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099B1 - 하천 저류조 - Google Patents

하천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099B1
KR102086099B1 KR1020120130419A KR20120130419A KR102086099B1 KR 102086099 B1 KR102086099 B1 KR 102086099B1 KR 1020120130419 A KR1020120130419 A KR 1020120130419A KR 20120130419 A KR20120130419 A KR 20120130419A KR 102086099 B1 KR102086099 B1 KR 10208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water
conduit
storage tank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260A (ko
Inventor
김흥섭
Original Assignee
수생태복원(주)
김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생태복원(주), 김흥섭 filed Critical 수생태복원(주)
Priority to KR102012013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0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는 하천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지천에 설치된 수문에 의해 초기 강우시 지천에서 범람한 월류수를 정수시키는 전처리수단과, 상기 하천 둔치 양쪽 지하에 매립되어 전처리수단을 거친 월류수를 유입시켜 저수하는 합류관거와, 상기 하천 지하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한 쌍의 합류관거를 상호 이음하여 합류관거에 저수된 월류수를 교류하거나 저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와, 초기 강우 이후의 전처리 시설을 거친 월류수를 정수시켜 하천으로 방류하는 본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하천 저류조{WATER STORAGING SYSTEM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TION}
본 발명은 하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바닥 지하 및 둔치에 저류조를 설치하여 강우량에 맞추어 하천으로 유입되는 지천의 유량을 정수 및 담수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천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강, 하천에 흐르는 물의 범람을 막고 이를 이용하려는 치수에 관련된 인간의 노력은 인류문명과 맥을 같이하고 있고 따라서 그 기술도 현대에 이르기까지 댐, 보, 저류 조, 운하 등 방법으로 진화해왔으며 근자에 이르러 강, 하천 변에 설치되는 저류조가 홍수를 예방하고,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하여 갈수기를 대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댐이나 보는 물의 흐름에 가로막는 구조물인데 반하여 저류 조는 물 흐름 과 인접되어 대칭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유속 압의 충격이 덜하며 공사의 용이성과 투자비가 절감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한해 강우량평균 1.274mm 중 2/3가 6, 7, 8월과 태풍에 의한 것으로 이에 주요하천인 한강, 낙동강, 금강 및 영산강의 최대유량과 최소유량을 나타내는 하상계수가 1:393, 1:372, 1:300 및 1:682로 극단적인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하천은 폭이 넓고 수심이 얕은 것이 특징으로 되어있고 대부분 약간의 높이를 갖는 둔치를 끼고 있으며 제방이 축조되어있어 마을이나 농경지 등이 보호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하천유량특성은 강수량이 외국과 같이 대체로 연중 균등한 분포를 나타내기보다 하절기에 편중되어 있어 폭우 등에 의해 하천유량이 일시적으로 폭증하였다가 가뭄 시에는 흐르는 유량이 없어 강바닥을 드러내곤 하는 양극화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주요강보다 지천에서 심하여 매년 연례행사처럼 진행되어 수자원이용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홍수기에 초기 강우가 발생되면 지천 주변 토양의 오염물을 갖는 오수 대부분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초기 강우 이후에는 오수의 유입량이 현저히 떨어지고 보통 우수가 하천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초기 강우시 지천 주변의 오염물이 지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는 초기 강우시 또는 초기 강우 이후 지천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변화량에 맞추어 지천의 유량을 정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 지하와 양측 둔치에 저류조를 설치하여 홍수기에는 우수를 저장하여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갈수기시에는 저장된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 지하와 양측 둔치에 저류조를 설치하여 우수의 담수 용량의 최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는 지천에서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오수와 우수로 이루어진 월류수를 정수시키는 전처리수단과, 상기 하천 둔치 양쪽 지하에 매립되어 전처리수단을 거친 월류수를 유입시켜 저수하는 합류관거와, 상기 하천 지하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한 쌍의 합류관거를 상호 이음하여 합류관거에 저수된 월류수를 교류하거나 저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와, 초기 강우 이후의 전처리 시설을 거친 월류수를 정수시켜 하천으로 방류하는 본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는 지천에서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오수와 우수로 이루어진 월류수를 정수시키는 전처리수단과, 상기 하천 둔치 양쪽 지하에 매립되어 전처리수단을 거친 월류수를 유입시켜 저수하는 합류관거와, 상기 하천 지하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한 쌍의 합류관거를 상호 이음하여 합류관거에 저수된 월류수를 교류하거나 저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와, 상기 합류관거에 연결되어 수위 상승하는 월류수를 정수시켜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본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수단과 합류관거 사이에는 차집관거를 설치하여 전처리수단을 거친 월류수를 합류관거로 흐름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수단은 투과망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강우 이후의 전처리 시설을 거친 월류수를 본처리수단을 통해 월류수를 정수시킨 다음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수관거는 한 쌍의 합류관거에 경사지게 이음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수관거는 중공의 내주연에 나선형의 호스를 설치하되, 상기 호스에는 등간격으로 배출공을 형성시켜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물과 공기가 배출공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합류관거의 하부에는 내주연이 경사진 호퍼를 장착하여 월류수의 슬러지가 침전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처리수단은 상면과 측면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식물을 활착시키는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 하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섬유 원사를 엉킴시켜 판형으로 제작한 카트리지를 복수로 마련하여 수직 배열시킨 여과수단과, 상기 여과수단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빨아드려 외부로 토출시키는 압송관거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수관거는 상부 외주연에 보강구조물을 감싸 토양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천과 하천의 경계에 수문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월류수를 전처리수단으로 유입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는 강의 원줄기인 하천으로 흘러들거나 하천에서 갈려 나온 물줄기인 지천의 접경 부근에 수문을 설치한 다음 지천으로 유입된 오수와 우수로 이루어진 월류수를 전처리수단을 통해 1차 정수시킨 후 지천과 연결된 차집관거를 통해 하수관거 및 합류관거로 월류수를 담수시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고 갈수기시에는 저장된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는 최초 강우시 전처리수단을 통해 1차로 월류수를 정수시킨 다음 합류관거측으로 담수시켜 슬러지를 침전시켜 최초 강우시 발생하는 오수의 수질 개선을 이루고, 최초 강우 이후의 우수는 본처리수단를 거쳐 정수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하여 하천의 정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는 하천 바닥 지하와 하천 양측 둔치에 저류조를 설치하여 저류조 설치공간 대비 우수의 담수 용량의 최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하천 저류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하천 1은 강의 원줄기인 것이고, 지천 4은 상기 하천 1으로 합류되는 물줄기이다. 여기서, 원줄기인 하천 1에 복수의 지천 4이 합류되는 형태가 통상의 하천 1 형태이다.
이런 형태의 하천 1은 강우시 지천 4 주변의 토양에 존재하는 오수가 하천 1으로 유입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통상적으로 초기 강우시 지천 4 주변 토양의 오염물을 갖는 오수 대부분이 하천 1으로 유입되고, 초기 강우 이후에는 오수의 유입량이 현저히 떨어지고 보통 우수가 하천 1으로 유입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 1 저류조 10는 초기 강우시 하천 1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우수를 별도로 정수 및 보관시키거나 초기 강우 이후 정수 후 하천 1으로 방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하천 1 저류조 10는 전처리수단 100, 합류관거 200, 하수관거 300, 본처리수단 4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강의 원줄기인 하천 1으로 흘러들거나 하천 1에서 갈려 나온 물줄기인 지천 4의 접경 부근에 수문 110을 설치한다.
상기 수문 110은 지천 4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갈수기와 홍수기에 맞추어 수문 110을 개통 또는 차단시켜 지천 4의 유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하천 1 저류조 10는 하천 1 바닥 지하와 둔치 2에 설치된다.
즉, 상기 하천 1 저류조 10는 전처리수단 100, 합류관거 200 및 본처리수단 400은 하천 1 양쪽의 둔치 2에 설치되고, 상기 하수관거 300는 하천 1 바닥 지하에 설치된다.
먼저, 하천 1 저류조 10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전처리수단 100은 지천 4에 설치된 수문 110에 의해 초기 강우시 폐쇄시켜 지천 4에 집수된 오수와 우수가 하천 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수문 110을 통해 오수와 우수가 전처리수단 100으로 월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오수와 우수는 월류수라고 통칭한다.
상기 전처리수단 100은 투과망 형태의 스크린 101이 복수개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하천 1으로 오염된 토사 및 수목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전처리수단 100에는 차집관거 150를 설치하여 1차로 수질 개선된 월류수의 흐름을 안내한다.
상기 차집관거 150는 전처리수단 100을 거친 월류수를 합류관거 200측으로 흐름시킨다.
상기 합류관거 200는 상기 하천 1 둔치 2 양쪽 지하에 매립되어 전처리수단 100을 거친 월류수를 유입시켜 월류수를 저수시킨다.
특히, 상기 합류관거 200는 하천 1 주변의 공간 대비 월류수의 저수량을 최대화 시키면서 월류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외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합류관거 200는 하천 1 둔치 2 양측 지하에 수직으로 매설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합류관거 2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차집관거 150를 통해 유입되는 월류수를 저장한다.
상기 합류관거 200는 월류수를 저장하는 동시에 월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외부로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합류관거 200는 어느 하나의 합류관거 200의 수직 길이를 상호 달리하여 후술 될 하수관거 300가 경사지게 한 쌍의 합류관거 200의 하부에 가로질러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하수관거 300는 상기 하천 1 지하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한 쌍의 합류관거 200를 상호 이음하여 합류관거 200에 저수된 월류수를 교류하거나 저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수관거 300는 한 쌍의 합류관거 200에 경사지게 이음된다. 이는 한 쌍의 합류관거 200 중 수직 길이가 긴 쪽의 합류관거 200측 부터 월류수가 하수관거 300를 통해 흐름된다.
즉, 한 쌍의 합류관거 200 중 길이가 짧은 합류관거 200는 제1합류관거 201라 칭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합류관거 200는 제2합류관거 202라 칭한다.
상기 전처리수단 100을 거친 월류수가 최초 강우시 제1합류관거 201로 유입되어 경사지게 배치된 하수관거 300를 통해 제2합류관거 202측으로 유입되어 담수된다.
최초 강우시 발생하는 월류수에 포함된 슬러지는 제2합류관거 202 내부 바닥에 침전된다.
그리고, 합류관거 200 하부에는 호퍼 210가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외부로 보다 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된 합류관거 200는 초기 강우의 유량이 과할 경우 제2합류관거 202에 월류수 담수가 완료되면 하수관거 300 및 제1합류관거 201 내부까지 충진되어 월류수를 보관하여 갈수기시 저장된 월류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갈수기때 저장된 월류수를 사용하고 난 후 하수관거 300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하수관거 300는 중공의 내주연에 나선형의 호스 310를 설치하되, 상기 호스 310에는 등간격으로 배출공 320을 형성시켜 호스 310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물과 공기가 배출공 320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하수관거 300 내주연에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한다.
아울러, 상기 하수관거 300는 내주연에 나선형으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호스 310를 설치하도록 하여 하수관거 300 내주연에 호스 310를 노출시키지 않아 슬러지의 효과적인 제거를 더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수관거 300는 상부 외주연에 보강구조물 340을 감싸 토양에 고정시키도록 하여 저류조 10의 초기 공사시 하수관거 300의 하중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지하수의 부력에 의해 하천 1 바닥 지하에서 들뜸 현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천 1 둔치 2 및 하천 바닥 3 지하에 합류관거 200 및 하수관거 300를 설치하여 하천 1 주변 설치공간 대비 합류관거 200 및 하수관거 300를 통해 월류수의 담수 용량을 최대화 시킨다.
또한, 본처리수단 400은 초기 강우 이후의 전처리 시설을 거친 월류수를 정수시켜 하천 1으로 방류한다.
상기 본처리수단 400은 전처리수단 100과 연결된 차집관거 150를 통해 월류수를 공급받아 수질 개선을 위한 정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처리수단 100을 거친 월류수는 차집관거 150를 통해 본처리수단 400과 합류관거 200에 상호 연결되어 초기 강우시 또는 초기 강우 이후 월류수가 본처리수단 400과 합류관거 200에 상기 전처리수단 100 내부에 설치된 수문 110을 통해 선택적으로 흐름될 수 있다.
또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 1 저류조 10의 제2실시예는 상기 본처리수단 400이 합류관거 200에 연결되어 상기 합류관거 200에 월류수 담수가 완료되면서 만수위가 되는 시점에서 본처리수단 400으로 월류되어 월류수의 정수를 진행한 다음 하천 1으로 방류시킨다.
여기서, 상기 본처리수단 400은 상면과 측면이 개구된 본체 410와, 상기 본체 410 상부에 설치되어 식물을 활착시키는 식생매트 420와, 상기 식생매트 420 하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섬유 원사를 엉킴시켜 판형으로 제작한 카트리지 431를 복수로 마련하여 수직 배열시킨 여관수단 430과, 상기 여관수단 430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빨아드려 외부로 토출시키는 압송관거 440로 이루어진다.
즉, 초기강우 이후에는 상기 전처리수단 100에 설치된 수문 110의 동작에 의해 하수관거 300측으로 월류수의 유입을 차단시켜 본처리수단 400으로 월류수를 유입시킨다.
상기 월류수는 본처리수단 400를 거쳐 흐름되면 슬러지는 제일 하부에 위치한 압송관거 440측으로 침전되고, 상기 여관수단 430을 통해 월류수에 함유된 오수 미립자가 복수의 섬유 원사를 갖는 카트리지 431를 통과하면서 정수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매트 420는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물질로 이루어지되록 하되, 볏짚과 코코넛섬유질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식생매트 420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2중 구조로 중첩된 구조로서, 상기 하부매트는 볏짚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서로 얽히도록 교호 연결하여 볏짚 원사의 재직 구조가 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하부매트 상면에는 상부매트를 적층시키되 상기 상부매트는 코코넛섬유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서로 얽히도록 교호 연결하여 코코넛섬유질 원사의 재직 구조가 하부매트 보다 조밀하지 않은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식생매트 420를 통해 섬유 원사 들간의 엉김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공 사이로 뿌리가 활착되고, 활착된 뿌리는 하부매트에 안정적으로 활착시켜 식물 식생을 왕성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구성된 식생매트 420를 통해 섬유 원사 들간의 엉김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기공 사이로 뿌리가 활착되고, 활착된 뿌리는 하부매트에 안정적으로 활착시켜 식물 식생을 왕성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천 1 저류조 10는 초기 강우시 또는 초기 강우 이후 지천 4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변화량에 맞추어 하천 1으로 유입되는 지천 4의 오수 및 우수를 정수시키고, 상기 저류조 10를 하천 1 바닥 지하와 양측 둔치 2에 설치한 다음 우수를 저장하여 하천 1의 범람을 방지하고 갈수기시에는 저장된 우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천 1 바닥 지하와 하천 1 양측 둔치 2에 저류조 10를 설치하여 저류조 10 설치공간 대비 우수의 담수 용량의 최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 : 하천 2 : 둔치
3 : 하천바닥 4 : 지천
10 : 저류조 100 : 전처리수단
101 : 스크린 110 : 수문
150 : 차집관거 200 : 합류관거
201 : 제1합류관거 202 : 제2합류관거
210 : 호퍼 300 : 하수관거
310 : 호스 320 : 배출공
340 : 보강구조물 400 : 본처리수단
410 : 본체 420 : 식생매트
421 : 상부매트 422 : 하부매트
430 : 여과수단 431 : 카트리지
440 : 압송관거

Claims (11)

  1. 하천 둔치에 설치되는 저류조에 있어서,
    지천에서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오수와 우수로 이루어진 월류수를 정수시키는 전처리수단과,
    상기 하천 둔치 양쪽 지하에 매립되어 전처리수단을 거친 월류수를 유입시켜 저수하는 합류관거와,
    상기 하천 지하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한 쌍의 합류관거를 상호 이음하여 합류관거에 저수된 월류수를 교류하거나 저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와,
    초기 강우 이후의 전처리 시설을 거친 월류수를 정수시켜 하천으로 방류하는 본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수관거는 중공의 내주연에 나선형의 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호스에는 등간격으로 배출공을 형성시켜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물과 공기가 배출공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2. 하천 둔치에 설치되는 저류조에 있어서,
    지천에서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 오수와 우수로 이루어진 월류수를 정수시키는 전처리수단과,
    상기 하천 둔치 양쪽 지하에 매립되어 전처리수단을 거친 월류수를 유입시켜 저수하는 합류관거와,
    상기 하천 지하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한 쌍의 합류관거를 상호 이음하여 합류관거에 저수된 월류수를 교류하거나 저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와,
    상기 합류관거에 연결되어 수위 상승하는 월류수를 정수시켜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본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수관거는 중공의 내주연에 나선형의 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호스에는 등간격으로 배출공을 형성시켜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물과 공기가 배출공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수단과 합류관거 사이에는 차집관거를 설치하여 전처리수단을 거친 월류수를 합류관거로 흐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수단은 투과망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초기 강우 이후의 전처리 시설을 거친 월류수를 본처리수단을 통해 월류수를 정수시킨 다음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거는 한 쌍의 합류관거에 경사지게 이음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7. 삭제
  8.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류관거의 하부에는 내주연이 경사진 호퍼를 장착하여 월류수의 슬러지가 침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처리수단은,
    상면과 측면이 개구된 본체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식물을 활착시키는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 하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섬유 원사를 엉킴시켜 판형으로 제작한 카트리지를 복수로 마련하여 수직 배열시킨 여과수단과,
    상기 여과수단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된 슬러지를 빨아드려 외부로 토출시키는 압송관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10.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거는 상부 외주연에 보강구조물을 감싸 토양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천과 하천의 경계에 수문을 설치하여 선택적으로 월류수를 전처리수단으로 유입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저류조.

KR1020120130419A 2012-11-16 2012-11-16 하천 저류조 KR10208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19A KR102086099B1 (ko) 2012-11-16 2012-11-16 하천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19A KR102086099B1 (ko) 2012-11-16 2012-11-16 하천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260A KR20140063260A (ko) 2014-05-27
KR102086099B1 true KR102086099B1 (ko) 2020-03-09

Family

ID=50891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419A KR102086099B1 (ko) 2012-11-16 2012-11-16 하천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2891B1 (ko) 2015-10-16 2016-1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하천 저류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92B1 (ko) * 2006-04-17 2007-08-29 (주)대성그린테크 우수 재이용 시스템
KR100893197B1 (ko) * 2008-09-29 2009-04-16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섬유사 여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749B1 (ko) * 2008-05-30 2011-02-10 (주)비포엔지니어링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92B1 (ko) * 2006-04-17 2007-08-29 (주)대성그린테크 우수 재이용 시스템
KR100893197B1 (ko) * 2008-09-29 2009-04-16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섬유사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260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1218B (zh)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CN101775839B (zh) 雨水渗透-排放一体生态系统
CN215223342U (zh) 一种雨水过滤花园
JP2006150351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システム
CN102134877A (zh) 利用将雨水渗透蓄存到土壤中的渗水管井的水囊
KR100901263B1 (ko)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JP6621653B2 (ja) 貯留浄化システム
AU2015386029B2 (en) Infiltration intake system for revetment wall
CN211283925U (zh) 一种下沉式缓冲带公路径流净化装置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1010806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CN203755425U (zh)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KR102086099B1 (ko) 하천 저류조
RU2518634C2 (ru) Подрусловой фильтрирующий водозабор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202895B1 (ko) 빗물 저류 장치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CN204040162U (zh) 一种针对城市内河雨水径流的收集和净化系统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1181324B1 (ko) 수처리 시스템
CN213868148U (zh) 一种建设海绵城市用雨水花园
CN210713144U (zh) 道路雨水净化系统
KR101885876B1 (ko) 인공식물섬을 이용한 생태수로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