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163A -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163A
KR20200056163A KR1020180140145A KR20180140145A KR20200056163A KR 20200056163 A KR20200056163 A KR 20200056163A KR 1020180140145 A KR1020180140145 A KR 1020180140145A KR 20180140145 A KR20180140145 A KR 20180140145A KR 20200056163 A KR20200056163 A KR 20200056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upport
building
mov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012B1 (ko
Inventor
김성칠
박기찬
Original Assignee
현암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암건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암건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0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해체용 가림막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해체용 가림막을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에만 설치한 후 최상층이 해체되면 설치된 해체용 가림막을 다음 해체할 대상층으로 이동시켜 순차적으로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림막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Up-and-down moving module and up-and-down moving system of screen fence for demolishing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해체용 가림막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물해체용 가림막을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에만 설치한 후 최상층이 해체되면 설치된 해체용 가림막을 다음 해체할 대상층으로 이동시켜 순차적으로 철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림막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면서 노후된 기존 건물을 해체한 후 다시 새로운 건물을 짓거나 건물의 일정 부분만을 해체하여 보수하는 작업이 많이 행해지고 있다. 기존의 건물을 해체하는 공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해체작업 시 대부분의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소음을 유발하고 분진 등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건물의 해체 시 발생하는 콘크리트 파편이 주변으로 튈 경우 주변 건물이나 행인, 차량 등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해체작업은 매우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작업이다. 더욱이, 해체 대상이 되는 건물들이 도심지나 주택가 등에 위치하는 경우 건물의 해체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분진으로 인하여 주변 건물에 피해를 주며, 이에 대한 민원이 발생하여 공기지연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철거시에는 비개를 이용한 전면 가림막 설치를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고층건물에 대하여는 설치비용이 과다하고, 도심지에서는 설치공간 및 바람에 대한 안전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분진 및 건물 파편이 주변의 건물이나 사람 등에게 피해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건물면에 비개를 이용한 가림막을 설치하여 해체작업을 수행하지만, 가림막이 철거층을 완전히 에워싸는 형태가 아니어서 파편이나 소음 등이 새어나가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는가 하면, 또한 철거한 층의 가림막을 매층 철거시 마다 해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철거 대상 건축구조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안전하고 경제적인 새로운 공법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노후화된 고층건물을 상층에서 하층으로 순차적으로 해체를 하도록 된 건물해체공법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즉, 고층 건물이 상층을 해체한 후, 그 하부에 위치된 차 상위층을 해체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고층건물을 해체하도록 함으로써, 소음 및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된 공법들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 중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27860호(명칭: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방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에서는, 건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1지지대 상부에 지지기둥 및 측면해체막을 설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빔을 상기 지지기둥 또는 상기 측면해체막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측면해체막에 의해 둘러싸인 건물 부분을 해체한 후, 상기 제1지지대의 하측에 제2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빔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이드빔의 하측을 상기 제2지지대에 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지지대를 건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기둥 및 상기 측면해체막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지지대에 거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의 단계를 철거하고자 하는 고층건물의 높이에 맞추어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건물 해체공법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에서는 가림막 구조가 상하이동을 위한 실린더와 가이드빔, 측면가림막을 지지하는 가림막 지지기둥, 상면 가림막 및 가림막 구조의 지지을 위한 지지대로 구성되어 가림막구조의 상하이동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의 유압에 의해 가이드 빔(26)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제2지지대(40)의 거치부(41)에 지지케 하고, 제1지지대(10)를 해체하여 실린더 유압에 의해 지지기둥(22)을 제2 지지대 지지기둥 거치부(42)로 이동시켜 지지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다음 단계이동시에는 도면 6b와 같이 가이드빔 거치부(41)를 해체를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방법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특허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구성재의 무게가 무겁고, 승강수단으로 유압실린더까지 사용하여 경제성이 없음은 물론 전체적으로 너무 무거워져 자중이 클뿐 아니라 상하이동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실제 고층건물 해체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등록번호 제10-1027860호
본 발명자들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수의 연구결과 철거대상층에만 가림막을 설치하고 철거시공 후 다음하층으로 가림막을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거 시공시 최상층에 한 번 설치하면 최하층까지 반복 사용할 수 있고, 다음하층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가림막을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인력 감축 및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기간에 지상의 가림막 보관장소와 대형장비가 불필요한 구조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격화된 모듈로 구성되어 건물폭, 단면 모양, 양면벽체 형식 등에 비교적 제한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철거 대상건물의 해체가 끝나면 다른 철거대상 건물의 철거시공에 재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인 구조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본 발명은 해체대상 건물의 각 층을 이루는 바닥면 외벽 측으로 돌출시켜 일정 간격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단을 다수 쌍 포함하는 지지단부; 그 상부가 상기 지지단부 중 최상층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고정되어 상기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되는 상하이동지지부;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연결되어 가림막을 고정하는 가림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림막지지부; 및 상기 가림막지지부 및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는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3층 이상의 길이를 갖고 일정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부가로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인 n층 바닥면, n-1층 바닥면, n-2층 및 n-3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돌출되어 각 층마다 한 쌍씩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상기 세로지지부재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지지부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인 n층 바닥면 및 n-3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의해 상기 해체대상 건물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림막지지부는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n-1층 바닥면 및 n-2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의해 상기 해체대상 건물에 고정 설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재,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2개 이상의 전후바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후면과 그 전면이 연결 고정되고 그 전면에 상기 이동지지부재가 없는 위치에서 가림막을 고정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가림막지지부재, 상기 가림막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측면가림막부재, 및 상기 측면가림막부재 하부에 설치되는 하면가림막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는 상기 가림막지지부재 전면측으로 상기 가림막지지부재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상기 측면가림막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진비산방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진비산방지부재는 다수의 장방형 격자구조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격자구조에 설치된 공기정화필터, 상기 프레임을 상기 가림막지지부재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살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보다 짧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의 하부, 중간부 및 상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 및 상기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바에 수직하게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전후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지지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전후바와 그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상기 제1전후바와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부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전후바,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하부 사이 및 상기 제2전후바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평행하고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 측에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면가림막부재가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수평가로보, 및 상기 수평가로보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로보와 상기 하면가림막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면가림막지지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보다 짧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의 하단부, 하부, 중간부 및 상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4개의 수평바 및 상기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바에 수직하게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전후바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지지대의 중간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전후바와 고정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상기 제1전후바와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부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전후바, 상기 제2전후바와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대 하부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3전후바,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의 제2전후바가 형성된 위치, 상기 제1전후바와 고정되는 위치 및 상기 제3전후바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평행하고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 측에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면가림막부재가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수평가로보 및 상기 수평가로보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로보와 상기 하면가림막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면가림막지지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상부가로부재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포함된 한 쌍의 이동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수평바 중 가장 상부에 설치된 수평바와 연결되어 상기 가림막지지부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제1동작부재 및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포함된 한 쌍의 이동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수평바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바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하부가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제2동작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부재 및 제2동작부재는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도르래수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어느 하나의 건물해체용 상하이동 모듈을 다수개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물해체용 상하이동 모듈은 2개 이상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된다.
상술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은 철거 시공시 최상층에 한 번 설치하면 최하층까지 반복 사용할 수 있고, 다음하층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가림막을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며, 인력 감축 및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기간에 지상의 가림막 보관장소와 대형장비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은 규격화된 모듈로 구성되어 건물폭, 단면 모양, 양면벽체 형식 등에 비교적 제한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철거 대상건물의 해체가 끝나면 다른 철거대상 건물의 철거시공에 재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측단면모식도이고, 도 1b는 정면모식도이며, 도 1c는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 1d는 도 1c (a)에 도시된 상하이동지지부에 이동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모식도이고, 도 1e는 도 1c (b)에 도시된 가림막지지부재에 측면가림막과 하면가림막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모식도이며, 도 1f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지지부재 및 가림막지지부재의 정면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측단면모식도이고, 도 2b는 정면모식도이며, 도 2c는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 2d는 도 2c (a)에 도시된 상하이동지지부에 이동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모식도이고, 도 2e는 도 2c (b)에 도시된 가림막지지부재에 측면가림막과 하면가림막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모식도이며, 도 2f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지지부재 및 가림막지지부재의 정면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측단면모식도이고, 도 3b는 정면모식도이며, 도 3c는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 3d는 도 3c (b)에 도시된 가림막지지부재에 측면가림막과 하면가림막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모식도이며, 도 3e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지지부재 및 가림막지지부재의 정면모식도이다.
도 4a는 도 1a에 도시된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이 다수 포함된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이 해체대상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모식도이고, 도 4b는 도 3a에 도시된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이 다수 포함된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이 해체대상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이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이 상하 이동되는 원리를 보여주는 측면모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림막 구조의 상하이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일단 한 번 설치되면 철거 대상건물의 최상층에 설치한 가림막을 최하층까지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고, 해체하여 다른 철거대상 건물의 철거시공에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은 해체대상 건물의 각 층을 이루는 바닥면 외벽 측으로 돌출시켜 일정 간격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단을 다수 쌍 포함하는 지지단부; 그 상부가 상기 지지단부 중 최상층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고정되어 상기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되는 상하이동지지부;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연결되어 가림막을 고정하는 가림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림막지지부; 및 상기 가림막지지부 및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설치대상이 되는 해체대상 건물은 대체로 10층 이상의 고층건물일 수 있는데,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은 n층으로 하고 그 하층은 순차적으로 n-1층, n-2층, n-3층으로 정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n층은 해체대상 건물이 원래 30층 건물인 경우 처음에는 30층을 의미하지만, 철거시공이 시작되어 30층이 철거되면 당연히 29층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 남은 상태에서 건물의 최상층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구성을 도 1a 내지 도 1f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측단면모식도이고, 도 1b는 정면모식도이며, 도 1c는 측단면 분해도이다. 도 1d는 도 1c (a)에 도시된 상하이동지지부에 이동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모식도이고, 도 1e는 도 1c (b)에 도시된 가림막지지부재에 측면가림막과 하면가림막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모식도이며, 도 1f는 도 1a에 도시된 이동지지부재 및 가림막지지부재의 정면모식도이다.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10)은 지지단부(400), 상하이동지지부(100), 가림막지지부(200) 및 동작부(300)를 포함한다.
지지단부(400)는 해체대상 건물에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가림막 상하이동모듈(1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해체대상 건물의 각 층을 이루는 바닥면 외벽 측으로 돌출시켜 일정 간격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단을 다수 쌍 포함한다.
특히, 지지단부(4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인 n층 바닥면, n-1층 바닥면, n-2층 및 n-3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돌출되어 각 층마다 한 쌍씩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단 즉 제1고정지지단(410), 제2고정지지단(420), 제3고정지지단(430) 및 제4고정지지단(4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단부(400)에 포함된 다수의 고정지지단은 콘크리트 건물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고 그 외벽으로 돌출된 고정편에 고정된 건물해체용가림막 상하이동모듈(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요소를 채용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재활용을 위해 콘크리트 건물의 바닥면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닥판부재와 상기 바닥판부재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는 건물의 외벽으로 돌출되어 바닥판부재와 수직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나사결합을 위해 나사구멍이 형성된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하이동지지부(100)는 해체대상 건물의 외벽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단부(400)에 고정 설치되어 가림막지지부(200) 및 동작부(300)를 특정 대상층에 설치된 상태로 지지하여 고정할 뿐만 아니라 특정 대상층이 철거되면 그 하층으로 가림막지지부(200) 및 동작부(30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그 상부가 지지단부(400) 중 최상층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고정되어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된다.
상하이동지지부(100)는 해체대상 건물의 외벽에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0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가로부재(120) 및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부가로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지지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는 해체대상 건물의 외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 사이의 일정거리는 한 쌍의 고정지지단이 설치된 일정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세로지지부재(110)는 3층 이상의 길이를 갖는 관형 구조로서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일 구현예로서 그 단면이 사각형인 관형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세로지지부재(1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부가로부재(120) 및 하부가로부재(130)와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 측면 중 해체대상 건물과 인접하는 면에는 해체대상건물의 바닥면의 외벽에서 돌출되어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 즉 제4고정지지단(440)과 고정될 수 있는 지지편(111)이 형성되어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를 해체대상 건물의 외벽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지지편(111)은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하부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한 이동지지부재(210)의 하부지지단(215)이 제4고정지지단(440)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고정편(121) 또는 지지편(111)은 각각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와 상부가로부재(120) 또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와 건물에 설치된 고정지지단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결합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지지부재(110)는 실질적으로 하단부의 지지편(111)을 제외하면 해체대상 건물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되므로 가림막지지부(200)가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부가로부재(12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0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 사이의 일정거리보다 긴 길이를 갖는 관형 구조이며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일 구현예로서 그 단면이 사각형인 관형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상부가로부재(120)의 측면 중 해체대상 건물과 인접하는 면에는 해체대상건물의 바닥면의 외벽에서 돌출되어 각층마다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과 고정될 수 있는 한 쌍의 지지편(121)이 그 양단부측으로 형성되어 상부가로부재(120)를 해체대상 건물의 외벽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편(121)은 지지단부(400)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대응하여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지지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가로부재(120)의 측면 중 해체대상건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면을 이루는 면에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편이 고정될 수 있는 대응고정편이나 대응 나사구멍이 그 양단부 측으로 형성되어 상부가로부재(120)와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를 서로 수직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가로부재(13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00)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실질적으로 상부가로부재(130)와 그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하부가로부재(130)의 측면 중 해체대상건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면을 이루는 면에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편이 고정될 수 있는 대응고정편이나 대응 나사구멍이 그 양단부 측으로 형성되어 하부가로부재(130)와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를 서로 수직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고정시킨다는 점 및 한 쌍의 고정지지단과 고정될 수 있는 지지편이 그 양단부측으로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만 상이하다. 필요한 경우, 하부가로부재(130)와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는 탈부착가능하지 않고 일체로 고정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지지부(100)는 그 상부를 이루는 상부가로부재(120)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편(121)과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인 n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1고정지지단(410)이 고정되고, 상하이동지지부(100)의 하부 측에서도 해체대상건물과 고정되는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편(111)과 n-3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돌출되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제4고정지지단(440)이 고정되어 해체대상 건물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지지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가로부재(130)도 건물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건물의 구조에 적합하게 적절한 고정요소를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가림막지지부(200)는 상하이동지지부(10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체대상 콘크리트건물의 슬래브 및 벽체 해체시 발생되는 부스러기의 낙하 및 분진을 막는 구성요소로서, 상하이동지지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해체대상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재(210) 및 이동지지부재(210)에 연결되어 가림막을 고정하는 가림막지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림막은 측면가림막부재(230), 하부가림막부재(240) 및 분진비산방지부재(25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 구현예로서, 가림막지지부(200)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재(210), 이동지지부재(210)의 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2개 이상의 전후바에 의해 이동지지부재(210)의 후면과 그 전면이 연결 고정되고 그 전면에 이동지지부재(210)가 없는 위치에서 가림막을 고정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가림막지지부재(220), 가림막지지부재(220)에 설치되는 측면가림막부재(230), 및 측면가림막부재(230) 하부에 설치되는 하면가림막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림막지지부(200)를 구성하는 이동지지부재(210)는 건물의 3층 높이의 길이를 갖는 상하이동지지부(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가림막지지부(200)를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기만 하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일구현예로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세로지지부재(1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세로지지부재(110)가 중공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지지부재(210)는 일 구현예로서 도 1c 및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가림막지지부재(2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의 하부, 중간부 및 상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212) 즉 제1수평바(212a), 제2수평바(212b), 제3수평바(212c) 및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바 즉 제2수평바(212b)에 수직하게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전후바(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지지대(211)는 통형 또는 관형 구조로서 세로지지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갖기만 하면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일 구현예로서 세로지지부재(110)의 형태와 동일하도록 그 단면이 사각형인 관형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이동지지대(211)는 세로지지부재(110) 길이의 2/3 길이 이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지지부재(210)는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대(211)의 측면 중 해체대상 건물과 인접하는 면에는 해체대상건물의 바닥면의 외벽에서 돌출되어 각층마다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과 고정될 수 있는 지지편 즉 중간부지지편(214)과 하부지지편(215)이 각각 이동지지대(211)의 중심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이동지지대(211)를 해체대상 건물의 외벽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동지지대(211)에 형성되는 지지편 또한 지지단부(400)를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대응하여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어야 하므로 지지부재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림막지지부(200)는 이동지지부재(210)에 의해 해체대상 건물에 탈부착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해체대상 건물의 n-1층 바닥면 외벽 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제2고정지지단(420)의 지지부재와 중간부지지편(214)이 고정되고, n-2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제3고정지지단(430)의 지지부재와 하부지지편(215)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가림막지지부재(220)는 이동지지부재(210)에 연결되어 가림막을 고정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일 구현예로서 도 1c 및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221), 2개의 수평바(222), 한 쌍의 제2전후바(223), 2개 이상의 수평가로보(225, 226, 227), 및 하면가림막지지대(228)를 포함한다.
가림막지지대(221)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이동지지대(211)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전후바(213)와 그 하단부가 고정되고 이동지지부재(210)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한 쌍의 관형 구조로서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일 구현예로서 그 단면이 사각형인 관형 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전후바(223)는 이동지지대(211)와 가림이동지지대(211)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전후바(213)와 평행하게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221)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 상부와 고정되므로, 이동지지대(211)와 가림막지지대(221)를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동지지대(211)와 가림막지지대(221) 사이의 일정간격은 제1전후바(213) 및 제2전후바(223)의 길이와 동일하다.
2개의 수평바(222)는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221) 하부 사이 및 제2전후바(223)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어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221)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2개 이상의 수평가로보(225, 226, 227)는 수평바(222)와 평행하고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221) 전면 측에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데, 설치된 수평가로보 사이에 측면가림막부재(23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평가로보는 그 사이에 측면가림막부재(230)가 설치될 수 있는 프레임으로 작용할 수 있기만 하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지만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과 상면 중 하나 이상에 ㄷ자형 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하면가림막지지대(228) 수평가로보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로보와 평행하게 하면가림막부재(240)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하면가림막부재(240)를 고정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수평가로보와 그 길이가 동일하고 하면가림막부재(240)를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일 구현예로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형 구조를 갖는 받침대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측면가림막부재(230)는 2개 이상의 수평가로보(225, 226, 227)에 고정 설치되어 가림막해체대상 건물의 철거시공층 해체시 발생하는 소음, 콘크리트 파편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분진이 해체대상층의 범위를 벗어난 측면확산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측면가림막부재(230)는 전체적인 형상이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221)사이의 일정간격보다 긴 길이와 철거시공층을 가릴 수 있는 높이 및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가림막부재(230)는 일 구현예로서 제1측면가림막부재(230a)와 제2측면가림막부재(230b)를 포함하는데,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가림막부재(230a)는 제3수평가로보(227)와 제2수평가로보(226)를 상하부 프레임으로 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측면가림막부재(230b)는 제2수평가로보(226)와 제3수평가로보(225)를 상하부 프레임으로 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면가림막부재(230a) 및 제2측면가림막부재(230b)는 하나의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판상부재 및 연결부재로 구성되면 설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1개 이상을 제1수평가로보(225)와 제2수평가로보(226) 또는 제2수평가로보(226)와 제3수평가로보(227)에서 제거하여 바람이 통하는 통풍용 창문을 형성할 수 있어, 태풍을 포함하여 강한 바람이 불 때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된 가림막지지부(200)의 안정성을 강화할 수 있다. 판상부재의 경우, 그 외벽은 내구성이 좋은 유로폼 등으로 형성되어 반복사용이 가능하며, 내부에는 흡음제가 부착되어 해체 작업시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는 다수의 판상부재가 일정간격을 두고 제1수평가로보(225)와 제2수평가로보(226)사이 또는 제2수평가로보(226)와 제3수평가로보(227)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간격 보다 길게 형성되어 다수의 판상부재를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하면가림막부재(240)는 측면가림막부재(230)의 하부에 설치되어 해체대상층의 철거시공시 콘크리트 부스러기 등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막는 구성요소이므로 측면가림막부재(230)보다는 얇고 가벼운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하면가림막부재(240)는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로보 즉 제1수평가로보(225)와 그 하부에 이격되어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221) 전면에 설치되는 하면가림막지지대(228)사이에 삽입되어 고정설치되며, 하면가림막지지대(228)와 대향되는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접어지도록 설치되는 하면가림막부재(240)를 포함한다.
하면가림막부재(240)는 일 구현예로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면가림판(미도시), 받침대(242), 제2하면가림판(2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면가림판은 일단부가 제1수평가로보(225)와 하면가림막지지대(228)사이에 삽입되어 ㄱ자형 하면가림막지지대(228)에 얹혀지고 하면가림막지지대(228) 하부에서 볼트 등과 같은 접촉연결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판상부재이다. 받침대(242)는 제1하면가림판의 타단부측에서 그 하부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장방형 판상구조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후바(223)에 얹혀서 하면가림막부재(24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받침대(242)는 제1하면가림판에서 일체로 연장될 수도 있고 고정요소에 의해 탈부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연장형성 될 수도 있다. 제2하면가림판(241)은 그 일단부가 제1하면가림판의 타단부에서 제1하면가림판의 일단부측으로 접어지도록 타단부측에 고정 설치되고, 제2하면가림판(241)의 타단부는 해체대상 건물의 철거시공층에 걸쳐지는 구성요소로서 제1하면가림판보다 폭이 좁고 동일한 길이를 갖는 장방형 판상부재일 수 있다. 여기서, 제2하면가림판(241)은 제1하면가림판에 가림막지지부(200)측으로 접어질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기술적 구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일 구현예로서 제2하면가림판(241)은 제1하면가림판에 경첩과 같은 접이식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동작부(300)는 가림막지지부(200) 및 상하이동지지부(100)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로서, 가림막지지부(200) 및 상하이동지지부(100)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만 하면 공지된 모든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도르래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동작부(300)는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지지부(200)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제1동작부재(310) 및 상하이동지지부(100)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제2동작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동작부재(310) 및 제2동작부재(320)는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제1동작부재(310)가 가림막지지부(200)의 무게를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하강시키기 위해 2개 설치되고, 제2동작부재(320)는 1개 설치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동작부재(310)가 상부가로부재(120)의 중심에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이동지지부재(210)에 포함된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 사이에 설치된 수평바(212) 중 가장 상부에 설치된 수평바(212a)와 연결되어 가림막지지부(200)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동작부재(320)는 이동지지부재(210)에 포함된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 사이에 설치된 수평바(211)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바(212c)의 중심에 설치되고 하부가로부재(130)와 연결되도록 구현하면 상하이동지지부(100)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구성을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림막지지부(200)의 구조가 일부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가림막지지부(200)이 구성 중 변경된 구성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재(210)가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가림막지지부재(220)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의 하부, 중간부 및 상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212) 즉 제1수평바(212a), 제2수평바(212b), 제3수평바(212c)에 더하여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의 하단부에 제4수평바(212d)가 더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지지부재(210)에 제4수평바(212d)가 더 형성되는 것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재(210)와 가림막지지부재(22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이동지지부재(210)의 하단부와 가림막지지부재(220)의 하단부가 거의 차이가 없게 위치하도록 가림막지지부재(220)의 하부구조가 변경되어 더 길어졌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와는 달리 가림막지지대(221)가 이동지지대(211)의 중간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전후바(213)와 하단부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지지대(211)의 하단부와 가림막지지대(221)의 하단부가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연장형성되므로, 가림막지지부재(220)는 도 2c 및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가림막지지부재(220)구성에 이동지지대(211) 하부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3전후바(224)와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의 제3전후바(224)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수평바(222c)가 더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부재(210) 및 가림막지지부재(220)가 구현되면, 상하이동지지부(100)에 설치된 가림막지지부(200)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만, 동작부(300) 중 제2동작부재(320)는 이동지지부재(210)에 포함된 한 쌍의 이동지지대(211) 사이에 설치된 수평바(211)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바가 제3수평바(212c)가 아니라 제4수평바(212d)가 되어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4수평바(212d)의 중심에 설치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구성을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림막지지부의 상부에 분진비산방지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제외하면 다른 구성요소는 제2실시예에 따른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가림막지지부(200)의 상부에 더 설치되는 분진비산방지부재(250)의 구성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분진비산방지부재(250)는 해체대상건물의 상면을 둘러싸지 않은 상태에서도 건물해체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a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지지부재(220) 특히 가림막지지대(221)가 상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상부 전면측에서 가림막지지대(221)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장방형 판구조와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분진비산방지부재(250)의 경사각도는 분진비산방지부재(250)의 단면폭 및 해체대상 건물의 단면폭 중 하나 이상에 따라 결정되는데, 분진비산방지부재(250)의 단면폭 및 건물의 단면폭이 넓을수록 가림막지지대(221)와 이루는 각도가 크지 않고 즉 해체대상 건물 쪽으로 덜 기울고, 분진비산방지부재(250)의 단면폭 및 건물의 단면폭이 좁을수록 가림막지지대(221)와 이루는 각도가 커져서 해체대상 건물 쪽으로 분진비산방지부재(250)가 더 기울어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일구현예로서 분진비산방지부재(250)는 프레임(251), 공기정화필터(252) 및 고정부재(25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51)은 전체적인 형상이 가림막지지대(221)와 제2지지부재(112) 사이의 일정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장방형 구조로서, 그 사이에 통공된 다수의 장방형 격자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51) 또한 속이 빈 각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정화필터(252)는 프레임(251)의 격자구조 내부의 통공을 막도록 설치되어 철거시공시 발생하는 분진 중 옆으로 비산되는 분진에서 분진은 거르고 공기만 통과시켜 정화하는 구성요소로서, 공지된 공기정화용 필터이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으나 부직포와 나노섬유 등의 복합재질로 제작된 필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253)는 분진비산방지부재(250)가 가림막지지부재(220)와 일정각도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가림막지지부재(220) 전면에 분진비산방지부재(250)를 고정 설치하는 구성요소로서, 프레임(251)의 상부와 가림막지지부재(220)를 고정하는 케이블연결부재(253a)와 프레임(251)의 하부와 가림막지지부재(220)를 고정하는 접촉형연결부재(253b)를 포함한다. 케이블연결부재(253a)는 일단부가 가림막지지대(221)의 상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부가 각각 프레임(251)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일정길이를 갖는 2개 이상의 케이블로서, 일 구현예로서 케이블연결부재(253a)는 프레임(251)과 가림막지지부재(220)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면과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연결부재(253a)가 설치되면 가림막지지대(221)에 프레임(251)이 고정부재(253)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측단면이 직각삼각형을 이루는데, 이 경우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프레임(251)로 이루어진다. 접촉형연결부재(253b)는 프레임(251)의 하단부와 가림막지지부재(220) 즉 가림막지지대(221)를 각각 접촉시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여 공지된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살수기부재(254)는 철거시공시 수직으로 상승하는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해체대상층보다 적어도 1m이상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251)상단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된다. 살수기부재(254)는 살수관과 분사부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분사수압 및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필요한 경우 살수관은 프레임(251)를 이루는 각파이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분사부(254)는 프레임(251)의 상단부측에서 프레임(251)와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원거리분사기(254a) 및 프레임(251)의 상단부측에서 프레임(251)와 수직한 방향으로 그 전면측에 설치되는 근거리분사기(254b)를 포함하여 해체대상층을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살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특히, 원거리분사기(244a)는 해체대상 건물의 단면폭이 큰 경우(약40M이상)는 분진을 포집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254)는 살수시 가능한 미세하게 안개상태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분진포집을 보다 용이하게 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1)은 상술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같은 구조를 갖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10)을 다수개 포함하는 것으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대상 건물의 철거시공층만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1)은 건물의 넓이 및 형태에 따라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10)을 일정 개수로 포함하는데, 여기서, 상하이동지지부(100) 및 가림막지지부(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일정간격은 물론 측면가림막부재(230), 하면가림막부재(240) 및 분진비산방지부재(250)는 그 전체적인 길이가 동일한 예를 들어 7.5m인 모듈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필요한 경우 건물의 길이에 맞추어 5.5m인 모듈, 6m인 모듈 및 8m인 모듈을 포함하여 모듈마다 서로 다른 간격과 길이로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1)이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된 상태에서 해체대상층이 철거된 후 동작부(300)에 의해 상하이동지지부(100)와 가림막지지부(200)가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원리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10)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최상층인 n층에 설치된 한 쌍의 제1고정지지단(410)과 상하이동지지부(100)의 상부가로부재(1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n-3층에 설치된 한 쌍의 제4고정지지단(440)과 상하이동지지부(100)의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에 위치한 지지편(111)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설치되면서, 하부가로부재(130) 또한 건물의 구조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하이동지지부(100)의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림막지지부(200)의 이동지지부재(210)의 중간부가 n-1층에 설치된 한 쌍의 제2고정지지단(420)과 탈부착가능하게 고정설치되고, 이동지지부재(210)의 하단부가 n-2층에 설치된 한 쌍의 제3고정지지단(430)과 고정 설치되기 때문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대상 건물에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최상층인 n층에 대한 철거시공이 완료되면 먼저, 다음과 같이 가림막지지부(200)를 상하이동지지부(100)를 따라 한 층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고정지지단(420) 및 제3고정지지단(430)과 이동지지부재(2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제4고정지지단(440)과 상하이동지지부(100)의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 하단부의 지지편(111)과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지지편(111)을 세로지지부재(110)를 따라 하단부로 이동시켜 제4고정지지단(440)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시킨다. 그 후 제1동작부재(310)를 동작시키면, 이동지지부재(210)와 연결된 제1동작부재(310)에 의해 가림막지지부(200)가 상하이동지지부(100)를 따라 한 층 하부 즉 그 상부가 n-1층의 바닥면에 위치하고 그 하부가 n-3층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이동지지부재(210)의 중심부를 n-2층에 형성된 제3고정지지단(430)에 고정시키고 그 하부는 n-3층에 형성된 제4고정지지단(440)에 고정시키게 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지지부(200)의 하부가 최초 설치된 n-2층이 아니 n-3층에 설치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상하이동지지부(100)를 최초 설치된 층보다 하부 층으로 다음과 같이 이동시킬 수 있다. 최초 상하이동지지부(100)의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는 n-3층에 형성된 제4고정지지단(440)과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하이동지지부(100)가 그 다음 하층인 n-4층으로 내려가서 설치되기 위해서는 먼저 n-4층의 바닥면의 외벽에서 돌출되도록 한 쌍의 제5고정지지단(450)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그 후 n층에 형성된 제1고정지지단(410)과 상부가로부재(120)의 고정상태 및 제4고정지지단(440) 하부에서 별도의 고정요소에 의해 건물에 고정된 상하이동지지부(100)의 하부가로부재(130)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이동지지부재(210)에 설치된 제2동작부재(320)를 동작시키게 되면 하부가로부재(130)와 연결된 제2동작부재(420)에 의해 상하이동지지부(100)가 n-4층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이동지지부(100)가 n-4층으로 이동되면, 상부가로부재(120)는 n-1층에 형성된 제2고정지지단(420)에 고정시키고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지지편(111)과 n-4층에 형성된 제5고정지지단(450)를 고정시키며, 하부가로부재(130)도 제5고정지지단(45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별도의 고정요소로 고정시키게 되면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이동지지부(100)의 하부가 최초 설치된 n-3층이 아닌 n-4층에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인 n층에 설치된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10)을 설치된 n층에 대한 철거시공작업이 끝나면 그 다음 하층인 n-1층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철거시공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해체대상 건물의 높이에 맞추어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 철거 대상건물의 최상층에 설치한 가림막을 최하층까지 반복 사용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된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1)에 포함된 다수의 건물해체용 상하이동 모듈은 각 모듈 별로 동작할 수도 있지만 2개 이상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될 수도 있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
10 :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100 : 상하이동지지부 110: 세로지지부재
120 : 상부가로부재 130: 하부가로부재
200 : 가림막지지부 210 : 이동지지부재
211 : 이동지지대 212 : 수평바
213 : 제1전후바 220 : 가림막지지부재
221 : 가림막지지대 222 : 수평바
222a: 제1수평바 222b : 제2수평바
222c : 제3수평바 223 : 제2전후바
224 : 제3전후바 225 : 제1수평가로보
226 : 제2수평가로보 227 : 제3수평가로보
228 : 하면가림막지지대 230 : 측면가림막부재
240 : 하면가림막부재 300 : 동작부
310 : 제1동작부재 320 : 제2동작부재
400 : 지지단부 410 : 제1(n층)고정지지단
420 : 제2(n-1층)고정지지단 430 : 제3(n-2층)고정지지단
440 : 제4(n-3층)고정지지단 450 : 제5(n-4층)고정지지단

Claims (16)

  1. 해체대상 건물의 각 층을 이루는 바닥면 외벽 측으로 돌출시켜 일정 간격으로 일직선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지지단을 다수 쌍 포함하는 지지단부;
    그 상부가 상기 지지단부 중 최상층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고정되어 상기 해체대상 건물에 설치되는 상하이동지지부;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상기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재 및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연결되어 가림막을 고정하는 가림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가림막지지부; 및
    상기 가림막지지부 및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는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3층 이상의 길이를 갖고 일정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가로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의 하부를 서로 연결하는 하부가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부는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인 n층 바닥면, n-1층 바닥면, n-2층 및 n-3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돌출되어 각 층마다 한 쌍씩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지지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상으로 상기 세로지지부재가 상기 중공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지지부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최상층인 n층 바닥면 및 n-3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의해 상기 해체대상 건물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림막지지부는 상기 해체대상 건물의 n-1층 바닥면 및 n-2층 바닥면의 외벽 측으로 각각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한 쌍의 고정지지단에 의해 상기 해체대상 건물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이동지지부재,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2개 이상의 전후바에 의해 상기 이동지지부재의 후면과 그 전면이 연결 고정되고 그 전면에 상기 이동지지부재가 없는 위치에서 가림막을 고정할 수 있는 높이를 갖는 가림막지지부재, 상기 가림막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측면가림막부재, 및 상기 측면가림막부재 하부에 설치되는 하면가림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는 상기 가림막지지부재 전면측으로 상기 가림막지지부재와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상기 측면가림막부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분진비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비산방지부재는 다수의 장방형 격자구조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격자구조에 설치된 공기정화필터, 상기 프레임을 상기 가림막지지부재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살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보다 짧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의 하부, 중간부 및 상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 및 상기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바에 수직하게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전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지지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전후바와 그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상기 제1전후바와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부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전후바,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하부 사이 및 상기 제2전후바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평행하고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 측에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면가림막부재가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수평가로보, 및 상기 수평가로보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로보와 상기 하면가림막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면가림막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세로지지부재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보다 짧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의 하단부, 하부, 중간부 및 상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4개의 수평바 및 상기 중간부에 설치되는 수평바에 수직하게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후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전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지지부재는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지지대의 중간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전후바와 고정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재보다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상기 제1전후바와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지지대 상부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2전후바, 상기 제2전후바와 평행하게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이동지지대 하부와 고정되는 한 쌍의 제3전후바,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의 제2전후바가 형성된 위치, 상기 제1전후바와 고정되는 위치 및 상기 제3전후바가 형성된 위치 사이에 삽입되어 서로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3개의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평행하고 더 긴 길이를 갖도록 상기 한 쌍의 가림막지지대 전면 측에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면가림막부재가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수평가로보 및 상기 수평가로보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로보와 상기 하면가림막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면가림막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는 상기 상부가로부재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포함된 한 쌍의 이동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수평바 중 가장 상부에 설치된 수평바와 연결되어 상기 가림막지지부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제1동작부재 및 상기 이동지지부재에 포함된 한 쌍의 이동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수평바 중 가장 하부에 설치된 수평바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하부가로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상하이동지지부를 설치된 층보다 하층으로 이동시키는 제2동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작부재 및 제2동작부재는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도르래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건물해체용 상하이동 모듈을 다수개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해체용 상하이동 모듈은 2개 이상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시스템.
KR1020180140145A 2018-11-14 2018-11-14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KR10212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45A KR102127012B1 (ko) 2018-11-14 2018-11-14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145A KR102127012B1 (ko) 2018-11-14 2018-11-14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163A true KR20200056163A (ko) 2020-05-22
KR102127012B1 KR102127012B1 (ko) 2020-06-25

Family

ID=7091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145A KR102127012B1 (ko) 2018-11-14 2018-11-14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0036A (zh) * 2021-01-25 2021-04-30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快速遮挡防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238A (ja) * 1999-12-21 2001-06-26 Asahi Riirakku Kk 飛散防止スクリーン
JP2004068412A (ja) * 2002-08-06 2004-03-04 Shimizu Corp 外部養生体
KR20100088822A (ko) * 2009-02-02 2010-08-11 (주)내경엔지니어링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3238A (ja) * 1999-12-21 2001-06-26 Asahi Riirakku Kk 飛散防止スクリーン
JP2004068412A (ja) * 2002-08-06 2004-03-04 Shimizu Corp 外部養生体
KR20100088822A (ko) * 2009-02-02 2010-08-11 (주)내경엔지니어링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KR101027860B1 (ko) 2009-02-02 2011-04-07 대한주택공사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30036A (zh) * 2021-01-25 2021-04-30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快速遮挡防护装置
CN112730036B (zh) * 2021-01-25 2024-03-26 西安近代化学研究所 一种快速遮挡防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012B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4759B2 (ja) 構造物解体方法
KR101406873B1 (ko) 경량 골조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KR101027860B1 (ko)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JP6021604B2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102127012B1 (ko)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가림막 상하이동시스템
KR102118949B1 (ko) 분진비산방지가림막 모듈 및 상기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분진비산방지가림막
KR102210545B1 (ko) 건물해체용 가림막시스템을 이용한 친환경 건물해체공법
JP3541031B2 (ja) 組立式建物
JP2007023662A (ja) 気密型シェルター及びその施工方法
JP2012077556A (ja) 鉄骨建屋の解体工法
JP2004346681A (ja) 透光型防音壁への改修方法
JP5542041B2 (ja) 構造物解体方法および構造物解体システム
KR1019259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용 가벽 구조체
JP6061339B2 (ja) 構造物改築方法および構造物改築システム
CN113309008A (zh) 一种钢箱梁临时支架施工安全作业平台
CN218176905U (zh) 一种微型钢管桩施工隔音棚
CN214835414U (zh) 一种防扬尘的稳定型交通围挡
CN203755717U (zh) 深基坑装配式上下人行通道
CN114411806B (zh) 综合管廊电缆竖井
CN216617130U (zh) 一种建筑现场安全围挡
KR20150015699A (ko) 조립식 도로확장장치
KR200200363Y1 (ko) 건축물 구축장치
KR200445362Y1 (ko)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DE60315714D1 (de) Modulbau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montage
WO2009056883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