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838B1 -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 Google Patents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838B1
KR102527838B1 KR1020220066612A KR20220066612A KR102527838B1 KR 102527838 B1 KR102527838 B1 KR 102527838B1 KR 1020220066612 A KR1020220066612 A KR 1020220066612A KR 20220066612 A KR20220066612 A KR 20220066612A KR 102527838 B1 KR102527838 B1 KR 10252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low
inlet
infiltration facility
impact develo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배수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배수 경계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의 지표면 지하에 설치되고 강우유출수로부터 유출 토사를 침전시키는 토사통; 및 상기 유입구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토사통을 수용하여 지지하며, 강우유출수의 전처리 공간을 마련하는 배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영향개발 침투시설{LID Road Infiltration System}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첨단수자원 관리 및 비점오염 저감을 위하여 저영향개발 도로 시설물의 표준 경계석을 이용한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 관한 것이다.
점점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면서 지표면에 내린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신속 배제됨으로써 여러가지 물 순환의 왜곡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첨두유량 증가에 따른 도시 홍수(도로 침수)를 유발한다. 또한, 우수의 지하침투 감소는 지하수 고갈, 하천 유지용수 부족으로 도시하천의 건천화, 지하수위의 저하, 도시 씽크홀 등 각종 환경변화의 원인이 된다.
아울러, 불투수도로 등 지표면에서 강우유출시 생성되는 비점오염물질은 수질오염 원인이 되기 때문에 강우유출수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도시에서 빗물을 침투 및 저류시킴으로써 자연적인 물 순환 체계로 회복하고자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서 각종 개발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기존의 등록특허 10-1488139, 공개특허 10-2013-0070072에서는 가로수 주변 보도에서 우수를 집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우수 집수의 단점으로 보차도 유출 면적이 도로에 비교하여 작고 별도로 유로를 개설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시설에서 처리할 우수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도로 가로수에 적용시 지속적인 기능 유지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813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007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로 경계석에 유입구를 설치하여 전처리 시설을 적용하고 강우유출수를 침전하여 침투도랑으로 유출시켜 물질순환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배수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배수 경계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의 지표면 지하에 설치되고 강우유출수로부터 유출 토사를 침전시키는 토사통; 및 상기 유입구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토사통을 수용하여 지지하며, 강우유출수의 전처리 공간을 마련하는 배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 구조물은, 상기 배수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토사통의 거치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토사통을 지지하는 토사통 거치부; 상기 토사통 거치부와 결합하여 측벽을 형성하며, 전처리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 상기 토사통 거치부의 타측에 개구 형성되어 강우유출수를 배수하는 강우배수구; 상기 강우배수구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거름망; 및 상기 토사통 거치부의 타측 및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는 후방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처리 공간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흙막이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토사통 거치부는, 상기 토사통과 접촉하여 상기 토사통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강우배수구에 거치된 상태에서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토사통에 인접한 일면이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흙막이널에 인접한 일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강우배수구에 거치되는 하부가 상기 강우배수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상기 배수 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를 유공관으로 이송 처리하는 커넥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유출수를 양방향의 유공관으로 이송 처리하기 위하여 삼구 커넥터로 형성되되, 상기 강우배수구가 삽입되는 유출수유입구 및 복수의 유공관 각각이 결합되는 복수의 유공관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도로와 상기 토사통 사이의 틈새로 누수 및 토사 유출을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재료분리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경계석에 유입구를 설치하여 전처리 시설을 적용하고 강우유출수를 침전하여 침투도랑으로 유출시켜 물질순환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의 불투수면과 도로 띠녹지 등 투수면을 연계함으로써 불투수면에서 유출된 강우유출수를 투수면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의 불투수면과 도로 띠녹지 등 투수면을 연계함으로써 불투수면에서 유출된 강우유출수를 투수면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및 지표면의 강우유출수를 도로 가로수 저면이나 보차도 지면의 땅속으로 침투 및 저류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우 왜곡으로 인한 도시침수 또는 도시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서 강우유출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최근, 하천이나 호수의 녹조와 수질오염 원인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하여 정부에서 강우유출수 중점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강우유출수 관리 방안으로 효율적인 저영향개발 빗물관리 기법 침투시설에 주목하고 있다.
침투시설은 초기강우를 지하 토층으로 침투시켜 처리하므로 수질개선 및 지하수 재충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불투수 면적율이 높은 도시지역에서 첨두유출량 저감 및 지하수 재충전 기능을 통해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으나,관리가 미흡하면 침전물에 의해 공극이 막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침투시설의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강우에 대해서는 우회수로 또는 여수로를 설치하여 침투시설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침투시설은 토사 유입에 의해 막힘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설이므로 침투시설을 설치할 경우에는 확실한 토사유입 방지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침투시설로 유입되기 전에 적어도 수질처리 용량의 약 25%에 해당하는 전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에 유입구를 설치하여 전처리 시설을 적용하고 강우유출수를 침전하여 침투도랑으로 유출시켜 물질순환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서 강우유출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70)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5)가 형성된 배수 경계석(100), 상기 유입구(105)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105)의 지표면 지하에 설치되고 강우유출수로부터 유출 토사를 침전시키는 토사통(140), 상기 유입구(105)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토사통(140)을 수용하여 지지하며, 강우유출수의 전처리 공간을 마련하는 배수 구조물(400), 상기 배수 구조물(400)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를 유공관(600)으로 이송 처리하는 커넥터(5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 경계석(100)은 도로 경계석(70)을 활용하여 도로면의 강우유출수를 침투도랑으로 유입 및/또는 유출하는 빗물받이 경계석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수 경계석(100)은 일방향 도로 따라 수평으로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배치된 도로 경계석(7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 경계석(100)은 강우유출수의 원활한 집수 및/또는 배수를 위하여, 도로에 인접한 일측면(전단)에서 상기 배수 구조물(400)에 인접한 타측면(후단)으로 향할수록 상기 유입구(105)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배수 구조물(400)과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수 경계석(100)은 상기 유입구(105)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제2 유입 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105)를 형성하고, 상기 유입구(105)와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할수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강우유출수의 집수 및/또는 배수를 위하여 상기 유입구(105)와 연결되는 영역 및/또는 공간을 점점 좁게 집중시킬 수 있다.
상기 토사통(140)은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토사를 침전시키며, 물보다 가벼운 부유물은 상기 배수 구조물(400)에서 필터링되도록 상기 배수 구조물(400)로 배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토사통(140)은 기 설정된 면적 및/또는 체적의 침전 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사통(140)은 상기 배수 구조물(400)에 안착되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구조물(400)은 상기 배수 구조물(400)의 하부를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토사통(140)의 거치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토사통(140)을 지지하는 토사통 거치부(410), 상기 토사통 거치부(410)와 결합하여 측벽을 형성하며, 상기 전처리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420), 상기 토사통 거치부(410)의 타측에 개구 형성되어 강우유출수를 배수하는 강우배수구(430), 상기 강우배수구(430)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거름망(440) 및 상기 토사통 거치부(410)의 타측 및 상기 프레임부(420)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105)에 대향하는 후방 벽면을 형성하며, 전처리 공간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흙막이널(4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사통 거치부(410)는 상기 토사통(140)과 접촉하여 상기 토사통(1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4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415)은 상기 토사통(14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높이 및/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420)는 전처리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토사통 거치부(410)와 상기 흙막이널(450)을 연결하는 “ㄴ” 및 역 ”ㄴ” 형상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420)는 설정된 체적의 전처리 공간에 대응하는 집수면적(내부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420)의 집수면적(내부 체적)은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기준에 해당하는 누적 유출고 약 5mm 이상을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강우배수구(430)는 강우유출수를 배수하도록 상기 토사통 거치부(410)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강우배수구(430)는 상기 커넥터(500)의 유출수유입구(510)에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440)은 부유물을 필터링하기 위하여 설정된 면적의 필터 블록을 갖는 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름망(440)은 필터링 성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되기 위하여, 상기 강우배수구(430)에 거치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름망(440)은 상기 강우배수구(430)에 거치된 상태에서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토사통(140)에 인접한 일면이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흙막이널(450)에 인접한 일면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망(440)은 상기 강우배수구(430)에 거치되는 하부가 상기 강우배수구(430)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흙막이널(450)은 하부가 상기 프레임부(420)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기 배수 경계석(100)과 접촉하여 토사가 상기 배수 구조물(400)의 내부로 유입되는 토사의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흙막이널(450)은 상부 단부가 상기 배수 경계석(100)의 하부면과 나란하도록 절곡되고, 상기 배수 경계석(100)과 중첩 배치되거나 상기 배수 경계석(100)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0)는 유출수를 양방향의 유공관(600)으로 이송 처리하기 위하여 삼구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우배수구(430)가 삽입되는 유출수유입구(510) 및 복수의 유공관(600) 각각이 결합되는 복수의 유공관 연결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500)는 하층 토양의 침투율이 약 13mm 이상인 침투도랑으로 유출수를 이송처리하기 위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500)는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 지하수위 또는 기반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최소 약 1.2m 이상의 거리를 두도록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00)에 의해 유출수가 이송되는 침투도랑은 아스팔트, 콘트리트 등의 불투수 도로에 집수 적정면적 약 0.1ha를 적용하여 투수성 도로에 준하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도로와 상기 토사통(140) 사이의 틈새로 누수 및 토사 유출을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재료분리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분리대(700)는 상기 토사통(140)의 일측을 커버하여 도로와 상기 토사통(140)을 이음으로써 도로와 상기 토사통(140) 사이의 틈새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아래의 수학식 1로 산정된 배제용량을 가지며, 그 계산 결과가 수질처리용량 이상이 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Vi는 침투시설 배제용량, Ai는 침투면적(㎡), k는 하부토양 침투속도(mm/hr, 13~210㎜/hr), Td는 배제시간(최대 72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경계석에 유입구를 설치하여 전처리 시설을 적용하고 강우유출수를 침전하여 침투도랑으로 유출시켜 물질순환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의 불투수면과 도로 띠녹지 등 투수면을 연계함으로써 불투수면에서 유출된 강우유출수를 투수면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 및 지표면의 강우유출수를 도로 가로수 저면이나 보차도 지면의 땅속으로 침투 및 저류하도록 하여 비점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우 왜곡으로 인한 도시침수 또는 도시홍수를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100: 도로 침투부
105: 유입구
110: 제1 유입 가이드
120: 제2 유입 가이드
140: 토사통
400: 배수 구조물
410: 토사통 거치부
420: 프레임부
430: 강우배수구
440: 거름망
450: 흙막이널
500: 커넥터
510: 유출수유입구
520: 유공관 연결부
600: 유공관
700: 재료분리대

Claims (7)

  1. 도로 상에 흐르는 강우유출수를 배수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에 있어서,
    상기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배수 경계석;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구의 지표면 지하에 설치되고 강우유출수로부터 유출 토사를 침전시키는 토사통; 및
    상기 유입구의 후방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토사통을 수용하여 지지하며, 강우유출수의 전처리 공간을 마련하는 배수 구조물;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 구조물은,
    상기 배수 구조물의 하부를 형성하며, 일측에 상기 토사통의 거치 공간을 마련하여 상기 토사통을 지지하는 토사통 거치부;
    상기 토사통 거치부와 결합하여 측벽을 형성하며, 전처리 공간을 구획하는 프레임부;
    상기 토사통 거치부의 타측에 개구 형성되어 강우유출수를 배수하는 강우배수구;
    상기 강우배수구에 설치되어 강우유출수의 부유물을 필터링하는 거름망; 및
    상기 토사통 거치부의 타측 및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하여 상기 유입구에 대향하는 후방 벽면을 형성하며, 상기 전처리 공간으로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흙막이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사통 거치부는,
    상기 토사통과 접촉하여 상기 토사통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강우배수구에 거치된 상태에서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토사통에 인접한 일면이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흙막이널에 인접한 일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강우배수구에 거치되는 하부가 상기 강우배수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상기 배수 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를 유공관으로 이송 처리하는 커넥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유출수를 양방향의 유공관으로 이송 처리하기 위하여 삼구 커넥터로 형성되되,
    상기 강우배수구가 삽입되는 유출수유입구 및 복수의 유공관 각각이 결합되는 복수의 유공관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영향개발 침투시설은,
    도로와 상기 토사통 사이의 틈새로 누수 및 토사 유출을 발생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재료분리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KR1020220066612A 2022-05-31 2022-05-31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KR10252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12A KR102527838B1 (ko) 2022-05-31 2022-05-31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612A KR102527838B1 (ko) 2022-05-31 2022-05-31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838B1 true KR102527838B1 (ko) 2023-05-03

Family

ID=8638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612A KR102527838B1 (ko) 2022-05-31 2022-05-31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8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75B1 (ko) * 2009-12-31 2010-11-01 (주)비포엔지니어링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130070072A (ko) 2011-12-19 2013-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KR101488139B1 (ko)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75B1 (ko) * 2009-12-31 2010-11-01 (주)비포엔지니어링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130070072A (ko) 2011-12-19 2013-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KR101488139B1 (ko)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94B1 (ko)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KR200407745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US11629085B1 (en) Stormwater collection, treatment, and aquifer replenishment installations and methods
CN109797839A (zh) 一种城市道路雨水口高效截污装置及截污操作方法
KR100834551B1 (ko) 우수유출 저감장치
KR102292290B1 (ko)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2527838B1 (ko)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100487403B1 (ko) 유공관을 이용한 우수 인공함양 촉진 시설 및 유공관을이용한 우수 인공함양 촉진 방법
KR100984372B1 (ko) 차도측 빗물 저류 및 침투시설
CN209779837U (zh) 一种城市道路雨水口高效截污装置
KR101865757B1 (ko) 저영향개발형 수처리장치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017980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용 침투정
KR101036279B1 (ko)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KR100750980B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0407746Y1 (ko) 빗물 처리 시스템
KR101376446B1 (ko)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KR102377744B1 (ko) 저영향개발 침투도랑을 조합한 식물재배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