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342B1 -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 Google Patents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342B1
KR102447342B1 KR1020220014346A KR20220014346A KR102447342B1 KR 102447342 B1 KR102447342 B1 KR 102447342B1 KR 1020220014346 A KR1020220014346 A KR 1020220014346A KR 20220014346 A KR20220014346 A KR 20220014346A KR 102447342 B1 KR102447342 B1 KR 10244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filter box
road
boundary ston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만
김의주
Original Assignee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후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025/003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with an impermeable layer in the groun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여 물질순환을 통해 저류 및 침투를 유도하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있어서,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 상기 나무여과상자의 유형에 맞게 설치되어 시설 폐색, 토양 오염, 각종 부유물을 처리하는 유지관리를 위한 수목 보호판; 및 전처리 및 강우유출수 우회로를 적용하여 물질순환으로 식생 생육 향상과 식생 공간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를 포함하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LID Filtering Box for tree}
본 발명은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과 시공이음을 이용하고, 유지성이 향상된 수목보호판과 전처리실을 조합한 콘크리트 하프 구조박스 기술을 적용한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발전과 도시화로 인하여 수질문제가 제기되면서 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수질보호를 위해 경제적으로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물순환 체계의 필요성을 언급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생태계 보호와 수질 관리에 있어 기존의 물 관리 시스템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도시화에 따른 토지이용의 패턴의 변화로 인하여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 피해, 도시의 비점오염 피해, 지하수 고갈 및 그에 따른 지반 침하현상, 하천의 건천화 등의 여러 문제는 더욱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미국에서 처음 저영향개발이라는 새로운 도시계획기법을 제안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813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과 시공이음을 이용하고, 강우유출수 침투 저류 기작을 무동력 공정으로 자연적 물질 순환 에너지 흐름을 구축하여 식물의 증발산과 토양의 침투 능력으로 하여 비점오염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빗물을 직접 유출하지 않고 땅으로 침투, 여과, 저류하도록 하는 친환경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으로 도시의 비점오염저감, 수질개선, 지하수 함양, 강우유출량 저감, 열섬현상 완화 등 다양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여 물질순환을 통해 저류 및 침투를 유도하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있어서,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 상기 나무여과상자의 유형에 맞게 설치되어 시설 폐색, 토양 오염, 각종 부유물을 처리하는 유지관리를 위한 수목 보호판; 및 전처리 및 강우유출수 우회로를 적용하여 물질순환으로 식생 생육 향상과 식생 공간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를 포함하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은, 도로에 인접한 일측면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에 인접한 타측면으로 향할수록 유입구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은, 상기 유입구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1 유입 가이드 및 제2 유입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 가이드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를 형성하되, 사선 가공 경계석 및 직각 가공 경계석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목 보호판은, 상부 개방형의 양문 형태로 설치되어 수목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개폐가 용이한 한쌍의 도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는, 강우유출수를 포함하는 유입수의 전처리를 위한 전처리부, 및 수목 생육과 유입수 여과를 위한 식생토를 수용하는 식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으로부터 유출되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여 전처리하되, 강우유출수의 우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전처리구역 및 제2 전처리구역으로 나누어 구획되고,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과 연통되는 집수구와, 상기 제1 전처리구역 및 상기 제2 전처리구역을 연결하는 연통구와, 전처리된 강우유출수를 상기 식생부로 배출하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용 도로 경계석과 시공이음을 이용하고, 강우유출수 침투 저류 기작을 무동력 공정으로 자연적 물질 순환 에너지 흐름을 구축하여 식물의 증발산과 토양의 침투 능력으로 하여 비점오염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을 직접 유출하지 않고 땅으로 침투, 여과, 저류하도록 하는 친환경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으로 도시의 비점오염저감, 수질개선, 지하수 함양, 강우유출량 저감, 열섬현상 완화 등 다양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가 매립된 보차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도로 경계석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도로 경계석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설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의 설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의 계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험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수질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심의 비점오염원이 발생하는 지역에서 우수가 발생되면 오염원의 농도가 가장 높은 우수발생 후 일정 강우량의 초기우수가 발생이 되는데, 이렇게 오염된 초기우수는 도로의 경계석을 따라 모아져서 흘러가게 되면 기존의 배수시스템에 의해 우수는 하수도 및 우수도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우수는 지하수로 환수되지 못해 지하수 고갈 등으로 이루어지고, 첨두유출량의 증가로 홍수 등 2차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도시화에 따른 수생태계 영향을 최소화하여 개발 이전의 상태에 최대한 가깝게 만들기 위한 토지이용 계획 및 도시 개발 기법으로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가로수나 신규로 식재되는 가로수 부지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부지소요가 적은 도심이나 도로에 적용하기 용이한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용 도로경계석을 조합한 나무여과상자로 전처리시설를 이용하고 강우유출수를 자연적 물질순환 에너지 흐름으로 전환하여 식물을 통한 증발산, 침투 및 저류시키는 기술로 토양과 쇄석(자갈)층을 이용하여 저류 및 침투를 지하로 유도하는 물질순환 기술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물질순환을 위하여 지하수 함양 도로침수 홍수예방 등 비점오염을 무동력으로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첨단수자원 고도수처리 비점오염저감 기술의 핵심기술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는 빗물을 직접 유출하지 않고 땅으로 침투, 여과, 저류하도록 하는 친환경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으로 도시의 비점오염저감, 수질개선, 지하수 함양, 강우유출량 저감, 열섬현상 완화 등 다양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가 매립된 보차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도로 경계석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도로 경계석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설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의 설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의 계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100), 수목 보호판(200) 및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100)은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1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100)은 일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수평으로 배치된 도로 경계석(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100)은 강우유출수의 원활한 집수 및/또는 배수를 위하여, 도로에 인접한 일측면(전단)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300)에 인접한 타측면(후단)으로 향할수록 상기 유입구(105)의 폭이 좁아지며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3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로 경계석(50)은 상기 유입구(105)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제2 유입 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10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 각각은 실시 형태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가공 경계석 및 직각 가공 경계석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선 가공 경계석인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상기 유입구(105)와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향할수록 설정된 각도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강우유출수의 집수 및/또는 배수를 위하여 상기 유입구(105)와 연결되는 영역 및/또는 공간을 점점 좁게 집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실험 결과, 기존의 직각 가공으로만 형성되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보다 강우유출수의 유입 및/또는 유출 효율이 약 30% 이상으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사선 가공 경계석인 상기 제1 유입 가이드(120)와 직각 가공 경계석인 상기 제2 유입 가이드(130)는 실험 결과, 기존의 직각 가공으로만 형성되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보다 강우유출수의 유입 및/또는 유출 효율이 약 32% 이상으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100)은 강우유출수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300)로 이송 처리하고, 강우유출수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처리하는 시공이음(150)을 이용하여 누수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목 보호판(200)은 상기 나무여과상자의 유형에 맞게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수목 식생, 수목 보호, 시설 폐색, 토양 오염, 내부 유입 퇴적물의 유지 관리 등을 위한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보호판(200)은 육안 검사로 시설 폐색, 토양 오염, 각종 부유물을 처리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목 보호판(200)은 수목(20)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개폐가 용이한 한쌍의 도어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도어패널(210)은 상부 개방형의 양문 형태로 설치되어 유지 관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목 보호판(200)은 아래의 표 1과 같이 KS D 3503의 시험방법에 따른 물성시험 결과, 기준에 적합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Figure 112022012299618-pat00001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300)는 상부는 개방되어 강우유출수를 포함하는 유입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전처리 및 강우유출수 우회로를 적용하여 무동력 물질순환으로 탈질되어 식생 생육 향상과 하프구조의 확장된 식생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300)는 강우유출수를 포함하는 유입수의 전처리를 위한 전처리부(310), 및 수목 생육 및 유입수 여과를 위한 식생토(330)를 수용하는 식생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310)는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100)으로부터 유출되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여 전처리하되, 약 1m 이상으로 강우유출수의 우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전처리구역(312) 및 제2 전처리구역(314)으로 나누어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처리부(310)는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100)과 연통되는 집수구(322)와, 상기 제1 전처리구역(312) 및 상기 제2 전처리구역(314)를 연결하는 연통구(324)와, 전처리된 강우유출수를 상기 식생부(320)로 배출하는 배수구(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전처리부(310)가 약 1m 이상의 우회로를 형성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동절기 도로에 살포하는 염화칼슘이 포함(희석)된 강우유출수가 수목에 직접 공급(노출)될 경우 수목이 고사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수목 고사의 원인을 제거하기 기술로, 상기 전처리부(310)는 물질순환으로 염화칼슘이 포함(희석)된 강우유출수가 충분히 탈질(염탈)되도록 강우유출수를 약 1m 이상 우회시켜 전처리할 수 있다. 다만, 강우유출수의 우회로 길이가 반드시 약 1m 이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급적 강우유출수의 충분한 탈질을 위하여 상기 전처리부(310)가 구조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전처리 기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처리부(310)는 개방된 상부를 덮기 위한 커버(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350)는 상기 전처리부(3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생부(320)는 식생토(330)를 수용하는 구조박스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상기 전처리부(310)와 연통되는 상기 배수구(32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부(320)는 상기 수목 보호판(200)과 구조박스의 분절된 설치공정을 일체식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구조박스의 상단에 상기 수목 보호판(200)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단턱(3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300)는 현장 설치시, 수목 보호판을 수용하는 틀을 별도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기존 나무여과상자 구조물과 달리, 시공성과 유지관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용 도로 경계석과 시공이음을 이용하고, 강우유출수 침투 저류 기작을 무동력 공정으로 자연적 물질 순환 에너지 흐름을 구축하여 식물의 증발산과 토양의 침투 능력으로 하여 비점오염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빗물을 직접 유출하지 않고 땅으로 침투, 여과, 저류하도록 하는 친환경 분산식 빗물관리기법으로 도시의 비점오염저감, 수질개선, 지하수 함양, 강우유출량 저감, 열섬현상 완화 등 다양한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실험예]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의 저영향개발 처리효율을 아래의 표 2와 같은 수질오염 처리 기준에 따라 실험하였다.
BOD T-N T-P TSS 중금속
54%(1) 49%(1) ~ 68%(2) 74%(2) 85%(2) 82%(2)
표 2에서 (1)은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12.8) 중 수목여과박스 인용하였고, (2)는 Fairfax County - LID BMP Fact Sheet - Reforestation/Afforestation(treeboxfilter) February28, 2005, Charles River Watershed Association Low Impact Best Management Practice(BMP) Information Sheet(2008)를 인용하였다.또한, 나무여과상자의 수질검사는 아래의 표 3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시료 2021년 12월19일 초기 17시부터 종기 17시 까지
장소 군포시 송부로 291번안길 3-8 실증시설내 유입 유출수
조건 선행 건기 일수 10일 이상
강우 누적 강우량 약 14mm(강우지속시간 약 2시간) 기상청 자료
방법 초기 - 최초 0분, 5분, 15분, 30분, 60분 간격 5회 유입수 채수
종기 - 최초 0분, 5분, 15분, 종기 간격 4회 유출수 채수
본 실험의 수질 분석 결과는 도 9에 도시된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그래프와 아래의 표 4와 같다.
오염물질저감율 BOD COD TSS T-N T-P
79% 98% 97% 78% 91%
우수유출저감율 VolRed=VolIn - VolOut 67%
또한, 본 실험의 오염물질 저감율을 기준율과 비교한 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오염물질저감율(기준율) BOD COD TSS T-N T-P
79(54)% 98(0)% 97(85)% 78(68)% 91(74)%
우수유출저감율(기준율) VolRed=VolIn - VolOut 본 발명의 필수 저감율 67(20)%
본 실험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는 수질탁도검사, EMC 그래프, 수질 분석 결과 및 기준 비교 결과에 있어서 저영향개발 가이드라인 나무여과상자 기술의 저감 효율 및 녹색기술인증 기준보다 크게 물질수지가 향상되었으며, 전처리부를 이용한 강우유출수의 우회로 형성을 통해 염화칼슘이 미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100: 배수용 도로 경계석
200: 수목 보호판
300: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

Claims (7)

  1. 강우유출수를 집수하여 물질순환을 통해 저류 및 침투를 유도하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에 있어서,
    도로와 구분되는 보차도의 경계를 따라 복수의 도로 경계석 사이에 개재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배수용 도로 경계석;
    상기 나무여과상자의 유형에 맞게 설치되어 시설 폐색, 토양 오염, 각종 부유물을 처리하는 유지관리를 위한 수목 보호판; 및
    전처리 및 강우유출수 우회로를 적용하여 물질순환으로 식생 생육 향상과 식생 공간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은,
    도로에 인접한 일측면에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에 인접한 타측면으로 향할수록 유입구의 폭이 좁아지며, 강우유출수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처리하는 시공이음을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와 연통되고, 상기 유입구의 전단을 형성하는 제1 유입 가이드 및 제2 유입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 가이드 및 상기 제2 유입 가이드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를 형성하되, 사선 가공 경계석 및 직각 가공 경계석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 식생박스는,
    강우유출수를 포함하는 유입수의 전처리를 위한 전처리부, 및 수목 생육과 유입수 여과를 위한 식생토를 수용하는 식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으로부터 유출되는 강우유출수를 집수하여 전처리하되, 강우유출수의 우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전처리구역 및 제2 전처리구역으로 나누어 구획되고,
    상기 시공이음을 이용하여 상기 배수용 도로 경계석과 연통되는 집수구와, 상기 제1 전처리구역 및 상기 제2 전처리구역을 연결하는 연통구와, 전처리된 강우유출수를 상기 식생부로 배출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 보호판은,
    상부 개방형의 양문 형태로 설치되어 수목의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개폐가 용이한 한쌍의 도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6. 삭제
  7. 삭제
KR1020220014346A 2022-02-03 2022-02-03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KR10244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46A KR102447342B1 (ko) 2022-02-03 2022-02-03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346A KR102447342B1 (ko) 2022-02-03 2022-02-03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342B1 true KR102447342B1 (ko) 2022-09-26

Family

ID=8345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346A KR102447342B1 (ko) 2022-02-03 2022-02-03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3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39B1 (ko)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KR102292290B1 (ko) * 2021-02-05 2021-08-24 (주)리드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KR102345755B1 (ko) * 2021-06-22 2022-01-03 (주)보선워터텍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KR20220001610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앤에이치종합조경 도시지역 불투수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도시기반시설을 활용하여 저감하는 자연순환형 나무화분여과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39B1 (ko)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KR20220001610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앤에이치종합조경 도시지역 불투수면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도시기반시설을 활용하여 저감하는 자연순환형 나무화분여과시스템
KR102292290B1 (ko) * 2021-02-05 2021-08-24 (주)리드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KR102345755B1 (ko) * 2021-06-22 2022-01-03 (주)보선워터텍 식생대를 활용한 도로용 우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ter WSUD engineering procedures: Stormwater: Stormwater
Lawrence et al. Stormwater detention & BMPs
Zakaria et al. Bio‐ecological drainage system (BIOECODS) for water quantity and quality control
CN103073111A (zh) 城市道路雨水径流生态协同处理装置及方法
US9359746B1 (en) Over and under combined sewer overflow/stormwater conveyance chambers
Kachchu Mohamed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the pollution reduction performance of swales used in a stormwater treatment train
CN107905331A (zh) 一种海绵城市自净渗滞系统
CN108625453A (zh) 高层建筑海绵城市综合体系统
CN107572726A (zh) 一种一体化雨水处理装置
KR102447342B1 (ko) 저영향개발 나무여과상자
KR20120078850A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101036279B1 (ko)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KR102527838B1 (ko)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Sidek et al. Bio-Ecological Drainage Systems (Bioecods): An integrated approach for urban water environmental planning
Sadeghi et al. Optimization of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projects in the City of Los Angeles
KR102374923B1 (ko) Lid 기반 빗물 순환형 비점오염 저감 및 관수용 띠 녹지 보호판 모듈
Reed et al. Problems with Rapid Infiltration: A Post Mortem Analysis
Lloyd et al. Paired catchment storm event monitoring: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a bioretention system (rain garden)
Clar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ology for Ultra Urban Areas
KR20220138502A (ko) 식생 및 토양여과를 이용한 우수관리시스템
Ellis Dry Detention Basin Optimization for Water Quality Treatment: Controlled Plot Trials
Bowman et al. INDOT DM Chapter 204:“Post-Construction Stormwater BMPs”
Ternier Review Of Stormwater Management In Ontario And A Case Study On The Etobicoke Exfiltration System
Whipple Dual Purpose Detention Basins and Surveillance Procedures in Urbanizing Watersheds
Horner Investigation of the Feasibility and Benefits of Low-Impact Site Design Practices (“LID”) for Ventura Coun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