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547B1 - 빗물 저류 장치 - Google Patents

빗물 저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547B1
KR101314547B1 KR1020130052909A KR20130052909A KR101314547B1 KR 101314547 B1 KR101314547 B1 KR 101314547B1 KR 1020130052909 A KR1020130052909 A KR 1020130052909A KR 20130052909 A KR20130052909 A KR 20130052909A KR 101314547 B1 KR101314547 B1 KR 10131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tank
water
sedimen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주
박성순
권은미
Original Assignee
신강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하이텍(주) filed Critical 신강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13005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 및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기능과, 빗물을 저장시켜 홍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치수의 기능과,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수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빗물 저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는 빗물을 유입시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을 유출시키는 유입조와, 유입조의 상부에 연결되는 유입관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규격화된 정육면체의 저류블록이 서로 상통되게 층상 배치되는 블록저류조와, 블록저류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면, 침전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바닥경사면을 갖는 침전조와, 침전조의 바닥경사면을 따라 유도되는 침전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침전조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침전물저류조와, 우기시 블록저류조의 상측면와 연결된 제1연결관을 통해 블록저류조에서 월류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유출관을 통해 자연배수시키며, 우기가 끝난 후 블록저류조의 하측면에 연결된 제2연결관을 통해 블록저류조의 빗물을 공급받아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이용하는 유출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빗물 저류 장치{RAIN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우기 시 빗물을 일부 저장하여 홍수를 방지하고, 우기가 끝난 후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빗물 저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기능과, 빗물을 저장시켜 홍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치수의 기능과,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수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빗물 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류조는 일시적으로 불어나는 우수를 저장했다가 점차적으로 배출하여 하수도의 역류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건기에 저장된 물을 점차 배출하여 하천의 고갈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도시나 아파트의 조경을 위한 수목의 용수나 도로의 청소 또는 방화수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설물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최근에는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각종 건물, 차도, 보도 등에 의해 지표의 포장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되지 못하고 하수도나 하천으로 배출되고 있다. 따라서 우기에는 갑자기 많은 양의 우수가 하수도나 하천으로 배출되면서 하수의 역류 또는 하천의 범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기에는 지중으로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에 하천이 쉽게 고갈되면서 주변의 초목이나 수목 등이 고사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건기에는 아파트 단지나 도시의 조경을 위한 수목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도로 청소 등 여러 용도의 용수를 하천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없기 때문에 상수를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빗물을 저장하고 배출할 수 있는 빗물 저류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빗물 저류 장치는 이수, 치수, 비점오염제거 기능 중 하나의 기능에 초점을 맞춰 설치할 경우 용도가 제한적이고 비경제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 및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기능과, 빗물을 저장시켜 홍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치수의 기능과,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수의 기능을 겸할 수 있는 빗물 저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블록을 규격화하여 손쉽게 확장가능하게 구성하고, 블록저류조의 하부에 침전조와 침전물저류조를 배치시켜 손쉽게 침전물을 준설할 수 있는 구조의 빗물 저류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빗물을 유입시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을 유출시키는 유입조와; 유입조의 상부에 연결되는 유입관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규격화된 정육면체의 저류블록이 서로 상통되게 층상 배치되는 블록저류조와; 블록저류조의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면, 침전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바닥경사면을 갖는 침전조와; 침전조의 바닥경사면을 따라 유도되는 침전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침전조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침전물저류조와; 우기 시 블록저류조의 상측면와 연결된 제1연결관을 통해 블록저류조에서 월류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유출관을 통해 자연배수시키며, 우기가 끝난 후 블록저류조의 하측면에 연결된 제2연결관을 통해 블록저류조의 빗물을 공급받아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이용하는 유출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유입조는 외통과, 외통의 중앙에 배치되는 내통과, 유입되는 빗물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외통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빗물유입관과, 외통에 바닥면으로 이물질을 낙하시켜 저장하기 위해 외통의 내주면에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배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배플 및 유입조에는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외통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승와류에 의한 침전물의 상승 및 물 튀김을 방지하기 위해 콘 형상의 요철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입관은 외통을 거쳐 내통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통을 따라 수위가 상승되는 빗물이 자동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상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블록저류조의 각 저류블록은 외부로 노출된 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되고, 노출되지 않은 면은 다수의 유통공이 형성되어 빗물이 유통되도록 구성되며, 바닥면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유통공의 방향으로 오목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저류블록은 전/후/좌/우/상/하판으로 구성되되, 좌/우판 테두리 사방면에 걸쳐 연장 형성되는 끼움돌기를 통해 상호 결합됨과 더불어, 인접한 저류블록과 6면에 걸쳐 상호 결합되어 층상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전/후판은 원형의 유통공이 형성되고, 좌/우판은 다수의 소형의 유통공이 형성되고, 상/하판은 사각의 유통공이 형성되어 빗물이 6면에 걸쳐 유통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외통의 하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된 침전물을 침전물저류조로 유도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관이 더 연결되되, 배출관은 빗물유입관 보다 상대적은 작은 관경을 갖고 선택적으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조의 하측면에는 유출조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펌프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펌프는 침전조의 바닥경사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유출조의 저장된 빗물을 살수하는 살수관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침전물저류조는 제1맨홀을 통해 퇴적물을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연결관은 블록저류조 내의 침전물의 유입은 방지하면서, 우기가 끝난 후 블록저류조의 빗물을 유출조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밸브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에 따르면,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 및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비점오염저감기능과, 빗물을 저장시켜 홍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치수의 기능과,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이수의 기능을 겸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저류조를 이루는 저류블록이 규격화되어 손쉽게 확장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저류조의 하부에 침전조와 침전물저류조를 배치시켜 손쉽게 침전물을 준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저류조에서 발췌된 저류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제1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제2작동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구성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의 블록저류조에서 발췌된 저류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우기 시 빗물을 일부 저장하여 홍수를 방지하고, 우기가 끝난 후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빗물 저류 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빗물 저류 장치(100)는 크게 5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유입조(10)와, 블록저류조(20)와, 침전조(30)와, 침전물저류조(40) 및 유출조(50)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조(10)는 우기 시 빗물을 유입시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로 침전시켜 블록저류조(20)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유입조(10)는 외통(11)과, 상기 외통(11)의 중앙에 배치되는 내통(12)과, 상기 외통(11)과 내통(12)의 사이에서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통(1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빗물유입관(111)과, 외통(11)에 바닥면으로 이물질을 낙하시켜 저장하기 위해 외통(11)의 내주면에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는 배플(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유입조(10)의 구조는 빗물유입관(111)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에 와류를 발생시켜 빗물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고, 빗물의 체류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이물질에 포함된 비중이 큰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배플(112)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12a)를 통해 하부로 낙하시키고, 비중이 작은 100㎛ 이상의 부유물질은 외통(11)과 내통(12)의 사이로 부유되도록 하며,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이 내통(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배플(112) 및 유입조(10)의 상단에는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공(114)이 형성되어 있어 초기 유입되는 빗물이 공기의 간섭없이 배플(112)의 배출구(112a)를 통해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11)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승 와류에 의한 침전물의 상승 및 물 튀김을 방지하기 위해 콘 형상의 요철(113)이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요철(113)은 낙하되는 빗물에 의한 물튀김으로 인해 유입되는 빗물과 이물질이 간섭받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이물질이 요철(113)의 외각으로 침전되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요철(113)의 외각으로 침전된 침전물은 유입조(10)의 외통(11)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13)을 통해 침전물저류조(40)로 유도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 때 상기 배출관(13)은 빗물유입관(111) 보다 상대적은 작은 관경을 갖게 구성된다. 이는 모래 및 협잡물과 같은 침전물은 자중에 의해 원활히 배출시키면서 빗물의 배출은 최소화시킨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배출관(13)은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V)를 설치하여 후술되는 침전물저류조(40)를 준설할 때만 배출관을 개방시켜 모래 및 협잡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저류조(20)는 상기 유입조(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유입관(22)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규격화된 육면체의 저류블록(21)이 서로 상통되게 층상 배치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유입관(22)은 외통(11)을 거쳐 내통(12)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통(12)을 따라 수위가 상승되는 빗물이 자동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상향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저류조(20)의 각 저류블록(21)은 외부로 노출된 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되고, 노출되지 않은 면은 다수의 유통공(224)이 형성되어 빗물이 유통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기 각 저류블록(21)은 도 2에서와 같이, 전/후/좌/우/상/하판(221,222,223)이 각각 조립식으로 결합되며, 이 때 전/후판(221)은 원형의 유통공(224)이 형성되고, 좌/우판(222)은 다수의 소형의 유통공이 형성되고, 상/하판(223)은 사각의 유통공(224)이 형성되어 빗물이 6면에 걸쳐 유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저류블록(21)은 좌/우판(222)의 테두리 사방면에 걸쳐 연장 형성되는 끼움돌기(222a)를 통해 인접한 저류블록(21)과 6면에 걸쳐 상호 결합될 수 있어 층상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또한 상기 끼움돌기(222a)를 통해 선택적으로 저류블록(21)의 개수를 증대시켜 저수용량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저류블록(21)의 상/하판(223)에는 도 1의 확대한 부분과 같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바닥면에 침전되지 않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통공(224)의 방향으로 오목구배(223a)를 형성한 구조이다. 이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저류블록(21)의 바닥면(하판)에 쌓이지 않고 유통공(224)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블록저류조(20)의 하부에 배치된 침전조(30)로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침전조(30)는 상기 블록저류조(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면, 침전된 침전물을 일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바닥경사면(31)을 갖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침전물저류조(40)는 상기 침전조(30)의 바닥경사면(31)을 따라 유도되는 침전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30)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유출조(50)는 우기 시 상기 블록저류조(20)의 상측면에 연결된 제1연결관(51)을 통해 상기 블록저류조(20)에서 월류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유출관(53)을 통해 자연배수시키며, 우기가 끝난 후 상기 블록저류조(20)의 하측면과 연결된 제2연결관(52)을 통해 상기 블록저류조(20)의 빗물을 공급받아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출조(50)의 하측면에는 유출조(50)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펌프(P)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펌프(P)는 침전조(30)의 바닥경사면(31)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침전조(30)와 연결되는 살수관(60)이 더 연결되며, 이러한 살수관(60)을 통해 유출조(50)의 빗물을 살수하여 침전조(30)에 침전된 잔여 침전물을 침전물저류조(40)로 퇴적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침전물저류조(40)는 준설차로 하여금 제1맨홀(M1)을 통해 침전물을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관(52)은 블록저류조(20) 내의 침전물의 유입은 방지하면서, 우기가 끝난 후 블록저류조(20)의 빗물을 유출조(50)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밸브(V)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밸브(V)는 기본적으로 전동밸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외에 수동밸브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출조(50)는 내부를 준설하거나 펌프(P)에 연결된 살수관(60) 이외에 별도의 배수관(70)를 연결하기 위해 상부에 제2맨홀(M2)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제1작동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기 시 빗물이 유입되면, 먼저 유입조의 외통(11) 접선방향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유입되는 빗물은 외통(11)과 내통(12)의 사이에서 와류를 형성하여 빗물의 체류시간을 증대시키고, 빗물의 체류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이물질에 포함된 비중이 큰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배플(112)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112a)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고, 비중이 작은 100㎛ 이상의 부유물질은 외통(11)과 내통(12)의 사이 공간부로 부유된다.
여기서 배플(112)에 형성된 배출구(112a)를 통해 빗물과 함께 낙하되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요철(113)에 의해 외각으로 유도된다.
아울러 상기 배플(112)은 빗물이 요철(113)로 낙하되면 요철(113)의 외각에서 발생되는 상승 와류를 방해하여 침전물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요철(113)은 외통(11)과 내통(12)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배플(112)의 중심부에서 발생되는 상승와류를 저감하여 모래와 같은 이물질이 내통(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내통(12)의 수위가 높아지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이 유입관(22)을 통해 블록저류조(20)로 유입된다.
이 때 블록저류조(20)를 이루는 저류블록(21)에 빗물이 담수되면, 빗물에 포함된 모래와 같은 이물질은 하판(223)에 형성된 오목구배(223a)를 통해 하부로 낙하되고, 낙하되는 이물질은 침전조(30)의 하부로 침전된다.
침전조(30)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은 바닥경사면(31)에 경사에 의해 침전물저류조(40)로 점차 유도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빗물이 유입되어 블록저류조(20)의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제1연결관(51)을 통해 빗물이 자동 월류되어 유출조(50)의 내부로 유입된다.
마지막으로 유출조(50)의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유출관(53)을 통해 하천으로자연방류된다.
이러한 구조는 결국 유입조(10)와, 블록저류조(20)와, 침전조(30)와, 침전물저류조(40) 및 유출조(50)가 빗물을 담수하여 하천수위를 조절하게 되므로, 이는 홍수방지 및 홍수로 인해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제2작동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기가 끝난 후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블록저류조(20)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제2맨홀(M2)을 통해 삼방전동밸브로 배수관(70)을 펌프(P)와 연결시킨다.
이 후 제2연결관(52)의 밸브(V)를 개방시키면 자중 및 수압에 의해 블록저류조(20)에 저장된 빗물이 유출조(50)로 공급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유출조(50)에 설치된 펌프(P)를 가동하여 유출조(50)에 저장된 맑은 빗물을 배수관(70)을 통해 제2맨홀(M2) 밖으로 배수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 장치의 제3작동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전물저류조(40)에 침전물과, 유입조(10)에 침전된 침전물은 제1맨홀(M1)을 통해 준설차(200)를 이용하여 준설할 수 있다.
먼저 유입조(10)에 침전된 침전물은 배출관(13)에 설치된 밸브(V)를 개방시켜 침전물저류조(40)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제1맨홀(M1)을 통해 준설차(200)를 이용하여 침전물저류조(40)의 침전물을 준설한다.
동시에 침전조(30)의 바닥경사면(31)에 침전된 잔여 침전물은 유출조(50)의 일부 저장된 빗물을 펌프(P) 및 펌프(P)에 연결된 살수관(60)을 통해 펌핑하여 살수시킴으로써, 침전물저류조(40)로 퇴적되도록 한다. 이는 결국 침전물저류조(40)의 침전물과 함께 준설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빗물 저류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유입조 11: 외통 111: 빗물유입관
112: 배플 112a: 배출구
113: 요철 114: 통공
12: 내통 13: 배출관
20: 블록저류조 21: 저류블록 221: 전/후판
222: 좌/우판 222a: 끼움돌기
223: 상/하판 223a: 오목구배
224: 유통공 22: 유입관
30: 침전조 31: 바닥경사면
40: 침전물저류조
50: 유출조 51: 제1연결관 52: 제2연결관
53: 유출관
60: 살수관
70: 배수관
P: 펌프 M1: 제1맨홀 M2: 제2맨홀
V: 밸브, 삼방전동밸브
100: 빗물 저류 장치
200: 준설차

Claims (12)

  1. 빗물을 유입시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켜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만을 유출시키는 유입조(10);
    상기 유입조(10)의 상부에 연결되는 유입관(22)을 통해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다수의 규격화된 정육면체의 저류블록(21)이 서로 상통되게 층상 배치되는 블록저류조(20);
    상기 블록저류조(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면, 침전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바닥경사면(31)을 갖는 침전조(30);
    상기 침전조(30)의 바닥경사면(31)을 따라 유도되는 침전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침전조(30) 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침전물저류조(40); 및
    우기 시 상기 블록저류조(20)의 상측면와 연결된 제1연결관을 통해 상기 블록저류조(20)에서 월류되는 빗물을 저장하여 유출관(53)을 통해 자연배수시키며, 우기가 끝난 후 상기 블록저류조(20)의 하측면에 연결된 제2연결관(52)을 통해 상기 블록저류조(20)의 빗물을 공급받아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이용하는 유출조(50);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조(10)는 외통(11)과, 상기 외통(11)의 중앙에 배치되는 내통(12)과, 유입되는 빗물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외통(11)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는 빗물유입관(111)과, 외통(11)에 바닥면으로 이물질을 낙하시켜 저장하기 위해 외통(11)의 내주면에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태로 결합되는 배출구(112a)를 포함하는 배플(1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112) 및 유입조(10)에는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공(1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1)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승 와류에 의한 침전물의 상승 및 물 튀김을 방지하기 위해 콘 형상의 요철(11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2)은 외통(11)을 거쳐 내통(12)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통(12)을 따라 수위가 상승 되는 빗물이 자동유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상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저류조(20)의 각 저류블록(21)은 외부로 노출된 면이 밀폐된 상태로 구성되고, 노출되지 않은 면은 다수의 유통공(224)이 형성되어 빗물이 유통되도록 구성되며, 바닥면에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유통공(224)의 방향으로 오목구배(22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저류블록(21)은 전/후/좌/우/상/하판(221,222,223)으로 구성되되, 좌/우판(222) 테두리 사방면에 걸쳐 연장 형성되는 끼움돌기(222a)를 통해 상호 결합됨과 더불어, 인접한 저류블록(21)과 6면에 걸쳐 상호 결합되어 층상 배치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전/후판(221)은 원형의 유통공(224)이 형성되고, 좌/우판(222)은 다수의 소형의 유통공이 형성되고, 상/하판(223)은 사각의 유통공(224)이 형성되어 빗물이 6면에 걸쳐 유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1)의 하부에는 이물질이 침전된 침전물을 침전물저류조(40)로 유도 배출시키기 위해 배출관(13)이 더 연결되되, 상기 배출관(13)은 빗물유입관(111) 보다 상대적은 작은 관경을 갖고 선택적으로 침전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V)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조(50)의 하측면에는 유출조(50)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농축산용수 또는 공업용수 또는 잡용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펌프(P)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P)는 침전조(30)의 바닥경사면(31)에 침전된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유출조(50)의 저장된 빗물을 살수하는 살수관(6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저류조(40)는 제1맨홀(M)을 통해 퇴적물을 준설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52)은 블록저류조(20) 내의 침전물의 유입은 방지하면서, 우기가 끝난 후 블록저류조(20)의 빗물을 유출조(50)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밸브(V)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 장치.
KR1020130052909A 2013-05-10 2013-05-10 빗물 저류 장치 KR10131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09A KR101314547B1 (ko) 2013-05-10 2013-05-10 빗물 저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09A KR101314547B1 (ko) 2013-05-10 2013-05-10 빗물 저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547B1 true KR101314547B1 (ko) 2013-10-04

Family

ID=4963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909A KR101314547B1 (ko) 2013-05-10 2013-05-10 빗물 저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5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524A (ko) * 2014-02-26 2015-09-04 주식회사 비.씨.오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KR101672891B1 (ko) * 2015-10-16 2016-1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하천 저류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06A (ja) * 1998-11-30 2000-06-13 Takiron Co Ltd 雨水貯溜装置
JP2008208521A (ja) * 2007-02-23 2008-09-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貯水施設
KR200450476Y1 (ko) 2009-12-17 2010-10-06 거영토건 주식회사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KR101248015B1 (ko) * 2012-04-02 2013-03-27 주식회사 뉴보텍 Gmt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606A (ja) * 1998-11-30 2000-06-13 Takiron Co Ltd 雨水貯溜装置
JP2008208521A (ja) * 2007-02-23 2008-09-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貯水施設
KR200450476Y1 (ko) 2009-12-17 2010-10-06 거영토건 주식회사 저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저류조
KR101248015B1 (ko) * 2012-04-02 2013-03-27 주식회사 뉴보텍 Gmt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1524A (ko) * 2014-02-26 2015-09-04 주식회사 비.씨.오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KR101598684B1 (ko) 2014-02-26 2016-03-03 주식회사 비.씨.오 수처리 여과 및 세척장치
KR101672891B1 (ko) * 2015-10-16 2016-11-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하천 저류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075B1 (ko) 수직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US11408162B2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560279B1 (ko) 용수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용수제공방법
JP6242097B2 (ja) 地下排水ポンプ設備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KR101314547B1 (ko) 빗물 저류 장치
US10865547B1 (en)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KR102292290B1 (ko)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KR101788120B1 (ko) 우수용 저류 및 배수 시스템
KR101339455B1 (ko)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101185579B1 (ko) 초기우수배제형 빗물 저류장치
KR101494221B1 (ko) 무동력 하천용수 상시 취수 시스템 및 취수 구조
KR101588201B1 (ko) 빗물 활용시스템
JP2005120658A (ja) 雨水等の貯水施設
CZ302995A3 (en) Engineering structure for built-up structures made of reinforced concrete or the like material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KR20070105032A (ko) 저장탱크용 지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우수처리 방법
EP3976895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JP5557211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JP5315045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KR200265463Y1 (ko) 악취차단 및 토사유입방지 맨홀
JP4668091B2 (ja) 雨水等の貯水施設及び貯水施設の沈殿物除去方法
CN109811872A (zh) 水池自动液压底阀清淤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