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3Y1 - 건축물 구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 구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3Y1
KR200200363Y1 KR2020000013336U KR20000013336U KR200200363Y1 KR 200200363 Y1 KR200200363 Y1 KR 200200363Y1 KR 2020000013336 U KR2020000013336 U KR 2020000013336U KR 20000013336 U KR20000013336 U KR 20000013336U KR 200200363 Y1 KR200200363 Y1 KR 2002003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building construction
roof
beams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13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3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구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의 전천후화와 옥상 선행공사나 설비기기 선행설치를 가능케 하는 건축물 구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최상층 보와 옥상층 보사이에 형성된 가설스테이지와 옥상층 보 하면과 최상층보 상면에 부설된 레일에 주행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와 최상층보 하면에 부설된 레일에 주행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구체작업기계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구축장치 {BUILDING CONSTRUC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철골조·철골철근 콘크리트조 등의 구조에 의한 복층 지상구조물의 기둥·보·상판재등 구조부재를 구축하는 건축물 구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 구축장치는 본 설치 보로 이루어지는 옥상층과 최상층 각 바닥재 사이에 본 설치 기둥으로부터 돌설된 보단부에 지지되어 상승하는 셀프클라이 밍 장치로 이루어지는 가설스테이지와, 상기 가설스테이지의 상보 상면 및 하보 하면에 각각 레일이 부설되어 있고, 상기 각 레일상을 주행 또는 레일하에 달아내리는 자재운반, 부재조립 및 접합용기기등이 가설되고, 상기 기기에 의하여 기둥·보·바닥재등 부재를 조립하여 1층분 조립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셀프클라이밍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가설구조물를 상승시켜 상기 조립작업을 반복하고 이하 상기 조립작업을 반복하여 소요 층수의 부재를 조립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가설스테이지를 옥상층 및 최상층 보로 기둥에 접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가설 스테이지상으로부터의 크레인에 의한 본 설치 기둥 세워넣기와 셀프클라이밍 장치에 의한 스테이지 전체 클라이밍을 교호적으로 반복함으로서 소요 층수를 구축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기둥 세워넣기 및 클라이밍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스테이지 상하면에 기둥 세워넣기용 관통공이 존재하게 되고, 외부환경과의 완전한 차단은 기대하기 어렵다.
또 스테이지 상면 관통공 및 기둥 세워넣기 크레인이나 레일을 위하여 옥상설비기기등 선행장치도 대폭적으로 제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스테이지 상면 기둥 세워넣기용 관통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작업의 전천후화와 옥상 선행공사나 설비기기 선행설치를 가능케 하는 건축물 구축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구축장치 실시예의 실시상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설스테이지 2 : 가설스테이지 옥상층 보
3 : 가설스테이지 최상층 보 4 : 가설지주
5 :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용 레일 6, 7 :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
8 : 본 설치 기둥 9 : 구체 작업기계용 레일
10: 구체 작업기계 11: 보
12: 설비기기 13: 가설측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최상층 보와 옥상층 보사이에 형성된 가설스테이지와 옥상층 보 하면과 최상층보 상면에 부설된 레일에 주행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와 최상층보 하면에 부설된 레일에 주행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구체작업기계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최상층 보와 옥상층 보 사이에는 옥상층보를 지지하며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수 있도록한 가설지주와 가설측벽이 개재되어 있고, 옥상층 보 상면에는 흡수기 팬, 공조옥외설비등 설비기기들이 설치되어있다.
또한 상기 가설스테이지의 높이인 옥상층 보와 최상층 보의 간격은 본 설치 기둥길이에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와 작업공간 확보길이를 더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옥상층 보(2) 하면에는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용 레일(5)이 부설되고,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6) 기타 각종 작업기계가 이동이 자유롭게 달아 내려져있으며, 상기 가설스테이지 최상층 보(3) 상면에 주행식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7)가 주행이 자유롭게 가설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가설스테이지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클라이밍장치에 의하여 1층분 높이씩 단계적으로 상승하여 구축작업이 수행되며 상기 작업을 반복하여 상기 가설스테이지가 최상층에 도달할 때 가설스테이지(1) 옥상층 보(2)를 기둥 정부에 고정하고, 이어 가설지주(4)를 철거한 후 가설스테이지 최상층보(3)를 클라이밍시켜 소정위치에 기둥과 고정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건축물 구축장치에 있어서, 가설작업대로 이루어지는 가설스테이지는 본 설치 옥상층과 최상층 바닥재로 사용되기 때문에, 공사완료후 지상에 회수하는 자재는 건설용 기기류만으로 이루어지고 현저히 시공이 간략화되고 경제성에 우수하고 안전성이 높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기둥 세워넣기 및 클라이밍장치 설치를 위한 스테이지 상하면 관통공이 불필요하고 전천후 하의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환경이 향상되고 기둥 세워넣기를 위한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 레일이 옥상층에 없는 것과 아울러 옥상 선행공사나 설비기기 선행설치도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공기를 단축하게 된다.

Claims (1)

  1. 건축물 구축장치에 있어서, 최상층 보와 옥상층 보사이에 형성된 가설스테이지와 옥상층 보 하면과 최상층 보 상면에 부설된 레일에 주행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기둥 세워넣기 작업기계와 최상층보 하면에 부설된 레일에 주행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구체작업기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구축장치
KR2020000013336U 2000-05-10 2000-05-10 건축물 구축장치 KR2002003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36U KR200200363Y1 (ko) 2000-05-10 2000-05-10 건축물 구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36U KR200200363Y1 (ko) 2000-05-10 2000-05-10 건축물 구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3Y1 true KR200200363Y1 (ko) 2000-10-16

Family

ID=1965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336U KR200200363Y1 (ko) 2000-05-10 2000-05-10 건축물 구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2014A (ko) 위에서지면으로건축물을건설하는리프트업공법
CN108560895B (zh) 一种调节式电梯井道操作平台及其搭设方法
CN204080843U (zh) 活动板房基础结构
JPH10339033A (ja) コンクリート高構造物構築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斜柱の構築方法
KR200200363Y1 (ko) 건축물 구축장치
JP2011052512A (ja) 屋根改修工法及び構造物
KR102213584B1 (ko)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CN211815605U (zh) 一种用于桩柱式桥墩墩系梁和盖梁的施工装置
CN211257919U (zh) 一种可移动工具式格构柱支撑装置
JP3177735B2 (ja) 既存建物の外周部補強に使用する架設足場
JP3066460B2 (ja) 鉄塔の構築方法
CN211421802U (zh) 一种高层建筑施工机械
CN220265060U (zh) 一种无基础式塔吊
CN115676559B (zh) 一种钢结构电梯井道
CN209760745U (zh) 单排双向倾斜钢柱施工双凹形操作平台
JP2004270377A (ja) 柱梁先組鉄筋体とそれを用いた先組鉄筋工法
JPH03125755A (ja) 筒状高層構造物の施工方法
JP3102734U (ja) ゴンドラ式仮設足場
CN114380179B (zh) 一种井道电梯的安全施工方法
JPH05187068A (ja) 建築物の構築方法
CN116255033A (zh) 一种用于舞台机械设备的钢结构转换层的施工方法
JP2000154595A (ja) ド―ム型建物の施工方法
JP6525857B2 (ja) 屋根付き建築物の建方工法及び屋根中間構造物
JP2686059B2 (ja) エレベータを内蔵する建築物
JP2022190180A (ja) 建設用仮設足場及び建設用仮設足場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