판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1 관통홀 및 상기 제1-1 관통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평판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1 관통홀 및 상기 제2-1 관통홀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1 관통홀은, 상기 제2-1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2 관통홀은, 상기 제2-2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세로망이 상기 제1 굴곡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1-1 관통홀 및 상기 제2-1 관통홀을 관통한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1 지주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세로망의 상기 제1 지주로의 고정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와 연결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면에 연결된 채, 인접한 제1 가로망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가로망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여 상기 제1 가로망의 자중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2 관통홀, 상기 제2-2 관통홀 및 상기 제3 관통홀을 관통한 제2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세로망이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부의 상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회동부, 상기 제1 세로망이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부의 하부측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회동부 및 상기 제1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를 연결하는 경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가 회동되어, 상기 제1 회동부의 테두리와 상기 제2 회동부의 테두리가 접촉되면, 상기 제1 연결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경첩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회동부와 상기 제2 회동부가 회동되어, 상기 제1 회동부의 테두리와 상기 제2 회동부의 테두리가 이격되면, 상기 제1 연결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스 고정 시스템.
KR1020170163839A 2017-12-01 2017-12-01 펜스 고정 시스템 KR101843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39A KR101843696B1 (ko) 2017-12-01 2017-12-01 펜스 고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839A KR101843696B1 (ko) 2017-12-01 2017-12-01 펜스 고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696B1 true KR101843696B1 (ko) 2018-03-29

Family

ID=6190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839A KR101843696B1 (ko) 2017-12-01 2017-12-01 펜스 고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6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34Y1 (ko) 1998-07-23 2000-12-01 김복성 출입 통제표시용 휀스
KR200409296Y1 (ko) 2005-10-24 2006-02-24 (주)성아산업 펜스 고정구
KR101279719B1 (ko) 2011-04-07 2013-06-27 한승훈 철망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철망울타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34Y1 (ko) 1998-07-23 2000-12-01 김복성 출입 통제표시용 휀스
KR200409296Y1 (ko) 2005-10-24 2006-02-24 (주)성아산업 펜스 고정구
KR101279719B1 (ko) 2011-04-07 2013-06-27 한승훈 철망 고정용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철망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696B1 (ko) 펜스 고정 시스템
KR101110121B1 (ko) 조립식 차폐물
KR101568348B1 (ko) 평지와 경사로의 공용이 용이한 메쉬 펜스 및 이 시공 방법
KR101352058B1 (ko) 개별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천장판의 설치구조
JP2016089601A (ja) 通信用鉄塔の塗装工事に用いられる吊り足場および養生ネット設置装置
CN105672679A (zh) 临边洞口简易防护栏
KR200409296Y1 (ko) 펜스 고정구
KR102266784B1 (ko) 무천공 지주와 클립형 클램프를 이용한 메시형 울타리 및 이의 설치 자율 방향 시공 방법
KR200467513Y1 (ko) 무단횡단 방지 분리대
JP2004346681A (ja) 透光型防音壁への改修方法
JP6108512B1 (ja) 吊り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190085Y1 (ko) 건축용 안전망
KR102485371B1 (ko) 조립식 휀스
JP6408456B2 (ja)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KR20200056163A (ko)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JP7086789B2 (ja) 親綱支柱を備えた安全器具およびその設置方法
EP2028739A1 (en) Mounting cable baskets and the like
KR20190046469A (ko) 내진가대
JP5308931B2 (ja) カゴラー
KR200174157Y1 (ko) 포집식 낙석 방지망
JPH11210273A (ja) フェンス及びフェンスの施工方法
JP7168402B2 (ja) 接続金具、及びその接続金具を用いた防護柵
JP3333991B2 (ja) 採光装置
JP2003027727A (ja) ケーブル床下配線方法
ES2267325B1 (es) "dispositivo de sopor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