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570A - 관수로 타입 어도 - Google Patents

관수로 타입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570A
KR20120040570A KR1020100102054A KR20100102054A KR20120040570A KR 20120040570 A KR20120040570 A KR 20120040570A KR 1020100102054 A KR1020100102054 A KR 1020100102054A KR 20100102054 A KR20100102054 A KR 20100102054A KR 20120040570 A KR20120040570 A KR 20120040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water
overflow
flow rat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102010010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0570A/ko
Publication of KR20120040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Abstract

본 발명은 보의 수위에 관계없이 어도에 일정 유량과 수위를 가지도록 하고 어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을 보호하고 생태계의 단절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관수로 타입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강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보를 관통 또는 우회하여 설치하는 고정어도와, 상기 고정어도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보에 의하여 유지되는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항상 일정한 유량이 어도를 통하여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동어도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어도 및 가동어도는 관체형상으로 하부바디와 상부바디로 구성되는 어도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내부에 어류가 소상할 수 있는 소(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형성하는 다수 개의 월류벽과, 상기 월류벽의 중앙에 주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어류의 월류를 돕는 월류공간과, 상기 월류공간의 상단부 후미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이 소용돌이 없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와류방지면과, 상기 하부바디의 바닥면 근처의 월류벽에 저생어류가 소상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잠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관수로 타입 어도{A FISH WAY}
본 발명은 관수로 타입 어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되지 않은 관체형으로 구성하면서 상,하측의 수위 차를 극복하여 갈수위 또는 만수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속과 더불어 유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어도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용수가 많이 부족한 상황에서 충분한 유지수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홍수조절기능을 위하여 강이나 하천 또는 농수로를 가로지르는 보(댐)를 설치하여 담수된 물을 생활, 공업 및 농업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강, 하천 또는 농수로(이하 강이라 한다.)에 설치되는 보에는 담수 된 물을 하류로 흘려보내어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수문 또는 배수로를 설치하고 있고, 이러한 수문과 보(이하 보라 한다.)는 담수량에 비례하여 상,하류 간의 낙차가 크게 된다.
이와 같이 담수를 통하여 활용성은 높일 수 있으나, 상,하류에 위치한 어류를 비롯한 각종 수중생물이 서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차단되므로 생태 불균형이 일어날 우려가 높다.
이러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을 가로막는 보에 어도를 설치하여 상,하류로 어류 등과 같은 수중생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보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어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어도(1)는 보에서부터 하류까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콘크리트 또는 돌을 이용하여 어도베이스(3)를 형성하고, 상기 어도베이스(3)에는 다수개의 안내판(4)을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어도는 보의 상단에서 하류 방향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보에 의하여 상류의 수량이 일정량 이상 확보된 상태에서만 자연스럽게 어도를 통하여 물이 흘러 내려가게 되어 어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보에 의하여 확보되는 수량이 어도 보다 낮을 경우에는 물이 어도를 통하여 흘러내리지 못하게 되므로 어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강수량이 풍부한 여름을 제외한 봄,가을 및 겨울과 같이 강수량이 적은 계절에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특히 산란을 위한 봄, 가을에 어류의 이동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 될 경우에는 쓰레기와 같은 부유물이 어도로 유입되어 충돌을 일으킴으로써 어도가 손상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수량이 안정되었을 때 손상된 어도로 인하여 물이 어도로 흐르지 못하므로 어류들이 상류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어도 내부로 토사 등이 유입되어 퇴적현상이 일어날 경우 또는 쓰레기와 같은 부유물이 유입되어 어도를 차단할 경우에는 어도의 유량이 충분하지 못하여 어류들이 상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강이나 하천의 바닥에서 생활하는 저생어류의 경우에는 어도에 형성된 월류벽을 뛰어넘어 이동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저생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고려되지 않아 다양한 어종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저생어류가 아니라도 하천유량의 증가로 어도로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유속이 빨라지게 되어 일반적인 어류도 빠른 유속을 견디지 못하고 하류로 떠내려가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며, 월류벽과 월류벽 사이의 거리가 짧기 때문에 어류가 도약에 필요한 거리를 확보하지 못해 월류벽을 월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월류벽으로 넘친 후 물에 많은 거품이 생성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거품에 의하여 어류가 쉽게 월류벽을 뛰어넘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원인이 되는 등 어류가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강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보를 관통 또는 우회하여 설치하는 고정어도와, 상기 고정어도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보에 의하여 유지되는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항상 일정한 유량이 어도를 통하여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동어도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어도 및 가동어도는 관체형상으로 하부바디와 상부바디로 구성되는 어도바디, 상기 하부바디의 내부에 어류가 소상할 수 있는 소(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형성하는 다수 개의 월류벽과, 상기 월류벽에 주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어류의 월류를 돕는 월류공간과, 상기 월류공간의 상단부 후미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이 소용돌이 없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와류방지면과, 상기 하부바디의 바닥면 근처의 월류벽에 저생어류가 소상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잠공을 포함하여, 보의 수위에 관계없이 어도에 일정 유량과 수위를 가지도록 하고 어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환경을 보호하고 생태계의 단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어도를 관체 형상으로 구성하면서 보의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량과 유속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어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양한 종류의 어종이 어도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태계 안정화에 큰 효과를 가진다.
또한, 홍수 시 쓰레기와 같은 부유물이 어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하여 어도의 손상과 망실로 인한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와 유지 관리비용을 대폭절감 할 수 있다.
어도가 관체 형상이면서 햇빛을 제공하면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하천이나 강계 등의 생태계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연학습 관찰용으로 활용 가능하여 자연보호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일반적인 어도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C - C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관수로 타입 어도(100)는, 강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보(101)를 관통하면서 어류가 소상(遡上, 상류로 거슬러 올라감) 하는 데 한계 유속을 넘지 않도록 1/10 ? 1/20 내외의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하는 고정어도(102)와, 상기 고정어도(102)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보(101)에 의하여 유지되는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항상 일정한 유량이 어도(100)를 통하여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동어도(103)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어도(102)는 자체 부력에 의하여 수중에 위치하지 않고 수상으로 떠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돌과 같은 벨러스트를 내장하여 무게중심을 유지하면서 자연환경을 연출하여 어류의 소상을 도울 수 있도록 하여도 되며, 고정어도(102)를 와이어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수중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어도(100)가 보(101)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보를 우회하는 형태로도 설치 가능하고, 낙차가 심할 경우에는 보(101) 아래쪽에서는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여 어류가 소상할 수 있는 경사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정어도(102) 및 가동어도(103)는 관체형상으로 어도바디(104)를 구비하고, 상기 어도바디(104)는 하부바디(105)와 상기 하부바디(105)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상부바디(106)로 구성한다.
상기 어도바디(104)를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사각형, 육각형 2 ? 3개의 관체결합 원형단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어도바디(104)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토사에 의하여 매립될 경우에는 충분한 토사압력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어도바디(104)를 구성하는 상부바디(106)에는 다수개의 채광창(107)을 형성하여 햇빛이 있는 낮에만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성을 도우면서 시각적으로 어류의 이동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계창을 겸하도록 하고, 상기 채광창(107)의 다른 예로서는 상부바디(106) 전체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가동어도(103)는 고정어도(102)와 보(101)의 수위에 따라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움직임이 자유로운 플렉시블조인트(110)로 연결하고, 상기 가동어도(103)는 소정의 부력을 가지고 어도(100)로 일정한 유량을 흘러 내려보낼 수 있도록 취수구(111)가 일정한 깊이로 잠겨 있도록 한다.
상기 가동어도(103)의 취수구(111)는 하향 절곡되어 항상 수중에 잠겨 있도록 함으로서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 어도(100)를 막히게 하는 현상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어도바디(104)를 구성하는 하부바디(105)의 내부에는 어류가 소상할 수 있는 소정의 유량을 확보함과 아울러 충전과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소(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월류벽(112,113)을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게 한다.
상기 월류벽(112,113)에는 주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한 월류공간(114)을 형성하고, 상기 월류공간(114)의 상단부 후미는 하향 경사진 와류방지면(115)을 형성하여 물이 소용돌이 없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서 거품발생 등에 의하여 어류가 월류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월류공간(114)의 형성위치는 월류벽(112,11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되며, 월류벽(112,113)의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하거나 또는 월류벽(112,113)에 하나 이상을 동시에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부바디(105)의 바닥면 근처의 월류벽(112,113)에는 강이나 하천의 바닥에서 생활하는 저생어류가 소상하기 용이하도록 어도의 바닥면을 향해 점확대 형상을 갖는 잠공(116)을 형성하여 모든 종류의 어류가 소상 가능하도록 한다.
부수적으로 상기 잠공(116)과 잠공(116)을 로우프(117)로 연결하여 어류 외에 참게류 등과 같은 수중생물들도 함께 소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어도바디(104)의 내부는 어도바디(104)의 형상에 관계없이 전체 또는 일부가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다양한 수심을 제공하고, 월류공간(114) 또한 전체 또는 일부가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월류 수심을 다양하게 하여 다양한 어종의 소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수로 타입 어도(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어도(100)는 보(101)를 관통하는 형태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보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보(101)를 우회하는 형태 또는 지하에 매립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의 설치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저수지 또는 댐과 같이 낙차가 심한 경우에는 보(101), 저수지 또는 댐의 제방 외측(하측)에 위치하는 고정어도(102)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여 어류가 소상 하는 데 지장이 없는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어도(100)는 보(101)의 상측에 위치한 가동어도(103)가 보(101)의 수위에 따라 가변하여 움직이면서 항상 수면과 연접된 상태에 있으며, 특히 가동어도(1030의 취수구(111)는 항상 수중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수면 위에 있을 수 있는 부유물이 유입되어 어도(100) 내부를 차단하거나 월류벽(112,113)을 손상시키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가동어도(103)가 보(101)의 수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것은 고정어도(102)와 플랙시블조인트(110)로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플렉시블조인트(110)에 의하여 보(101)의 수위 변화에 대응하여 가동어도(103)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가동어도(103)는 소정의 수위만큼만 물에 잠기고 나머지는 수면에 부상상태를 유지할 있도록 부력수단을 강구하고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때 가동어도(103)에 구비되는 부력수단은 가동어도(103)와 힌지 연결하여 가동어도(103)의 움직임에 지장이 없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어도(100)를 통하여 물이 흘러내려 가고 어류가 어도(100)를 따라 상류로 이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동어도(103)의 취수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물론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게 되므로 가동어도(103) 및 고정어도(102)를 통하여 보(101)의 상류에서 하류로 흘러내려 가는 유량과 유속은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도(100)를 통하여 흘러내리는 물은 어도바디(104)를 구성하는 하부바디(105)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월류벽(112,113)을 통하여 월류하고, 월류벽(112,113)의 아래 측에서는 일정량의 수량이 확보된 상태의 소(沼)를 유지하게 되는 형태가 된다.
그러므로, 어류는 보(101)의 하측에서 고정어도(102)를 통하여 진입한 후 제일 하측에 위치한 월류벽(112,113)에 주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한 월류공간(114)을 통하여 월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월류한 어류는 월류벽(112,11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소(沼)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월류공간(114)을 통하여 뛰어넘을 준비를 수행한 후 다시 월류하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어도(100)를 따라 상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어도바디(104)의 내부 단면과 월류벽(112,113)에 형성되는 월류공간(114)의 단면이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어도바디(104)와 월류공간(114)의 중앙 수심은 깊고 주변의 수심은 낮은 형태를 가져 다양한 수심층을 제공하여 어류의 종류에 관계없이 소상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류로 이동한 어류는 가동어도(103)의 취수구(111)를 통하여 상류측의 수계로 나가게 되고, 하전이나 강의 바닥에 서식하는 저생어류의 경우에는 월류벽(112,113)의 하측 부위에 더 형성하는 잠공(116)을 통하여 용이하게 하류에서 상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잠공(116)과 잠공(116)을 연결하고 있는 로우프(117)를 통하여 참게, 가재, 달팽이나 조개 및 우렁이 또는 다슬기와 같은 다양한 수중생물이 소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공(116)을 통하여서는 저생어류의 소상을 돕는 기능외에도 혹여 어도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이 있을 경우에는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통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특히, 어류들이 쉽게 어도(100)를 통하여 상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월류벽(112,113)에 형성하는 월류공간(114)의 후미에 하향 경사진 와류방지면(115)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물이 자연스럽게 흘러 넘어가기 때문이다.
즉, 월류벽(112,113)과 월류벽(112,11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소(沼)에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동시에 거품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어류들이 소상할 때 충분하게 물을 차고 뛰어 월류벽(112,113)을 넘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바디(105)의 상부에는 상부바디(106)가 결합 되어 어도(100)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물 외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보(101)의 수위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량과 유속을 가지게 되므로 어류의 소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원인이 된다.
상기 상부바디(106)에 더하여 형성하는 채광창(107)을 통하여 햇빛이 투과되어 낮에만 이동하는 어류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관리자 또는 기타 이용자들이 어도(100)를 통하여 어류가 소상 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관찰 또는 학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어도(100)의 내부에 어류의 이동을 확연하게 살펴 확인할 수 있도록 부수적으로 카메라를 설치하여 어류가 소상 하는 어도(100)에 근접하지 않고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어류의 소상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는, 보(101)의 상측에 위치한 가동어도(103)에 부력을 가지는 취수수단(120)을 더 구비하여 보(101)의 수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량을 흘러내려 보낼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취수수단(120)은, 부력수단(121)을 가지고 일부는 수중에 위치하고 일부는 수상에 노출될 수 있도록 취수바디(122)를 구비하고, 상기 취수바디(122)의 내부에 가동어도(103)를 연결한다.
상기 취수바디(122)의 하부에는 취수를 위한 취수공(123)을 형성하여 수면에 있을 수 있는 부유물이 어도(100)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취수바디(122)에는 소상한 어류가 취수바디(122) 외부로 나갈 수 있는 출구(124)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취수바디(122)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가동어도(103)로 배출되는 양과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수리학적 계산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취수바디(122)는 보(101)의 수위 또는 유속의 변화가 있더라도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유지수단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위치유지수단은 수중에 고정되는 강관에 롤러를 결합하여 취수바디(122)가 유속에 의하여 떠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수중에서 앵커와 체인 등에 의하여 고정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어도는 강의 보에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저수지는 물론 댐의 제방을 통하여 설치가능할 것이며, 보의 상류측에는 가동어도를 설치하고 하류측에는 기존 어도와 연결하여 설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므로, 이러한 설계변경, 치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100; 어도
102; 고정어도
103; 가동어도
104; 어도바디
105; 하부바디
106; 상부바디
112,113; 월류벽
114; 월류공간
115; 와류방지면
116; 잠공
120; 취수수단

Claims (6)

  1. 강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보(101)를 관통 또는 우회하여 어류가 소상(遡上) 하는 데 한계 유속을 넘지 않도록 1/10 ? 1/20 내외의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하는 고정어도(102)와;
    상기 고정어도(102)의 상류측 단부에 연결되어 보(101)에 의하여 유지되는 수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항상 일정한 유량이 어도(100)를 통하여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가동어도(103)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어도(102) 및 가동어도(103)는 관체형상으로 하부바디(105)와 상부바디(106)로 구성되는 어도바디(104);
    상기 하부바디(105)의 내부에 어류가 소상할 수 있는 소(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소정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게 형성하는 다수 개의 월류벽(112,113)과;
    상기 월류벽(112,113)의 중앙에 주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어류의 월류를 돕는 월류공간(114)과;
    상기 월류공간(114)의 상단부 후미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이 소용돌이 없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하는 와류방지면(115)과;
    상기 하부바디(105)의 바닥면 근처의 월류벽(112,113)에 저생어류가 소상하기 용이하도록 형성하는 잠공(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 타입 어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106)에 형성하여 다수개의 채광창(107)을 형성하여 햇빛이 있는 낮에 이동하는 어류의 소상을 도우면서 시각적으로 어류의 이동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계창을 겸하는 채광창(1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 타입 어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어도(103)는 고정어도(102)와 보(101)의 수위에 따라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움직임이 자유로운 플렉시블조인트(110)로 연결하고;
    상기 가동어도(103)의 취수구(111)는 일정 유량의 유입과 더불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중에 소정의 깊이로 잠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 타입 어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어도(103)에는 보(101)의 수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량을 흘러내려 보낼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지는 취수수단(12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취수수단(120)은, 부력수단(121)을 가지고 일부는 수중에 위치하고 일부는 수상에 노출되고 가동어도(103)를 연결하여 구비하는 취수바디(122)와;
    상기 취수바디(122)의 하부 또는 측부의 하측에 취수를 위하여 형성하는 취수공(123)과;
    상기 취수바디(122)에 형성하여 소상한 어류가 취수바디(122) 외부로 나갈 수 있게 하는 출구(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 타입 어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공(116)과 잠공(116) 사이는 어류 외의 수중생물이 소상할 수 있도록 로우프(117)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 타입 어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바디(104)의 내부와 월류벽(112, 113)에 형성되는 월류공간(114)은 다양한 수심층을 제공하여 어류의 소상을 도울 수 있도록 전체 또는 일부가 원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로 타입 어도.
KR1020100102054A 2010-10-19 2010-10-19 관수로 타입 어도 KR20120040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54A KR20120040570A (ko) 2010-10-19 2010-10-19 관수로 타입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054A KR20120040570A (ko) 2010-10-19 2010-10-19 관수로 타입 어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570A true KR20120040570A (ko) 2012-04-27

Family

ID=4614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054A KR20120040570A (ko) 2010-10-19 2010-10-19 관수로 타입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05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93A (ko) * 2017-06-12 2018-12-20 다주건설 (주) 보 우회 구조의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CN113863242A (zh) * 2021-11-23 2021-12-31 昆明理工大学 一种进水高度可调节的鱼道结构及其实施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93A (ko) * 2017-06-12 2018-12-20 다주건설 (주) 보 우회 구조의 하천의 수질개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천의 수질개선구조물
CN113863242A (zh) * 2021-11-23 2021-12-31 昆明理工大学 一种进水高度可调节的鱼道结构及其实施方法
CN113863242B (zh) * 2021-11-23 2024-04-12 昆明理工大学 一种进水高度可调节的鱼道结构及其实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23B1 (ko)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KR200440994Y1 (ko) 비탈식 물받이 사방댐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JP2012188829A (ja) 砂防堰
KR100955709B1 (ko) 집수조를 구비하는 어도
KR100913772B1 (ko) 자연형 하천의 생태 어도보
US20170138008A1 (en) Fish ladder facility
KR100989560B1 (ko) 댐에 설치되는 어도 시설물
KR20120040570A (ko) 관수로 타입 어도
Cotterell Fish passage in streams
JP2003166228A (ja) シラスウナギ用魚道システム
CN209798707U (zh) 一种引水式电站溢流坝段生态改造结构
CN211621506U (zh) 一种组合式生态排水渠结构
CN211973343U (zh) 一种活动式溢洪道拦鱼闸门
KR20050042091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어도를 구성하는 방법
KR100515189B1 (ko)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CN111236134A (zh) 一种活动式溢洪道拦鱼闸门
CN213639336U (zh) 一种水产养殖用的溢洪防逃装置
KR100954218B1 (ko) 갈수위에도 어류 이동이 가능한 어도시설물
KR100918494B1 (ko) 조력발전 및 해양생태 보존을 위한 친환경 조류 서식장
JP2005282287A (ja) 水路式魚道ブロック
JP3303049B2 (ja) 淡水貯留池への魚類の遡上システム
RU2298065C1 (ru) Способ сбора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103086B1 (ko) 생태통로가 구비된 사방댐
CN213463607U (zh) 一种闸口气帘围网联合控鱼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