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44B1 -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 Google Patents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44B1
KR101555944B1 KR1020130082730A KR20130082730A KR101555944B1 KR 101555944 B1 KR101555944 B1 KR 101555944B1 KR 1020130082730 A KR1020130082730 A KR 1020130082730A KR 20130082730 A KR20130082730 A KR 20130082730A KR 101555944 B1 KR101555944 B1 KR 101555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cological passage
bank
storage chamber
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8599A (ko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에 관한 것으로, 양서류 등의 작은 동물들이 제방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생태통로를 마련하는 동시에 별도의 에너지 소모 없이 제방에 의해 저유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생태통로를 능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방의 상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생태통로와; 상기 생태통로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방에 의해 저유된 물의 만수위시 상기 생태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챔버와; 상기 저수챔버에 삽입되며 물보다 낮은 비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챔버에 수용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승시 상기 생태통로를 차단하고 하강시 상기 생태통로를 개방하는 차수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ECO-CORRIDOR STRUCTURE AND DIK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생태통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서류 등의 작은 동물들이 제방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생태통로를 마련하는 동시에 별도의 에너지 소모 없이 제방에 의해 저유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생태통로를 능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태통로는 도로, 제방, 수중보, 하구언 등으로 인하여 야생 동식물의 서식지가 단절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야생 동식물의 이동을 돕기 위하여 설치되는 인공구조물이나 식생 등의 생태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이와 같은 알려진 생태통로는, 야생생물의 이동로 제공, 야생동물 서식지로의 이동, 천적 및 대형교란으로부터 피난처 역할, 단편화된 생태계의 연결로로 생태계의 연속성 유지, 기온변화에 대한 저감 효과, 교육적ㅇ위락적 및 심미적 가치 제고, 개발억제 효과 등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생태통로는 그 시공 환경에 따라서, 대부분 도로 등을 위에서 가로질러 시공되는 육교형(다리형) 생태통로와 도로 지반을 관통하여 시공되는 공간이 넓은 터널형 등이 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육교형 생태통로는, 고속도로, 자동차 전용도로 또는 차선이 넓은 국도 등과 같이 횡단부위가 넓고, 절토지역 또는 장애물 등으로 동물을 위한 통로조성이 어려운 지역에 시공하고, 터널형은 도로 등의 지반을 관통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상당한 크기의 터널 형태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생태통로(구조물)들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로를 가로질러 그 위에 설치되는 육교형이나 도로나 철로 등의 지반을 관통하여 시공되는 터널형태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슴, 고양이과 동물, 멧돼지 등과 같은 덩치가 큰 동물들은 쉽게 이들을 통하여 이동 가능하지만, 두꺼비, 개구리 등의 양서류나, 뱀 등의 파충류 또는, 쥐나 다람쥐 등의 작은 동물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육교형 위로 올라가는 것 자체가 어렵거나, 외부 노출(터널형인 경우 공간이 크기 때문)로 인한 큰 동물(짐승)의 먹잇감으로 전락하기 쉽기 때문에, 기존의 육교형, 터널형 생태통로만으로는 양서류, 파충류 또는 작은 야생 동물의 이동이나 피신 등의 보호가 어려운 것이었다.
더욱이, 생태통로가 형성되어야 하는 환경이 제방인 경우에는 만수위와 저수위를 고려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설계가 요구되지만 아직까지 이를 만족하는 생태통로가 전무한 실정이다.
선행기술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7891호(2011.10.28) 선행기술2 : 한국등록특허 제10-1103086호(2011.12.2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서류 등의 작은 동물들이 제방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생태통로를 마련하는 동시에 별도의 에너지 소모 없이 제방에 의해 저유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생태통로를 능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는, 제방의 상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생태통로와; 상기 생태통로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방에 의해 저유된 물의 만수위시 상기 생태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챔버와; 상기 저수챔버에 삽입되며 물보다 낮은 비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챔버에 수용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승시 상기 생태통로를 차단하고 하강시 상기 생태통로를 개방하는 차수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방의 전면벽까지 연장된 배수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챔버 및 차수문은 상기 생태통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챔버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생태통로의 둘레를 따라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수문이 상승할 때 그 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문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내부가 충전되고 그 외부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챔버와 삽입홈의 전후 폭은 상기 차수문의 전후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차수문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저수챔버의 전측벽과 상기 삽입홈의 전측벽에 수밀하게 압착되도록 고무 소재의 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이 상기 차수문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방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한 로프가 더 설치되어, 상기 제방 외부에서 상기 로프를 당김으로써 상기 차수문을 상승시켜 생태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제방은 위에서 설명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은, 양서류나 파충류와 같은 작은 동물들이 제방을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생태통로를 마련하는 동시에 별도의 에너지 소모 없이 제방에 의해 저유된 물의 부력만을 이용하여 생태통로를 능동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수문이 오작동되는 경우나 비상상황 발생시 로프를 당기는 방법에 의해 저유된 물의 수위와 차수문을 상승시켜 생태통로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4a 내지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의 종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 중에서 개폐도어의 동작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는 도 1과 같이 제방(D)에 의해 저유되는 물(W)이 저수위일 때는 차수문(120)이 하강하여 생태통로(110)를 개방하고, 도 2와 같이 제방(D)에 의해 저유되는 물(W)이 만수위일 때는 차수문(120)이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생태통로(110)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는, 생태통로(110)와, 저수챔버(111)와, 차수문(120)과, 배수구(113)와, 개폐밸브(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생태통로(110)는 제방(D)의 상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생태통로(110)는 제방(D)의 상단으로부터 0.6m 정도 아래에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이는 제방(D)의 여유고와 거의 일치하는 높이이며 제방(D)에 의해 저유되는 물이 만수시가 되어야만 그 수위가 생태통로(110)에 도달하는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저수챔버(111)는 상기 생태통로(11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방(D)에 의해 저유된 물이 만수위가 될 때 상기 생태통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면서 차수문(120)을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수챔버(111)로 유입되어 수용된 물은 차수문(120)을 부력에 의해 상승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시 저수챔버(111)는 전후 폭이 상기 차수문(120)의 전후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좌우 폭도 상기 차수문(120)의 좌우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차수문(120)이 승강하는데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하며 물이 유입될 수 있는 틈새도 여유 있게 형성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기 저수챔버(111)는 생태통로(11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복수 배치된다.
상기 차수문(120)은 상기 저수챔버(111)에 승강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전체 비중은 물보다 낮은 정도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저수챔버(111)에 수용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승시 상기 생태통로(110)를 차단하고 하강시 상기 생태통로(110)를 개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수문(120)은 각각의 저수챔버(111)에 대응하여 생태통로(11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복수 배치된다. 또한, 상기 차수문(120)은 스티로폼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내부가 충전되고 그 외부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로 감싸여진다. 또는 외부를 플라스틱 소재로 감싸고 내부는 비워두는 구성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차수문(120)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저수챔버(111)의 전측벽과 상기 삽입홈(112)의 전측벽에 수밀하게 압착되도록 고무 소재의 패킹(121)이 더 설치된다. 단. 상기 삽입홈(112)은 저수챔버(111)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생태통로(110)의 둘레를 따라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수문(120)이 상승할 때 그 둘레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을 가리킨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차수문(120)과는 별도로 생태통로(110)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차수문(120)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상기 생태통로(110)의 어느 영역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저수측과 반대편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는 수작업이나 유압 및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미닫이식 도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113)는 상기 저수챔버(111)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방(D)의 전면벽까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113) 중간에는 전자식 개폐밸브(130)가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방(D)에 의해 저유된 물이 만수위에서 저수위가 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130)를 작동시켜 배수구(113)를 열어주면 상기 저수챔버(111)에 유입되어 빠져나가지 못하던 물이 개방된 배수구(113)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됨으로써 차수문(120)이 하강하게 되고 생태통로(110)가 개발된다. 반면에 제방(D)에 의해 저유된 물이 만수위가 되는 경우에는 개폐밸브(130)에 의해 상기 배수구(113)를 닫아준다. 그러면 상기 생태통로(1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배수구(113)를 통해 배수되지 않고 저수챔버(111)에 그대로 수용되면서 부력에 의해 차수문(120)을 상승시켜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4a 내지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제방(D)에 의해 저유되어 있는 물이 저수위일 때에는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저수챔버(111)에 물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차수문(120)이 상기 저수챔버(111)에서 하강된 상태로 있다. 이때에는 생태통로(11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양서류나 파충류와 같이 비교적 작은 짐승들이 상기 개방된 생태통로(110)를 통해 제방(D)의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방(D)에 의해 저유되어 있는 물이 만수위가 되면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저유되었던 물이 생태통로(110)를 통해 저수챔버(111)에 유입되면서 저수챔버(111) 내 수위가 점차 높아진다. 그러면 상기 저수챔버(111)에 삽입된 차수문(120)이 저수챔버(111)에 수용되는 물의 부력으로 점차 상승한다. 이때 개폐밸브(130)는 배출구를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후, 도 4c와 같이 저수챔버(111) 내 수위가 점차 높아지고 차수문(120)이 끝까지 상승하여 생태통로(110)를 차단한다. 이때 차수문(120)의 둘레부가 삽입홈(112)에 삽입되는데, 도 4d와 같이 끝까지 상승하여 생태통로(110)를 차단한 차수문(120)이 후방에서 가해지는 수압(WP)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패킹(121)을 매개로 하여 저수챔버(111)의 전측벽과 삽입홈(112)의 전측벽에 수밀하게 압착된다.
이후, 제방(D)에 의해 저유되어 있는 물이 다시 저수위가 되면 도 4e에 도시된 것처럼 물이 생태통로(110)로부터 빠져나가게 된다. 그러면 차수문(120)의 후방에서 가해지는 수압(WP)도 사라지면서 차수문(120)이 저수챔버(111)의 전측벽과 삽입홈(112)의 전측벽에 수밀하게 압착된 상태가 해제된다.
이후, 개폐밸브(130)를 작동시켜 배수구(113)를 개방하면 도 4f에 도시된 것처럼 저수챔버(111)에 수용되었던 물이 배수구(113)를 통해 배수되면서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했던 차수문(120)이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생태통로(110)는 다시 개방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서는 제방(D)의 전면벽으로부터 저수챔버(111)의 하부까지 형성된 유수로(11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방(D)에 의해 저유되어 있던 물이 생태통로(110)의 높이까지 차오르지 않더라도 상기 유수로(114)를 통해 저수챔버(111)에 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차수문(120)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저수챔버(111)의 상측에서 차수문(120)과의 틈새로 물이 유입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변형 전 실시예와 비교하여 차수문(120)에 대한 저수챔버(111)의 여유 틈새를 좁게만 하여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의 종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한 제방 중에서 개폐도어의 동작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서는 저유된 물의 수위와 관계없이 차수문(120)을 로프(141)에 의해 수작업으로 상승시켜 생태통로(110)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차수문(120)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방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한 로프(141)와, 상기 로프(141)의 중간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복수의 풀리(142,143)와, 상기 로프(141)의 타단에 설치된 손잡이(144)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방 상단에는 로프(141)의 타단에 설치된 손잡이(144)를 보관하기 위한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45)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8a 및 도 8b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차수문이 오작동되는 경우나 비상상황 발생시 제방 외부에서 수작업에 의하여 로프(141)의 손잡이(144)를 당김으로써 저유된 물의 수위와 관계 없이 차수문(120)을 상승시켜 생태통로(110)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생태통로 111 : 저수챔버
112 : 삽입홈 113 : 배수구
114 : 유수로 120 : 차수문 121 : 패킹 130 : 개폐밸브

Claims (8)

  1. 제방의 상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생태통로와;
    상기 생태통로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방에 의해 저유된 물의 만수위시 상기 생태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수용하는 저수챔버와;
    상기 저수챔버에 삽입되며 물보다 낮은 비중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챔버에 수용되는 물의 부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상승시 상기 생태통로를 차단하고 하강시 상기 생태통로를 개방하는 차수문을 포함하며,
    상기 차수문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수문의 상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방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한 로프가 더 설치되되, 상기 로프의 중간을 지지하여 안내하는 복수의 풀리와, 상기 로프의 타단에 설치된 손잡이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방 상단에는 상기 손잡이의 보관을 위한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챔버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더 설치되어, 저유된 물위 수위와 관계 없이 작업자가 제방 외부에서 수작업에 의하여 로프의 손잡이를 당김으로써 차수문을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챔버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방의 전면벽까지 연장된 배수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 중간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챔버 및 차수문은 상기 생태통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챔버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생태통로의 둘레를 따라 요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수문이 상승할 때 그 둘레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의 외부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감싸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챔버와 삽입홈의 전후 폭은 상기 차수문의 전후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차수문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저수챔버의 전측벽과 상기 삽입홈의 전측벽에 수밀하게 압착되도록 고무 소재의 패킹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방.
KR1020130082730A 2013-07-15 2013-07-15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KR101555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730A KR101555944B1 (ko) 2013-07-15 2013-07-15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730A KR101555944B1 (ko) 2013-07-15 2013-07-15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99A KR20150008599A (ko) 2015-01-23
KR101555944B1 true KR101555944B1 (ko) 2015-09-25

Family

ID=5257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730A KR101555944B1 (ko) 2013-07-15 2013-07-15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462B1 (ko) * 2018-10-31 2019-10-21 유광산 빗물 차단 시스템
CN115399291A (zh) * 2022-07-25 2022-11-29 浙江水利水电学院 一种适用于堤坝的一体式双向生物通道
KR102551791B1 (ko) * 2022-11-22 2023-07-05 (주)대도엔텍 야생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홍수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117127559B (zh) * 2023-08-30 2024-03-19 湖南省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堤坝管涌应急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27A (ja) * 1998-08-27 2000-03-07 Unyusho Daini Kowan Kensetsukyoku 浮体バルブ付き海水交換型防波堤
KR100671264B1 (ko) * 2005-09-09 2007-01-19 보은군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101240152B1 (ko)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3327A (ja) * 1998-08-27 2000-03-07 Unyusho Daini Kowan Kensetsukyoku 浮体バルブ付き海水交換型防波堤
KR100671264B1 (ko) * 2005-09-09 2007-01-19 보은군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101240152B1 (ko) * 2012-03-12 2013-03-19 주식회사 청수환경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599A (ko) 2015-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944B1 (ko) 제방용 생태통로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제방
KR101046036B1 (ko) 안전어도
KR100763802B1 (ko) 승강식 다층 자동보 수문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100669228B1 (ko) 우수범람방지를 위한 건축단지내 배수로 구조물
KR102590164B1 (ko) 부력식 어도
US4904114A (en) Fish conveying apparatus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1199119B1 (ko) 하천수를 이용하여 승강 작동되게 한 수중보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20140099027A (ko) 다목적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0688895B1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JP2017101462A (ja) 浸水防止扉を有する坑道施設
KR102199890B1 (ko) 페트병을 이용한 소형 동물 탈출판
AU2014224135A1 (en) System and method of river control
KR200466978Y1 (ko)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KR101553332B1 (ko) 자연생태형 어도
KR102391739B1 (ko) 동물 보호 환경생태 수로
KR200403834Y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101342129B1 (ko) 하천의 친환경 생태 보호 시설
KR20120040570A (ko) 관수로 타입 어도
KR20150001389A (ko) 부력을 이용한 가변식 차수벽 구조물
KR20140036804A (ko) 부력을 이용한 악취 역류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