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422B1 - 개방형 수로 - Google Patents

개방형 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422B1
KR101281422B1 KR1020100128920A KR20100128920A KR101281422B1 KR 101281422 B1 KR101281422 B1 KR 101281422B1 KR 1020100128920 A KR1020100128920 A KR 1020100128920A KR 20100128920 A KR20100128920 A KR 20100128920A KR 101281422 B1 KR101281422 B1 KR 10128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ipe
pipe
open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496A (ko
Inventor
최선용
Original Assignee
최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선용 filed Critical 최선용
Priority to KR102010012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4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형 수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바닥과 내벽에 각각 물막이둑과 탈출로가 설치됨에 따라, 저수위시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하여 생물이 생육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물이 개방형 수로관 내부에 고립되지 않게 탈출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보존에 많은 도움을 주는 개방형 수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관과; 수로관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수로관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사각관체이며, 사각관체의 출구에 부력으로 개폐되는 개폐판이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로관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때 개폐판이 출구를 폐구시켜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하는 물막이둑과; 수로관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고, 수로관의 상부까지 경사진 각도를 이루는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점성질의 흙이 담기도록 일정간격으로 적토공간이 구획되어, 생물이 수로관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탈출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개방형 수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개방형 수로{Open type waterway}
본 발명은 개방형 수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관의 바닥과 내벽에 각각 물막이둑과 탈출로가 설치됨에 따라, 저수위시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하여 생물이 생육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물이 개방형 수로관 내부에 고립되지 않게 탈출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보존에 많은 도움을 주는 개방형 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지나 도로의 가장자리 등에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U"자형의 수로관으로 형성된 개방형 수로가 시공되어 있는데, 이는 대부분 빗물이나 지하수를 원활하게 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공된다.
이러한 개방형 수로는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빗물이나 지하수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생물의 생육 환경이 자연스럽게 조성되어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등과 같은 많은 생물이 생육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개방형 수로는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이나 가을철에는 수위가 높아 상관 없지만 강수량이 적은 봄철이나 겨울철에는 수위가 낮아지면서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등의 생물이 외부의 다른 생태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탈출통로가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즉, 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수면과 개방형 수로의 측벽 상단의 높이차가 거의 없어 생물이 쉽게 외부의 다른 생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수위가 낮은 경우에는 수면과 개방형 수로의 측벽 상단의 높이차가 많이 나면서 외부의 다른 생태 공간으로 이동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개방형 수로로 유입되어 생육하는 상기의 생물은 저수위시 외부의 다른 생태 공간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대로 생육하지 못하고 그대로 괴멸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종래의 개방형 수로는 물을 흘러보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배출하는 역할만 할 뿐이고 흘러가는 물을 저수하는 능력이 전혀 없다. 이에 따라 개방향 수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물이 전혀 없는 경우에는 상기한 생물은 전혀 생육할 수 없는 환경이 되어 그대로 괴멸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저수위시에도 생물이 원활하게 생육할 수 있는 물과 외부의 다른 생태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탈출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보존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개방형 수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로관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며,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수로관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며,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사각관체이며, 사각관체의 출구에 부력으로 개폐되는 개폐판이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수위 이하일 때 개폐판이 출구를 폐구시켜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하는 물막이둑과; 수로관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고, 수로관의 상부까지 경사진 각도를 이루는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점성질의 흙이 담기도록 일정간격으로 적토공간이 구획되어, 생물이 수로관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탈출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개방형 수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저수위시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함으로써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이 원활하게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등이 외부로 드나들 수 있는 탈출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자연 생태계의 보존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막이둑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막이둑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탈출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물막이둑의 수위에 따른 작동 변화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개방형 수로는,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W)과; 수로관(W)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수로관(W)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사각관체이며, 사각관체의 출구에 부력으로 개폐되는 개폐판(11)이 힌지(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로관(W)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때 개폐판(11)이 출구를 폐구시켜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하는 물막이둑(10)과; 수로관(W)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고, 수로관(W)의 상부까지 경사진 각도를 이루는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점성질의 흙(S)이 담기도록 일정간격으로 적토공간(21)이 구획되어, 생물이 수로관(W)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탈출로(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막이둑(10)은 수로관(W)의 바닥에 매설된 앵커볼트(13)와, 이에 체결되는 고정너트(14)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탈출로(20)는 보호관(22)으로 보호되어 수로관(W)의 측벽에 고정된 고정볼트(23)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탈출로(20)의 외측에는 흙(S)의 이탈 및 생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일정높이의 단턱(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개방형 수로는 수로관(W)의 바닥과 측벽에 설치되어, 수로관(W)의 수위에 관계없이 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일정수위의 물과 함께 외부의 다른 생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탈출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설비이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관(W)의 바닥과 측벽에 각각 상기한 구성을 가진 도 1 내지 도 2의 물막이둑(10)과 상기한 구성을 가진 도 3의 탈출로(20)가 설치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즉, 수로관(W)의 수위가 물막이막(10)의 높이 이하로 낮아지면, 부력에 의해 부상하여 물막이막(10)의 출구를 개방시킨 개폐판(11)에 부력이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개폐판(11)이 하강하면서 물막이막(10)의 출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막이막(10)의 출구가 폐쇄되면서 수로관(W)을 따라 흐르는 물의 흐름이 차단되어 수로관(W)에는 물막이막(10)의 높이에 해당되는 수위만큼 물이 고이게 된다.
이에 따라 물의 자연 증발되지 않는 이상은 상기의 수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저수위시에도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등의 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다가 강수량 등이 많아지면서 수로관(W)의 수위가 물막이막(10)의 높이 이상으로 높아지면 개폐판(11)에 부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판(11)은 도 5와 같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면서 물막이막(10)의 출구를 개방시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수질 정화에도 탁월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저수위시 수로관(W)의 측벽 상단과 수면과의 높이차가 많이 나더라도 그 측벽에 설치된 탈출로(20)를 통해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등의 생물은 외부의 다른 생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수로관(W)이 저수위가 되거나 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면서 외부로 탈출하지 못하고 괴멸하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 생태계의 보전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탈출로(20)의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적토공간(21) 내부에 점성질의 흙(S)을 채움으로써 상기의 생물은 이질감 없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다. 또한, 탈출로(20)의 외측에 단턱(24)이 형성됨에 따라 적토공간(21)에 채운 흙(S)의 유실을 막고 생물의 추락도 방지할 수 있다.
10: 물막이둑 11: 개폐판
12: 힌지 13: 앵커볼트
14: 고정너트 20: 탈출로
21: 적토공간 22: 보호관
23: 고정볼트 24: 단턱
W: 수로관 S: 흙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된 수로관(W)과; 수로관(W)의 바닥에 고정 설치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수로관(W)과 동일한 너비를 가지고, 입구와 출구가 개방된 사각관체이며, 사각관체의 출구에 부력으로 개폐되는 개폐판(11)이 힌지(1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로관(W)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때 개폐판(11)이 출구를 폐구시켜 일정량의 물이 고이도록 하는 물막이둑(10)과; 수로관(W)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고, 수로관(W)의 상부까지 경사진 각도를 이루는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점성질의 흙(S)이 담기도록 일정간격으로 적토공간(21)이 구획되어, 생물이 수로관(W)의 외부로 탈출하도록 하는 탈출로(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개방형 수로.
  2. 제1항에 있어서, 탈출로(20)의 외측에는 흙(S)의 이탈 및 생물의 추락을 방지하는 일정 높이의 단턱(2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수로.
KR1020100128920A 2010-12-16 2010-12-16 개방형 수로 KR10128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20A KR101281422B1 (ko) 2010-12-16 2010-12-16 개방형 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20A KR101281422B1 (ko) 2010-12-16 2010-12-16 개방형 수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496A KR20120067496A (ko) 2012-06-26
KR101281422B1 true KR101281422B1 (ko) 2013-07-02

Family

ID=4668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920A KR101281422B1 (ko) 2010-12-16 2010-12-16 개방형 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4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738A (ko) * 2018-09-07 2020-03-1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790A (ja) * 1997-08-20 1999-03-05 Shiyousaku Suzuki 用水口の水止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790A (ja) * 1997-08-20 1999-03-05 Shiyousaku Suzuki 用水口の水止め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738A (ko) * 2018-09-07 2020-03-1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KR102162700B1 (ko) * 2018-09-07 2020-10-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야생동물용 조립식 수로 탈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496A (ko) 201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9737B2 (en) Environmentally-friendly safe weir comprising both water way and fishway
US20110268506A1 (en) Flood defens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2473651B1 (ko) 하천 보의 유인수로를 갖춘 어도
JP5737675B2 (ja) 砂防堰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JP2010037863A (ja) 植栽型浸透トレンチ
KR101555944B1 (ko)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KR101281422B1 (ko) 개방형 수로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100673921B1 (ko) 도로 경사면의 배수로 구조
KR101989601B1 (ko) 담수기능을 갖는 도로경계블록
KR100582023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US20190138034A1 (en) Water leveling and filtering system
CN201232254Y (zh) 水沟盖
KR200403834Y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100938388B1 (ko) 부력을 이용한 어소의 토사 유입방지장치
KR100805159B1 (ko) 퇴적물을 방출할 수 있는 수중보
KR200408865Y1 (ko) 수중보의 수문 개폐장치
JP2003239258A (ja) 砂防ダ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