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189B1 -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 Google Patents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189B1
KR100515189B1 KR10-2002-0058703A KR20020058703A KR100515189B1 KR 100515189 B1 KR100515189 B1 KR 100515189B1 KR 20020058703 A KR20020058703 A KR 20020058703A KR 100515189 B1 KR100515189 B1 KR 100515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
diameter pipe
pip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9707A (ko
Inventor
한민호
Original Assignee
건양씨엔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씨엔이 (주) filed Critical 건양씨엔이 (주)
Priority to KR10-2002-0058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189B1/ko
Publication of KR2002007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6Pressure galleries or pressure conduits;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pressure conduit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use therewith, e.g. housings, valves,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지 하천복원이 시작되는 상류지역에 물막이 수중보 및 어도와, 하천바닥에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를 설치하여 하천수를 재순환하고 홍수시 바이패스시켜 홍수시의 과다 유량을 흡수하였고, 상기 대구경파이프내 하단부에 연결되어 설치된 취수 시설과 고수부지에 설치된 양수장 및 자연정화 시설 및 생태공원 생태학습장으로 구성된 설비와 그 설비를 이용한 도심지 하천복원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하천 복원 공법{The facility of river in the civil center and method restoration of it}
본 발명은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도심지 하천복원이 시작되는 상류지역에 물막이 수중보 및 어도, 홍수시 과다 유량 흡입구, 하도밑에 설치한 하천수 재순환 및 홍수시 바이패스 통로내 하단부에 설치된 취수 시설, 그리고 고수부지에 설치된 양수장 및 자연정화 시설로 이루어진 설비 및 생태공원 생태학습장과 그 설비를 이용한 도심지 하천복원공법에 관한 것이다.
국토의 도시화에 따라 토지 이용이 증대되고 하천유역에서의 생산활동이 증대되면서 하천은 이, 치수 기능만을 고려한 배수로 기능을 담당하는 하천이 되어왔으며, 대도시 하천의 고수부지 등은 하상주차장 또는 하상도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왔다. 특히 자연스럽게 사행하던 하천이 직강하되거나 복개되고 호안은 콘크리트로 변하였고 차집관거 설치 및 도심지역의 포장으로 인한 하천으로의 유입유량감소
등으로 인하여 하천은 자정능력을 상실한채 다양하게 천변에 서식하던 식생, 어류, 곤충 등은 사라져 갔다.
이러한 하천환경의 저하에 대한 복안으로 여러 공법이 유럽 및 일본, 한국에서 시도되고 있다. 그중 하나인 자연형 하천 복원 공법은 현재의 인위적인 하천을 생태적 자연기법을 도입하여 과거 자연 상태의 하천으로 복원하려는 공법이며, 더 이상 우리 주변의 자연환경을 사람위주로 개발하여 환경오염을 가중시키지도 않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 소개된 자연형 하천 복원공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독일 및 스위스에서 발달한 유럽형 공법으로 주로 자연재료(말뚝 및 식물재료등)를 이용하여 하천복원을 하는 공법이나 유럽에 비해 하상계수가 큰(일시적으로 큰 유량이 집중되는 비율을 나타낸 계수로 유럽에 비해 작게는 10배에서 크게는 50배까지 큼) 국내의 하천에서는 집중호우에 의해 유발된 홍수에 의해 복원된 시설이 유실되는 경우가 많아 국내에서의 적용은 거의 힘들다.그리고 국내와 같이 하상계수가 큰 일본에서 발전한 구조물 위주의 자연형 하천 복원 공법이 국내 하천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인공구조물의 특성상 유럽형과 같은 섬세한 자연 생태계의 복원은 힘든 실정이다. 하천의 유량관리가 잘되고 있는 일본에 비해 갈수기에는 하천에 거의 물이 없는 국내의 사정상, 식생, 곤충 및 어류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이의 대비책으로 상류에 댐 건설 및 도수관을 통한 다른 하천 용수의 유입 및 지하수 양수를 통한 용수확보를 시도하고 있으나, 특히 지하수 양수를 통한 유량확보의 경우, 도시포장화로 인하여 도시 지반내 지하수가 고갈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량의 지하수를 양수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지반침하 현상을 불러올수 있다. 상류에 댐을 건설하는 방안 또한 2차적인 환경 파괴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자제해야하며 타하천에서의 유량도입 또한 취수원이 되는 타 하천의 환경저하를 불러올 수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도심지내의 하천은 하수종말처리 시설에 의해 처리가 되지만, 도심지 상류에 위치한 하천수는 대개 오수처리가 되지 않은 채 도심지 하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도심지 하천의 복원시에는 이에 대한 대책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개발자는 이러한 기존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한국형 도심지 하천에 적용 가능토록 한 하천복원 공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신공법의 적용으로 인하여 보다 풍부한 자연환경의 도심내 회복를 가능토록 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하천 복원 공법은 식생호안공법과 구조물 블록공법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식생호안공법을 설명하면, 자연형 하천 정비 공법은 현재의 인위적인 하천을 생태적 자연 기법을 도입하여 과거 자연 상태로의 하천으로 복원하려는 공법이며, 더 이상 우리 주변의 자연 환경을 사람 위주로 개발하여 환경오염을 가중시키지 않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자연을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복원운동은 유럽, 미국, 일본 등지에서 범국민적인 캠페인을 통하여 10여년전부터 실행해 왔으며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생태공학적 기술은 불안정한 구간에 식물공동체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며 생물학, 생태학과 공학적인 개념들이 함께 기능을 발휘하는 체계가 된다.
생태공학은 단지 약한 것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스스로를 보호하는 자생력을 이용하며, 일단 식생의 안정화가 구축되면 식생은 자발적 유지가 가능하다. 살아있는 식물들이 외부의 힘 (홍수나 유동사 퇴적에 의한 상태의 변화)에 의해 충격을 받았을 때 식물들은 재생과 적응이 쉽다. 그래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수백년동안 사람들은 이러한 식물들의 안정화 특성을 이용하여 왔다.
자연형 하천 호안 정비공법은 하천환경 정비중 하천내에서 생태적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저수호안을 생태적으로 재생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자연형 하천 호안 공법에 사용되는 주요재료는 자연석(원석 또는 깬돌), 목재(말뚝, 살아 있는 삽목이 가능한 나뭇가지 또는 죽은 가지.), 천연섬유(야자열매 섬유를 이용한 제품, 황마)등이 자연형 하천 공법이 발달된 유럽에서 쓰이는 주요 재료이다. 이들 재료중 자연석은 유한 자원이며, 목재 또한 사용후 다시 성장시키려면 적어도 수년에서 수십년이 소요되는 유한자원으로 볼 수 있다. 돌과 나무의 과다 사용은 자연이 회복할 여유를 주지 않는 또 다른 자연 파괴이며, 훼손된 부분을 회복시키려 다른곳을 파괴하는 빈곤의 악순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아낸 것이 천연섬유로 야자열매를 이용한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하천에서의 치수기능과 환경기능은 어느 정도 상반된 면을 지니고 있다. 하천 생태계, 경관 및 친수성등 하천 환경 요소들은 호안재료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으므로 자연형 하천 계획에 의해 이루어지는 하천정비는 달성목적에 따라 다양한 재료가 선택되어 질 수 있으므로 해당하천의 하도 및 지역특성등을 충분히 반영하고 홍수에도 견딜 수 있음은 물론 하천 생태계, 경관, 친수성등 여러 하천 환경 요소들의 보전 및 향상을 위하여 서로 비교 검토후 최적 재료를 선택하여 적용하거나 재료의 조합도 바람직하다.
식생호안공법의 장점은 경관양호, 둔치의 건조화 방지, 다양한 식생기능, 생태계 보전기능-초본류와 함께 식물연쇄의 제 1차 생산자 역할을 하고, 조류나 소동물의 휴식과 먹이 획득의 장소 제공. 수질정화기능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하도접근 곤란, 지속적인 유지관리 필요하고,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공사비가 비싸다, 내구성 저하, 시공시기의 제한 받는 점이다.
일반 자연형 하천복원 공법 시공예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자연형 하천 정비시 문제점은 년중 식물 식재를 위한 시공 시기의 배려가 필요. 식물성장기 동안 이식할 경우 고사하는 식물의 양이 늘어나는 것이다.
자연형 하천 공법은 아직 대부분이 품셈에 기재되어 있지 않아서 노임, 경비 및 재료비의 적응이 일정치 못해 설계 담당자나 공무원의 애로 사항이 되고 있으며, 이는 공사비 산출시 가격 상승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 자연형 하천 공사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은 버드나무과의 갯버들, 버드나무 등과 벼과 식물의 갈대, 물억새등이다. 다행히 최근 일부 식물원에서 갈대, 물억새등은 재배하여 판매하고 있지만, 아직도 많은 양이 채취되고 있으며, 버드나무류는 거의 전량이 채취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자연 하천을 조성하기 위해 또 다른 환경파괴를 범하는 경우가 되므로 현재는 큰 문제가 없다 할지라도, 향후 공사가 늘어나면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돌 공사시 식재와 병행할 경우, 돌을 사용하는 공사는 돌 사이의 공극에 물고기와 저서 생물들의 서식처 및 피난처로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평상시 수위선 이상의 지역은 돌틈 사이에 자연적으로 식물이 자생하려면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붕괴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경관적으로도 좋지 않으므로 평수위선 이상은 돌틈사이에 흙을 채워 버드나무류, 삽목, 잔디 식재 및 씨앗 뿌리기 등으로 녹화시키는 것으로 경관수나 치수적으로 좋다고 판단된다.
구조물 블록공법을 설명하면, 기존 콘크리트의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면서, 물과 공기를 투과 시킬 뿐만 아니라 식물의 뿌리를 통과시켜 제방의 원지반에 정착하게 함으로써 제방의 원지반을 살리고(지렁이, 소곤충의 생존 확인)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며, 수중 생물의 서식공간을 확보해줌과 아울러 수생생태계와 육상생태계를 연결하여 줌으로써 풍부한 생태환경을 회복할 수 있다.
구조물 블록공법의 장점으로는 하천의 생태적 다양성을 확보 제방부 전면에 식물이 생육하도록 하여 하천 생태계와 육상 생태계를 자연스럽게 연결하도록 하며 수중부에 다양한 수생식물이 생육하도록 하여, 어류, 양서류, 파충류 및 곤충류의 산란과 서식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식물이 정착될 뿐만 아니라 물과 산소를 투과시키므로 원지반에 지렁이를 포함한 다양한 소곤충과 미생물이 생육되고, 구조체로서 제방을 홍수로부터 보호하여 식생이 정착되어 블록과 제방을 일체화시키고 투수성 재료를 사용하여 제방이 받는 토압을 경감시켜 블록간의 마찰계수가 증가되며, 식물의 뿌리가 블록을 통과하여 제방에 정착되므로 견고하게 제방에 부착되는 것이다. 구조물 블록공법 시공예는 도13내지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다.
기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0-0007004호에는 중소하천의 어족보호와 양서류의 이동통로를 가진 낙차공과 호안의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특2002-0059196호에는 환경복원을 위한 호소내 수생식물을 식재하기 위하여 장마철이나 폭우 등에 견딜 수 있는 자연형 하천복원과 하천 수변부의 수충부를 설치하여 침식방지 및 식물정착이 가능한 식생호안공법이 기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296515호에는 하천의 어족자원과 양서류를 보호할 수 잇는 친환경적인 하상 및 호안부재와 이를 이용한 하상 및 호안의 시공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3238호에는 동물들이 생활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환경생태통로다리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20-0277591호에는 하천에 형성된 수중보의 적어도 한곳에 수로를 형성하여 어도를 구성하는 수중보용 어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양측벽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다수개의 어도가 형성된 어도불록과, 어도불록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공이 형성된 고무튜브로 이루어진 어도형성부와, 상기 수로의 양측벽면에 고정된 스크린망으로 구성된 하천의 수중보용 어도장치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20-0286652호에 자동수위조절이 가능한 수중보가 기술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한국의 하천지형에 맞지 않고, 또한 설치방법이 복잡하고 도심지에 단시간내에 설치하기 어려우며, 홍수시 대량의 물을 유출시키지 못하며, 친환경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발명의 명칭 : 대구경강관 압입추진공을 이용한 생태계 이동로 시공방법(출원번호 10-2002-0011899호)을 적용한 자연형 하천 복원 공법의 일종으로 현재의 인위적인 하천을 생태적 자연기법을 도입하여 과거 자연 상태의 하천으로 복원하려는 공법으로서, 자연환경을 사람위주로 개발하여 환경오염을 가중시키지도 않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환경을 창출하고자 하는 한국형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수(13)가 흐르는 하도(11)의 상하류지역에 물막이 수중보(21,32,) 및 어도(22,33)를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고 물고기의 왕래를 자유롭게하였으며, 하천바닥 하부에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를 매설하여 하천수를 재순환하거나 홍수시 바이패스시켜 홍수시 과다 유량을 흡수하였고, 상기 대구경파이프수로(10)내 하단부에 연결된 취수시설과 고수부지(7)에 설치된 양수장(1)에 의해 물을 취수하여 자연정화 시설(2)을 이용하여 정화하였고, 상기 하도(11)의 양측지역의 경사면 호안에 설치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형성된 하상도로(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생태공원(4)의 인공호수(또는 인공연못)과 연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자연정화시설(1)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자연정화시설(1)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생태공원(4)과, 배수관(26)에 의해 정수된 물을 하도(11)로 배출하였으며,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바깥쪽 측면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 제방도로(8)로 이루어진 한국형 도심지 하천복원공법 및 그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첫째, 홍수시 과다 유량 유입구 및 방출수문을 갖추면서 평수위시에는 하천수 재순환의 용도를 가지는 하류 취수구 및 상류 취수시설을 갖춘 대구경 파이프를 복원하고자 하는 도심지 하천의 하도밑에 설치하여 도심지 하천의 일정수량 확보 및 홍수시에 고수부지내의 생태공원 시설을 보호하고자 하였고,
특히 상류에 풍부한 수량을 갖추지 못한 도심지 하천의 경우, 일정 유량을 확보해야하는 면에서 많은 곤란을 겪고 있는데 본 공법을 채용하게 되면 타하천에서의 용수도입 또는 지하수 양수를 사용한 용수 확보를 안해도 가능하며, 지하수 양수로 인한 도심지 지반 침하의 어려움을 겪지 않아도 되며,
둘째, 재순환된 하천수를 상류의 강관파이프내 취수원에서 양수하여 일부는 자연정화 시설로, 일부는 복원된 하천으로 방류하는 시스템을 채택하였으며, 접촉산화시설 및 습생식물 정화 시설 등의 자연정화 시설을 거친 하천수는 고수부지에 만들어진 생태공원 및 생태학습장등을 순환하도록 하여 보다 깨끗한 수변 환경을 요구하는 많은 수생생물들이 도심지 복원 하천에 적응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상류 및 하류의 수중보에 계단식 어도를 만들어 복원된 도심지 하천을 통해 상류에서 하류, 또는 하류에서 상류로 물고기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였으며,
세 번째는 도심지의 과다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만든 하상도로 시설을 하천 복원의 명분으로 폐기 시키지 않은 채 복원된 하천과 생태공원과의 조화성을 중시한 친환경 도로(서식 생물의 휴식을 위하여 야간 및 심야 통행 금지 및 야생동물 이동통로 설치 및 친자연적 울타리 설치등)로 재 가공하여 도심지내의 교통량 분산을 일정량 담당할 수 있도록 하였고,
넷 째, 복원된 도심지 하천내의 고수부지내에 생태공원 및 생태학습장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의 접촉이 어려운 도시민들에게 자연의 풍부한 휴식을 주며 어린이들에게는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을수 있는 학습장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시설물이 홍수시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도밑에 설치된 홍수시 과다 유량 바이패스 (BY-PASS) 배출 대구경 파이프를 설치하였다.
본 발명을 크게 3 부분으로 나누어 세부 설명을 할 수 있다.
첫째, 도심지 하천복원이 시작되는 상류지역의 물막이 수중보 및 어도, 홍수시 과다 유량 흡입구, 하도밑에 설치한 하천수 재순환 및 홍수시 바이패스 통로내 하단부에 설치된 취수 시설, 그리고 고수부지에 설치된 양수장 및 자연정화 시설로 이루어져 있으며,(도.3).
우선 대구경 파이프로 이루어진 하천수 재순환 및 홍수시 바이패스 통로는
하수정화 처리를 거치지 않은 오염된 하천수가 흐르던 도심지 하도 아래의 심하게 부패된 하상토양을 굴착하여 폐기물처리장에 반출 처리후, 10년빈도 이상의 홍수 유량을 바이패스 처리할수 있는 관경의 대구경 파이프를 매설하고 깨끗한 하상토양을 충진하여 수생생물이 하천에 복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
그리고 상류에서 흘려온 물은 일단 물막이 수중보를 통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며, 수중보에 설치되는 계단식 어도를 통하여 물고기의 왕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수중보 상류 양측지역의 호안에는 제방을 설치하여 홍수시의 과다 유량이 고수부지내의 양수장 시설 또는 자연 정화 시설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였으며, 수중보 상류 10m 전방 지역에 수중보 보다 높게 설치한 홍수시 과다 유량 유입구로 홍수시의 과다 유량이 자유롭게 유도되도록 하였다.
또한 하천수 재순환 및 홍수시 바이패스 통로내의 하단부에 설치된 취수시설을 통하여 양수된 하천수는 양수장에서 양을 조절 분리하여 일부는 자연정화 시설을 거친 후, 생태공원 및 생태학습장의 용수로 사용되도록 하였으며, 나머지 하천수는 복원된 하천 지역에 방류하여 하천 수량이 항상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연정화 시설에는 접촉산화식 정화시설 및 습생정화식물에 의한 정화지를 만들어 보다 깨끗한 물이 생태공원 및 생태학습장으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두번째는 복원 대상 도심지 하천의 중류지역으로 하천수가 흐르는 하도밑에는 하천수 재순환 및 홍수시 바이패스 수로용의 대구경 파이프를 매설하며, 하상토양은 깨끗한 토양으로 치환하여 충진한다.
그리고 호안지역에는 자연성 호안 정비 재료를 이용하여 호안 복원정비를 실시하며 하천에서 제방까지 연결된 생태시스템을 갖추도록 한다.
하상도로는 일정부분마다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 (당사 기특허출원공법 <대구경강관 압입추진공을 이용한 생태계 이동로 시공방법 출원번호 10-2002-0011899> 적용 가능)을 생태공원의 호수와 연계 설치하여 하천지역 및 호안지역, 고수부지내의 생태공원 및 생태 학습장에로의 동물이동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야간 및 심야에 서식생물의 안정된 휴식을 위하여 차량 통행금지를 실시한다.
또한 하상도로는 친환경적 도로로 부설하며 도로 양측에는 울타리를 설치하여 서식동물들이 차량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고수 부지내에는 생태공원 및 생태 학습장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의 접촉이 어려운 도시민들에게 자연의 풍부한 휴식을 주며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을수 있는 학습장이 되도록 하였다.
세번째는 도심지 하천 복원이 끝나는 하류지역으로 물막이 수중보를 통하여 복원된 하천내의 유량이 일정하도록 하였으며, 수중보에는 계단식 어도를 설치하여 하류에서 올라오는 물고기들의 왕래를 자유롭도록 하였다.
또한 수중보 전방 10m 의 상류지역에는 하천수 재순환 및 홍수시 바이패스 수로에 연결된 취수 파이프를 가진 취수구를 평수위 중간지점에 설치하여 수중보에 의해 저수된 하천수가 자연스럽게 하천수 재순환 통로로 흘려들도록 하였으며 이 취수구에는 수문을 설치하여 홍수시에는 하천수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홍수시의 하천수 역류현상을 차단하였다.
그리고 하천수 재순환 및 홍수시 바이패스 수로 기능을 가지는 대구경 파이프는 수중보 하류지역의 하도에 노출되게 하였으며, 홍수시에는 수문을 개방하여 상류지역의 과다 유량을 대구경 파이프를 통하여 하류로 바이패스 시켜 복원된 하천의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공정
하천수(13)가 흐르는 하도(11)의 양측지역의 경사면 호안에 도1내지 도3과 같이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을 설치하여 홍수시의 과다 유량이 고수부지(7)내의 양수장(2) 또는 생태공원(4)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형성시켜, 하상도로(5)를 설치하여 도시교통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상기 하상도로(5)의 바깥쪽 측면에는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를 설치하여 시민들이 휴식과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였고, 상기 고수부지(7)의 상류 일측에 자연정화시설(1)을 설치하여, 양수장(2)에서 취수된 물을 정화시켜 하도(11)에 배출하며, 상 자연정화시설(1)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공원(4)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여 하천수를 정화시켰고,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바깥쪽 경사면 제방에는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을 설치하여 홍수시의 과다 유량이 제방을 넘어 주택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였고, 상기 자연형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는 제방도로(8)를 설치하여 도시교통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친환경형 하상도로(5)는 일정부분마다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를 대구경강관 압입추진공을 이용한 생태계 이동로 시공방법에 따라 설치하였고, 상기에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25)는 도18내지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생동물에게 환경적인 위화감을 주지 않기 위해 내관(41)의 내부에 친환경적인 접착재료를 이용하여 통나무 벽면 등의 패널(48)을 시공하고, 벽면 사이에 넝클등을 삽입하고, 일정조명을 위한 조명장치(43)를 내관(41) 천정 일측에 설치하며, 야생동물의 이동시 내관(41)의 바닥에서 오는 위화감을 줄이기 위해 토양(흙바닥)(44)을 설치한 다음, 도로의 하단에 매설된 외관(40)의 양선단부에서 고수부지지역으로 약 5m 정도의 방음벽(49)을 설치하고, 야생동물을 상기와 같이 시공된 이동로로 유도하기 위하여 도로의 측면에서 고수부지안으로 2m 떨어져 설치한 상기와 같이 시공된 이동로의 선단부와 도로측면을 완만한 경사로 연결하는 유도철책을 설치하여 하천지역 및 호안지역, 고수부지내의 생태공원 및 생태 학습장에로의 동물이동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였고,
제2공정
하수정화 처리를 거치지 않은 오염된 하천수가 흐르던 도심지 하도(11)의 바닥에 심하게 부패된 하상토양을 굴착하여 폐기물처리장에 반출 처리후, 10년빈도 이상의 홍수 유량을 바이패스 처리할 수 있는 관경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를 다수개 매설하고, 상기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부에 깨끗한 하상토(13)를 복토하여 수생생물이 하천에 복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 다음,
하도(11) 상류(A)의 일측에 하도(11)의 바닥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 (10)의 상류측 말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게 설치하고, 저수된 하천수(12)가 자연스럽게 대구경파이프수로(10)로 흘려들도록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류측 말단부에 취수구(20)를 설치하였고,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내부하부일측에 펌프(24)를 설치하여, 상기 펌프(24)에 연결된 취수관(23)을 통해 고수부지(7)에 설치된 양수장(2)에 취수관(23)을 통해 고수부지(7)에 설치된 양수장(2)에 취수토록 하고, 상기 양수장(2)에 일측에 형성되어 자연정화시설(1)을 통해 정화시킨 다음, 정수된 물을 배수관(26)을 통해 하도(11)로 배출시켜 하도(11)를 정화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취수구(20)를 중심으로 하류쪽 후방 10m 의 후방지역에 어도(22)가 경사지게 설치된 수중보(21)를 형성시켜
상류에서 흘려온 물은 일단 물막이 수중보(21)를 통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며, 상기 수중보(21)에 설치되는 계단식 어도(22)를 통하여 물고기의 왕래를 자유롭도록 하였으며,
제3공정
상기 하도(11)의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측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을 형성시켜 하천수(13)의 수위까지 연장되게 하여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의 말단부에 설치된 취수구(30)입구에 수문(50)을 설치하여 대구경파이프수로(10)에 하천수(13)를 유입시켜 홍수시에는 하천수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홍수시의 하천수 역류현상을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 끝단부는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어 설치한 후 끝단부에 다수개의 수문(31)을 설치하여 홍수시에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내에 바이패스된 물을 배출 또는 차단하게 하고,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과 수문(31)의 사이에 어도 (33)가 경사지게 설치된 수중보(32)를 형성시켜, 상류에서 흘려온 물은 일단 물막이 수중보(32)를 통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며, 상기 수중보(32)에 설치되는 계단식 어도(33)를 통하여 물고기의 왕래를 자유롭도록 한 한국형으로 도심지 하천을 복원하도록 시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전체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전체 정면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상류 측면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상류 평면상세도, 도5는 본 발명
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상류 정면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중간부 평면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중간부 측면상세도, 도8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중간부 정면상세도, 도9는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하류 평면상세도, 도10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하류 측면상세도, 도11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하류 정면상세도, 도12는 종래의 자연형 하천복원공법 상세도, 도13내지 도17은 종래의 블록공법 상세도, 도18는 본 발명의 제방도로에 설치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 평면상세도, 도19은 본 발명의 제방도로에 설치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 측면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자연정화시설(1), 양수시설(2), 자연형 호안정비시설(3,6), 생태공원(4), 친환경형 하상도로(5), 고수부지(7), 제방도로(8), 대구경파이프수로(10),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 하도(11), 하천수(12,12'),하상토(13), 취수구(20,30), 수중보(21, 32), 어도(22,33), 취수관(23), 펌프(24), 생태공원용수공급관(25), 배수관(26,27), 수문(31,50), 대구경외관(40), 내관(41), 유도철책(42), 조명장치(43), 토양(44), 내관지지대(45), 배수로(46), 고무판(47), 패널(48), 방음벽(49), 제방(51), 터널식야생동물 이동통로(52), 상류:A, 중앙부:B, 하류:C , 홍수위: x, 평수위: y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2와 같이 도심지 하천에 있어서, 바닥에 하상토(13)가 있으며 상기 하상토(13)의 상부에 하천수(12)가 흐르는 하도(11)와, 상기 하도(11)의 상,하류측에 형성된 수중보(21,32)와, 상기 하도(11)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와, 상기 하도(11) 상,하류측의 수중보(21,3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로 물을 유입시키는 취수구 (20,30)와, 상기 하도(11)의 최상부 양쪽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방에 형성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 형성된 하상도로(5)와, 상기 하상도로(5)의 바깥쪽 측면에 형성된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와,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상류쪽 일측에 형성된 자연정화시설(1)과,
상기 친환경형 하상도로(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생태공원(4)의 인공호수(또는 인공연못)과 연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와,
상기 자연정화시설(1)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생태공원(4)에 물을 공급하는 생태공원용수공급관(25)과, 상기 자연정화시설(1)의 또다른 일측에 형성된 양수장(2)과, 상기 양수장(2)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부 일측에서 형성된 펌프(24)에 또다른 일측이 연결되어 물을 취수하는 취수관(23)과, 상기 양수장(2)의 또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자연정화시설(1)을 통해 정수된 물을 하도(11)로 배출하는 배수관(26)과,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바깥쪽 측면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 형성된 제방도로(8)로 구성된 한국형 도심시 하천설비인 것이다.
상기 상류(A)의 하도(11)를 살펴보면, 도3내지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도(11)의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류측일단이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어 형성된 말단부와,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물을 유입또는 차단시키는 취수구(20)와,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부일측에서 형성된 펌프(24)와, 상기 펌프(24)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다른 일측에는 양수장(2)에 연결되어 물을 취수하는 취수관(23)과, 상기 양수장(2)의 또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자연정화시설(1)을 통해 정수된 물을 하도(11)로 배출하는 배수관(26)과,
상기 취수구(20)를 중심으로 하류쪽에 형성된 수중보(21)와, 상기 수중보(21)의 하류쪽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어도(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도(11)의 중앙부(B)를 살펴보면, 도6내지 도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도(11)에 흐르는 하천수(12)의 하부에 형성된 하상토(13)와, 상기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도(11)의 하류(C)를 살펴보면, 도9내지 도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도(11)의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측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하천수(13)의 수위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과,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의 말단부에 형성된 대구경파이프수로(10)에 물을 유출입시키는 취수구(30)와, 상기 취수구(30)에 설치된 수문(50)과,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 끝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끝단부에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수문(31)과,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과 수문(31)의 사이에 형성된 수중보(32)와, 상기 수중보(32)에 형성된 어도(33)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수중보(21,32)의 일측에 형성된 어도(22,33)는 통상 알려진 형태의 수중보에 경사지게 설치된 어도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하상도로(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는 도18 및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강관)(41) 양측면에 설치된 판넬(48)과,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관내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43)와, 상기 내관(41)의 하부에 설치된 토양(44)과, 상기 토양(44)의 양단에 형성된 배수로(46)와, 상기 내관(41)의 외측하부와 외관(강관)(40)내부에 형성되어 내관(40) 지지하는 내관지지대(45)와, 상기 내관지지지대(45)상부와 내관(41)사이에 형성되어 내관 (41)을 보호하는 고무판(47)과, 상기와 같이 시공된 이동로의 선단부와 도로측면을 완만한 경사로 연결되어 설치된 유도철책(42)으로 구성된 제방도로용(8)의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홍수시 과다 유량 유입구 및 방출수문을 갖추어 도심지 하천의 일정수량 확보 및 홍수시에 고수부지내의 생태공원 시설을 보호하고,
재순환된 하천수를 상류의 강관파이프내 취수원에서 양수하여 일부는 자연정화 시설로, 일부는 복원된 하천으로 방류하며, 상류 및 하류의 수중보에 계단식 어도를 만들어 복원된 도심지 하천을 통해 상류에서 하류, 또는 하류에서 상류로 물고기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였고, 도심지의 과다한 교통량을 분산하기 위해 만든 하상도로 시설을 하천 복원하여 도심지내의 교통량 분산을 일정량 담당할수 있도록 하였으며, 복원된 도심지 하천내의 고수부지내에 생태공원 및 생태학습장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의 접촉이 어려운 도시민들에게 자연의 풍부한 휴식을 주며 어린이들에게는 자연의 소중함을 깨닫을 수 있는 학습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전체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전체 정면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상류 측면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상류 평면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상류 정면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중간부 평면상세도
도7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중간부 측면상세도
도8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중간부 정면상세도
도9는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하류 평면상세도
도10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하류 측면상세도
도11은 본 발명의 도심지 하천복원 공법 하류 정면상세도
도12는 종래의 자연형 하천복원공법 상세도
도13내지 도17은 종래의 블록공법 상세도
도18는 본 발명의 제방도로에 설치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 평면상세도
도19은 본 발명의 제방도로에 설치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 측면상세도
<도면의 부호설명>
자연정화시설(1), 양수시설(2), 자연형 호안정비시설(3,6), 생태공원(4), 친환경형하상도로(5), 고수부지(7), 제방도로(8), 대구경파이프수로(10),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 하도(11), 하천수(12,12'),하상토(13), 취수구(20,30), 수중보(21, 32), 어도(22,33), 취수관(23), 펌프(24), 생태공원용수공급관(25), 배수관 (26), 수문(31,50), 대구경외관(40), 내관(41), 유도철책(42), 조명장치 (43), 토양(44), 내관지지대(45), 배수로(46), 고무판(47), 패널(48), 방음벽(49), 제방(51),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 상류:A, 중앙부:B, 하류:C , 홍수위: x, 평수위: y

Claims (9)

  1. 하천수(13)가 흐르는 하도(11)의 양측지역의 경사면 호안에 설치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형성된 하상도로(5)와, 상기 하상도로(5)의 바깥쪽 측면에 설치된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와, 상기 고수부지(7)의 상류 일측에 설치된 자연정화시설(1)과, 상기 자연정화시설(1)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공원(4)과,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바깥쪽 경사면 제방에 설치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호안정비시설 (6)의 상부에 제방도로(8)를 시공하는 도심지 하천복원공법에 있어서,
    하천수(13)가 흐르는 하도(11)의 상하류지역에 물막이 수중보(21,32,) 및 어도(22,33)를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고 물고기의 왕래를 자유롭게하였으며, 하천바닥 하부에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를 매설하여 하천수를 재순환하거나 홍수시 바이패스시켜 홍수시 과다 유량을 흡수하였고, 상기 대구경파이프수로(10)내 하단부에 연결된 취수시설과 고수부지(7)에 설치된 양수장(2)에 의해 물을 취수하여 자연정화시설(1)을 이용하여 정화하였고, 상기 하도(11)의 양측지역의 경사면 호안에 설치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형성된 하상도로(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생태공원(4)의 인공호수(또는 인공연못)과 연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자연정화시설(1)에 의해 정화된 물을 자연정화시설(1)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생태공원(4)과, 배수관(26)에 의해 정수된 물을 하도(11)로 배출하였으며,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바깥쪽 측면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 제방도로(8)를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복원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는 야생동물에게 환경적인 위화감을 주지 않기 위해 내관(41)의 내부에 친환경적인 접착재료를 이용하여 통나무, 벽면 등의 패널(48)을 시공하고, 벽면 사이에 넝클등을 삽입하고, 일정조명을 위한 조명장치(43)를 내관(41) 천정 일측에 설치하며, 야생동물의 이동시 내관(41)의 바닥에서 오는 위화감을 줄이기 위해 토양(흙바닥)(44)을 설치한 다음, 도로의 하단에 매설된 외관(40)의 양선단부에서 고수부지지역으로 약 5m 정도의 방음벽(49)을 설치하고, 도로의 측면에서 고수부지안으로 2m 떨어져 설치한 상기와 같이 시공된 이동로의 선단부와 도로측면을 완만한 경사로 연결하는 유도철책을 설치하여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복원공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시공은 하수정화 처리를 거치지 않은 오염된 하천수가 흐르던 도심지 하도(11)의 바닥에 심하게 부패된 하상토양을 굴착하여 폐기물처리장에 반출 처리 한후, 10년빈도 이상의 홍수 유량을 바이패스 처리할수 있는 관경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를 다수개 매설하고, 상기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부에 깨끗한 하상토(13)를 복토하여 수생생물이 하천에 복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 다음, 하도(11) 상류(A)의 일측에 하도(11)의 바닥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류측 말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게 설치하고, 저수된 하천수(12)가 자연스럽게 대구경파이프수로(10)로 흘려들도록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류측 말단부에 취수구(20)를 설치하였고,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내부하부일측에 펌프(24)를 설치하여, 상기 펌프(24)에 연결된 취수관(23)을 통해 고수부지(7)에 설치된 양수장(2)에 취수토록 시공한 다음, 상기 하도(11)의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측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을 형성시켜 하천수(13)의 수위까지 연장되게 하여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의 말단부에 취수구(30)를 설치하여 대구경파이프수로(10)에 물을 유입시키며, 상기 취수구(30) 입구에 수문(50)을 설치하여 홍수시에는 하천수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용수시의 하천수 역류현상을 차단도록 하였고,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 끝단부는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어 설치한 후 끝단부에 다수개의 수문(31)을 설치하여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 또는 차단하게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복원공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수장(2)의 시공은 양수된 물은 일측에 형성되어 자연정화시설(1)을 통해 양수된 물을 정화시킨 다음, 정수된 물을 배수관(26)을 통해 하도(11)로 배출시켜 하도(11)를 정화시키도록 시공하고, 상기 수중보(21)의 시공은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취수구(20)를 중심으로 하류쪽 후방 10m 의 후방지역에 어도(22)가 경사지게 설치된 수중보(21)를 설치도록 시공하여, 상류에서 흘려온 물은 일단 물막이 수중보(21)를 통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며, 상기 수중보(21)에 설치되는 계단식 어도(22)를 통하여 물고기의 왕래를 자유롭도록 하였으며, 또다른 수중보(32)는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과 수문(31)의 사이에 어도(33)가 경사지게 설치된 수중보(32)를 설치하여 상류에서 흘려온 물은 일단 물막이 수중보(32)를 통하여 물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며, 상기 수중보(32)에 설치되는 계단식 어도(33)를 통하여 물고기의 왕래를 자유롭도록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공법.
  5. 한국형 도심지 하천설비에 있어서, 바닥에 하상토(13)가 있으며 상기 하상토(13)의 상부에 하천수(12)가 흐르는 하도(11)와, 상기 하도(11)의 상,하류측에 형성된 수중보(21,32)와, 상기 하도(11)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와, 상기 하도(11) 상,하류측의 수중보(21,32)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로 물을 유입시키는 취수구(20,30)와, 상기 하도(11)의 최상부 양쪽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제방에 형성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 형성된 하상도로(5)와, 상기 하상도로(5)의 바깥쪽 측면에 형성된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와,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상류쪽 일측에 형성된 자연정화시설(1)과,
    상기 친환경형 하상도로(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생태공원(4)의 인공호수(또는 인공연못)과 연계하여 형성된 다수개의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와,
    상기 자연정화시설(1)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생태공원(4)에 물을 공급하는 생태공원용수공급관(25)과, 상기 자연정화시설(1)의 또다른 일측에 형성된 양수장(2)과, 상기 양수장(2)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부 일측에서 형성된 펌프(24)에 또다른 일측이 연결되어 물을 취수하는 취수관(23)과, 상기 양수장(2)의 또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자연정화시설(1)을 통해 정수된 물을 하도(11)로 배출하는 배수관(26)과,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바깥쪽 측면에 경사면으로 형성된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과, 상기 자연형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 형성된 제방도로(8)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설비임.
  6. 청구항 5에 있어서, 하도(11)의 바닥에 형성된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류측일단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어 형성된 말단부와,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물을 유입또는 차단시키는 취수구(20)와,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부일측에서 형성된 펌프(24)와, 상기 펌프(24)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다른 일측에는 양수장(2)에 연결되어 물을 취수하는 취수관(23)과, 상기 양수장(2)의 또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자연정화시설(1)을 통해 정수된 물을 하도(11)로 배출하는 배수관(26)과,
    상기 취수구(20)를 중심으로 하류쪽에 형성된 수중보(21)와, 상기 수중보(21)의 하류쪽 일측에 연결되어 형성된 어도(2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설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도(11)의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측일단은,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하천수(13)의 수위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과,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의 말단부에 형성된 대구경파이프수로(10)에 물을 유입시키는 취수구(30)와, 상기 취수구(30)에 설치된 수문(50)과,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 끝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끝단부에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 또는 차단하는 수문(31)과,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 (10-1)과 수문(31)의 사이에 형성된 수중보(32)와, 상기 수중보(32)에 형성된 어도(33)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설비.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상도로(5)의 하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는 내관(강관)(41) 양측면에 설치된 판넬(48)과,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관내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43)와, 상기 내관(41)의 하부에 설치된 토양(44)과, 상기 토양(44)의 양단에 형성된 배수로(46)와, 상기 내관(41)의 외측하부와 외관(강관)(40)내부에 형성되어 내관(40) 지지하는 내관지지대(45)와, 상기 내관지지지대(45)상부와 내관(41)사이에 형성되어 내관(41)을 보호하는 고무판 (47)과, 상기와 같이 시공된 이동로의 선단부와 도로측면을 완만한 경사로 연결되어 설치된 유도철책(42)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설비.
  9. 한국형 도심지하천복원 공법에 있어서,
    제1공정
    하천수(13)가 흐르는 하도(11)의 양측지역의 경사면 호안에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을 설치하여 홍수시의 과다 유량이 고수부지(7)내의 양수장(2) 또는 생태공원(4)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는 일정면적을 형성시켜, 하상도로(5)를 설치하여 도시교통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상기 하상도로(5)의 바깥쪽 측면에는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를 설치하여 시민들이 휴식과 운동을 할 수 있게 하였고, 상기 고수부지(7)의 상류 일측에 자연정화시설(1)을 설치하여, 양수장(2)에서 취수된 물을 정화시켜 하도(11)에 배출하며, 상 자연정화시설(1)의 측면에 형성된 생태공원(4)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여 하천수를 정화시켰고, 상기 생태공원(4) 및 고수부지(7)의 바깥쪽 경사면 제방에는 자연형 호안정비시설(6)을 설치하여 홍수시의 과다 유량이 제방을 넘어 주택가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하였고, 상기 자연형호안정비시설(6)의 상부에는 제방도로(8)를 설치하여 도시교통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친환경형 하상도로(5)는 일정부분마다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52)를 대구경강관 압입추진공을 이용한 생태계 이동로 시공방법에 따라 설치하였고, 상기에서 터널식 야생동물 이동통로(25)는 야생동물에게 환경적인 위화감을 주지 않기 위해 내관(41)의 내부에 친환경적인 접착재료를 이용하여 통나무 벽면 등의 패널(48)을 시공하고, 벽면 사이에 넝클등을 삽입하고, 일정조명을 위한 조명장치(43)를 내관 (41) 천정 일측에 설치하며, 야생동물의 이동시 내관(41)의 바닥에서 오는 위화감을 줄이기 위해 토양(흙바닥)(44)을 설치한 다음, 도로의 하단에 매설된 외관(40)의 양선단부에서 고수부지지역으로 약 5m 정도의 방음벽(49)을 설치하고, 야생동물을 상기와 같이 시공된 이동로로 유도하기 위하여 도로의 측면에서 고수부지안으로 2m 떨어져 설치한 상기와 같이 시공된 이동로의 선단부와 도로측면을 완만한 경사로 연결하는 유도철책을 설치하여 하천지역 및 호안지역, 고수부지내의 생태공원 및 생태 학습장에로의 동물이동이 끊어지지 않도록 하였고,
    제2공정
    하도(11)의 바닥에 심하게 부패된 하상토양을 굴착하여 폐기물처리장에 반출 처리 한후에, 10년빈도 이상의 홍수 유량을 바이패스 처리할 수 있는 관경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를 다수개 매설하고, 상기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부에 깨끗한 하상토(13)를 복토하여 수생생물이 하천에 복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 다음,
    하도(11) 상류(A)의 일측에 하도(11)의 바닥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 (10)의 상류측 말단부가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게 설치하고, 저수된 하천수(12)가 자연스럽게 대구경파이프수로(10)로 흘려들도록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상류측 말단부에 취수구(20)를 설치하였고,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내부하부일측에 펌프(24)를 설치하여, 상기 펌프(24)에 연결된 취수관(23)을 통해 고수부지(7)에 설치된 양수장(2)에 취수토록 하고, 상기 양수장(2)에 양수된 물은 일측에 형성되어 자연정화시설(1)을 통해 양수된 물을 정화시킨 다음 정수된 물을 배수관(26)을 통해 하도(11)로 배출시켜 하도(11)를 정화시키며,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취수구(20)를 중심으로 하류쪽 후방 10m 의 후방지역에 어도(22)가 경사지게 설치된 수중보(21)를 설치하였으며,
    제3공정
    상기 하도(11)의 하상토(13)의 하부에 매설된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측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을 형성시켜 하천수(13)의 수위까지 연장되게 하여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의 말단부에 설치된 취수구(30)입구에 수문(50)을 설치하여 대구경파이프수로(10)에 하천수(13)를 유입시켜 홍수시에는 하천수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홍수시의 하천수 역류현상을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의 하류 끝단부는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천수(12)의 상부까지 돌출되어 설치한 후 끝단부에 다수개의 수문(31)을 설치하여 다수개의 대구경파이프수로(10)내에 저장된 물을 배출 또는 차단하게 하고, 상기 대구경파이프하류취수구연결관(10-1)과 수문(31)의 사이에 어도(33)가 경사지게 설치된 수중보(32)를 설치 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심지 하천복원공법.
KR10-2002-0058703A 2002-09-27 2002-09-27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KR100515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703A KR100515189B1 (ko) 2002-09-27 2002-09-27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703A KR100515189B1 (ko) 2002-09-27 2002-09-27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707A KR20020079707A (ko) 2002-10-19
KR100515189B1 true KR100515189B1 (ko) 2005-09-16

Family

ID=2772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703A KR100515189B1 (ko) 2002-09-27 2002-09-27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1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63B1 (ko) * 2013-07-05 2014-01-16 현대건설주식회사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97B1 (ko) * 2005-11-03 2007-05-28 조남열 하천 정화 구조물
CN110117987B (zh) * 2019-04-02 2024-03-22 华昕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黑臭水体整治的活水泵站
CN114656115A (zh) * 2022-04-25 2022-06-24 中交上海航道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河道异位快速过滤方法及系统
CN115142382B (zh) * 2022-07-29 2024-05-07 重庆交通大学 应用于源头型河道的景观补水系统及补水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431A (en) * 1981-11-06 1984-03-20 Koch David L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sion of downstream migrating anadromous fish
JPH08199517A (ja) * 1995-01-20 1996-08-06 Landes Kk 動物の自動車道路への侵入防止構造と侵入防止壁ブロック及び横断暗渠ブロックとその設置構造
JP2000144697A (ja) * 1998-11-17 2000-05-26 Kyusy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階段式魚道設備
KR20000063599A (ko) * 2000-07-19 2000-11-06 박이동 자연형 하천 정화 시설
KR20000067278A (ko) * 1999-04-26 2000-11-15 이정희 어도 겸용 취수탑
KR20020024369A (ko) * 2000-09-25 2002-03-30 배장영 하천변 자연제방과 둔치를 이용한 생물 접촉 산화식 하천수질 정화 시스템
KR20020028967A (ko) * 2002-03-06 2002-04-17 건양씨앤이 주식회사 대구경 강관 압입추진공법을 이용한 생태계 이동로 시공방법
US6394699B1 (en) * 1999-07-28 2002-05-28 Norman R. Neufeld Apparatus for reduced flow fish passag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7431A (en) * 1981-11-06 1984-03-20 Koch David L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sion of downstream migrating anadromous fish
JPH08199517A (ja) * 1995-01-20 1996-08-06 Landes Kk 動物の自動車道路への侵入防止構造と侵入防止壁ブロック及び横断暗渠ブロックとその設置構造
JP2000144697A (ja) * 1998-11-17 2000-05-26 Kyusy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階段式魚道設備
KR20000067278A (ko) * 1999-04-26 2000-11-15 이정희 어도 겸용 취수탑
US6394699B1 (en) * 1999-07-28 2002-05-28 Norman R. Neufeld Apparatus for reduced flow fish passage
KR20000063599A (ko) * 2000-07-19 2000-11-06 박이동 자연형 하천 정화 시설
KR20020024369A (ko) * 2000-09-25 2002-03-30 배장영 하천변 자연제방과 둔치를 이용한 생물 접촉 산화식 하천수질 정화 시스템
KR20020028967A (ko) * 2002-03-06 2002-04-17 건양씨앤이 주식회사 대구경 강관 압입추진공법을 이용한 생태계 이동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63B1 (ko) * 2013-07-05 2014-01-16 현대건설주식회사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707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42064A1 (en) Ecological Biotope Water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a Multi-Cell and Multi-Lane Structure of a Constructed Wetland and Sedimentation Pond
CN110396979A (zh) 一种城市河道的生态修复方法
KR20160139594A (ko) 생태적 추이대 기능 및 수질환경 정화효율을 극대화한 순환형 생태환경복원 시스템
CN108867541A (zh) 一种黑臭河体生态综合修复治理系统
CN211972073U (zh) 一种城镇生态河道断面
KR100444972B1 (ko)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KR100515189B1 (ko)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CN112194254A (zh) 一种均匀布水的近自然河口湿地建设方法
JP2001224243A (ja) 人工緑化方法および人工緑地
CN215562338U (zh) 基于既有直立式挡墙的多级调蓄亲水型生态护岸结构
CN214883415U (zh) 基于既有直立式挡墙的景观栈道型生态护岸结构
Cotterell Fish passage in streams
CN211621506U (zh) 一种组合式生态排水渠结构
KR0147723B1 (ko) 하천 저수로의 수충부 자연형호안공법
CN110984059A (zh) 一种滨海河口湿地保护与修复系统构建方法和应用
CN220704425U (zh) 一种生态净水型驳岸
Nunnally et al.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for levees and floodwalls
CN220813664U (zh) 人工鱼礁生态框及海堤生态化改造系统
CN214613898U (zh) 基于既有直立式挡墙的亲水汀步型生态护岸结构
Peay MINIMISING LOSS OF CRAYFISH AND HABITATDURING WORKS ON WATERCOURSES
Rickard et al. River Weirs–Good Practice Guide Guide-Section A
Zhuang A Flood Resilient Colony Farm Regional Park
Mann et al. Landscape concept development for confined dredged material sites
Griffiths et al. Rural road drainage design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Huizinga Water Management as a Peace Mechanism: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new policy framework for the application of water management in stabilisation ope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