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290B1 -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Google Patents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2290B1 KR102292290B1 KR1020210016888A KR20210016888A KR102292290B1 KR 102292290 B1 KR102292290 B1 KR 102292290B1 KR 1020210016888 A KR1020210016888 A KR 1020210016888A KR 20210016888 A KR20210016888 A KR 20210016888A KR 102292290 B1 KR102292290 B1 KR 102292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penetration
- treatment tank
- rainfall runoff
- infiltr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8—Tanks for disinfecting, neutralising, or cooling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로와 보차도에서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에 있어서,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도로 침투부; 가로수 주변의 보차도 지표면에 설치되어 우수를 집수하는 보차도 침투부; 및 상기 도로 침투부 및 상기 보차도 침투부로부터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합수하고, 합수된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여 지하침투 및/또는 저류하도록 설정된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 분배하여 배출시키는 공동 처리조를 포함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 및 지표면의 강우유출수를 도로 가로수 저면이나 보차도 지면의 땅속으로 침투 및 저류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에 관한 것이다.
점점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면서 지표면에 내린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신속 배제됨으로써 여러가지 물 순환의 왜곡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첨두유량 증가에 따른 도시 홍수(도로 침수)를 유발한다. 또한, 우수의 지하침투 감소는 지하수 고갈, 하천 유지용수 부족으로 도시하천의 건천화, 지하수위의 저하, 도시 씽크홀 등 각종 환경변화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불투수도로 등 지표면에서 강우유출시 생성되는 비점오염물질은 수질오염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강우유출수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도시에서 빗물을 침투 및 저류시킴으로써 자연적인 물 순환 체계로 회복하고자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서 각종 개발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존의 등록특허 10-1488139, 공개특허 10-2013-0070072에서는 가로수 주변 보도에서 우수를 집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우수 집수의 단점으로 보차도 유출 면적이 도로에 비교하여 작고 별도로 유로를 개설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설에서 처리할 우수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도로 가로수에 적용시 지속적인 기능 유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 및 지표면의 강우유출수를 도로 가로수 저면이나 보차도 지면의 땅속으로 침투 및 저류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로와 보차도에서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에 있어서,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도로 침투부; 가로수 주변의 보차도 지표면에 설치되어 우수를 집수하는 보차도 침투부; 및 상기 도로 침투부 및 상기 보차도 침투부로부터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합수하고, 합수된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여 지하침투 및/또는 저류하도록 설정된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 분배하여 배출시키는 공동 처리조를 포함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로 침투부는,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배수 경계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의 지표면 지하에 매립구조로 설치되어 유출 토사를 침전하는 도로 침사통; 상기 공동 처리조에 연결되는 상기 배수 경계석의 유입구 후단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는 흑막이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로 침사통은 상기 공동 처리조에 연결되도록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본체연결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침투부는, 가로수 보호경계석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공동 처리조에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상부에 집수구가 형성되어 보차도의 지표면 지하에 매립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는 챔버 필터부; 및 상기 챔버와 상기 공동 처리조를 연결하는 이음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필터부는, 지표면에 배치되는 그레이팅;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배치되어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거름망; 및 상기 부유물 거름망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출 토사를 침전하는 토사 침사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동 처리조는, 상기 도로 침투부 및 상기 보차도 침투부와 연결되어 수집된 강우유출수를 합수하는 처리조 본체; 상기 처리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처리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합수된 강우유출수를 침투도랑 및/또는 침투트렌치로 분배하여 배출시키는 분배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1 전처리 필터; 및 자갈 및/또는 모래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2 전처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는, 상단이 가로수 식생토의 측면을 지지하여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강우유출수가 가로수 식생토로 유출되도록 침투공이 형성된 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및 지표면의 강우유출수를 도로 가로수 저면이나 보차도 지면의 땅속으로 침투 및 저류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우 왜곡으로 인한 도시침수 또는 도시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이 매립된 보차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이 침투도랑 및 침투트렌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침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 침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처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이 침투도랑 및 침투트렌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침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 침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처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최근, 하천이나 호수의 녹조와 수질오염 원인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하여 정부에서 강우유출수 중점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강우유출수 관리 방안으로 효율적인 저영향개발 빗물관리 기법 침투시설에 주목하고 있다. 환경부는 저영향개발 설계 가이드라인에서 침투시설의 기술 및 효율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단일 기능의 침투시설을 다기능을 부여하는 침투시설 적용 노력이 필요하다. 기존의 강우유출수 집수 방식은 도로, 보차도, 지표면 등 획일적인 집수 방식으로 강우유출수를 집수하였다. 또한 도로와 보도 보행도로는 지표면이 상·하로 구분되어 단차가 있다. 이러한 상·하 단차에서 동시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침투시설은 존재하지 않는다.
주로 빗물이 투수되지 않는 도로, 보차도, 주차장 등 지표면에서 생성되는 비점오염물질은 수질오염의 원인이며, 본 발명에서는 지표면의 강우유출시 생성된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저영향개발(LID) 기법 빗물관리기술의 침투시설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저영향개발(LID) 기법 빗물관리기술의 침투시설은 침투트렌치(Infiltration trench), 침투도랑(Infiltration ditch), 침투측구(Infiltration channel), 침투통(Infiltration chamber), 투수성포장(Porous pavement)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침투시설은 우수가 땅으로 잘 흡수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획일적인 강우유출수 집수방식을 도로와 보차도의 지표면에서 단차를 극복하는 상·하 지표면 집수방식 적용이 가능한 구조로 유출수를 효율적으로 동시에 집수하는 침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이 매립된 보차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이 침투도랑 및 침투트렌치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침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 침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처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 각각에서 (a)는 조립도, (b)는 분해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10)은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도로 침투부(100), 가로수(60) 주변의 보차도 지표면에 설치되어 우수를 집수하는 보차도 침투부(200,300), 및 상기 도로 침투부(100) 및 상기 보차도 침투부(200,300)로부터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합수하고, 합수된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여 지하침투 및/또는 저류하도록 설정된 위치 및/또는 방향으로 분배하여 배출시키는 공동 처리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로 침투부(100)는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50)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70)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5)가 형성된 배수 경계석(110), 상기 유입구(105)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105)의 지표면 지하에 매립구조로 설치되어 유출 토사를 침전하는 도로 침사통(140), 상기 공동 처리조(400)에 연결되는 상기 배수 경계석(110)의 유입구(105) 후단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는 흑막이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경계석(110)은 일방향 도로 따라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배치된 도로 경계석(7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경계석(110)은 강우유출수의 원활한 집수 및/또는 배수를 위하여, 도로에 인접한 일측면(전단)에서 상기 공동 처리조(400)에 인접한 타측면(후단)으로 향할수록 상기 유입구(105)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공통 처리조(4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수 경계석(110)은 상기 유입구(105)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제2 유입 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105)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5)와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할수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강우유출수의 집수 및/또는 배수를 위하여 상기 유입구(105)와 연결되는 영역 및/또는 공간을 점점 좁게 집중시킬 수 있다.
상기 도로 침사통(140)은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토사를 침전시키며, 물보다 가벼운 부유물은 상기 공통 처리조(400)에서 필터링되도록 상기 공동 처리조(400)로 배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도로 침사통(140)은 상기 공동 처리조(400)에 연결되도록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본체연결고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흑막이널(150)은 n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서 낙하하는 토사가 상기 공통 처리조(4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차도 침투부(200,300)는 가로수 보호경계석(80)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공동 처리조에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제1 집수부(200) 및 제2 집수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집수부(200) 및 상기 제2 집수부(300) 각각은 상부에 집수구(222)가 형성되어 보차도의 지표면 지하에 매립되는 제1 및 제2 챔버(220,320), 상기 제1 및 제2 챔버(220,320)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는 제1 및 제2 챔버 필터부(210,310) 및 상기 제1 및 제2 챔버(220)와 상기 공동 처리조(400)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이음관(230,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220)는 미리 설정된 체적을 갖는 사각 함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상기 이음관(230)이 연결되는 유출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필터부(210)는 지표면에 배치되는 그레이팅(212), 상기 그레이팅(212)의 하부에 배치되어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거름망(214) 및 상기 부유물 거름망(214)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출 토사를 침전하는 토사 침사통(21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레이팅(212)은 설정된 면적의 필터 블록을 갖는 금속 덮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유물 거름망(214)은 상기 그레이팅(212)보다 촘촘한 면적의 필터 블록을 갖는 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 침사통(216)은 상기 그레이팅(212) 및 상기 부유물 거름망(214)을 통과한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토사를 침전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공동 처리조(400)는 상기 도로 침투부(100) 및 상기 보차도 침투부(200,300)와 연결되어 수집된 강우유출수를 합수하는 처리조 본체(410), 상기 처리조 본체(4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는 전처리부(430,440), 상기 처리조 본체(4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합수된 강우유출수를 침투도랑 및/또는 침투트렌치로 분배하여 배출시키는 분배조(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430,440)는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1 전처리 필터(430) 및 자갈 및/또는 모래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2 전처리 필터(4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처리 필터(430)는 비점오염 저감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전처리 필터(440)는 염화칼슘 저감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처리조 본체(410)는 상단이 가로수 식생토의 측면을 지지하여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는 몸체부(415) 및 상기 몸체부(415)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415)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처리부(430,440)를 통과한 강우유출수가 가로수 식생토로 유출되도록 침투공이 형성된 타공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조 본체(410)는 상기 유입구(105)와 연통되며, 상기 도로 침사통(140)의 본체연결고리(145)가 걸리는 제1 유입구(411)와, 상기 제1 이음관(230) 및 상기 제2 이음관(330)이 연결되는 제2 및 제3 유입구(412,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조(450)는 상기 처리조 본체(410) 및 상기 전처리부(430,440)를 통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위해 설정된 위치 및/또는 방향의 침투도랑 및/또는 침투트렌치로 분배하여 배출시키기 위하여, 유공관(유출수 이송관)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공관 이음장치(460,470,4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배조(450)가 제1 내지 제3 상기 유공관 이음장치(460,470,4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상기 유공관 이음장치(460,470,480) 각각은 제1 내지 제3 연결구(462,472,482), 제1 내지 제3 막음장치(464,474,4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구(462,472,482) 각각은 설정된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1 내지 제3 유공관(510,520,53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막음장치(464,474,484) 각각은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구(462,472,482) 중 유공관이 연결되지 않는 연결구를 막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 및 지표면의 강우유출수를 도로 가로수 저면이나 보차도 지면의 땅속으로 침투 및 저류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우 왜곡으로 인한 도시침수 또는 도시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불투수성 도로 등 지표면의 강우유출시 생성되는 비점오염물질 발생에 의한 수질오염을 개선하고, 가로수 식생에 유용한 영양분을 다량 함유한 빗물이 토양으로 자연 흡수로 수목의 시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목의 시비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의 원인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양을 통하여 흡수된 빗물의 잉여분은 매립된 침투트랜치로 유입되어 저류하면서 지하로 빗물이 유출되면서 지하수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투시설의 적용으로 강우왜곡으로 인한 도로침수, 도시홍수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시설의 확대 적용으로 지하수 부족으로 인한 도시하천 건천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시 기온상승의 저온 효과가 있는 빗물은 가로수 수목에 유용한 수분과 양분을 토양에서 흡수하는 효과로 별도의 관수와 유지용수의 관리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점오염원 저감과 동절기 한파로 인한 도로 제설재 살포에 의한 염화캄슘의 염분은 축적은 식생고사와 식생토의 폐색의 원인이 된는데, 이러한 원인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50: 보차도
60: 가로수
70: 도로 경계석
80: 가로수 보호경계석
100: 도로 침투부
105: 유입구
110: 제1 유입 가이드
120: 제2 유입 가이드
140: 도로 침사통
200: 제1 집수부
210: 챔버 필터부
220: 챔버
230: 이음관
300: 제2 집수부
400: 공동 처리조
410: 처리조 본체
415: 몸체부
420: 타공부
430: 제1 전처리 필터
440: 제1 전처리 필터
450: 분배조
460, 470, 480: 유공관 이음장치
510, 520, 530: 유공관
50: 보차도
60: 가로수
70: 도로 경계석
80: 가로수 보호경계석
100: 도로 침투부
105: 유입구
110: 제1 유입 가이드
120: 제2 유입 가이드
140: 도로 침사통
200: 제1 집수부
210: 챔버 필터부
220: 챔버
230: 이음관
300: 제2 집수부
400: 공동 처리조
410: 처리조 본체
415: 몸체부
420: 타공부
430: 제1 전처리 필터
440: 제1 전처리 필터
450: 분배조
460, 470, 480: 유공관 이음장치
510, 520, 530: 유공관
Claims (8)
- 도로와 보차도에서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에 있어서,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는 도로 침투부;
가로수 주변의 보차도 지표면에 설치되어 우수를 집수하는 보차도 침투부; 및
상기 도로 침투부 및 상기 보차도 침투부로부터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합수하고, 합수된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여 지하침투 및 저류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위치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하여 배출시키는 공동 처리조를 포함하되,
상기 도로 침투부는,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배수 경계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의 지표면 지하에 매립구조로 설치되어 유출 토사를 침전하고, 상기 공동 처리조에 연결되도록 일측 단부에 형성된 본체연결고리를 포함하는 도로 침사통; 및
상기 공동 처리조에 연결되는 상기 배수 경계석의 유입구 후단에 설치되어 상측에서 낙하하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는 흑막이널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 경계석은,
상기 유입구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1 유입 가이드 및 제2 유입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강우유출수의 원활한 집수 및 배수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하여, 도로에 인접한 일측면에서 상기 공동 처리조에 인접한 타측면으로 향할수록 상기 유입구가 폭이 좁아지며 상기 공동 처리조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침투부는,
가로수 보호경계석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공동 처리조에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상부에 집수구가 형성되어 보차도의 지표면 지하에 매립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유입구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는 챔버 필터부; 및
상기 챔버와 상기 공동 처리조를 연결하는 이음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필터부는,
지표면에 배치되는 그레이팅;
상기 그레이팅의 하부에 배치되어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거름망; 및
상기 부유물 거름망의 하부에 배치되어 유출 토사를 침전하는 토사 침사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처리조는,
상기 도로 침투부 및 상기 보차도 침투부와 연결되어 수집된 강우유출수를 합수하는 처리조 본체;
상기 처리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강우유출수를 필터링하는 전처리부; 및
상기 처리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합수된 강우유출수를 침투도랑 및/또는 침투트렌치로 분배하여 배출시키는 분배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제1 전처리 필터; 및
자갈 및/또는 모래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2 전처리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 본체는,
상단이 가로수 식생토의 측면을 지지하여 식생토의 유실을 방지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처리부를 통과한 강우유출수가 가로수 식생토로 유출되도록 침투공이 형성된 타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6888A KR102292290B1 (ko) | 2021-02-05 | 2021-02-05 |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6888A KR102292290B1 (ko) | 2021-02-05 | 2021-02-05 |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2290B1 true KR102292290B1 (ko) | 2021-08-24 |
Family
ID=7750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6888A KR102292290B1 (ko) | 2021-02-05 | 2021-02-05 |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229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7342B1 (ko) * | 2022-02-03 | 2022-09-26 |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
KR20240039745A (ko) | 2022-09-20 | 2024-03-27 | 현대건설(주) | 탄소 저감 효과를 가지는 투수성 포장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2749A (ko) * | 2007-11-21 | 2009-05-26 | 김영도 | 도시녹화 배수시스템 |
KR20130070072A (ko) | 2011-12-19 | 2013-06-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
KR101323288B1 (ko) * | 2013-07-17 | 2013-10-29 |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
KR101488139B1 (ko) | 2014-09-25 | 2015-01-29 |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
-
2021
- 2021-02-05 KR KR1020210016888A patent/KR1022922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2749A (ko) * | 2007-11-21 | 2009-05-26 | 김영도 | 도시녹화 배수시스템 |
KR20130070072A (ko) | 2011-12-19 | 2013-06-2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
KR101323288B1 (ko) * | 2013-07-17 | 2013-10-29 |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
KR101488139B1 (ko) | 2014-09-25 | 2015-01-29 |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7342B1 (ko) * | 2022-02-03 | 2022-09-26 |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
KR20240039745A (ko) | 2022-09-20 | 2024-03-27 | 현대건설(주) | 탄소 저감 효과를 가지는 투수성 포장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awrence et al. | Stormwater detention & BMPs | |
CN104005316B (zh) | 一种具有排水及截污功能的路缘石 | |
US9506233B2 (en) | Stormwater treatment system with gutter pan flow diverter | |
KR101410194B1 (ko) |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 |
KR102089235B1 (ko) |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 |
KR101105272B1 (ko) |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 |
KR20090124660A (ko) | 개방형 우수처리 시스템 | |
KR200407745Y1 (ko) | 빗물 처리 시스템 | |
US11629085B1 (en) | Stormwater collection, treatment, and aquifer replenishment installations and methods | |
KR101239389B1 (ko) |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 |
KR20110128474A (ko) | 침투수 처리시스템 | |
US10865547B1 (en) |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 |
KR102292290B1 (ko) |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
KR101582931B1 (ko) | 비점오염 저감 장치 | |
CN109183532B (zh) | 一种依附于道路的北方城市雨水净化调蓄生态利用系统 | |
CN105174635A (zh) | 多级雨水生物处理装置 | |
JP4445168B2 (ja) | 雨水浸透システム | |
KR102194284B1 (ko) |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 | |
KR102527838B1 (ko) |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 |
KR101792845B1 (ko) | 식물재배화분을 이용한 lid 하천변 교량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 |
KR100714315B1 (ko) |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 |
KR102290677B1 (ko) |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
JP2915389B1 (ja) | 濾過式貯水槽装置 | |
KR102377744B1 (ko) | 저영향개발 침투도랑을 조합한 식물재배화분 | |
CN112499907A (zh) | 一种初期雨水原位净化系统及初期雨水净化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