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463B1 -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Google Patents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9463B1 KR101349463B1 KR1020130079143A KR20130079143A KR101349463B1 KR 101349463 B1 KR101349463 B1 KR 101349463B1 KR 1020130079143 A KR1020130079143 A KR 1020130079143A KR 20130079143 A KR20130079143 A KR 20130079143A KR 101349463 B1 KR101349463 B1 KR 1013494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oir
- water
- flow
- acceleration
- si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는 저수로; 상기 저수로보다 높은 높이에 형성되는 고수부지;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저수로와 상기 고수부지의 바닥면을 상호 연결하는 저수호안면; 상기 저수로 또는 상기 저수호안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수를 상기 고수부지 측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고수부지를 따라 유동하는 유수를 상기 저수로 측으로 유도하여 가속하는 가속유로; 상기 고수부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방; 갈수기(渴水期)에 유수가 부족하여 유수가 상기 고수부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저수로의 유수를 끌어올려 고수부지 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가속유로를 세정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공급부는, 일단부는 상기 저수호안면의 하방에 매설되고 타단은 제방에 매설되는 배관부; 상기 저수로의 물을 상기 고수부지 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에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원; 상기 배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로의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는, 상기 제방에 매설되는 메인배관; 상기 저수호안면의 하방에 매설되어 상기 메인배관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메인배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속유로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분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배관은 상기 공급배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속유로를 통하여 호우시에 고수부지 측으로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되, 유량이 부족한 갈수기 시에는 가속유로를 세정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육역화 방지와 유지관리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속유로를 통하여 호우시에 고수부지 측으로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되, 유량이 부족한 갈수기 시에는 가속유로를 세정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육역화 방지와 유지관리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속유로를 형성하여 토사의 퇴적을 방지하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 가속유로를 세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육역화 방지 기능과 유지관리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에 관한 것이다.
계절별 강우의 편차가 큰 국가의 경우에는 특히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하천의 유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하천 주위에 인공의 고수부지를 제작하고 집중호우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홍수 등으로 인하여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하천이 불어나 하천이 고수부지 영역까지 범람한 후에 집중호우가 잦아들어 수위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고수부지에서 유속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유사이송 양상이 변화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 부유사(浮遊砂)의 침강은 촉진되는 반면, 소류력(掃流力)은 급감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수부지에서 활발한 퇴사(堆砂)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고수부지 영역에서의 활발한 퇴사는 집중호우가 반복됨에 따라 고수부지가 점차 하천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육역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하천 통수능의 저하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환경의 보전 및 친수환경의 조성 측면에서 우수한 수변공간인 고수부지의 활용에 있어서도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수부지 상에 가속유로를 형성하여, 토사퇴적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다만, 유량이 부족한 갈수기에는 유량이 고수부지에 미치지 못하므로, 고수부지에 형성되는 가속유로 내에 토사 또는 이물질이 퇴적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03961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속유로를 통하여 호우시에 고수부지 측으로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되, 유량이 부족한 갈수기 시에는 가속유로를 세정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육역화 방지와 유지관리 기능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저수로; 상기 저수로보다 높은 높이에 형성되는 고수부지;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저수로와 상기 고수부지의 바닥면을 상호 연결하는 저수호안면; 상기 저수로 또는 상기 저수호안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수를 상기 고수부지 측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고수부지를 따라 유동하는 유수를 상기 저수로 측으로 유도하여 가속하는 가속유로; 상기 고수부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방; 갈수기(渴水期)에 유수가 부족하여 유수가 상기 고수부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저수로의 유수를 끌어올려 고수부지 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가속유로를 세정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공급부는, 일단부는 상기 저수호안면의 하방에 매설되고 타단은 제방에 매설되는 배관부; 상기 저수로의 물을 상기 고수부지 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에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원; 상기 배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로의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는, 상기 제방에 매설되는 메인배관; 상기 저수호안면의 하방에 매설되어 상기 메인배관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메인배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속유로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분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배관은 상기 공급배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동력원은 태양열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분배배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속도가 가속되도록 상기 분배배관은 종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가속유로는 상기 저수호안면을 가로지르되 양단부는 상기 저수로와 상기 고수부지의 바닥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속유로는 상기 저수호안면 상에서 유수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저수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각도를 형성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고수부지로 연장되되 상기 유수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저수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를 형성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유수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저수로로부터 멀어지며 상기 제2각도부다 작은 제3각도를 형성하는 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유량이 충분한 호우시에 가속유로를 통하여 하천이 육역화되는 현상을 방지하되, 하천유량이 부족한 갈수기 시에는 하천유량을 가속유로 측으로 공급하여 세정하는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유량조건에 따라 관리될 수 있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가속수로 세정시 유수를 끌어리는데 필요한 전력을 세정이 필요없는 경우에 태양열으로부터 축적되는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소모할 필요없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유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유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100)는 저수로(110)와 고수부지(120)와 저수호안면(130)과 제방(140)과 가속유로(150)와 물공급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로(110)는 본 실시예의 하상구조(100)에서 가장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유수가 유동하기 위한 통로로서, 유수유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수부지(120)는 상기 저수로(110)보다 높은 높이에 형성되는 면으로서, 상술한 저수로(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나란히 마련되며, 저수로(110)내를 유동하는 유수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에 저수로(110)를 벗어난 유수가 유동하기 위한 일종의 비상 통로에 해당한다.
상기 저수호안면(130)은 경사를 형성하며 저수로(110)와 고수부지(120)의 바닥면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비탈면에 해당한다.
상기 제방(140)은 고수부지(120)로부터 상측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연장되는 영역으로서, 후술하는 배관부(161)의 일부가 매설되는 구간이다.
상기 가속유로(150)는 저수로(110)를 따라 유동하는 유수 중 일부가 저수호안면(130)을 거슬러 올라와 고수부지(12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토사 퇴적을 미리 차단하여 고수부지(120)가 육역화(陸域化) 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물공급부(160)는 갈수기(渴水期) 또는 유량이 부족하여 가속유로(150) 내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속유로(150) 내로 물을 공급하여 가속유로(150)를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부(161)와 펌프(165)와 동력원(166)을 포함한다.
상기 배관부(161)는 저수로(110)의 물을 고수부지(12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동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공급배관(162)과 메인배관(163)과 분배배관(164)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배관(162)은 저수호안면(130)의 하방에 영역에 매설되어, 하천의 유수로부터 후술하는 메인배관(163)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배관(162)의 일단부는 저수로(110)를 유동하는 유수에 노출되고, 타단부는 후술하는 메인배관(163)과 연결된다.
상기 메인배관(163)은 제방(140)에 매설되며, 공급배관(162)으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후술하는 분배배관(164) 측으로 제공한다. 한편, 메인배관(163)은 유수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분배배관(164)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각각은 상술한 메인배관(163)으로부터 가속유로(150) 측으로 연장되는 배관이다. 한편, 복수개의 분배배관(164)의 종단부는 가속유로(1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분배배관(164)은 종단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나,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제방(140) 영역 내에 완전히 매설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분배배관(164)의 내부에서 물이 가속된 상태로 유동하여 최종 분사할 수 있도록 분배배관(164)의 종단부는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165)는 저수로 하천의 유수를 고수부지(120) 측으로 끌어올려, 유수를 수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원(166)은 상술한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동력원(166)은 전력을 자체 생산할 수 있도록 태양열 에너지를 전력으로 전환하는 시스템을 채택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100)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유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유량이 충분한 시기의 유수의 흐름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수부지(120)를 유동하는 유수가 가속유로(150)에 도달하고, 가속유로(150)는 고수부지(120)를 유동하는 유수를 저수로(110) 측으로 가속 안내하여, 고수부지(120)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갈수기(渴水期)와 같이 하천의 유량이 감소하는 시기, 즉, 고수부지(120) 측으로 유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속유로(150) 내에 이물질 또는 토사가 퇴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시기에 평상시에 태양열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던 동력원(166)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펌프(165)가 작동하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로(110)의 유수가 공급배관(162) 측으로 유입된다.
공급배관(162)을 통하여 이송되는 물은 메인배관(163)을 거쳐 각 분배배관(164)으로 이송되고, 분배배관(164)의 종단부에서 가속되는 물은 가속유로(150) 측으로 분사된다. 물이 가속유로(150) 내에 분사됨에 따라, 가속유로(150) 내에 퇴적되어 있던 이물질 및 토사가 저수로 측으로 흘러내려 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평시에는 외부로부터의 별도 동력인가 없이, 유수를 가속하여 고수부지(120) 상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갈수기와 같이 유량이 부족한 시기에는 유수를 끌어올려 가속유로(150) 내로 분사함으로써, 가속유로(150) 내에 토사 및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200)는 저수로(110)와 고수부지(120)와 저수호안면(130)과 제방(140)과 가속유로(150)와 물공급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로(110)와 고수부지(120)와 저수호안면(130)과 제방(140)과 가속유로(15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물공급부(260)는 갈수기 또는 유량이 부족하여 가속유로(150) 내에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가속유로 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관부(261)와 펌프(165)와 동력원(166)과 여과부재(267)를 포함하며, 펌프(165)와 동력원(166)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관부(261)는 저수로(110)의 물을 고수부지(12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유동로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공급배관(262)과 메인배관(263)과 분배배관(26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배관(263)은 제1실시예와는 달리 유수의 유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되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구조로 제방(120) 내에 매설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 펌프(165)에 의하여 끌어올려진 물은 메인배관(263)의 경사를 따라 가속되어 분배배관(264)에 전달되므로, 물이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재(267)는 배관부(26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저수로로부터 이송된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여과부재(267)를 통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물을 가속유로(150) 내로 공급하므로, 가속유로(150) 내부의 추가적인 이물질 퇴적을 방지하고 보다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300)는 저수로(110)와 고수부지(120)와 저수호안면(130)과 제방(140)과 가속유로(350)와 물공급부(160)를 포함하며, 저수로(110)와 고수부지(120)와 저수호안면(130)과 제방(140)과 물공급부(160)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속유로(350)는 저수로(110)를 따라 유동하는 유수 중 일부가 저수호안면(130)을 거슬러 올라와 고수부지(120)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유입부(351)와 유동부(352)와 유출부(353)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351)는 가속유로(350)의 일단부 영역에 해당하며 저수로(110) 또는 저수호안면(130)을 따라 유동하는 유수의 유인이 최초로 시작되는 영역으로서, 저수호안면(131) 상에 형성된다. 한편, 유입부(351)는 저수호안면(130) 상에서 유수유동방향과 제1각도를 가지며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유동부(352)는 상술한 유입부(351)로부터 저수호안면(130)을 가로질러 고수부지(120)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유입부(351)를 시점으로 유인되는 유수의 방향을 고수부지(120)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통로로서, 저수호안면(130) 상에서 유수유동방향과 제2각도를 가지며 경사를 형성한다.
상기 유출부(353)는 유동부(35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수부지(120)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부(352)에 의하여 안내되는 유수가 고수부지(120)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수부지(120)의 바닥면 상에서 유수유동방향과 제3각도의 경사를 가지며 경사를 형성한다.
유입부(351)는 유수유동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지는 것이나, 유동 중인 유수의 방향을 급격하게 전환하는 경우 발생하는 저수호안면(130)에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출부(353)는 유수유동방향으로부터 완만한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동부(352)에 의하여 유인된 유수가 고수부지(120) 상에서 유수유동방향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유출부(353)는 유수유동방향으로부터 완만한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시 말하면, 유입부(351) 및 유출부(353)는 유수유동방향과 거의 평행하도록 제1각도와 제3각도가 설정되며, 유입부(351)로부터 유인된 유수가 유출부 측(143)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유동부(352)가 유수유동방향과 이루는 각도, 즉, 제2각도는 제1각도 및 제3각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속유로(350)는 유입부(351)로부터 유출부(353)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다른 각도의 경사를 형성하는 유입부(351)와 유동부(352)와 유출부(353)를 각각 연결하는 부위는 곡률을 형성하며 부드럽게 연결된다. 즉, 상술한 바에 의하면 유입부(351)와 유동부(352)는 서로 다른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나, 유입부(351)로 유입된 유수가 유동부(352)로 진입하면서 급격한 방향전환이 발생하여 유동부(352)에 물리적인 손상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입부(351)와 유동부(352)의 상호 연결부위는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유동부(352)와 유출부(353)의 연결부위 역시 곡률을 형성하며 연결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의 제3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저수로(110)의 측면 또는 저수호안면(130)을 따라 유동하는 유수가 가속유로(350)의 유입부(351)에 진입하면, 유입된 유수는 유동부(352)에 의하여 비탈면인 저수호안면(130)을 가로질러 고수부지(120) 내로 유인되어 유출부(353)로부터 이탈하여 고수부지(120)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한편, 유수가 가속유로(350)를 따라 저수로(110)로부터 저수호안면(130)을 거쳐 고수부지(120)로 유인되면서 하천 바닥면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유수가 유동하는 수심은 줄어들게 된다.
즉, 가속유로(140)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면서 고수부지(120) 측으로 유인되는 유수는 유동하는 하상 바닥면과 수면과의 차이, 즉, 수심이 감소하면서 베르누이 정리(Bernoulli's theorem)에 의하여 유수의 유속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유수는 가속된 상태에서 고수부지(120)로 유입된다.
가속된 상태의 유수는 고수부지(120) 내를 일정시간 유동한 후에, 자연스럽게 저수호안면(130)을 따라 하방의 저수로(110)로 다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수부지(120)에서 가속된 유수는 고수부지(120) 상에서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고수부지(120)에 이미 퇴적된 토사를 저수로(110)로 운반함으로써 고수부지(120) 내의 토사 제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저수로 120 : 고수부지
130 : 저수호안면 140 : 제방
150 : 가속수로 160 : 물공급부
130 : 저수호안면 140 : 제방
150 : 가속수로 160 : 물공급부
Claims (8)
- 저수로;
상기 저수로보다 높은 높이에 형성되는 고수부지;
경사를 형성하며 상기 저수로와 상기 고수부지의 바닥면을 상호 연결하는 저수호안면;
상기 저수로 또는 상기 저수호안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수를 상기 고수부지 측으로 유도하거나 상기 고수부지를 따라 유동하는 유수를 상기 저수로 측으로 유도하여 가속하는 가속유로;
상기 고수부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방;
갈수기(渴水期)에 유수가 부족하여 유수가 상기 고수부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저수로의 유수를 끌어올려 고수부지 측으로 공급하여, 상기 가속유로를 세정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물공급부는, 일단부는 상기 저수호안면의 하방에 매설되고 타단은 제방에 매설되는 배관부; 상기 저수로의 물을 상기 고수부지 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에 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원; 상기 배관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저수로의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부는, 상기 제방에 매설되는 메인배관; 상기 저수호안면의 하방에 매설되어 상기 메인배관 측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배관; 상기 메인배관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가속유로 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분배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배관은 상기 공급배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태양열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배관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속도가 가속되도록 상기 분배배관은 종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삭제
- 제1항 또는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유로는 상기 저수호안면을 가로지르되 양단부는 상기 저수로와 상기 고수부지의 바닥면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유로는 상기 저수호안면 상에서 유수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저수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각도를 형성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고수부지로 연장되되 상기 유수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저수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각도보다 큰 제2각도를 형성하는 유동부; 상기 유동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유수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저수로로부터 멀어지며 상기 제2각도부다 작은 제3각도를 형성하는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143A KR101349463B1 (ko) | 2013-07-05 | 2013-07-05 |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9143A KR101349463B1 (ko) | 2013-07-05 | 2013-07-05 |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9463B1 true KR101349463B1 (ko) | 2014-01-16 |
Family
ID=5014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9143A KR101349463B1 (ko) | 2013-07-05 | 2013-07-05 |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946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56880A (zh) * | 2018-09-21 | 2018-12-21 | 许应君 | 港口淤泥清除器 |
CN110565578A (zh) * | 2019-09-12 | 2019-12-13 | 重庆交通大学 | 一种适用于山地海绵城市建设的双层生态河道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5189B1 (ko) * | 2002-09-27 | 2005-09-16 | 건양씨엔이 (주) |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
KR101039619B1 (ko) | 2009-03-31 | 2011-06-09 | 현대건설주식회사 | 퇴사 방지용 가속수로가 형성된 하천 |
KR101155744B1 (ko) * | 2011-11-09 | 2012-07-03 | 현대건설주식회사 |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KR101238571B1 (ko) * | 2010-08-20 | 2013-02-28 | 최원영 | 오염하천의 바닥청소에 의한 수질환경개선 방법 및 그 장치 |
-
2013
- 2013-07-05 KR KR1020130079143A patent/KR1013494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5189B1 (ko) * | 2002-09-27 | 2005-09-16 | 건양씨엔이 (주) | 도심지 하천설비와 도심지 하천 복원 공법 |
KR101039619B1 (ko) | 2009-03-31 | 2011-06-09 | 현대건설주식회사 | 퇴사 방지용 가속수로가 형성된 하천 |
KR101238571B1 (ko) * | 2010-08-20 | 2013-02-28 | 최원영 | 오염하천의 바닥청소에 의한 수질환경개선 방법 및 그 장치 |
KR101155744B1 (ko) * | 2011-11-09 | 2012-07-03 | 현대건설주식회사 |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56880A (zh) * | 2018-09-21 | 2018-12-21 | 许应君 | 港口淤泥清除器 |
CN109056880B (zh) * | 2018-09-21 | 2021-07-02 | 东阳市君泰建筑工程有限公司 | 港口淤泥清除器 |
CN110565578A (zh) * | 2019-09-12 | 2019-12-13 | 重庆交通大学 | 一种适用于山地海绵城市建设的双层生态河道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21218B (zh) |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 |
US4898495A (en) |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a beach at an inlet and to maintain the beach | |
JP2009257005A (ja) | 高架道路の雨水利用システム | |
KR101349463B1 (ko) | 세정가능한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
JP2015074913A (ja) | 流入土砂集排装置及び流入土砂集排装置を用いた排土砂方法 | |
KR101155744B1 (ko) |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 |
KR101349523B1 (ko) | 유사퇴적 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로형 습지 및 이의 구축방법 | |
CN102720266A (zh) | 虹吸式蓄排水隧道清淤装置 | |
KR101267377B1 (ko)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
CN105064291A (zh) | 水库清淤防沙的梯级挡沙坝生态系统 | |
KR20120040316A (ko) | 와류발생장치를 이용한 침전물 제거 기능을 갖는 사이펀여수로 | |
CN109853492B (zh) | 闸阀管道式过鱼方法 | |
CN104196005B (zh) | 一种防堵塞的含水层补给装置 | |
CN212052646U (zh) | 一种河道滤砂取水装置 | |
CN108729407A (zh) | 河流双槽硬化河床互换停流清沙装置 | |
Rao et al. | Reservoir sedimentation and concerns of stakeholders | |
DK173691B1 (da) | Fremgangsmåde til kystbeskyttelse samt trykudligningsmodul til brug i forbindelse hermed | |
CN106592748A (zh) | 水下初雨调蓄利用系统 | |
JPH07150598A (ja) | 魚道を組み合わせた河川表流水取水工法 | |
CN205530160U (zh) | 一种跌水消能装置 | |
KR100510884B1 (ko) |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 |
JP3377498B2 (ja) | 床固めカスケード方式取水工 | |
CN212582591U (zh) | 一种沟头回填措施用的综合护坡结构 | |
CN111321715B (zh) | 一种河道滤砂取水装置及方法 | |
CN221218684U (zh) | 一种生态环保型水利护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