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619B1 -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2619B1 KR101142619B1 KR1020110100043A KR20110100043A KR101142619B1 KR 101142619 B1 KR101142619 B1 KR 101142619B1 KR 1020110100043 A KR1020110100043 A KR 1020110100043A KR 20110100043 A KR20110100043 A KR 20110100043A KR 101142619 B1 KR101142619 B1 KR 1011426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tank
- river
- water
- opening
- connecting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천(10)변의 도로나 공원부지(11)에 매설되는 저류조(20);와, 상기 하천(10)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10)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저류조(20)의 내부로 하천(10)의 강물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하천 제방(12)의 상단부와, 상기 저류조(20)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연결관(50);과, 상기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일시저장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류조(20)의 하부에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의 개방시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하천(10)으로 유도배출할 수 있도록 하천(10)의 제방(12)의 하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제 2연결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2연결관(60)은 강물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폭우 또는 우기 시 하천이 범람하여 도로나 공원부지 및 주택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의 수위가 올라가면 자동으로 저류조의 내부로 강물을 집수하여 하천 수위를 조절하고, 하천의 수위가 평소 수위로 낮아지면 저류조에 저장된 강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볼 때 물부족 국가에 속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실정이며, 그 대안(代案)으로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다각적으로 검토 및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사계절이 뚜렷하고 여름철에 강우가 집중되는 우리나라에서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모으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계절이 아열대 기후로 변환되어 강우가 집중되는 장마철에는 폭우가 발생되는 일이 자주 발생된다.
특히 단시간 내에 급격한 폭우가 내려 하천의 제방이 범람하여 고수부지는 물론 도로 및 주택가가 침수되어 막대한 수해복구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하천의 수위가 올라가면 자동으로 저류조의 내부로 강물을 집수하여 하천 수위를 조절하고, 하천의 수위가 평소 수위로 낮아지면 저류조에 저장된 강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폭우 또는 우수 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저류조를 통해 강물을 저장하였다가, 폭우가 끝나면 저장된 강물을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점검구 또는 급수배관(미도시)을 통해 강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공업용수 및 상업용수로 강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천(10)변의 도로나 공원부지(11)에 매설되는 저류조(20);와, 상기 하천(10)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10)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저류조(20)의 내부로 하천(10)의 강물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하천 제방(12)의 상단부와, 상기 저류조(20)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연결관(50);과, 상기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일시저장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류조(20)의 하부에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의 개방시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하천(10)으로 유도배출할 수 있도록 하천(10)의 제방(12)의 하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제 2연결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2연결관(60)은 강물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류조(20)의 바닥면 일지점에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는 배출실(22)을 포함하되,상기 배출실(22)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는 배출실(22)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차단판(211)의 슬라이드홈(2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원뿔" 형태의 수동식수문(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제 3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수단은 배출실(22)의 개방된 상부면에 설치되어 항시적으로 자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편중설치되는 개폐판(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판(30)은 하천의 제방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연결관(60)으로 역류되는 강물에 의해 배출실(22)의 내부 수위가 올라가면 부력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저면에 형성되는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제 5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개폐수단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는 저류조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판" 형태의 수동식수문(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5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수문(40)은 상단에 결합되어 저류조(20)의 상부로 노출되는 랙기어(41)와, 상기 랙기어(41)와 치합되어 설치된 피니언기어(43)의 제 1회전축(S1)의 동축상에 형성되는 웜휠(42)과, 상기 웜휠(42)과 치합되게 설치되는 워엄(44)과, 상기 워엄(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워엄(44)이 축설된 제 2회전축(S2)에 결합되는 회전레버(4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1연결관(50)은 강물의 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 높이는 낮고 길이가 긴 장방형의 입구를 갖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저류조(20)는 도로나 공원부지에 형성된 스틸그레이팅(81)이 형성된 배수로(80)의 상부와 저류조(20)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켜 빗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제 3연결관(7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9발명은, 제 1발명 또는 제 8발명에서, 상기 저류조(20)는 제 1연결관(50) 또는 제 3연결관(70)과 연결되는 상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강물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가림막판(2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0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제 2연결관(60)은 저류조(20)의 강물 저수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천(10)의 하류까지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하천(10)의 바닥면에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따르면. 하천의 수위가 올라가면 자동으로 저류조의 내부로 강물을 집수하여 하천 수위를 조절하고, 하천의 수위가 낮아지면 저류조에 저장된 강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어 관리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폭우 또는 우수 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저류조를 통해 강물을 저장하였다가, 폭우가 끝나면 저장된 강물을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점검구 또는 급수배관(미도시)을 통해 강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공업용수 및 상업용수로 강물을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평면구성도,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폭우 또는 우기 시 하천(10)이 범람하여 도로나 공원부지(11) 및 주택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10)의 수위가 올라가면 자동으로 저류조(20)의 내부로 강물을 집수하여 하천 수위를 조절하고, 하천의 수위가 평소 수위로 낮아지면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람이 인위적으로 관리하지 않아도 하천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는 하천(10)의 도로나 공원부지(11)에 매설되는 저류조(20)와, 상기 저류조(20)와 하천(10)을 연결하는 제 1연결관(50) 및 제 2연결관(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연결관(50)은 하천(10) 제방(12)의 상단부와 지면에 매설된 저류조(20)의 상부가 상호 상통되도록 지면에 매설된다.
이러한 상기 제 1연결관(50)은 폭우시 또는 우기 시 급격하게 하천의 수위가 올라가면 하천(10)의 강물을 저류조(20)의 내부로 자동을 집수시켜 하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제 1연결관(50)은 강물의 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높이는 낮고 길이가 긴 장방형의 입구를 갖게 구성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저류조(20)는 제 1연결관(50)과 연결되는 상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강물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가림막판(21)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가림막판(21)은 저류조(20) 내측의 강물유입구에 상부를 힌지 결합시켜 강물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가림막판(21)은 강물의 수압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개폐되어 저류조(20)의 내부로 강물이 원활히 유입될 수 있게 구성되는 한편, 평소 저류조(20) 내의 저장된 강물에 의해 악취가 제 1연결관(50)을 통해 배출되어 도로나 공원부지(11)를 지나는 사람으로 하여금 악취로 인해 불쾌감을 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류조(20)는 제 1연결관(50)을 통해 유입되는 강물을 일시저장하여 하천 수위가 내려가면 자동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류조(20)의 바닥면 일지점에는 배출실(2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실(22)에는 강물을 저장하거나 배출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실(22)은 개폐수단의 개방시 상기 배출실(22)을 통해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하천으로 유도배출할 수 있도록 하천(10)과 연결되는 제 2연결관(60)이 결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 2연결관(60)은 하천(10) 제방(12)의 하단부와 연결되되, 하천(10)의 강물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수단은 배출실(22)의 개방된 상부면에 설치되는 개폐판(3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판(30)은 회전축이 편중설치되거나, 저면에 무게추(미도시)를 구비하여 자중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30)은 제 2연결관(60)을 통해 역류되는 강물에 의해 배출실(22)의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폐쇄될 수 있도록 저면에 형성되는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부력통(B)은 평소 개폐판(30)의 저면에 결합되어 무게추와 같은 기능을 하여 개폐판(30)이 항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다만 배출실(22)의 내부로 역류되는 강물에 의해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에 의해 개폐판(30)이 배출실(22)을 차단하여 저류조(20)의 내부로 강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저류조(20)는 상부면에 점검구(23)를 마련하여 저류조(20) 내부를 청소하거나 가림막판(21) 및 개폐판(30)을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저류조(20)는 도로나 공원부지에 형성된 스틸그레이팅(81)이 형성된 배수로(80)의 상부와 저류조(20)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켜 빗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제 3연결관(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연결관(70)은 스틸그레이팅(81)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로(80)의 수위가 올라가면 맑은 빗물로 이루지는 바, 이를 제 3연결관(70)을 통해 저류조(20)로 빗물을 집수시켜 도로나 공원부지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 3개폐판(30)은 배출실(431)의 수위가 낮아짐에도 저류조(20)에 저장된 오수 및 초기우수의 수압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압방지수단(25)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작동도이다.
먼저 평소에는 하천(10)의 강물은 하천 제방(12)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 1연결관(50) 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도 2참고)
이 후 도 3과 같이, 우기 또는 폭우시 하천(10)의 강물이 제방(12)의 제 1연결관(50) 보다 높이 올라가면 먼저 제 2연결관(60)을 통해 강물이 배출실(22)의 내부로 역류하게 된다.
배출실(22)의 내부로 역류된 강물의 수위가 올라가면 개폐판(30)의 저면에 결합된 부력통(B)에 의해 개폐판(30)이 배출실(22)을 폐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저류조(20)는 강물을 저장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게 된다.
이 후 도 4와 같이, 계속해서 하천의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 하천 제방(12)의 상단부에 노출된 제 1연결관(50)으로 강물이 저류조(20)의 내부로 유입되어 하천(10)이 범람하지 않도록 하천 수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폭우 및 우기가 끝나 하천(10)의 수위가 제 2연결관의 높이 이하로 내려가면 제 2연결관(60)을 통해 배출실(22)에 저장된 강물이 배출되어 개폐판(30)이 자중 및 저류조(20) 내의 강물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저류조(20) 내에 저장된 강물을 배출하게 된다.
한편 도로나 공원부지(11)에 형성된 스틸그레이팅(81)의 하부에 배치된 배수로(80)의 수위가 올라가면 맑은 빗물로 이루지는 바, 이를 제 3연결관(70)을 통해 저류조(20)로 집수시켜 도로나 공원부지(11)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3연결관(70)과 연결되는 저류조(20)의 내측 역시 가림막판(21)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6과 같이, 제 2실시예는 배출실(22)에 설치되는 개폐수단이 "원뿔" 형태의 수동식수문(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폭우 또는 우수 시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저류조(20)를 통해 강물을 저장하였다가, 폭우가 끝나면 저장된 강물을 하천으로 방류하거나, 점검구(23) 또는 급수배관(미도시)을 통해 강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공업용수 및 상업용수로 강물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러한 수동식수문(40)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는 배출실(22)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차단판(211)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2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승강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수동식수문(40)은 상단에 결합되어 저류조(20)의 상부로 노출되는 랙기어(41)와, 상기 랙기어(41)와 치합되어 설치된 피니언기어(43)의 제 1회전축(S1)의 동축상에 형성되는 웜휠(42)과, 상기 웜휠(42)과 치합되게 설치되는 워엄(44)과, 상기 워엄(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워엄(44)이 축설된 제 2회전축(S2)에 결합되는 회전레버(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저류조(20)의 상부로 노출된 회전레버(45)를 사람이 수동으로 회전시켜 제 2회전축(S2)에 축설된 워엄(44)의 회전력을 웜휠(42)로 전달하고, 상기 웜휠(42)을 동축 설치된 피니언기어(43)를 통해 랙기어(41)를 승강시켜 결과적으로 수동식수문(40)을 차단판(211)의 슬라이드홈(222)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의 개폐수단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는 저류조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판" 형태의 수동식수문(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동식수문(40) 역시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단에 결합되어 저류조(20)의 상부로 노출되는 랙기어(41)와, 상기 랙기어(41)와 치합되어 설치된 피니언기어(43)의 제 1회전축(S1)의 동축상에 형성되는 웜휠(42)과, 상기 웜휠(42)과 치합되게 설치되는 워엄(44)과, 상기 워엄(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워엄(44)이 축설된 제 2회전축(S2)에 결합되는 회전레버(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하천(10)은 하류로 갈수록 지대가 낮아지는 바, 저류조(20)의 강물 저수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제 2연결관(60)을 하천(10)의 하류까지 연장시킨 구조이다.
이러한 제 2연결관(60)은 하천의 하류까지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제 2연결관의 단부가 하천(10)의 바닥면에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저류조(20)의 바닥면은 하천(10)의 바닥면 보다 같거나 높게 하여 저류조에 저장된 강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제 2연결관(60)의 구성은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적용시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에 따르면, 도 9와 같이, 제 1실시예에서, 개폐판(30)은 배출실(22)의 수위가 낮아짐에도 저류조(20)에 저장된 오수 및 초기우수의 수압에 의해 개방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압방지수단(2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압방지수단(25)은 개폐판(30)을 감싸 설치되되, 물 유입측만이 부분 개방되도록 개방구(252)를 갖는 덮개하우징(251)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수압방지수단(25)은 상기 덮개하우징(251)의 내부로 물유입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개방구(252)에 중첩결합되는 물유입조절판(253)을 더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물유입조절판(253)은 결합높이가 조절되도록 양측면에 장홈(254)을 형성하여 덮개하우징(251)의 개방구(252) 상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물유입조절판(253)의 개방정도에 따라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의 배출시간을 조절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하천 11: 공원부지 12: 제방
20: 저류조 21: 가림막판
22: 배출실 221: 차단판
222: 슬라이드홈 23: 점검구
24: 가이드레일 25: 수압방지수단
251: 덮개하우징 252: 개방구
253: 물유입조절판 254: 장홈
30: 개폐판
40: 수동식수문 41: 랙기어 42: 웜휠
43: 피니언기어 44: 워엄
45: 회전레버
50: 제 1연결관
60: 제 2연결관
70: 제 3연결관
80: 배수로 81: 스틸그레이팅
S1: 제 1회전축 S2: 제 2회전축 B: 부력통
20: 저류조 21: 가림막판
22: 배출실 221: 차단판
222: 슬라이드홈 23: 점검구
24: 가이드레일 25: 수압방지수단
251: 덮개하우징 252: 개방구
253: 물유입조절판 254: 장홈
30: 개폐판
40: 수동식수문 41: 랙기어 42: 웜휠
43: 피니언기어 44: 워엄
45: 회전레버
50: 제 1연결관
60: 제 2연결관
70: 제 3연결관
80: 배수로 81: 스틸그레이팅
S1: 제 1회전축 S2: 제 2회전축 B: 부력통
Claims (10)
- 하천(10)변의 도로나 공원부지(11)에 매설되는 저류조(20);
상기 하천(10)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10)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저류조(20)의 내부로 하천(10)의 강물을 유도할 수 있도록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하천 제방(12)의 상단부와, 상기 저류조(20)의 상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제 1연결관(50);
상기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일시저장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저류조(20)의 하부에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의 개방시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을 하천(10)으로 유도배출할 수 있도록 하천(10)의 제방(12)의 하단부와 상호 연결되는 제 2연결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2연결관(60)은 강물의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저류조(20)에 저장된 강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류조(20)의 바닥면 일지점에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는 배출실(22)을 포함하되,상기 배출실(22)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며,
상기 개폐수단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는 배출실(22)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차단판(211)의 슬라이드홈(22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원뿔" 형태의 수동식수문(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배출실(22)의 개방된 상부면에 설치되어 항시적으로 자중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회전축이 편중설치되는 개폐판(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판(30)은 하천의 제방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 2연결관(60)으로 역류되는 강물에 의해 배출실(22)의 내부 수위가 올라가면 부력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저면에 형성되는 부력통(B)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제 2연결관(60)과 연결되는 저류조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24)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판" 형태의 수동식수문(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수문(40)은 상단에 결합되어 저류조(20)의 상부로 노출되는 랙기어(41)와, 상기 랙기어(41)와 치합되어 설치된 피니언기어(43)의 제 1회전축(S1)의 동축상에 형성되는 웜휠(42)과, 상기 웜휠(42)과 치합되게 설치되는 워엄(44)과, 상기 워엄(4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워엄(44)이 축설된 제 2회전축(S2)에 결합되는 회전레버(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관(50)은 강물의 유입을 원활히 하기 위해 높이는 낮고 길이가 긴 장방형의 입구를 갖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20)는 도로나 공원부지에 형성된 스틸그레이팅(81)이 형성된 배수로(80)의 상부와 저류조(20)의 상단을 상호 연결시켜 빗물을 유입시킬 수 있는 제 3연결관(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20)는 제 1연결관(50) 또는 제 3연결관(70)과 연결되는 상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강물의 수압에 의해 일방향으로 개폐되는 가림막판(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관(60)은 저류조(20)의 강물 저수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천(10)의 하류까지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가 하천(10)의 바닥면에 노출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0043A KR101142619B1 (ko) | 2011-09-30 | 2011-09-30 |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0043A KR101142619B1 (ko) | 2011-09-30 | 2011-09-30 |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42619B1 true KR101142619B1 (ko) | 2012-05-14 |
Family
ID=4627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0043A KR101142619B1 (ko) | 2011-09-30 | 2011-09-30 |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2619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413B1 (ko) | 2012-06-29 | 2013-08-16 | 진두남 |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시스템 |
KR101649873B1 (ko) * | 2015-11-03 | 2016-08-22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뭄과 홍수재해 대비를 위한 수재생 저류장치 |
KR101672891B1 (ko) * | 2015-10-16 | 2016-11-07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하천 저류조 |
CN107386192A (zh) * | 2017-08-03 | 2017-11-24 | 李雪萍 | 一种洪水引流法 |
CN110879161A (zh) * | 2019-11-01 | 2020-03-13 | 广西壮族自治区水利科学研究院 | 一种洪水水样收集装置 |
KR20210092524A (ko) * | 2020-01-16 | 2021-07-26 |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
KR20210092514A (ko) * | 2020-01-16 | 2021-07-26 |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
CN113445476A (zh) * | 2021-07-19 | 2021-09-28 | 中印恒盛(北京)贸易有限公司 | 一种实现永续型快装堤坝自身增重的方法 |
CN117845829A (zh) * | 2024-03-06 | 2024-04-09 | 四川省水利科学研究院 | 一种水利防洪堤防结构及施工设备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6433A (ja) * | 2004-03-11 | 2005-09-22 | Jfe Engineering Kk | 下水処理水及び雨水の送排水システム |
KR20110088167A (ko) * | 2010-01-28 | 2011-08-03 | 주식회사 중원 | 천변형 저류조를 이용한 저류 장치 |
-
2011
- 2011-09-30 KR KR1020110100043A patent/KR10114261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6433A (ja) * | 2004-03-11 | 2005-09-22 | Jfe Engineering Kk | 下水処理水及び雨水の送排水システム |
KR20110088167A (ko) * | 2010-01-28 | 2011-08-03 | 주식회사 중원 | 천변형 저류조를 이용한 저류 장치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3413B1 (ko) | 2012-06-29 | 2013-08-16 | 진두남 |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시스템 |
KR101672891B1 (ko) * | 2015-10-16 | 2016-11-07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소하천 저류조 |
KR101649873B1 (ko) * | 2015-11-03 | 2016-08-22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가뭄과 홍수재해 대비를 위한 수재생 저류장치 |
CN107386192A (zh) * | 2017-08-03 | 2017-11-24 | 李雪萍 | 一种洪水引流法 |
CN110879161A (zh) * | 2019-11-01 | 2020-03-13 | 广西壮族自治区水利科学研究院 | 一种洪水水样收集装置 |
KR20210092524A (ko) * | 2020-01-16 | 2021-07-26 |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
KR20210092514A (ko) * | 2020-01-16 | 2021-07-26 |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
KR102370200B1 (ko) * | 2020-01-16 | 2022-03-03 |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
KR102438273B1 (ko) * | 2020-01-16 | 2022-08-29 |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
CN113445476A (zh) * | 2021-07-19 | 2021-09-28 | 中印恒盛(北京)贸易有限公司 | 一种实现永续型快装堤坝自身增重的方法 |
CN117845829A (zh) * | 2024-03-06 | 2024-04-09 | 四川省水利科学研究院 | 一种水利防洪堤防结构及施工设备及其使用方法 |
CN117845829B (zh) * | 2024-03-06 | 2024-05-10 | 四川省水利科学研究院 | 一种水利防洪堤防结构及施工设备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2619B1 (ko) | 저류조를 이용한 홍수 방지 장치 | |
CN103643612B (zh) | 浅草沟及浅草沟的制造方法 | |
CN110042724B (zh) | 湿陷性黄土地区道路海绵设施雨水收集利用和排放系统 | |
CN112195717B (zh) | 一种市政道路节能排水施工方法 | |
KR101224277B1 (ko) | 저류조를 이용한 오수 및 계곡수 분리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 |
KR100961152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 |
KR20080112531A (ko) | 빗물 저장 탱크 | |
WO2020044355A1 (en) |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 |
WO2021125170A1 (ja) | 水害時2次排水方法 | |
CN207109831U (zh) | 一种山路排水护坡系统 | |
KR101267377B1 (ko)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
CN112832353A (zh) | 一种城市地下污水管道铺设系统 | |
CN112544349A (zh) | 一种绿色海绵专用水量自控型雨水花园及施工方法 | |
KR100846029B1 (ko) | 건물 홈통 연결용 빗물처리시스템 | |
CN114319537B (zh) | 一种可增强雨水净化下渗功能的海绵系统 | |
KR101468324B1 (ko) | 자동 및 반자동 겸용 저류 시스템 | |
CN110700386A (zh) | 一种海绵城市建设带有补给地下水功能的雨水井 | |
KR101771073B1 (ko) |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 | |
CN213756095U (zh) | 一种用于高架桥下绿化带的雨水收集灌溉装置 | |
CN212358883U (zh) | 一种绿色屋顶 | |
CN211571912U (zh) | 一种城市雨水收集水位控制系统 | |
RU2694189C2 (ru) |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 |
KR20130046242A (ko) | 담수블록을 이용한 배수시스템 | |
CN106988400A (zh) | 一种挡潮、防堵、检修便捷、可冲砂清淤的干沟式截流系统及方法 | |
WO2019101158A1 (zh) | 集约式洪灌渠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