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891B1 - 소하천 저류조 - Google Patents

소하천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891B1
KR101672891B1 KR1020150144586A KR20150144586A KR101672891B1 KR 101672891 B1 KR101672891 B1 KR 101672891B1 KR 1020150144586 A KR1020150144586 A KR 1020150144586A KR 20150144586 A KR20150144586 A KR 20150144586A KR 101672891 B1 KR101672891 B1 KR 10167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condary storage
small river
small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근
조진희
서세덕
맹승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4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소하천을 따라 형성된 도로 하부에 설치되는 소하천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소하천의 소하천수가 유입될 수 있는 소하천수 집수정, 상기 소하천수 집수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하천수가 1차 저류될 수 있는 1차 저류부, 상기 1차 저류부와 상기 소하천을 연결하고 1차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를 상기 소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부, 상기 1차 저류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가 유입되어 2차 저류될 수 있는 2차 저류부 및 상기 2차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를 용수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하천 저류조{Water Tanks for Small Stream}
본 발명은 소하천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하천유량특성은 강수량이 연중 균등한 분포를 나타내기보다 여름철(홍수기)에 편중되어 있다. 폭우 등에 의해 하천 유량이 일시적으로 폭증하였다가 가뭄 시에는 흐르는 유량이 없어 강바닥을 드러내곤 하는 양극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하천 변에 홍수를 예방하고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하여 갈수기를 대비할 방법으로 저류조 설치가 주목 받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05-0087948호 (2005.09.01.) 공개특허 제10-2014-0063260호 (2014.05.27)
본 발명은 호우 시 소하천 수를 저류조에 저류시키고, 저류된 물은 갈수기의 농작물 가뭄예방, 소하천 유량확보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소하천 저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천 변의 다양한 지형적 환경에 설치가 쉬운 소하천 저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는 소하천을 따라 형성된 도로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소하천의 소하천수가 유입될 수 있는 소하천수 집수정, 상기 소하천수 집수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하천수가 1차 저류될 수 있는 1차 저류부, 상기 1차 저류부와 상기 소하천을 연결하고 1차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를 상기 소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부, 상기 1차 저류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가 유입되어 2차 저류될 수 있는 2차 저류부 및 상기 2차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를 용수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저류부는, 통공을 통해 서로 연결된 1차 저류 공간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1차 저류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1차 저류몸체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소하천수 집수정은 일측 1차 저류몸체의 상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소하천수 집수정이 연결된 상기 1차 저류몸체를 제외한 선택된 다른 1차 저류몸체의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2차 저류부는, 통공을 통해 서로 연결된 2차 저류 공간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2차 저류몸체, 상기 복수의 2차 저류몸체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부 및 상기 복수의 2차 저류몸체를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2차 저류몸체는 기준이 되는 저류몸체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2차 저류 공간은 상기 배수부가 연결된 상기 1차 저류몸체의 1차 저류 공간과 월류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월류구는 상기 1차 저류몸체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는, 지중에 매설되고 작업공간을 가지며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면에 배치된 덮개 및 상기 작업공간과 상기 2차 저류부 내부와 연결된 양수 관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수 관로는 상기 2차 저류부의 상기 소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소하천 저류조는 상기 2차 저류부와 연결되어 있고 우수를 상기 2차 저류부로 유입시키는 우수 집수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저류부 및 상기 2차 저류부는 각각 일면을 기준으로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저류부의 1차 저류몸체와 2차 저류부의 2차 저류몸체가 단위체로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분산형 구조를 가지므로 소하천 저류조를 면적이 좁고 다양한 형태의 농촌 지역의 소하천변에 설치가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호우 시 고수부까지 찬 소하천수는 소하천수 집수정을 통해 1차 저류부 및 2차 저류부로 유입되어 저류될 수 있다. 소하천수가 소하천 저류조에 저류되므로 소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갈수기에 1차 저류부에 저류된 소하천수는 배수부를 통해 소하천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에 갈수기에 하천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뭄 시 2차 저류부에 저류된 소하천수를 공급부를 통해 농업용수로 공급할 수 있어 가뭄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집수정을 통해 농지, 주택 등의 우수가 2차 저류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비점오염 저감을 통한 소하천수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소하천수 집수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을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배수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도 2의 2차 저류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도 1의 2차 저류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2차 저류몸체 확대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소하천수 집수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을 Ⅲ-Ⅲ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배수부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2의 2차 저류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2차 저류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2차 저류몸체 확대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1)는 소하천수 집수정(10), 1차 저류부(20), 배수부(30), 2차 저류부(40), 공급부(50) 및 우수 집수정(60)을 포함하며, 소하천(500)을 따라 형성된 도로(300) 하부에 설치되어 호우 시 홍수 예방을 위해 소하천수를 저류시키고 갈수기에는 저류된 소하천수를 소하천에 공급한다.
소하천 저류조(1)에 저류된 소하천수는 농업용수로 공급할 수 있다. 소하천 저류조(1)의 설치 위치를 도로 하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소하천 저류조(1)의 위치는 소하천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1)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금속,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3을 더 참고하면, 소하천수 집수정(10)은 제1 관로(111) 및 제2 관로(112)를 가지는 유입관로(11), 집수본체(12) 및 그레이팅(123)을 포함하며 제방(200) 아래에 설치되어 호우 시 한계수위 이내의 소하천수가 1차 저류부(20)로 유입되도록 하고 소하천수 중에 포함된 낙엽, 쓰레기, 풀 등의 부유물을 여과한다.
집수본체(12)는 기 설정된 크기를 가지며 제방 아래에 매설될 수 있다. 집수본체(12)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 제방의 우수 등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우수가 유입될 부유물을 차단하기 위한 그레이팅(grating)(123)이 개방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집수본체(12)의 일면 상측에는 소하천(500)의 고수부(501)와 제1 관로(111)를 통해 연결되는 유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집수본체(12)의 타면 하측에는 제2 관로(112)를 통해 1차 저류부(20)와 연결된 배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구(121)는 조목 스크린(121a)이 설치되어 있고 배출구(122)에는 세목 스크린(122a)이 설치되어 있다. 조목 스크린(121a)와 세목 스크린(122a)은 부유물을 걸러낸다.
호우 시 고수부까지 찬 소하천수는 제1 관로(111) 및 유입구(121)를 통해 1차 여과되어 집수본체(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집수본체(12)의 소하천수는 다시 배출구(122) 및 제2 관로(112)를 통해 2차 여과되어 1차 저류몸체(21a, 22a, 23a)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고수부까지 찬 소하천수가 소하천수 집수정(10)을 통해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로 유입되므로 호우로 인한 소하천의 범람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를 더 참고하면, 1차 저류부(20)는 복수의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를 포함하며, 제방과 연결된 도로 하부에 설치되어 호우 시 유입된 소하천수를 저류하고 갈수기에 소하천수를 소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소하천수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다.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는 기 설정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1차 저류 공간(21b, 22b, 23b)이 형성되어 있다.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들은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들의 1차 저류 공간(21b, 22b, 23b)은 통공(24a, 24b)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통공(24a, 24b)은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통공(24a, 24b)에는 부유물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들의 서로 접한 외부면에는 부력 및 횡 압력 등에 의한 부정교합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들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이웃한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들은 볼트,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도시하지 않음)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제2 관로(112)가 일측 1차 저류몸체(21a) 일면 상측과 연결되어 있어 집수본체(12)의 소하천수는 일측 1차 저류몸체(21a)의 1차 저류 공간(21b)으로 유입될 수 있다. 소하천수가 일측 1차 저류 공간(21b)에 가득 채워지면 통공(24a)을 통해 이웃한 1차 저류몸체(22a)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측 1차 저류몸체(21a)에 유입된 하천수는 이웃한 1차 저류몸체(22a, 23a) 를 순차적으로 넘어가면서 채워질 수 있다. 통공(24a, 24b)을 통해 소하천수가 이웃한 1차 저류 공간(22b, 23b)으로 유입될 때 통공(24a, 24b)의 위치에 의해 소하천수에 포함된 흙, 모래 등의 침전물은 1차 저류몸체(21a)의 내부 바닥으로 침전될 수 있다. 이에 침전물과 같은 부유물이 제거된 소하천수가 일측 1차 저류몸체(21a)와 이웃한 1차 저류몸체(22a, 23a)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일측 1차 저류몸체(21a)를 제외한 다른 1차 저류몸체(22a, 23a)의 타면 상측에는 월류구(25)가 형성되어 있다. 월류구(25)는 1차 저류 공간(22b, 23b)과 2차 저류부(40)의 내부를 연결한다.
도면 도 1 에서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를 3개로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소하천, 제방, 도로 등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5를 더 참고하면, 배수부(30)는 배수관로(31) 및 수문(32)을 포함하며 갈수기에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의 소하천수를 소하천으로 공급한다.
배수관로(31)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타측 1차 저류몸체(23a)와 소하천의 저수부(502)를 연결한다.
수문(32)은 배수관로(31)와 1차 저류몸체(23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문(32)의 작동으로 배수관로(31) 내부와 1차 저류 공간(23b)이 연결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수문(32)은 평소 배수관로(31) 내부와 1차 저류 공간(23b)을 차단하고 있으나, 갈수기에 소하천 수위가 낮은 경우 배수관로(31) 내부와 1차 저류 공간(23b)을 연결하여 소하천에 소하천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소하천 수위는 소하천 저류조(1) 설치 시 저수부에 레이더식 수위계를 설치하여 수문(32)과 연결된 제어 박스와 실시간으로 수위자료를 전송하여 자동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다.
수문(32)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되어 하천 등에 설치된 수문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바, 상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을 더 참고하면, 2차 저류부(40)는 복수의 2차 저류몸체(41a, 42a, 43a…), 요철부(45) 및 결합부재(46)를 포함하며 1차 저류부(20)와 접해 있어 1차 저류부(20)에 유입된 소하천수가 유입되어 2차 저류될 수 있고 가뭄 시 농업용수로 공급한다.
복수의 2차 저류몸체(41a, 42a, 43a) 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기 설정된 넓이를 가진다. 복수의 2차 저류몸체(41a, 42a, 43a) 내부에는 각각 2차 저류 공간(41b, 42b, 43b…)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2차 저류몸체(41a, 42a, 43a)는 정 중앙에 있는 2차 저류몸체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배열된 2차 저류몸체(41a, 42a, 43a)들이 서로 접하는 면에는 통공(44)이 형성되어 있고, 통공(44)은 2차 저류몸체(41a, 42a, 43a)들의 2차 저류 공간(41b, 42b, 43b)을 서로 연결한다. 유입되는 소하천수의 확산을 위해 통공(44)은 2차 저류몸체(41a, 42a, 43a)의 측면 상측, 하측 및 상면과 하면에도 통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열된 2차 저류몸체들 중 가장 외측에 있는 2차 저류몸체들의 외측면에는 통공(44)이 형성되지 않는다.
타측 1차 저류몸체(23a)와 접한 2차 저류몸체(43a)의 2차 저류 공간(43b)은 월류구(25)를 통해 1차 저류 공간(23b)과 연결되어 있다. 1차 저류 공간(23b)의 소하천수는 월류구(25)를 통해 2차 저류 공간(43b)으로 유입되어 저류될 수 있다. 소하천수는 복수의 통공(44) 들에 의해 확산되면서 2차 저류부(40)의 하측에서부터 채워질 수 있다.
월류구(25)의 위치에 의해 1차 저류 공간(21a, 22a, 23a)에 저류된 소하천수는 체류시간을 두고 2차 저류 공간(43b)으로 유입되므로 침전물의 침전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요철부(45)는 돌기(451)과 돌기 홈(452)을 포함한다. 돌기(451)와 돌기 홈(452)은 서로 접하는 2차 저류몸체(41a, 42a, 43a)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451)가 돌기 홈(452)에 삽입되면서 2차 저류몸체(41a, 42a, 43a)들은 배열될 수 있다. 요철부(45)에 의해 배열되는 2차 저류몸체(41a, 42a, 43a)의 부력 및 횡 압력 등에 의한 부정교합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부재(46)는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한 2차 저류몸체(41a, 42a, 43a)들을 서로 결합하여 이웃한 2차 저류몸체(41a, 42a, 43a)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요철부(45)와 결합부재(46)는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와 2차 저류몸체(41a, 42a, 43a)가 접하는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요철부(45)와 결합부재(46)의 개수와 구조는 소하천 저류조(1)의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와 2차 저류몸체(41a, 42a, 43a) 사이, 배열된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와 배열된 2차 저류몸체(41a, 42a, 43a)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더 참고하면, 공급부(50)는 하우징(51), 덮개(52) 및 양수 관로(53)를 포함하며, 2차 저류몸체(41a, 42a, 43a)에 저류된 소하천수를 농업용수로 공급한다.
하우징(51)은 갓길에 매설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51)의 내부에는 양수기(도시하지 않음)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덮개(52)는 하우징(51)의 개방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52)는 수동 또는 자동 개폐 형식으로 하우징(51)과 결합되어 있다.
양수 관로(53)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양수 관로(53)의 상측은 하우징(51) 내부에 위치하고 하측은 가장 하부에 있는 2차 저류몸체(41a)의 2차 저류 공간(41b)에 위치한다. 양수 관로(53)에는 양수기와 연결된 고압 호스(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고압 호스의 끝은 양수 관로(53)를 통해 노출되어 2차 저류 공간(43b)에 위치한다. 양수기의 작동으로 2차 저류 공간(43b)의 소하천수가 고압 호스를 통해 농업용수로 공급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양수 관로(53) 내부에 고압 호스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양수 관로(53)가 양수기와 직접 연결되어 양수 관로(53)가 고압 호스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수 관로(53)의 하측에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양수 관로(53)를 하나의 관으로 도시하였으나, 2차 저류부(40)의저류소하천수 수위에 따라 길이 조절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양수 관로(53)의 길이 조절 구조를 텔레스코픽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가뭄 시 2차 저류부(40)에 저류된 소하천수를 농지에 공급할 수 있어 가뭄 피해를 예방할 수 있어 가뭄에도 작물의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우수 집수정(60)은 유입관로(61), 집수본체(62) 및 그레이팅(63)을 포함하며, 주택, 농지 등에 설치되어 인접한 주택, 농지 등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2차 저류부(4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집수본체(62)는 주택, 농지 등에 매설되어 있고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이에 주택, 농지 등의 우수는 개방된 상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레이팅(63)은 개방된 상면에 설치되어 부유물을 차단한다. 유입관로(61)는 집수본체(62)의 내부와 2차 저류부(40)의 내부를 연결한다. 유입관로(61)와 집수본체(62)가 연결된 부분에는 부유물 차단을 위한 스크린(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집수본체(62) 내부로 유입된 우수는 유입관로(61)를 통해 2차 저류부(40) 내부로 유입되어 저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우수 집수정(60)의 유입관로(61), 집수본체(62) 및 그레이팅(63)은 소하천수 집수정(10)의 유입관로(11), 집수본체(12) 및 그레이팅(12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주택, 농지 등의 우수가 2차 저류부(40) 내부로 유입되므로 소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비점오염 저감을 통한 소하천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우수 집수정(60)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와 2차 저류몸체(41a, 42a, 43a)가 단위체로 형성되어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는 분산형 구조를 가지므로 소하천 저류조(1)를 면적이 좁고 다양한 형태의 농촌 지역의 소하천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소하천 저류조(1)에 저류된 소하천수는 갈수기에 소하천으로 공급되어 소하천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가뭄 시 농업용수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가뭄에 따른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한다. 다만, 1차 저류부(20)와 2차 저류부(40)의 1차 저류몸체와 2차 저류몸체의 외형이 상이하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하천 저류조(2)의 1차 저류부(20) 및 2차 저류부(40)의 저류조는 일면을 기준으로 예각(a') 또는 둔각(b')의 경사각(D)을 갖는 경사면을 갖는다. 예각을 갖는 경사면과 둔각을 갖는 경사면이 서로 접하여 1차 저류부(20)와 2차 저류부(40)가 연속 연결될 수 있다. 예각과 둔각의 합은 180ㅀ이다. 저류조의 경사면이 서로 연결되면서 1차 저류부(20)와 2차 저류부(40)는 굴곡진 도로 아래에도 연속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1차 저류부(20) 및 2차 저류부(40)를 평면에서 보면 마름모,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1차 저류부(20) 및 2차 저류부(40)는 모양에 따라 일면을 기준을 예각을 갖는 경사면만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소하천 저류조(1)의 설치 시 도로 환경에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 요소를 그대로 포함한다. 다만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와 2차 저류몸체(41a, 42a, 43a)의 구조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저류몸체(21a, 22a, 23a)와 2차 저류몸체(41a, 42a, 43a)의 내부에는 각각 하나의 챔버가 형성되며, 챔버에 복수의 격벽이 배치되어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격벽에는 이웃한 공간을 연결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1차 저류몸체(21a, 22a, 23a)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저류몸체(21a)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고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나의 1차 저류 공간(21b)만 형성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2차 저류몸체(41a, 42a, 43a)를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2차 저류몸체(41a)는 복수 배열되지 않고 하나의 블록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나의 2차 저류 공간(41b)만 형성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소하천 저류조가 소하천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소하천 저류조가 설치되는 지역을 꼭 소하천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2: 소하천 저류조 10: 소하천수 집수정
11, 61: 유입관로 111: 제1 관로
112: 제2 관로 12, 62: 집수본체
121: 유입구 121a: 조목 스크린
122: 배출구 122a: 세목 스크린
63, 123: 그레이팅 20: 1차 저류부
21a, 22a, 23a: 1차 저류몸체 21b, 22b, 23b: 1차 저류 공간
24a, 24b: 통공 25: 월류구
30: 배수부 31: 배수관로
32: 수문 40: 2차 저류부
41a, 42a, 43a: 2차 저류몸체 41b, 42b, 43b: 2차 저류 공간
44: 통공 45: 요철부
451: 돌기 452: 돌기 홈
46: 결합부재 50: 공급부
51: 하우징 52: 덮개
53: 양수 관로 60: 우수 집수정
200: 제방 300: 도로
400: 갓길 500: 소하천
501: 고수부 502: 저수부
D: 경사각

Claims (7)

  1. 콘크리트 구조물로 만들어져 소하천을 따라 형성된 도로 하부에 설치되어 호우 시 홍수 예방을 위해 소하천수를 저류시키고 갈수기에는 저류된 소하천수를 소하천에 공급하는 것으로,
    제방 아래에 설치되어 호우 시 제방의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일측면에 유입구 타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집수본체, 상기 집수본체 상면에 배치된 그레이팅, 상기 소하천의 고수부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여 상기 소하천의 소하천수를 상기 집수본체로 유입시키는 제1 관로,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제2 관로, 상기 유입구에 설치된 조목 스크린 및 배출구에 설치된 세목 스크린을 포함하는 소하천수 집수정;
    상기 제2관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소하천수가 1차 저류될 수 있으며 통공을 통해 서로 연결된 1차 저류 공간을 각각 가지며 일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1차 저류몸체를 포함하는 1차 저류부;
    상기 1차 저류부와 상기 소하천을 연결하고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를 상기 소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부;
    상기 1차 저류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가 유입되어 2차 저류될 수 있는 2차 저류부;
    상기 2차 저류부와 연결되어 있고 우수를 상기 2차 저류부로 유입시키는 우수 집수정; 및
    상기 2차 저류부에 저류된 상기 소하천수를 용수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관로는 일측 1차 저류몸체의 상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일측 1차 저류몸체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타측 1차 저류몸체 하측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1차 저류몸체의 통공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이웃한 1차 저류 공간은 상측과 하측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2차 저류부는, 통공을 통해 서로 연결된 2차 저류 공간을 각각 가지며 배열된 복수의 2차 저류몸체, 상기 복수의 2차 저류몸체 외부면에 형성되어 이웃한 2차 저류몸체를 연결하는 복수의 요철부, 및 상기 복수의 2차 저류몸체를 관통하여 이웃한 2차 저류몸체를 서로 결합하는 복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2차 저류몸체는 기준이 되는 저류몸체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2차 저류 공간은 상기 타측 1차 저류몸체의 상측에는 1차 저류 공간과 연결되어 소하천수가 유입되는 월류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급부는,
    갓길에 매설되고 작업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양수기가 배치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에 배치되어 있고 개폐될 수 있는 덮개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측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작업공간에 위치하고 하측은 상기 2차 저류부의 복수의 2차 저류몸체 중 가장 하부에 있는 2차 저류몸체의 2차 저류공간에 위치한 양수 관로 및 상기 양수기와 연결되어 상기 양수 관로에 배치된 고압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양수 관로는 상기 2차 저류부의 상기 소하천수의 수위에 따라 길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고압 호스의 끝은 양수 관로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2차 저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양수기의 작동으로 상기 2차 저류 공간의 소하천수는 상기 고압 호스를 통해 농업용수로 공급될 수 있고,
    상기 1차 저류부 및 상기 2차 저류부는 각각 일면을 기준으로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하천 저류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44586A 2015-10-16 2015-10-16 소하천 저류조 KR10167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586A KR101672891B1 (ko) 2015-10-16 2015-10-16 소하천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586A KR101672891B1 (ko) 2015-10-16 2015-10-16 소하천 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891B1 true KR101672891B1 (ko) 2016-11-07

Family

ID=5752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586A KR101672891B1 (ko) 2015-10-16 2015-10-16 소하천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8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01Y1 (ko) * 1999-12-16 2000-07-15 삼성에버랜드주식회사 정화조의 스컴 처리구조
KR20050087948A (ko) 2004-02-27 2005-09-01 오종민 제방사면 및 둔치 지하 공간을 이용한 하천 유지유량 확보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043814B1 (ko) * 2009-05-14 2011-06-22 김재영 빗물 관리 시설
KR101142619B1 (ko) * 2011-09-30 2012-05-14 안중록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KR101314547B1 (ko) * 2013-05-10 2013-10-04 신강하이텍(주) 빗물 저류 장치
KR20140063260A (ko) 2012-11-16 2014-05-27 수생태복원(주) 하천 저류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01Y1 (ko) * 1999-12-16 2000-07-15 삼성에버랜드주식회사 정화조의 스컴 처리구조
KR20050087948A (ko) 2004-02-27 2005-09-01 오종민 제방사면 및 둔치 지하 공간을 이용한 하천 유지유량 확보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043814B1 (ko) * 2009-05-14 2011-06-22 김재영 빗물 관리 시설
KR101142619B1 (ko) * 2011-09-30 2012-05-14 안중록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KR20140063260A (ko) 2012-11-16 2014-05-27 수생태복원(주) 하천 저류조
KR101314547B1 (ko) * 2013-05-10 2013-10-04 신강하이텍(주) 빗물 저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7646A (en) Impoundment and diversion systems for preventing or mitigating flooding
CN105442442A (zh) 高架桥下绿化带的自流式雨水收集和灌溉系统
US20050042030A1 (en) Drainage and irrigation approach and structure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US10865547B1 (en)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JP2014015800A (ja) 雨水貯溜配管構造
KR102292290B1 (ko)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KR101672891B1 (ko) 소하천 저류조
JP615312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101316313B1 (ko)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CN205382409U (zh) 高架桥下绿化带的自流式雨水收集和灌溉系统
CN104878823A (zh) 一种合流管道初期雨水截流蓄排系统及蓄排方法
KR101314547B1 (ko) 빗물 저류 장치
JP5315045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CN112064769A (zh) 一种耦合式雨水管网优化结构
CN111576334A (zh) 河道截污岸墙结构
CN218562536U (zh) 一种用于无边界水池的排水系统
KR100497818B1 (ko)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CN213268089U (zh) 一种生态护坡雨水收集系统
KR102290677B1 (ko)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CN218508480U (zh) 一种兼具蓄水功能的挡土墙
CN213681967U (zh) 一种生态河道护坡蓄水槽
CN216566637U (zh) 一种可浮动城市道路下水道井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